KR101082931B1 -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 Google Patents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931B1
KR101082931B1 KR1020090043356A KR20090043356A KR101082931B1 KR 101082931 B1 KR101082931 B1 KR 101082931B1 KR 1020090043356 A KR1020090043356 A KR 1020090043356A KR 20090043356 A KR20090043356 A KR 20090043356A KR 101082931 B1 KR101082931 B1 KR 10108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billboard
road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4392A (ko
Inventor
이강원
목재균
박영곤
변윤섭
김연수
김영민
김태원
김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09004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Signs, boards or panel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은, 도로 또는 철도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공간을 가지며 다수의 승객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과, 제1 단위 모듈의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정거장 몸체부; 및 제1 단위 모듈 및 제2 단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포함하며, 하중분산형 광고판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광고물이 게재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며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커버의 하측에 마련되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여 프레임에 커버를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광고판, 탄성부재, 캐스터, 커버

Description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Load distribute typ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거장(정류장)은, 버스 및 택시 등과 같은 도로 차량과, 경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장소로서, 승객이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을 가리킨다.
특히 대중교통으로 널리 이용되는 도로 차량, 예를 들면 버스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버스 정거장은, 전 지역에 걸쳐 고르게 설치되어 승객들이 원하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최근에 설치되는 버스 정거장은, 해당 정거장을 통과하는 버스가 정지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기존의 버스 정거장과는 달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기능 들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정거장에는 해당 버스 정거장을 통행하는 버스 및 그 버스들의 노선이 상세히 기재된 게시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나 눈 등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며 쉴 수 있는 좌석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버스 정거장에는 특정 상품 등의 선전 목적으로 광고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버스 정거장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프레임의 내측에 광고지를 부착한 후, 커버를 덮음으로써 광고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는 광고판이 개발되어 현재 이용중에 있다.
하지만 종래의 버스 정거장에 설치되는 광고판은,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광고판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프레임에 커버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버스 정거장에 설치되는 광고판은, 프레임에 고정된 커버의 무게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중 및 커버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광고판의 반복사용시 프레임과 커버를 연결하는 힌지(Hinge)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고 목적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보행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대형 광고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형 광고판에 사용되는 커버는 상당한 무게를 지니고 있으므로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하게 부각된다.
따라서,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 또는 철도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공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승객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과,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정거장 몸체부; 및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광고물이 게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커버;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며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버를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상기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하는 대기 모듈이며,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 상기 승객이 출입 가능한 출입공간이 형성되는 출입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정거장 몸체부는,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피공간이 마련되는 대피 모듈인 제3 단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모듈 내지 상기 제3 단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의 부분 구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은, 상기 다수의 부분 구성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 구성 모듈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다수의 탄성부재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마련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탄성가압부재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Leaf Spring)일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버가 고정된 경우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하측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에 의하여 눌림 되거나 눌림 해제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고정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이프형(Pipe Type) 탄성가압부재일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형(Ball Type) 탄성가압부재일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다수의 스크루 조립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루 조립홀은 상기 판스프링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타원형 스크루 조립홀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하측 일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Cas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캐스터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는,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캐스터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캐스터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은, 상기 커버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커버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고정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탄성가압부재에 의해 광고판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측에서 바라본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탄성부재와 탄성가압부재의 결합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정거장이라 함은, 도로 차량용 정거장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차량용 정거장 특히 버스 정거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1, 이하, '정거장')은 정거장 몸체부(20)와, 정거장 몸체부(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10, 이하, '광고판')을 포함한다.
