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515A -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 Google Patents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515A
KR20090023515A KR1020070087647A KR20070087647A KR20090023515A KR 20090023515 A KR20090023515 A KR 20090023515A KR 1020070087647 A KR1020070087647 A KR 1020070087647A KR 20070087647 A KR20070087647 A KR 20070087647A KR 20090023515 A KR20090023515 A KR 2009002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oad
space
vehic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택
장세기
이강원
문경호
배창한
홍용기
김영민
최지용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3515A/ko
Publication of KR2009002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은, 도로 또는 철로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들이 대기하는 대기공간과, 다수의 승객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 및 제1 단위 모듈의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또는 철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환경, 가령 날씨의 영향을 종래보다 적게 받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승객이 쾌적하면서도 편한 환경에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기다릴 수 있다.
도로 차량, 철도 차량, 정거장, 스크린 도어, 게이트, 승차권, 대기, 출입

Description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Smart Station for Road or 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및 철로 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거장(또는 정류장이라고 지칭함)이라 함은, 버스 및 택시 등과 같은 도로 차량과, 경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장소로서, 승객이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정거장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차량용 정거장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차량용 정거장 특히 버스 정거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 중 대중교통으로 널리 이용되는 도로 차량, 예를 들면 버스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버스 정거장은, 전 지역에 걸쳐 고르게 설치되어 승객들이 원하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최근에 설치되는 버스 정거장은, 해당 정거장을 통과하는 버스가 정지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기존의 버스 정거장과는 달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정거장에는 해당 버스 정거장을 통행하는 버스 및 그 버스들의 노선이 상세히 기재된 게시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나 눈 등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며 쉴 수 있는 좌석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버스 정거장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기둥이 도로 바닥면에 스크루(Screw) 결합된 후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고, 세워진 기둥들 위에 차단막 역할을 하는 지붕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로 차량용 정거장, 예를 들어 버스 정거장에 있어서는, 승객이 외부와 완전히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날씨가 매우 춥거나 더운 경우 악조건 속에서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설치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과정에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버스 정거장의 장소를 변경해야 할 경우 다수의 기둥과 도로의 바닥면 간의 콘크리트 결합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도로 바닥면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나 눈 등에 의해 버스가 통행하는 차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버스가 정지하거나 통행하는 과정에서 물이 튀어 승객의 옷 등을 더럽힐 수 있으며, 도로와 차로 사이에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지만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버스가 방지턱을 넘어서 승객을 다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또는 철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환경, 가령 날씨의 영향을 종래보다 적게 받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승객이 쾌적하면서도 편한 환경에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 또는 철로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들이 대기하는 대기공간과, 상기 다수의 승객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상기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하는 대기 모듈이며,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 상기 승객이 출입 가능한 출입공간이 형성되는 출입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의 승차를 허용하기 위한 승차권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승차권을 발매하는 승차권발매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 모듈의 반대측에서 상기 대기 모듈과 결합되는 제3 단위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듈 및 상기 제3 단위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3 단위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위 모듈은,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대피공간과, 상기 대피공간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대피출구가 마련된 대피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피출구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에는, 상기 대기공간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가 설치되며, 상기 대피 모듈에는 상기 공기덕트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비 또는 눈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대기공간, 상기 출입공간 및 상기 대피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의 상태를 촬영하는 공간 촬영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 부를 촬영하는 모니터링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차량 진입 인식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진입 인식장치는 RFID 인식장치일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외부에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정차 구간으로 조명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단말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 및 상기 승차출구를 개폐하는 승차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차도어는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이며, 상기 대기 모듈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도로 또는 철로 상에서 상호 조립되도록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복수 개의 단위 대기 모듈이 상호 결합된 대기 모듈이며, 상기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또는 철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환경, 가령 날씨의 영향을 종래보다 적게 받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승객이 쾌적하면서도 편한 환경에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기다릴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로에 