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543B1 -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543B1
KR101282543B1 KR1020120091055A KR20120091055A KR101282543B1 KR 101282543 B1 KR101282543 B1 KR 101282543B1 KR 1020120091055 A KR1020120091055 A KR 1020120091055A KR 20120091055 A KR20120091055 A KR 20120091055A KR 101282543 B1 KR101282543 B1 KR 10128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late
box
doo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이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혁 filed Critical 이진혁
Priority to KR102012009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1)는,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통(T)이 수납되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부스(30)와, 상기 부스(3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통(T)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개폐 기능을 하는 개폐부(1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10)는, 상판(111)과 하판(113)이 상하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3)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측판(115)이 구성된 박스(110)와, 상기 박스(110)의 상판(111)과 하판(113)에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는 관통구(117, 119)와, 상기 상판(111)에 형성된 관통구(117)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111)의 내측면(120)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113)의 내측면(130)에서 이격되어 구성된 파이프(P)와,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과 상기 하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판 형상의 도어(140)와, 상기 도어(140)를 측방으로 왕복시켜서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을 개폐하도록 상기 박스(110) 내부에 장착된 구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규격봉투에 넣어서 버리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한 상태로 버리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수거통(T)을 부스(30)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폐부(10)의 도어(140)가 항상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악취나 해충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세대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대로 오물세를 청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Device for receiv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청결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악취와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고, 생분해성 친환경소재인 규격봉지 사용과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제거를 유도할 수 있으며, 세대별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중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퇴비로 가공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생활 주변을 오염시키고 악취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병충해의 온상이 되고 있으므로 ,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환경보호정책 중 하나이다.
이처럼, 생활 환경을 오염시키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각 동네 요소요소에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통을 비치한다. 상기 수거통은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도 장착된 것이다.
이렇게 수거통을 비치하게 되면, 주민들은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수거통에 버린다. 그러면, 음식물쓰레기 수납 차량을 운행하여 상기 수거통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가공하는 처리공장으로 운반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수거는 완료된다.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배경기술에 의하면 주민들이 물기를 제거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도록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우리네 음식은 국과 찌개가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물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물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수거통에 버리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수거통에는 항상 물이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수거통은 물기 때문에 금방 채워지게 되고, 입구 밖으로 물이 흘러 넘쳐서 악취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주민들이 수거통 내부에 비닐봉지를 투입하므로, 처리공장에서 다시 비닐봉지를 골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민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주로 비닐봉지에 담고서 비닐봉지 채로 상기 수거통에 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 이유는 버킷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서 버릴 경우에는 상기 버킷을 다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편의상, 비닐봉지 채로 수거통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이 경우 규격화되고 자체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비닐봉지를 사용하도록 하여 봉지 채로 버리게 할 수도 있지만, 주민들이 일반 비닐봉지를 사용하더라도 구분해낼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이 불가한 상태이다.
셋째, 수거통의 뚜껑이 개방된 채로 방치되어 상기 수거통이 해충의 온상이 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민들은 수거통의 뚜껑을 열고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고 나서는 뚜껑을 안 닫는 경우가 많아서, 비가 내릴 경우, 수거통에는 빗물이 채워져서 음식물쓰레기가 바깥으로 흘러넘쳐서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넷째, 각 세대별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오물세를 부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같은 규격봉투를 사용하더라도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에 따라서 오물세를 다르게 청구할 필요성이 있지만, 각 세대별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통이 수납되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부스와, 기 부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개폐 기능을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기 개폐부는, 상판과 하판이 상하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측판이 구성된 박스와, 상기 박스의 상판과 하판에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는 관통구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관통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의 내측면에서 이격되어 구성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하판 사이에 개재되는 판 형상의 도어와, 상기 도어를 측방으로 왕복시켜서 상기 파이프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박스 내부에 장착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상면에 부착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박스에 고정된 서보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상면에 부착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판의 내측면에 고정된 베어링유니트와,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계되어 상기 박스에 고정된 서보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상면에 로드가 장착된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스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박스가 지지되는 테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에 상기 박스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파이프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규격봉지를 감별하는 감지부와, 상기 카드 리더기와,감지부에 연계되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박스의 하면에 장착되어 수거통의 내부에 충전된 규격봉지의 적재된 양을 감지하는 충전감지부와, 상기 충전감지부에 연계되어 발광하도록 상기 부스에 장착된 경보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경기술에 의하면 주민들이 물기를 제거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친환경 소재인 규격봉지만 사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주민들은 상기 규격봉지에 최대한 많은 음식물쓰레기를 담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둘째, 규격봉지 채로 버릴 수 있으므로 버킷을 사용할 때처럼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고 버킷을 다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규격봉지만 사용하도록 구성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비닐 봉지가 음식물쓰레기에 혼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째, 수거통이 부스 내부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으므로 악취 발생, 및 병충해의 번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각 세대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에 비례하여 오물세를 차등 있게 부과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감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의 박스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레일 위에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 위에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도어가 구동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관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성된 것을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로서 박스 내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로서 박스 내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의 박스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레일 위에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 위에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도어가 구동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관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성된 것을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로서 박스 내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로서 박스 내부를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규격봉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수분을 제거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유도하고, 병충해를 방지하고,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카드인식과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각 세대 마다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대로 오물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통(T)이 수납되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부스(30)가 구성된다. 상기 부스(30)는 일례로 공중전화박스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있다.