정거장 몸체부(20)는, 도로에서 운행되는 도로 차량(예컨대, 버스 등)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공간(21s)과, 대기공간(21s)으로 출입시 이용되는 출입공간(22s)과, 외부로 대피시 이용되는 대피공간(23s)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도로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되는 제1 단위 모듈(21)과, 제1 단위 모듈(21)의 대기공간(21s)으로 승객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22s)이 마련되는 출입모듈인 제2 단위 모듈(22)과, 제1 단위 모듈(21)의 대기공간(21s)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피공간(23s)이 마련되는 대피모듈인 제3 단위 모듈(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정거장은 대략 32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물로 마련되므로 이처럼 다수의 모듈(21, 22, 23)로 나누어 제작한 뒤 이를 각각 운반하고, 정거장 설치 위치에 다수의 모듈(21, 22, 23) 상호 간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1 단위 모듈(21), 제2 단위 모듈(22) 및 제3 단위 모듈(23)에는 각각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각 모듈(21, 22, 23) 간을 결합시키면 통신 및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단위 모듈(21), 제2 단위 모듈(22) 및 제3 단위 모듈(23)의 외벽들은 각각 강도를 지닌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경량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실내에 형성되는 공간(21s, 22s, 23s)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정거장의 구성이 가능해 진다.
제1 단위 모듈(21)은, 승객이 도로 차량에 승차 전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는 대기공간(21s)이 마련된 대기 모듈로서, 승객이 앉아서 대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좌석과, 운행 중인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 등을 안내하는 안내단말기와,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방송하는 방송장치와, 대기공간의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대기공간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와, 스크린 도어(Screen Door)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감지함으로써 비상사태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와, 도로 차량 진입 시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를 향해 발광되는 복수의 조명등 등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모듈(21)은 부분 구성 모듈(24, 25)로 나뉘어 제작된 후 추후 이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듈(21)로 완성된다. 이처럼, 제1 단위 모듈(21)을 두 개의 부분 구성 모듈(24, 25)로 나누어 제작하는 이유는 제1 단위 모듈(21)의 크기에 기인한 것으로, 정거장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여러 모듈(21, 22, 23) 중 승객이 차량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 모듈로 이용되는 제1 단위 모듈(21)의 크기가 다른 모듈(22, 23)에 비하여 크기 때문이다.
다만, 제1 단위 모듈(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거나 셋 이상의 부분 구성 모듈로 나뉘어 제작된 후 이를 상호 연결하여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단위 모듈(21)의 구성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단위 모듈(22)은, 승객이 대기공간(21s)으로 출입하는 출입공간(22s)이 형성된 출입 모듈로서, 승차권을 발매하거나 승차카드를 충전하는 승차권발매기와, 승차권 및 승차카드를 인식하여 승객이 출입공간(22s)으로부터 대기공간(21s)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복수의 게이트와, 복수의 게이트가 마련된 출입공간(22s)의 바닥에 설치되어 승객들, 특히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도로 차량에 마련된 RFID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RFID 인식장치와, 제2 단위 모듈(22)에 형성된 출입공간(22s)을 촬영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3 단위 모듈(23)은, 제1 단위 모듈(21)의 일측에 연결되는 대피 모듈로서, 제1 단위 모듈(21)의 대기공간(21s)과 연통되는 대피공간(23s)과, 제1 단위 모듈(21)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대피출구와, 대기공간에 설치되는 공기덕트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조장치와, 정거장(1)의 운영을 제어하는 운영서버 등을 포함한다.
제1 단위 모듈(21)과 마찬가지로 제2 단위 모듈(22) 및 제3 단위 모듈(23)은, 다수의 부분 구성 모듈로 나뉘어 제작된 후 이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본 실시예에 따른 정거장(1)은, 정거장 몸체부(20)를 다수의 모듈(21, 22, 23)로 나누어 제작한 뒤, 이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완성되므로 운반의 편의와 함께 정거장(1)의 설치 및 분해의 편의가 도모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정거장(1)은 현재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밀폐형 스마트 타입(Smart Type) 정거장을 일 예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거장(1)은 밀폐형 스마트 타입 정거장이 아닌 일반적인 정거장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한편, 하중분산형 광고판(10, 이하, '광고판')은,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일측을 덮는 커버(200)와,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00)와, 커버(200)의 하측에 마련되는 탄성가압부재(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광고판의 사각 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내측에 공간(100s)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 공간(100s)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지(B, Bill) 등이 부착된 후 커버(200)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비, 눈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100)은 사각 형상이 아닌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커버(20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고판(10)은 대략 32미터에 이르는 대형 정 거장(1)의 일측면에 마련되므로, 이에 맞추어 프레임(100)은 대형 광고물의 게재 목적에 맞추어 상당한 크기로 제작된다.