설치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대한 것이나, 이하에서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기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대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은, 버스 등과 같은 도로 차량(미도시)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들이 대기하는 대기공간(10s)이 마련된 대기 모듈(10)과, 대기공간(10s)으로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20s)이 마련되며 대기 모듈(10)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출입 모듈(20)과, 대기공간(10s)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피공간(30s)이 마련되며 대기 모듈(1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대피 모듈(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기 모듈(10), 출입 모듈(20) 및 대피 모듈(30)은 상호간 조립되어 설치될 장소로 운반되거나 설치될 장소로 운반되어 상호간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대기 모듈(10), 출입 모듈(20) 및 대피 모듈(30)에는 각각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각 모듈(10, 20, 30) 간을 결합시키면 통신 및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연결에 의해 각 모듈(10, 20, 30)에 마련된 여러 구성요소가 각자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출입 모듈(20), 대기 모듈(10) 및 대피 모듈(30)의 외벽들, 즉 바닥을 이루는 하부벽(2)과, 하부벽(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립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3)과, 한 쌍의 측벽(3)을 잇는 상부벽(4)은 강도를 지닌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경량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실내에 형성되는 공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출입 모듈(20)은, 승객이 대기공간(10s)으로 출입하는 출입공간(10s)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을 발매하거나 승차카드를 충전하는 승차권발매기(21)와, 승차권 및 승차카드를 인식하여 승객이 출입공간(20s)으로부터 대기공간(10s)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복수의 게이트(22)와, 복수의 게이트(22)가 마련된 출입공간(20s)의 바닥에 설치되어 승객들, 특히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26)와, 도로 차량에 마련된 RFID 태그(미도시)를 인식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RFID 인식장치(23)를 구비한다. 또한, 출입 모듈(20)의 상부벽(4)에는 출입 모듈(20)에 형성된 출입공간(20s)을 촬영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승차권발매기(21)는, 승객이 요구하는 승차권을 발매하거나 승차카드를 충전시킬 뿐만 아니라 승차권 발매 시 또는 승차카드 충전 시 승객의 간단한 정보를 승객이 선택적으로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가령,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에 승객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의 특성에 의해, 승객이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게이트(22)의 승차권인식부(24, 도 3 참조)에 인식시킬 때 승객의 정보가 웹(Web) 상에 전달되어, 승객의 위치 정보를 가정 등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22)는,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인식하는 승차권인식부(24) 이외에도,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승차권인식부(24)에 인식시키지 않고 게이트(22)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는 도어부(2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소지한 사람만이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으로 진입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26, Escalator)는, 게이트(22)의 통로에 마련된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26)는, 항상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게이트(22)에 작동버튼(27)이 마련 되어 작동버튼(27)을 누르게 되면 작동하게 된다. 이는, 교통약자에 한해서 에스컬레이터(26)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교통약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절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RFID 인식장치(23)는, 도로 차량에 내장된 RFID 태그(미도시)를 인식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가 후술할 스크린 도어(16)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RFID 인식장치(23)는 후술할 모니터링 카메라(40)와 서로 보완하며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RFID 인식장치(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모듈(10)의 외측벽 뿐만 아니라 대피 모듈(30)의 외측벽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RFID 인식장치(23)가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고 상술하였으나, RFID 인식장치(23)가 아닌 다른 인식장치 예를 들면 위치 추적장치 등에 의해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출입 모듈(20)에 의해, 승객은 미리 승차할 도로 차량에 대한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도로 차량을 타거나 내릴 시 도로 차량 내에 설치된 승차권인식부(미도시)를 터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많은 승객이 도로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승하차가 신속히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출입 모듈(20)의 상부벽 즉 천장에 설치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는, 출입 공간(20s)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는, 출입공간(20s)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으로써 비상사태 등이 발 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게이트(22)를 무단으로 통과하는 승객을 촬영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입 모듈(10)의 외측벽에는, 차량 진입 등의 정보를 비프음 등으로 방송함으로써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의 외부에서도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스피커와(28),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 내에 설치된 여러 장치들이 소정의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통신 안테나(2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대기 모듈(1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도로 차량에 승차 전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는 대기공간(10s)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승객이 앉아서 대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좌석(11)과, 운행 중인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 등을 안내하는 안내단말기(12)와,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방송하는 방송장치(13)와, 대기공간(10s)의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대기공간(10s)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14)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15, Kiosk)와, 스크린 도어(16, Screen Door)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감지함으로써 비상사태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미도시)와, 도로 차량 진입 시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를 향해 발광되는 복수의 조명등(19)을 구비한다.