또한, 상기 부스(3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통(T)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담은 규격봉지를 수용하고, 열린 상태에서 상기 규격봉지를 낙하시키는 개폐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30)는 하부에 측방으로 개폐되는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열고 수거통(T)을 수납한 후, 도어(도시하지 않음)를 닫게 되면 수거통(T)이 노출되지 않고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부는 측방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10)에 규격봉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10)는, 상판(111)과 하판(113)이 상하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3)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측판(115)이 구성된 박스(110)가 구성되며, 상기 박스(110)의 상판(111)과 하판(113)에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는 관통구(117, 11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11)에 형성된 관통구(117)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111)의 내측면(120)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113)의 내측면(130)에서 이격되어 구성된 파이프(P)가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P)의 내경은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규격봉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정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과 상기 하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판 형상의 도어(140)가 구성되며, 상기 도어(140)를 측방으로 왕복시켜서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을 개폐하도록 상기 박스(110) 내부에 장착된 구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40)의 용이한 왕복이송을 위해서, 상기 하판(113)의 내측면(130)에 도어(140)의 이송방향으로 레일(21)을 장착하는데, 상기 관통구(119)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21)에 장착되어 이송되며 상기 도어(140)에 고정되는 가이드(23)가 구성된다.
상기 도어(140)는 2개가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에서 서로 만나도록 구성하며, 각각의 도어(140)에 대응되는 가이드(23)가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도어(140)의 상면에 부착된 랙기어(210)가 구성되는데, 길이 방향이 도어(140)의 이송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210)에 치합되는 피니언(2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20)에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박스(110)에 고정된 서보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가 각각의 도어(140)에 구성됨은 물론이며, 상기 도어(140)의 넓이가 상기 파이프(P)의 하단을 막을 정도로만 구성되므로 상기 박스(110)의 하판(113)의 내측면(130)에 상기 서보모터(M)가 고정될 공간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파이프(P)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위해, 상기 박스(110)의 측판(115)의 내측면(116)에 부착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지지판(15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M)의 정역회전에 의해 도어(140)는 개폐가능하다. 따라서,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파이프(P)에 수용된 규격봉지는 도어(140)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40)를 개방시키면 규격봉지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수거통(T)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의 구성은 구동부(20)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구동부(20)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140)의 상면에 부착된 너트(230)가 구성되고, 상기 너트(230)에 체결되는 스크류축(240)이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축(240)은 길이방향이 상기 도어(140)의 이송방향이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240)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판(113)의 내측면(130)에 고정된 베어링유니트(U)가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유니트(U)는 상기 너트(230)에서 도어(140)가 열리는 쪽의 맞은편에 구성하며, 도어가(140) 최대한 열릴 수 있도록 도어(140)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를 감안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24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계되어 상기 박스(110)에 고정된 서보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보모터(M)가 스크류축(24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축(240)은 상기 베어링유니트(U)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풀리(25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M)의 회전축에도 풀리(260)가 구성된다. 이때 서보모터(M)의 회전축과 스크류축(240)은 평행하도록 구성되므로 풀리(250, 260)도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250, 260)에 벨트(270)를 걸어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M)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축(24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스크류축(240)에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하고, 상기 서보모터(M)의 회전축에 상기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리는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하므로 정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7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의 구성은 구동부(20)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도어(140)의 상면에 로드(283)가 장착된 솔레노이드(280)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280)는 실린더에 로드(283)가 수용되어 전류의 극성 변환에 의해 로드(283)가 전후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로드(280)는 도어(140)의 상면에 장착되고, 솔레노이드(280)는 상기 박스(110)의 하판(113)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80)는 길이방향이 도어(140)의 이송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스(30)의 내부에 상기 박스(110)가 장착되기 위해서는, 부스(3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박스(110)가 지지되는 테 형상의 플레이트(31)가 구성되므로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31)는 테 형상이므로 중앙에 규격봉지가 통과하는 홀(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가 더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박스(110)와 플레이트(31) 사이에 