한편, 커버(200)는 광고지(B) 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에 삽입되어 프레임(100)의 일측을 덮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100)과 커버(200)는 힌지(6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므로, 커버(200)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으로 삽입되거나 분리되게 된다. 또한, 커버(200)는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광 투과성 재질로 마련되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에 게재된 광고지(B) 등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성부재(300)는 탄성가압부재(400)의 가압이나 가압해제에 따라 커버(200)를 프레임(100)에 고정시키거나 프레임(100)으로부터 커버(200)가 고정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300)는 판스프링(Leaf Spring)으로 마련되어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고정되며, 여기서 판스프링은 약각 굽은 판들을 겹쳐놓음으로써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의미한다.
도 2, 도 5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으로 마련되는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30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가 고정된 경우 탄성가압부재(400)의 하측부에 접촉하는 접촉부(310)와, 접촉부(3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320)와, 접촉부(31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330)를 포함한다.
접촉부(31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가 고정된 경우 탄성가압부재(400)의 하측 일부가 접촉되는 부분이며, 제1 탄성부(320)는 접촉부(3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탄성가압부재(400)에 의하여 눌림 되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탄성가압부재(400)를 고정하는 부분이고, 제2 탄성부(330)는 접촉부(31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프레임(100)에 커버(200)가 고정된 경우 탄성가압부재(400)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탄성가압부재(400)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즉,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300)는, 탄성가압부재(40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탄성부재(30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접촉부(310)와, 접촉부(310)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탄성부(320)와, 접촉부(310)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2 탄성부(33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300)에는 탄성부재(300)를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스크루 조립홀(300a)이 관통 형성된다. 스크루 조립홀(30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10)와, 제1 고정판(321) 및 제2 고정판(331)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탄성부재(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변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탄성부재(300)는 스크루 조립홀(300a)을 따라 관통 체결되는 체결부재(예컨대, 볼트 등)에 의하여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루 조립홀(300a)은 탄성부재(300)의 조립시 일정한 공차를 허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조립의 편의가 도모된다.
또한, 스크루 조립홀(300a)은, 본 실시예의 광고판(10)의 반복 사용에 따라 탄성가압부재(400)가 탄성부재(30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는 경우, 탄성부재(300)의 미세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탄성부재(300)가 파손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300)는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을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미도시), 이에 대응하여 탄성가압부재(400)도 탄성부재(300)의 개수만큼 커버(200)의 하측을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탄성가압부재(400) 및 탄성부재(300)에 의하여 프레임(100)에 커버(200)가 고정되는 원리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
한편, 탄성가압부재(400)는 커버(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탄성부재(300)의 제1 탄성부(320)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함으로써 커버(200)가 프레임(100)에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탄성가압부재(40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고정하는 경우 탄성부재(300)가 마련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커버(200)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또한, 탄성가압부재(400)는 커버(200)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이프형(Pipe Type)으로 마련되며, 여기서 파이프형 탄성가압부재(40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Pipe)의 일부를 절개하고 나머지 부분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탄성가압부재(400a)는 커버(200)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형(Ball Type)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볼형 탄 성가압부재(400a)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볼(Ball)의 일부를 절개하고 나머지 부분만으로 형성되는 탄성가압부재(400a)를 의미한다.
탄성가압부재(400)가 파이프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재(300)의 접촉부(310)는 탄성가압부재(4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마련된다.
탄성부재(300) 및 탄성가압부재(40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고정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커버(200)의 무게를 지지하여 커버(200)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겸함으로써, 광고판(10)의 반복 사용시에도 힌지(600)가 파손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판(10)은 커버(200)의 하측 일단부에 마련되는 캐스터(500)와, 캐스터(500)의 진행경로를 가이드 하기 위해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110)을 더 포함한다.
캐스터(50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커버(200)가 원활하게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운동을 하는 일종의 바퀴이다.
