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950B1 - 생활 폐기물 수거대 - Google Patents

생활 폐기물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950B1
KR101053950B1 KR1020110041770A KR20110041770A KR101053950B1 KR 101053950 B1 KR101053950 B1 KR 101053950B1 KR 1020110041770 A KR1020110041770 A KR 1020110041770A KR 20110041770 A KR20110041770 A KR 20110041770A KR 101053950 B1 KR101053950 B1 KR 10105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ll
storage
roof
stor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기
Original Assignee
(주)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 filed Critical (주)창조
Priority to KR102011004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벽, 마주보는 한쌍의 제1수납벽, 제2수납벽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후면벽, 제1수납벽, 제2수납벽과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수거함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을 통해 우수를 집수하는 지붕; 상기 제1수납벽과 제2수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붕을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와 접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후면벽;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수납벽; 상기 제1수납벽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되,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용 공간 일부 또는 전부에 배수관을 통해 상기 지붕에서 집수된 우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우수를 하단에 배치된 우수 급수부와 전면에 구비된 배수코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제2수납벽;을 구비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활 폐기물 수거대 {Stand for Collection of Municipal Waste}
본 발명은 생활 폐기물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좌, 우 측벽과 후면벽으로 지붕을 지지하고, 지붕을 통해 집수한 우수를 측벽 내에 저장하여 필요시에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생활 폐기물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하여 수거 물품별로 복 수개의 수거함이 특정 위치에 안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천 시에 분리수거함의 상면을 통해 우수가 새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종이나 의류와 같은 물품의 보관에 부적합하다.
또한, 야간에는 수거함의 구별이 어려워 분리 수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생활 폐기물의 수납 중에 손이나 도구가 오염된 경우에는 이를 세척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 위생의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지붕 구조를 갖추어 수거함의 상면으로 우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의 수거함 보관소가 개발된 경우가 있으나, 지붕 구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측벽을 구비하고, 양 측벽과 상면 지붕 사이의 공간에 종래의 수거함을 나란히 배치하는 구조로서 단순히 수거함의 상면을 우수의 낙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력벽으로서의 측벽을 구비하는데 그쳐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위생 문제의 해결이 미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붕을 구비하되,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를 저장하여 손이나 도구를 세척할 수 있는 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의 폐기물 수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야간에도 조명에 의해 수거함과 물품의 식별이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후면벽, 마주보는 한쌍의 제1수납벽, 제2수납벽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후면벽, 제1수납벽, 제2수납벽과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수거함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을 통해 우수를 집수하는 지붕; 상기 제1수납벽과 제2수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붕을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와 접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후면벽;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수납벽; 상기 제1수납벽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되,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용 공간 일부 또는 전부에 배수관을 통해 상기 지붕에서 집수된 우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우수를 하단에 배치된 우수 급수부와 전면에 구비된 배수코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제2수납벽;을 구비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수납벽 또는 제2수납벽의 내측으로 수용 공간이 확장되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공간부 또는 전면을 통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거나 개폐 가능하며,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거나 조명 또는 감시 카메라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납벽과 공간부 사이에는 음식 폐기물 수거함이 배치되되, 상기 음식 폐기물 수거함이 배치된 공간은 방충망이 설치되거나, 상기 제2수납벽의 전면에는 수량계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활 폐기물 수거대에 의하면, 우수의 낙하로 인한 수분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지붕을 구비하면서, 상기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내력벽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손이나 도구를 세척할 수 있어, 위생상 장점이 있다.
또한, 야간에도 사람을 감지하여 조명을 제공하므로, 수거함과 물품의 식별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공간부와 제1수납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제2수납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타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수납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내력벽을 구비하여 상면에 지붕을 거치하고, 상기 지붕으로 낙하하는 우수를 집수, 저장하여 세척용으로 제공하며, 분리된 공간에 폐기물 수거함을 설치할 수 있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1)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내지도 도 2c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생활 폐기물 수거대(1)의 정면 사시도, 공간부(50)와 제1수납벽(3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및 제2수납벽(4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생활 폐기물 수거대(1)는 지붕(10)과 상기 지붕(10)을 지지하는 양 측벽(30, 40), 상기 양 측벽(30, 40)과 지붕(10)의 일측을 연결하는 후면벽(20)을 포함한다. 