개재되어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44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스(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410)가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P)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규격봉지를 감별하는 규격봉지 감지부(420)가 구성되는데, 상기 규격봉지 감지부(420)는 일례로 상기 규격봉지의 색을 감지하는 색감지센서 내지는 규격봉지에 인쇄된 바코드 내지는 큐알(QR)코드를 감지하는 리더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격봉지 감지부(420)는 자체 빛을 조사하여 규격봉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카드 리더기(410)와 규격봉지 감지부(420)에 연계되어 상기 구동부(2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카드에 기재된 정보와 상기 로드셀(440)로부터 전송된 중량데이터를 자체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 정보와 중량데이터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중앙서버(S)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일례로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420)를 통해서 규격봉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카드 리더기(410)에 카드 정보가 읽혀졌을 때에 비로소 상기 구동부(20) 즉, 서버(S)모터(M) 내지는 솔레노이드(280)에 전류를 공급하여 도어(140)가 개방되도록 하며 다시 전류의 극성을 변환하여 닫히도록 구성된 후,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서 규격봉지의 중량을 감지한 후, 카드 정보와 중량 데이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중앙서버(S)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드 정보는 일례로서 호주의 인적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T)에 수용된 규격봉지가 가득 찼을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수거통(T)을 비워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박스(110)의 하면에 수거통(T)의 내부에 충전된 규격봉지의 적재된 양을 감지하는 충전감지부(450)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감지부(450)에 연계되어 발광하는 경보등(460)이 상기 부스(30)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충전감지부(450)는 수거통(T)의 내부를 향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일례로 적외선 감지기로서 높이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수거통(T) 내부의 바닥면까지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시간을 감지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수거통(T) 내부에 규격봉지가 충전될수록 높이는 점점 짧아지게 되며 일정 높이(규격봉지가 가득 채워진 높이)가 되면 상기 경보등(460)에 전기를 인가하여 불빛이 비춰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감지부(450)는 자체 제어부가 구성되어 상기 일정 높이를 감지하여 경보등(46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체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친환경적인 재질로 형성된 규격봉지가 구비된다. 상기 규격봉지는 지퍼가 구성됨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한 후, 상기 지퍼를 닫게 되면 음식물쓰레기가 노출되지 않고 악취 발생이 방지되며 해충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호주의 인적사항이 저장된 카드를 소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규격봉지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을 때, 많이 담기 위해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채워진 규격봉지를 상기 파이프(P) 내부에 넣게 된다. 이때 상기 규격봉지 감지부(420)에 의해서 규격봉지인지 아닌지를 상기 제어부(40)는 판별하게 된다. 즉, 상기 규격봉지 감지부(420)가 색감지센서이면 규격봉지가 정해진 색상의 것인지를 감지하게 될 것이고, 바코드나 큐알(QR) 코드의 리더기일 경우에는 바코드나 큐알(QR) 코드를 읽어서 정품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리더기(410)에 카드를 접촉시켜서 저장된 인적사항이 상기 중앙처리장치(430)의 데이터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상기 규격봉지가 정품임을 판정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리더기(410)에 카드가 독해되면 상기 구동부(20)를 작동시켜서 상기 도어(140)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규격봉지는 하방으로 떨어져서 하방에 위치한 수거통(T)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상기 구동부(20)를 작동시켜서 상기 도어(140)를 다시 역방향으로 이송시켜서 파이프(P)의 하단을 폐색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0)는 피니언(220)이 구성된 경우, 서보모터(M)에 의해서 피니언(22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스크류축(240)이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스크류축(240)에 연결된 서보모터(M)의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서 스크류축(24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어(140)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280)가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80)에 구성된 로드(283)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서 도어(140)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서 규격봉지가 얹어지면 바로 중량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 정보와 규격 봉지의 중량을 서버(S)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S)는 지역 단위로 구비된 것으로서 각각의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1)로부터 카드 정보와 중량을 날짜 시간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정해진 기간 동안 중량을 합산하여 오물세를 연산하여 청구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감지부(450)는 수거통(T) 내부에 쌓여진 규격봉지의 높이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가 되면 상기 경보등(460)을 발광시켜서 수거통(T)의 충전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규격봉지에 넣어서 버리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한 상태로 버리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수거통(T)을 부스(30)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폐부(10)의 도어(140)가 항상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악취나 해충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세대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대로 오물세를 청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10: 개폐부
110: 박스 111: 상판
113: 하판 115: 측판
117, 119: 관통구 P: 파이프
150: 지지판 20: 구동부
21: 레일 23: 가이드
210: 랙기어 220: 피니언
M: 서버모터 230: 너트
240: 스크류축 240, 260: 풀리
270: 벨트 280: 솔레노이드
283: 로드 30: 부스
31: 플레이트 33: 홀
40: 제어부 410: 카트리지
420: 감지부 430: 중앙처리장치
440: 로드셀 450: 충전감지부