또한, 캐스터(500)는, 탄성부재(300) 및 탄성가압부재(400)와 마찬가지로 커버(200)의 무게를 지지하여 커버(200)의 하중을 분산시는 역할을 겸함으로써, 광고판(10)의 반복사용시에도 힌지(600)의 파손가능성을 실질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캐스터(500)는 탄성가압부재(400)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커버(200)의 하측 일단부에 마련되며, 그 상측에는 캐스터(500)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일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된다.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과 커버(200)의 하측 상호 간에는 일정한 갭(G,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스터(500)는 커버(200)의 하측으로부터 갭(G)보다 다소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미도시)은,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으로 커버(200)를 삽입시킬 시에는 캐스터(500)가 상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커버(200)가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으로 삽입된 후에는 캐스터(500)에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으로부터 커버(200)를 지지하게 되어 커버(200)의 무게를 어느 정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브라켓(110)은 탄성부재(300)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으로 커버(200)를 삽입시키는 경우 캐스터(500)의 진행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즉, 캐스터(500)는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110)의 사이를 지나면서 탄성적으로 눌린 상태로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접촉되므로,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삽입하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판(10)은 커버(20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손잡이(700, 도 4 참조)와, 프레임(100)에 삽입된 커버(200)를 고정하는 수동 고정키(80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700)는,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삽입시키거나 프레임(100)으로부 터 커버(200)를 분리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200) 개폐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구성이다.
수동 고정키(800)는, 광고의 게재 기간이 긴 경우 등에 있어서 프레임(100)에 커버(20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수동 고정키(800)는 프레임(10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관통홀(미도시)과, 커버(20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관통홀(미도시)을 따라 체결되는 부재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인 키(예컨대, 고정핀)를 사용하여 마련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이하에서는 광고판(10)의 사용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판(10)은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대형 정거장(1)의 일측면에 마련된다. 또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대형 정거장(1)은 그 크기가 대략 32미터에 이를 정도로 거대한 구조물로 마련되므로 수 개의 모듈(22, 23, 24, 25)로 나뉘어 제작된 후 이를 각각 운반하고, 정거장(1) 설치지역에 이를 배치한 후 각 모듈(22, 23, 24, 25)을 상호 조립하는 방법으로 완성된다.
광고판(10)은, 수개의 모듈(22, 23, 24, 25) 중 어느 하나의 모듈(24)의 일측면에 고정된 후 광고 목적에 부합하는 광고물을 게재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수개의 모듈(22, 23, 24, 25) 중 다수의 모듈(22, 23, 24, 25)에 걸쳐 광고판(1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광고판(10)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모듈(24)에 광고판(10)을 고정한 뒤에는, 커버(200)를 열고 프레임(100)에 형성된 내측 공간(100s)에 광고지(B)를 부착하게 된다. 커버(200)를 여는 경우 커버(200)의 하측에 마련된 탄성가압부재(400)는 프레임(100)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된 탄성부재(300)의 제1 탄성부(320)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탄성부(320)가 탄성적으로 눌리게 되고, 결국 커버(200)를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200)를 여는 경우 캐스터(500)는 가이드 브라켓(110)의 사이를 지나게 되는데 이 과정 중에 발생하는 커버(200)의 무게는 커버(2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완전히 열릴 때까지 캐스터(50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힌지(6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힌지(600)의 파손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커버(200)를 연 후에는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100s)에 광고지(B) 등을 부착시키고 커버(200)를 닫는데, 이 경우 커버(200)의 탄성가압부재(400)는 탄성부재(300)의 제1 탄성부(320)를 가압하게 되므로, 탄성가압부재(400)의 하측 일부분이 탄성부재(300)의 접촉부(310)에 이를 때까지 제1 탄성부(320)는 하측으로 눌리게 된다.