또한 대기 모듈(20)의 상부벽(4) 즉 천정에는 대기공간(10s)을 촬영하는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1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18)는 대기공간(10s)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벽(2), 한 쌍의 측벽(3) 및 상부벽(4)의 상호간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벽들(2, 3, 4) 중 도로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의 측벽(4)에는 자동으로 차폐되는 스크린 도어(16, Screen Door)가 설치되며, 대기 모듈(10)의 상부벽(4) 외측에는 비, 눈 등이 대기공간(10s)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17, 도 1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단말기(12, 도 4 참조)는, 정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다음 도로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이나, 또는 다양한 광고 내지는 홍보 내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승객은 도로 차량이 오는지 직접 확인할 필요 없이 단지 좌석(11)에 앉아 도착할 차량의 정보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안내되는 다양한 정보들에 의해 대기하는 시간동안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듈(10)의 상부벽(4)의 양측에 대기공간(10s)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14)가 설치되어 대기공간(10s)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외부와 완전히 개방된 도로 차량용 정거장(미도시)이기 때문에 냉난방의 효율이 크게 떨어져 공기덕트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의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은 외부와 거의 밀폐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은 쾌적한 환경에서 도로 차량을 대기할 수 있는 편의를 누릴 수 있다.
키오스크(15, Kiosk)는, 일반적으로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단말기를 가리키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정보를 얻거나 구매, 발권, 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승객들이 도로 차량을 대기하는 대기공간(10s)에 이러한 키오스크(15)가 설치됨으로써 승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하는 시간동안 키오스크(15)가 지원하는 간단한 업무 또한 처리할 수 있다.
스크린 도어(16, Screen Door)는,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과 도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와의 이동 통로가 되는 부분으로서, 도로 차량이 도착하는 등의 경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도로 차량으로 승객들이 탑승하거나 또는 도로 차량으로부터 내린 승객들이 대기공간(10s)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승객의 안전을 위해 도로 차량의 도어가 먼저 개방된 후 스크린 도어(16)가 열리며, 스크린 도어(16)가 닫힌 후 도로 차량의 도어가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도어(16)를 통해 도로 차량으로 이동 시 승객 특히 교통약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스크린 도어(16)가 설치된 대기 모듈(10)의 바닥으로부터 외부 도로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발판부(5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휠체어 등을 탄 교통약자가 대기공간(10s)으로부터 도로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16)는, 전술한 것처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출입 모듈(20)의 상부벽(4) 외 측에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촬영하는 모니터링 카메라(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모니터링 카메라(40)는 진입하는 도로 차량을 촬영한 후 이에 대한 촬영 정보를 제어부에 보내고, 제어부는 수신된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린 도어(16)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니터링 카메라(40)는 도로 차량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단, 본 실시 예에서는 모니터링 카메라(40)가 출입 모듈(20)의 상부벽(4) 외측에 설치된다고 설명하였지만, 진입하는 도로 차량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면 대기 모듈(10) 또는 대피 모듈(30)의 외벽 중 어느 일벽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차폐부(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듈(10)의 상부벽(4)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차폐부(17)는, 승객이 스크린 도어(16)를 통해 도로 차량을 타거나 내릴 경우 승객이 비 또는 눈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도어(16)와 같은 장치가 비 또는 눈 등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복수의 조명등(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듈(10)의 외측벽 상단 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도로 차량 진입 시 온(On)되어 승객이 도로 차량에 대한 승하차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조명등(19)은 순차적으로 발광되어 도로 차량 근접 정도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로 차량이 해당 도로 차량용 스마트(1)에 가까워질수록 조명등(19)의 켜진 개수를 늘려 외부에서도 도로 차량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조명등(19)이 대기 모듈(10)의 외측벽 상단에 설 치된다고 상술하였지만, 출입 모듈(20) 및 대기 모듈(30)의 외측벽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대기 모듈(10)은, 일체로 형성되어 출입 모듈(20) 및 대피 모듈(30)과 결합될 수 있지만, 이용 승객이 많은 장소에서는 더 큰 대기공간(10s)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기 모듈(10)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대기 모듈(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대기 모듈(10a, 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상 승객이 많은 곳에서는 대기 모듈(10)을 길게 형성하고, 예상 승객이 적은 곳에서는 대기 모듈(10)을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대기 모듈(10)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10a, 10b)이 결합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는 전술한 커넥터(미도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10a, 10b)에 설치된 전원라인(미도시), 통신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 모듈(10) 내에 설치된 여러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키오스크(15), 안내단말기(12)와 같은 여러 장치들이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되는 단위 대기 모듈(10a, 10b)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에 가로되는 방향인 폭 방향으로의 크기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듈(10)의 상부벽(4)의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기공간(10s)이 폭 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대기공간(10s)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이 설치되는 장소 또 는 예상 승객 수에 따라 대기공간(10s)의 크기를 달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전술한 출입 모듈(20) 및 후술할 대피 모듈(30)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대기 모듈(10)의 폭 길이 조절 시 동일한 폭 길이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대피 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듈(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대기 모듈(10)을 중심으로 대기 모듈(10)의 일측에는 출입 모듈(20)이, 또 다른 일측에는 대피 모듈(3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대피 모듈(30)은,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과 연통되는 대피공간(30s)과, 대기 모듈(10)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대피출구(31)를 구비한다.