상기 지붕(10)과 양 측벽, 후면벽(20) 사이의 공간에는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수거함(7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51)이 설치되어 공간부(5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붕(10)은 상기 공간부(50)에 배치되는 수거함(70) 및 상기 양 측벽(30, 40)을 구성하는 수용 공간의 노출된 상면이 우수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붕(10)을 통해 우수를 집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이나 도구를 세척할 수 있는 용수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붕(10)의 상면에는 일측에 배수구(11)가 구비되어 있어, 집수된 우수가 상기 배수구(11)로 이동하는데, 우수와 접하는 상기 지붕(10)의 상면은 배수구(11)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1)로 우수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붕(10)의 하중은 상기 후면벽(20)과 양 측벽(30, 4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양 측벽(30, 40)은 제1수납벽(30), 제2수납벽(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납벽(30)과 제2수납벽(40)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벽체로서, 수납 공간과 내력벽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측벽을 제1수납벽(30)으로 보면, 상기 제1수납벽(30)은 건식 폐기물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박스 형태의 벽체는 좌/우, 상/하로 공간이 구획되어 각각 헌옷 수거함, 형광등 수거함, 건전지 수거함 등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수납되어야 하는 물품들이 수용된다. 상기 제1수납벽(30)에 배치된 수거함들은 투입구가 각각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 수거 물품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수납벽(30)의 벽체 내측에서 공간부(50) 측으로 연장된 공간에는 종이류 수거함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류 수거함의 경우 공간부(50) 측으로 연장된 면은 개방된 상태로 출입구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투명창이 구비되어 물품의 적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부(50) 측이 아닌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출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면 또는 측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출입문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된 측벽을 제2수납벽(40)으로 보면, 상기 제2수납벽(40)은 우수 저장부, 도구 관리함, 우수 급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납벽(40)의 내측에서 공간부(50) 측으로 연장된 공간에는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배치된 공간은 다른 공간부(50)의 격벽(51)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수납벽(40)에 배치된 우수 저장부에는 지붕(10)에서 집수된 우수가 저장되는데, 상기 지붕(10)에 형성된 배수구(11)를 통해 이에 연결된 배수관(12)으로 이동한 우수가 상기 배수관(12)을 따라 상기 우수 저장부에 모여 저장된다. 상기 우수 저장부에 모인 우수는 내부 파이프(13, 도 4참조)를 통해 하단에 배치된 우수 급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우수 급수부의 전면에 형성된 배수코크(41)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상기 우수 급수부의 전면에는 수량계가 구비되어, 우수 저장 상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수밸브를 마련하여 우수의 저장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후면벽(20)에는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생활 폐기물 수거대(1)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각종 폐기물 수거에 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활 폐기물 수거대(1)를 공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게시판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이는 후면벽(20) 자체에 광고물이나 안내물을 부착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수납벽(30), 제2수납벽(40), 후면벽(20)으로 둘러싸이고 지붕(10)에 의해 상부가 막힌 공간부(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배치되거나 재활용 수거함, 일반 폐기물 수거함(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활 폐기물 수거대(1)에는 적외선 센서(80)가 구비되어 있어, 야간에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여 조명(90)을 켜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80)는 사용자가 주로 접근하는 정면부와 공간부(50)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가 상기 생활 폐기물 수거대(1) 내부에 머무르는 동안 조명(90)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이상 조명(90)을 유지하도록 세팅하거나, 상기 적외선 센서(80)를 단속적으로 on/off 시켜,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조명(90)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1)의 일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타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수납벽(30)은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는 상기 제1수납벽(30)의 외측면 또는 공간부(50) 방향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2수납벽(40)의 공간 배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붕(10)과 배수관(12)을 통해 연결된 우수 저장부와 이에 연결된 우수 급수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우수 저장부와 우수 급수부는 연통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파이프(13)로 우수가 이동하는 구조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의 우하단과 같이 상기 제2수납벽(40)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활 폐기물 수거대(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수납벽(40) 내측의 공간 즉,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설치된 공간에는 해충이나 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5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망(52)은 공간부(50) 쪽이나 전면에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어느 일측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때 개폐문은 반자동 셔터 형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예상 진입 경로에 따라 적외선 센서(8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우수 저장부가 제2수납벽(40)의 배면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생활 폐기물 수거대(1)에는 감시 카메라(81)가 설치되어 있어, 폐기물의 무단 투기 감시 및 방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시 카메라(81)는 적외선 센서(80)에 의해 사용자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적외선 센서(80), 감시 카메라(81), 조명(90) 등의 조작, 디스플레이(21)의 관리는 경비실 등에 설치된 제어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1 생활 폐기물 수거대
10 지붕 11 배수구 12 배수관 13 파이프
20 후면벽 21 디스플레이
30 제1수납벽 40 제2수납벽
50 공간부 51 격벽 52 방충망
60 음식 폐기물 수거함 70 일반 폐기물 수거함
80 적외선 센서 81 감시 카메라 90 조명