탄성가압부재(400)의 하측 일부분이 접촉부(310)에 이르게 되면, 제1 탄성부(320)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볼록한 형상으로 복원되며 탄성가압부재(400)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밀게 되고, 탄성부재(300)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 탄성부(330) 또한 탄성가압부재(400)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밀게 되므로 커버(2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과정의 진행 중 캐스터(500)는 커버(200)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커버(200)의 무게를 지지하므로 힌지(6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 어 힌지(600)의 파손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커버(20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프레임(100) 및 커버(200)를 관통하여 수동 고정키(800)를 삽입함으로써 커버(2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1)은,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00)와, 탄성부재(3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탄성가압부재(400)에 의해 광고판(10)을 간편하게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10)의 일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판(10)의 반복사용 횟수를 실질적으로 늘릴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측에서 바라본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측에서 바라본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탄성부재와 탄성가압부재의 결합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의 하중분산형 광고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고판 100 : 프레임
110 : 가이드 브라켓 200 : 커버
300 : 탄성부재 310 : 접촉부
320 : 제1 탄성부 330 : 제2 탄성부
400, 400a : 탄성가압부재 500 : 캐스터
600 : 힌지 700 : 손잡이
800 : 수동 고정키 1 : 정거장

Claims (15)

  1. 도로 또는 철도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공간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승객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과,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정거장 몸체부; 및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광고물이 게재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커버;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며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Leaf Spring);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판스프링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여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버를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상기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하는 대기 모듈이며,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 상기 승객이 출입 가능한 출입공간이 형성되는 출입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몸체부는,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피공간이 마련되는 대피 모듈인 제3 단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 내지 상기 제3 단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수의 부분 구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분산형 광고판은,
    상기 다수의 부분 구성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 구성 모듈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은 다수의 판스프링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마련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탄성가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버가 고정된 경우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하측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에 의하여 눌림 되거나 눌림 해제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일측부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고정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이프형(Pipe Type) 탄성가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형(Ball Type) 탄성가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다수의 스크루 조립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조립홀은 상기 판스프링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변을 갖도록 형성되는 타원형 스크루 조립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 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측 일단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스터(Cas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캐스터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측 상단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거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캐스터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캐스터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커버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동 고정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20090043356A 2009-05-19 2009-05-19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108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56A KR101082931B1 (ko) 2009-05-19 2009-05-19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356A KR101082931B1 (ko) 2009-05-19 2009-05-19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92A KR20100124392A (ko) 2010-11-29
KR101082931B1 true KR101082931B1 (ko) 2011-11-11

Family

ID=4340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56A KR101082931B1 (ko) 2009-05-19 2009-05-19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980A (zh) * 2018-08-01 2019-01-01 安徽宇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调节的液晶lcd拼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06Y1 (ko) * 2012-01-12 2013-10-17 주식회사광인기업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판
KR101954691B1 (ko) * 2018-07-24 2019-03-06 주식회사 씨디에이 광고면적이 줄어들지 않는 psd용 광고용 도어모듈
CN112102714B (zh) * 2020-09-11 2022-07-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安措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93A (ja) 2003-07-14 2005-02-10 Kobayashi Seisakusho:Kk 引き戸類のブレーキストッパ及びブレーキストッ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93A (ja) 2003-07-14 2005-02-10 Kobayashi Seisakusho:Kk 引き戸類のブレーキストッパ及びブレーキストッ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980A (zh) * 2018-08-01 2019-01-01 安徽宇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调节的液晶lcd拼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92A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931B1 (ko)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1587278B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열차 스크린 도어장치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KR20110087666A (ko) 지능형 버스 스테이션
KR20110034234A (ko)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KR101041401B1 (ko)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200452363Y1 (ko)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KR20090023515A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20170126526A (ko) 스크린도어의 투명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CN209083066U (zh) 一种悬挑式站台雨棚及智轨列车站台
CN106004923A (zh) 全自动运行的点到点无人驾驶专车轨道交通系统
US2005004388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ovisioning transit stops uin a transmit system
KR102082944B1 (ko) 무선통신-기반 이동식 단일통행차선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KR200464709Y1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CN2573322Y (zh) 带有广告显示装置的道路车辆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CN100463821C (zh) 高架微型轨道列车的站台
CN211906356U (zh) 机场登机检票机
CN212153205U (zh) 一种brt进、出站无人化管理系统
RU50185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пригородных, междугородних и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ассажирских перевозок
KR200363931Y1 (ko) 지하철 또는 철도관련 승강장 안전시설
KR20140005480U (ko) 현금지급기를 결합한 버스쉘터
JPH10312171A (ja) 鉄道や他の線路式車両用広告装置
CN216623618U (zh) 一种可变化指示方向的指示牌
KR200430371Y1 (ko) 고속도로 휴게소용 통제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