또한, 대피 모듈(30)에는, 대기공간(10s)에 설치되는 공기덕트(14)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조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는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에 일정 부피를 갖는 공조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는 대기공간(10s)의 공간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조장치는 대피공간(30s)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피 모듈(30)에는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의 운영을 제어하는 운영서버 즉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여러 장소에 설치 가능한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센터(미도시)와 연계하여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이 구비하는 여러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차량 진입 여부를 촬영하는 모니터링 카메라(40)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정보를 통해 스크린 도어(16)의 개폐를 제어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출입 모듈(20)의 출입공간(20s)에 도로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이 출입하는 경우, 승객은 미리 소지하고 있는 승차카드 또는 승차권발매기(21)를 통해 발매된 승차권으로 게이트(22)를 통과하여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에 진입한다. 이때, 게이트(22)에는 교통약자를 위한 에스컬레이터(26)가 설치되어 교통약자의 이동 또한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대기공간(10s)에 진입한 승객은 좌석(11)에 앉아서 대기 모듈(10)의 측벽(3)에 설치된 안내단말기(12) 또는 방송장치(13)를 통해 도로 차량의 노선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동안 키오스크(15)를 이용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 시간이 오래 지속될 경우 키오스크(15)를 통해 간단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대기공간(10s)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이 쾌적한 환경에서 있을 수 있도록 대기 모듈(10)의 상부벽(4)에 설치된 공기덕트(14)를 통해 상황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함으로써 대기공간(10s)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도로 차량이 해당 정차 구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출입 모듈(20)의 상부벽(4) 외측에 설치된 모니터링 카메라(40)가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 등을 촬영하 여 촬영 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촬영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기 모듈(10)의 측벽에 설치된 스크린 도어(16)를 개방하도록 한다. 또는 도로 차량의 진입을 RFID 인식장치(23)가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스크린 도어(16)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승객의 안전을 위해 도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후 스크린 도어(16)는 열리게 되며, 도로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승객이 대기공간(10s)으로 모두 들어온 것을 확인한 후 스크린 도어(16)는 닫히게 된다.
도로 차량으로부터 내린 승객은, 대기공간(10s)으로부터 출입공간(20s)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차한 승객은 게이트(22)를 통해 출입공간(20s)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단,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되는 경우, 가령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경우 대기공간(10s)에 있는 승객들은 대기공간(10s)의 일측에 연결된 대피 모듈(30)의 대피공간(30s)을 통해 신속히 이동할 수 있다. 대피 모듈(30)에는 비상 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대피출구(31)가 마련되어 복잡한 절차 없이 승객이 바로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게이트(22)의 도어부(25)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대피공간(30s)이 아닌 출입공간(20s)으로의 대피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로 상에 모듈화된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출입 모듈(20)의 게이트(22)에서 사전에 요금이 지불됨으로써 도로 차량에 대한 다수 승객의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 모듈(10)의 대기공간(10s)에서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쾌적한 환경에서 편안한 자세로 도로 차량을 기다릴 수 있고, 또한 비상사태가 발생되더라도 대피 모듈(30)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 모듈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서 대기 모듈(110)의 측벽에 결합되는 스크린 도어(1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스크린 도어(16, 도 2 참조)와는 달리 반개방형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의 스크린 도어(116)는, 대기공간(110s)으로부터 도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로 승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며, 이에 따라 승객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사람의 허리 또는 가슴 높이를 갖는 스크린 도어(116)가 대기 모듈(110)의 측벽(103)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116)를 갖게 되면, 외부의 환경에 거의 노출되는 경우가 되기 때문에 별도로 대기 모듈(110) 내에 공기덕트(미도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 며, 또한 대피 모듈 내에 공조장치(미도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는, 냉난방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크린 도어(116)의 크기를 축소하고 공기덕트 및 공조장치 등을 미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 모듈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 모듈(210)의 측벽에는 별도의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지 않는다. 즉, 대기공간(210s)과 도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가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공간(210s)에서 도로 차량을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은 도로 차량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덕트 및 공조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비상사태가 발생되는 경우 개방된 부분으로 대피할 수 있어 별도의 대피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전술한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서는, 대기 모듈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 출입 모듈이 연결되고 타측에 대피 모듈이 연결된다고 상술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대기 모듈의 양측에 모두 출입 모듈을 연결하고 대피 모듈은 대기 모듈의 측벽 중 일 영역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대기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대기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대기 모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0 : 대기 모듈
12 : 안내단말기 15 : 키오스크
16 : 스크린 도어 17 : 차폐부
18 :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 20 : 출입 모듈
21 : 승차권발매기 22 : 게이트
24 : 승차권인식부 25 : 도어부
27 :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 30 : 대피 모듈
31 : 대피출구 40 : 모니터링 카메라

Claims (19)

