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670A -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670A
KR20200073670A KR1020180162086A KR20180162086A KR20200073670A KR 20200073670 A KR20200073670 A KR 20200073670A KR 1020180162086 A KR1020180162086 A KR 1020180162086A KR 20180162086 A KR20180162086 A KR 20180162086A KR 20200073670 A KR20200073670 A KR 2020007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hose member
rainwater
sola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022B1 (ko
Inventor
장병욱
Original Assignee
(주)원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디자인 filed Critical (주)원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16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0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거통 부재가 구비되는 부스 본체;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화분부; 부스 본체에 마련되어 빗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을 화분부로 공급하는 빗물 받이부; 및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솔라 패널 및 솔라 패널과 연결되도록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등이 구비된 솔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BOOS APPARATUS FOR SEPARATIGN A GARBAGE USING RAINWATER AND POT}
본 발명은,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에 관한 것이다.
통상 쓰레기 분리 수거장은 혐오 시설로 간주되어져 있을 뿐 아니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물론 파리, 모기, 벌레 등 유해성 충류에 의한 피해가 크다.
그 때문에 쓰레기 분리 수거장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단지에서는 사람들의 시선이 쉽게 향하지 않으면서도 아파트 동 또는 주택과의 상당한 거리가 있는 구석진 위치의 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아파트나 주택 단지 내의 주민들은 쓰레기 분리 수거장과의 거리가 멀어 쓰레기 분리 작업 시 많은 불편함이 있고, 또한 악취의 발생으로 쓰레기 분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자가 많은 불쾌감을 갖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93753호(염규익) 2018. 08. 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와 화분을 이용하여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의 주변 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없는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거통 부재가 구비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화분부;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어 빗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을 상기 화분부로 공급하는 빗물 받이부; 및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솔라 패널 및 상기 솔라 패널과 연결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등이 구비된 솔라 유닛을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분부는, 바닥부가 지면과 접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1 화분; 상기 제1 화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2 화분; 및 상기 제2 화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3 화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 받이부는, 상기 수거 본체에 마련되며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 받이 바디; 일측부는 상기 빗물 바디 바디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화분의 상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호스 부재; 상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3 화분에 연결되는 제1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1 분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상기 제2 화분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2 분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상기 제2 화분 중 나머지 하나의 화분에 연결되는 제3 분기 호스 부재; 및 상기 호스 부재, 상기 제1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2 분기 호스 부재 및 상기 제3 호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 부재는 전자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솔라 유닛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빗물 받이 바디에 마련된 빗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겨우 상기 호스 부재에 마련되는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빗물 받이 바디에 마련된 수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호스 부재를 개방시켜 수위를 상기 설정된 높이로 맞출 수 있다.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솔라 모듈과 연결되는 주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상기 주야 감지 센서에서 인식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솔라등이 점등되고, 상기 솔라등은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에너지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분부를 마련하여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의 주변 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빗물 받이부에 저장된 빗물을 화분부로 공급하여 화분부에 물을 편리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부스 본체에 솔라 유닛을 마련하여 태양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빗물 받이부에 제1 분기 호스 부재 내지 제3 분기 호스 부재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빗물 받이부에 제1 분기 호스 부재 내지 제3 분기 호스 부재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1)는, 부스 본체(10)와,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화분부(20)와, 부스 본체(10)에 마련되어 빗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을 화분부(20)로 공급하는 빗물 받이부(30)와,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솔라 유닛(40)과,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제어부(50)와,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주야 감지 센서(60)를 구비한다.
부스 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프레임(11)과 복수의 수평 프레임(12)을 연결하여 기본 뼈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부스 본체(10)의 상측부에는 천장 플레이트(13)가 마련되어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부스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부스 본체(10)의 좌우측과 후방측은 벽 플레이트(1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벽 플레이트(14)는 부스 본체(1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부스 본체(10)에 좌우 측벽과 후방벽에 복수의 개방된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부스 본체(10)의 후방벽에는 수거통 부재(17)의 종류를 표시하는 수거통 표시부(15)가 마련될 수 있고, 그 상측부에는 특정 문구가 표시되는 문구 표시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수거통 부재(1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수거통 부재(17)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화분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0)에 마련되어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영역의 주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화분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가 지면과 접하도록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제1 화분(21)과, 제1 화분(2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제2 화분(22)과, 제2 화분(2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제3 화분(23)을 포함한다.