Claims (5)

  1. 후면벽(20), 마주보는 한쌍의 제1수납벽(30), 제2수납벽(40)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후면벽(20), 제1수납벽(30), 제2수납벽(40)과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수거함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부(50)를 형성하고, 상면을 통해 우수를 집수하는 지붕(10);
    상기 제1수납벽(30)과 제2수납벽(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붕(10)을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50)와 접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된 후면벽(20);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수납벽(30);
    상기 제1수납벽(30)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되,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지붕(10)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용 공간 일부 또는 전부에 배수관(12)을 통해 상기 지붕(10)에서 집수된 우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우수를 하단에 배치된 우수 급수부와 전면에 구비된 배수코크(41)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제2수납벽(40);
    을 구비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벽(30) 또는 제2수납벽(40)의 내측으로 수용 공간이 확장되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공간부(50) 또는 전면을 통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되거나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
  3. 제1항에 있어서,
    적외선 센서(8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21)를 구동하거나 조명(90) 또는 감시 카메라(81)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벽(40)과 공간부(50) 사이에는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배치되되, 상기 음식 폐기물 수거함(60)이 배치된 공간은 방충망(5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벽(40)의 전면에는 수량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1020110041770A 2011-05-03 2011-05-03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10105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770A KR101053950B1 (ko) 2011-05-03 2011-05-03 생활 폐기물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770A KR101053950B1 (ko) 2011-05-03 2011-05-03 생활 폐기물 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950B1 true KR101053950B1 (ko) 2011-08-04

Family

ID=4493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770A KR101053950B1 (ko) 2011-05-03 2011-05-03 생활 폐기물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44Y1 (ko) * 2012-12-14 2013-09-05 윤부원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20200073670A (ko) * 2018-12-14 2020-06-24 (주)원디자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102395499B1 (ko)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KR2022008103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515A (ko) * 2007-08-30 2009-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0943039B1 (ko) 2008-06-12 2010-02-19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시스템
KR20100004323U (ko) * 2008-10-17 2010-04-27 안기풍 태양광 광고 및 세수 기능을 포함하는 옥외용 차양
JP2010156936A (ja) 2009-01-05 2010-07-15 Yoshio Aoki バス発着所の広告宣伝用バス停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515A (ko) * 2007-08-30 2009-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100943039B1 (ko) 2008-06-12 2010-02-19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시스템
KR20100004323U (ko) * 2008-10-17 2010-04-27 안기풍 태양광 광고 및 세수 기능을 포함하는 옥외용 차양
JP2010156936A (ja) 2009-01-05 2010-07-15 Yoshio Aoki バス発着所の広告宣伝用バス停留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44Y1 (ko) * 2012-12-14 2013-09-05 윤부원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20200073670A (ko) * 2018-12-14 2020-06-24 (주)원디자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102134022B1 (ko) 2018-12-14 2020-07-14 (주)원디자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2022008103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KR102419904B1 (ko) * 2020-12-08 2022-07-13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KR102395499B1 (ko) 2022-02-16 2022-05-06 윤종필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950B1 (ko)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WO2017099266A1 (ko) 순환 송풍을 이용한 우산건조기
CN106546051B (zh) 冰箱及其自动开门控制方法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2006263394A (ja) 回転式傘専用コインロッカー
KR20100004324U (ko) 옥외용 차양
KR200445219Y1 (ko) 폐건전지 수거함
CN209087330U (zh) 一种led广告灯箱
ES2139833T3 (es) Una secadora de ropa por condensacion con disposiciones para recoger el agua de condensacion en un deposito.
KR101282543B1 (ko)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CN109677800A (zh) 一种基于单片机多传感器的智能垃圾分类装置
CN113148488B (zh) 一种便于垃圾投放和回收的垃圾箱
CN214932907U (zh) 一种智能垃圾站
CN207791760U (zh) 智能有害垃圾收集箱
KR20120003346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100634840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CN211380292U (zh) 一种具有分类存储功能的地柜
CN112693784A (zh) 一种智能垃圾站
KR20230105528A (ko) 분리수거대
JP2010253064A (ja) 洗濯機用のホース収納部
KR20240020444A (ko) 의류 수거함 및 이의 관리 시스템
CN217723004U (zh) 带人脸识别功能的智能书包柜
CN211593775U (zh) 一种家用智能分类垃圾桶
CN215501850U (zh) 一种智能型自动分类居家收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