  1. 도로 및 철로에서 운행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들이 대기하는 대기공간과, 상기 다수의 승객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 승차하기 위한 승차출구가 마련된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단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2 단위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상기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하는 대기 모듈이며,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제1 단위 모듈의 상기 대기공간으로 상기 승객이 출입 가능한 출입공간이 형성되는 출입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으로의 승차를 허용하기 위한 승차권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승차권을 발매하는 승차권발매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모듈의 반대측에서 상기 대기 모듈과 결합되는 제3 단위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듈 및 상기 제3 단위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모듈 및 상기 제3 단위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위 모듈은, 상기 대기공간과 연통되는 대피공간과, 상기 대피공간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대피출구가 마련된 대피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출구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에는, 상기 대기공간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가 설치되며,
    상기 대피 모듈에는 상기 공기덕트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부에는 비 또는 눈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대기공간, 상기 출입공간 및 상기 대피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의 상태를 촬영하는 공간 촬영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촬영하는 모니터링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차량 진입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진입 인식장치는 RFID 인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외부에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정차 구간으로 조명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단말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 및
    상기 승차출구를 개폐하는 승차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도어는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이며,
    상기 대기 모듈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과 상기 제2 단위 모듈은 상기 도로 또는 철로 상에서 상호 조립되도록 별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모듈은 복수 개의 단위 대기 모듈이 상호 결합된 대기 모듈이며,
    상기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에는, 상호간 통신 및 전원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커넥터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단위 대기 모듈 결합 시에 상기 커넥터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20070087647A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20090023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7A KR20090023515A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7A KR20090023515A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15A true KR20090023515A (ko) 2009-03-05

Family

ID=4069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647A KR20090023515A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351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01B1 (ko) * 2009-05-19 2011-06-15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1053950B1 (ko) * 2011-05-03 2011-08-04 (주)창조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20190056882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이지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듈형 버스승강장
KR20190136866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유성테크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KR102404569B1 (ko) * 2021-12-16 2022-06-02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스마트 벤치 시스템
DE102021110320B3 (de) 2021-04-22 2022-07-07 Cambaum Gmbh Nachrüstbare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Leit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01B1 (ko) * 2009-05-19 2011-06-15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1053950B1 (ko) * 2011-05-03 2011-08-04 (주)창조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20190056882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이지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듈형 버스승강장
KR20190136866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유성테크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DE102021110320B3 (de) 2021-04-22 2022-07-07 Cambaum Gmbh Nachrüstbare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Leitsystem
EP4079993A1 (de) 2021-04-22 2022-10-26 Cambaum GmbH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 leitsystem
KR102404569B1 (ko) * 2021-12-16 2022-06-02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스마트 벤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515A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ES2754750T3 (es) Sistema de ascensor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US6318274B1 (en) Guideway transit system
KR100968210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506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safety in the boarding area and for optimizing usage of the capacity in transport means which comprise at least one locally fixed boarding area
EP2238033B1 (en) Boarding bridge with air conditioner facility
KR101489808B1 (ko)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차량 정차 유도 시스템
JP2007219738A (ja) 駐車管理システム、車載駐車制御装置、及び駐車制御装置
US20090028674A1 (en) Vertical integrated parking system
JP2019514768A (ja) 列車プラットホーム配置型安全システム
KR102298171B1 (ko) 자율주행차량의 운행정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465696B2 (en)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EP2423014A1 (en) Track-bound vehicle, in particular rai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1041401B1 (ko)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US9085375B2 (en) Automated terminal to aircraft conveyance system
CN110758407A (zh) 一种基于换乘岛的车站进站系统
KR101082931B1 (ko) 하중분산형 광고판을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100929201B1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CN110962868B (zh) 一种基于换乘岛的进站方法
JP2022064423A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安全確認方法並びに安全確認プログラム
KR20090118385A (ko) 급행열차의 게이트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N110700640A (zh) 一种智能化公交站台系统及工作方法
JP7071251B2 (ja) 自動運転車混在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302

Effective date: 201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