화분부(20)의 제1 화분(2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화분(21)의 내부에는 흙이나 돌이 채워질 수 있다.
화분부(20)의 제2 화분(22)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플레이트(14)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화분(22)은 비닐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화분부(20)의 제3 화분(2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플레이트(13)에 끈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화분(23)은 비닐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빗물 받이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0)에 마련되어 빗물을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빗물을 화분부(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빗물 받이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본체에 마련되며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 받이 바디(31)와, 일측부는 빗물 바디 바디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제1 화분(21)의 상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호스 부재(32)와, 호스 부재(32)에서 분기되어 제3 화분(23)에 연결되는 제1 분기 호스 부재(34)와, 제1 분기 호스 부재(34)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제2 화분(22)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분기 호스 부재(35)와, 제2 분기 호스 부재(35)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제2 화분(22) 중 나머지 하나의 화분에 연결되는 제3 분기 호스 부재(36)와, 호스 부재(32), 제1 분기 호스 부재(34), 제2 분기 호스 부재(35) 및 제3 분기 호스 부재(36)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 부재(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 밸브 부재(33)는 전자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솔라 유닛(40)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빗물 받이 바디(31)에 마련된 빗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호스 부재(32)에 마련되는 전자 제어 밸브는 빗물 받이 바디(31)에 마련된 수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호스 부재(32)를 개방시켜 수위를 설정된 높이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빗물 받이 바디(31)의 상측부는 개방된 일측부를 제외하고 밀폐되게 마련될 수 있고, 개방된 일측부에는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비가 오지 않은 때에는 덮개를 닫아 빗물 받이 바디(31)의 내부에 있는 빗물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빗물 받이 바디(31)의 내부에는 수중 히터가 마련되어 겨울에 빗물 받이 바디(31)에 저장된 빗물이 동결되는 방지할 수 있고, 수중 히터는 솔라 패널(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솔라 유닛(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0)에 마련되어 별도의 전기 공급없이 본 실시 예를 자체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솔라 유닛(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솔라 패널(41)과, 솔라 패널(41)과 연결되도록 부스 본체(1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등(42)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솔라 패널(41)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개폐 밸브 부재(33)의 작동, 솔라등(42)의 작동, 주야 감지 센서(60)의 작동, 수위 감지 센서의 작동, 수중 히터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분부를 마련하여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의 주변 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빗물 받이부에 저장된 빗물을 화분부로 공급하여 화분부에 물을 편리하게 줄 수 있다.