460: 경보등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통(T)이 수납되어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부스(30)와,
    상기 부스(3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거통(T)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개폐 기능을 하는 개폐부(1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10)는, 상판(111)과 하판(113)이 상하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판(111)과 하판(113)의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측판(115)이 구성된 박스(110)와,
    상기 박스(110)의 상판(111)과 하판(113)에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는 관통구(117, 119)와,
    상기 상판(111)에 형성된 관통구(117)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판(111)의 내측면(120)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판(113)의 내측면(130)에서 이격되어 구성된 파이프(P)와,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과 상기 하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판 형상의 도어(140)와,
    상기 도어(140)를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이프(P)의 하단(123)을 개폐하도록 상기 박스(110) 내부에 장착된 구동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도어(140)의 상면에 부착된 랙기어(210)와,
    상기 랙기어(210)에 치합되는 피니언(220)과,
    상기 피니언(220)에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박스(110)에 고정된 서보모터(M)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3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박스(110)가 지지되는 테 형상의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의 상면에 고정된 로드셀(44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440)에 상기 박스(110)가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스(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인적사항이 기재된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410)와,
    상기 파이프(P)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규격봉지를 감별하는 감지부(420)와,
    상기 카드 리더기(410)와 감지부(420)에 연계되어 상기 구동부(2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3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430)에 네트워크망으로 연계되어 정보를 공급받는 중앙서버(S)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1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수거통(T)의 내부에 충전된 규격봉지의 적재된 양을 감지하는 충전감지부(450)와,
    상기 충전감지부(450)에 연계되어 발광하도록 상기 부스(30)에 장착된 경보등(460)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30)는, 상기 감지부(420)를 통해서 규격봉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카더 리더기(410)에 카드 정보가 읽혀졌을 때 상기 서버모터(M)로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도어(140)가 개방된 후 닫히도록 한 후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로드셀(440)을 통해서 규격봉지의 중량을 감지한 후, 카드 정보와 중량 데이터를 상기 중앙서버(S)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KR1020120091055A 2012-08-21 2012-08-21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KR10128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055A KR101282543B1 (ko) 2012-08-21 2012-08-21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055A KR101282543B1 (ko) 2012-08-21 2012-08-21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543B1 true KR101282543B1 (ko) 2013-07-04

Family

ID=4899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055A KR101282543B1 (ko) 2012-08-21 2012-08-21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70B1 (ko) * 2014-07-23 2015-04-20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712B1 (ko) * 2015-12-24 2016-08-30 주식회사 우람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29016A (ko) * 2018-03-08 2018-03-19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3B1 (ko) * 2005-12-29 2008-06-26 정기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1164394B1 (ko) * 2012-04-02 2012-07-09 이해우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3B1 (ko) * 2005-12-29 2008-06-26 정기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1164394B1 (ko) * 2012-04-02 2012-07-09 이해우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70B1 (ko) * 2014-07-23 2015-04-20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712B1 (ko) * 2015-12-24 2016-08-30 주식회사 우람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29016A (ko) * 2018-03-08 2018-03-19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69502B1 (ko) *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663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ES2929375T3 (es) Sistema integrado de IA para optimizar la gestión de desechos mediante robot autoguiado
KR100949905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282543B1 (ko)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581944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음식물쓰레기 투입장치
CN112249534B (zh) 一种垃圾分类回收系统
CN112340273B (zh) 一种垃圾主动分类回收方法
KR20210118427A (ko)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
KR102034954B1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CN109625681A (zh) 一种自动识别垃圾类别的垃圾桶
CN215324729U (zh) 一种垃圾主动分类回收设备
KR100973249B1 (ko) 전자결제식 쓰레기수거장치
ES2921927T3 (es) Un sistema para eliminación volumétrica de residuos en contenedores de calle
US10249127B2 (en) Pay-per-use receptacle
KR10110294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CN109292293B (zh) 一种社区智能化垃圾分类回收系统
RU2004104633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городских отходов
KR100921782B1 (ko) 음식물쓰레기 중량제 수거 장치
KR101164394B1 (ko) 음식물쓰레기 수납장치
CN112320130B (zh) 一种垃圾分类切换回收方法
CN214932713U (zh) 一种垃圾分类切换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