또한 부스 본체에 솔라 유닛을 마련하여 태양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10 : 부스 본체 11 : 수직 프레임
12 : 수평 프레임 13 : 천장 플레이트
14 : 벽 플레이트 15 : 수거통 표시부
16 : 문구 표시부 17 : 수거통 부재
20 : 화분부 21 : 제1 화분
22 : 제2 화분 23 : 제3 화분
30 : 빗물 받이부 31 : 빗물 받이 바디
32 : 호스 부재 33 : 개폐 밸브 부재
34 : 제1 분기 호스 부재 35 : 제2 분기 호스 부재
36 : 제3 분기 호스 부재 40 : 솔라 유닛
41 : 솔라 패널 42 : 솔라등
50 : 제어부 60 : 주야 감지 센서

Claims (5)

  1.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거통 부재가 구비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화분부;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어 빗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을 상기 화분부로 공급하는 빗물 받이부; 및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솔라 패널 및 상기 솔라 패널과 연결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등이 구비된 솔라 유닛을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부는,
    바닥부가 지면과 접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1 화분;
    상기 제1 화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2 화분; 및
    상기 제2 화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제3 화분을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빗물 받이부는,
    상기 수거 본체에 마련되며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 받이 바디;
    일측부는 상기 빗물 바디 바디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화분의 상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호스 부재;
    상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3 화분에 연결되는 제1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1 분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상기 제2 화분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2 분기 호스 부재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상기 제2 화분 중 나머지 하나의 화분에 연결되는 제3 분기 호스 부재; 및
    상기 호스 부재, 상기 제1 분기 호스 부재, 상기 제2 분기 호스 부재 및 상기 제3 분기 호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개폐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부재는 전자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솔라 유닛에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빗물 받이 바디에 마련된 빗물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는 겨우 상기 호스 부재에 마련되는 전자 제어 밸브는 상기 빗물 받이 바디에 마련된 수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호스 부재를 개방시켜 수위를 상기 설정된 높이로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솔라 모듈과 연결되는 주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상기 주야 감지 센서에서 인식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솔라등이 점등되고,
    상기 솔라등은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상기 부스 본체에 마련되는 에너지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1020180162086A 2018-12-14 2018-12-14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10213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86A KR102134022B1 (ko) 2018-12-14 2018-12-14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86A KR102134022B1 (ko) 2018-12-14 2018-12-14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70A true KR20200073670A (ko) 2020-06-24
KR102134022B1 KR102134022B1 (ko) 2020-07-14

Family

ID=7140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86A KR102134022B1 (ko) 2018-12-14 2018-12-14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957A (zh) * 2020-12-04 2021-03-09 岳阳佰胜智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的运营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50B1 (ko) * 2011-05-03 2011-08-04 (주)창조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200468744Y1 (ko) * 2012-12-14 2013-09-05 윤부원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CN107792572A (zh) * 2017-10-13 2018-03-13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密闭环保垃圾箱
KR20180093753A (ko) 2017-02-14 2018-08-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50B1 (ko) * 2011-05-03 2011-08-04 (주)창조 생활 폐기물 수거대
KR200468744Y1 (ko) * 2012-12-14 2013-09-05 윤부원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KR20180093753A (ko) 2017-02-14 2018-08-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CN107792572A (zh) * 2017-10-13 2018-03-13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密闭环保垃圾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5957A (zh) * 2020-12-04 2021-03-09 岳阳佰胜智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的运营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022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79495U (zh) 一种具有降尘功能的市政路灯
CN202296035U (zh) 多功能节能环保垃圾箱
CN104609074A (zh) 光伏灭菌垃圾箱
CN202664060U (zh) 一种新型全自动多功能杀虫灯
KR102134022B1 (ko) 우수와 화분을 이용한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장치
KR101373452B1 (ko) 빗물 재활용 가로등
CN206547699U (zh) 一种绿地灭蚊灯
CN104164892A (zh) 一种电缆隧道多功能检查井
CN203167862U (zh) 一种整体式太阳能杀虫灯
CN208523592U (zh) 风吸式景观诱虫灯
CN109952976B (zh) 一种鸟类自动饮水装置
CN210392338U (zh) 一种园林景观用多功能垃圾桶
CN106223403A (zh) 一种雨水收集/调蓄装置
CN203977456U (zh) 一种电缆隧道多功能检查井
CN106568040A (zh) 带有水位报警功能的太阳能储水路灯
CN210373225U (zh) 可收集雨水的太阳能发电路灯
CN204473647U (zh) 光伏灭菌垃圾箱
CN210928864U (zh) 一种农业大棚用照明除虫装置
KR100943033B1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설비 수용 시스템
CN204127855U (zh) 一种带有果皮箱的路灯
CN207337249U (zh) 一种太阳能户外自动花架系统
CN207897521U (zh) 一种用于水稻栽培的供水控制装置
KR20120001655U (ko) 쓰레기 보관소
CN112252604A (zh) 具有自动提醒功能的水资源循环回收民用房屋结构
CN207079986U (zh) 一种牢固稳定的智能水井房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