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854B1 - 쓰레기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854B1
KR101074854B1 KR1020110016030A KR20110016030A KR101074854B1 KR 101074854 B1 KR101074854 B1 KR 101074854B1 KR 1020110016030 A KR1020110016030 A KR 1020110016030A KR 20110016030 A KR20110016030 A KR 20110016030A KR 101074854 B1 KR101074854 B1 KR 10107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unit
dispos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호
Original Assignee
신석호
주식회사에이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호, 주식회사에이멕스 filed Critical 신석호
Priority to KR102011001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부도체를 구비하는 태그 대응부; 및 상기 태그 대응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수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상기 태그 대응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 장치{Garbag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쓰레기 수거 장치의 구조 및 제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거주지역별로 쓰레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은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여 사용한 후, 정해진 거점에 모아둠으로써 청소부가 거점 수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다른 일부 지역에서는 수거통을 각 세대별로 배치시킨 후, 쓰레기 또는 음식물의 양에 맞는 스티커를 부착하여 문밖에 내놓도록 함으로써 청소부가 문전 수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각 세대별로 일정금액을 미리 받은 후, 크기가 큰 음식물 수거통을 일정 위치에 배치시켜 수거통에 음식물을 자유롭게 버릴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이용한 거점 수거방식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고양이와 같은 야생동물 등에 의해 주변이 더럽혀져 악취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바닥으로 새어나온 음식물이 그대로 하수도로 흐르게 되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거통을 이용하여 문전 수거하는 방식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청소부가 집집마다 수거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거통의 분실우려와 더불어 주변환경이 더러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통해 쓰레기 잔량에 따라 쓰레기 수거 장치의 개폐가 결정되며, 냄새를 줄이는 구조를 가진 쓰레기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부도체를 구비하는 태그 대응부; 및 상기 태그 대응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수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상기 태그 대응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1 커버의 일부는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가 배치된 스크류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와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이동부재와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제1 힌지점에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커버 상의 제2 힌지점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부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부의 일 단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일 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3 링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링크부의 일 단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링크부, 상기 제2 링크부 또는 상기 제3 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링크부와 연결되는 제2 구동력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된 제3 프레임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직선 및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직선부를 가져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직선 및 곡선 운동을 하며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수거부 사이에 로드셀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이 계측한 상기 제1 수거부의 무게로부터 직전 무게를 차감하여 추가 무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에 대응하여 외측에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알에프아이디에 의해 시건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거부의 잔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팬; 및 상기 팬의 일 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제1 수거부 개폐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히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수거부 입구가 이루는 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 가장자리에서 더 연장된 하우징 덮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조명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력 전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부의 일단은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 상에서 미끌리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 상에서 지지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가깝도록 상기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구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 탄성부재를 압축할 경우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를 내장하여 쓰레기 악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에프아이디(RFID)에 의한 개폐로 쓰레기 무단 투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를 구비하여 냉온에도 로드셀이 적절히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실시예의 표시부를 확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3c는 도 3a의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실시예의 제3 변형예로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의 실시예의 제4 변형예로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2의 실시예의 제5 변형예로 제1 커버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a은 잠금장치를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b는 잠금장치의 지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시스템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쓰레기 처리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쓰레기 처리 장치(1)는 하우징(100), 제1 커버(140), 구동부(143), 제1 수거부(200),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5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개폐 가능한 제1 커버(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거부(200)는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거부(200)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1 수거부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거부(200)를 하우징(100)에 수용할 시 제1 수거부 커버는 개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구동부(143)는 제1 커버(140)의 개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43)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커버(14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쓰레기 등의 오물질을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투하할 수 있다.
제1 수거부(200)에 쓰레기의 양이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제1 수거부(2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쓰레기 운반 차량 등에 의해 내용물을 비울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수거부(2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수거부(200)의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하우징(120)이 제1 수거부(200)의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므로 눈 또는 비 등으로부터 제1 커버(14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덮개가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140)는 제1 수거부(200) 입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커버(140)가 제1 수거부(200) 입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커버(140)가 제1 수거부(200)와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경우 눈 또는 비가 제1 커버(140)상에 내려도 흘러내려 유지 및 사용에 편리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3 하우징(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120)으로부터 더 연장되며 제1 커버(140)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부를 형성하는 제3 하우징(130)은 제2 하우징(120)의 기능과 유사하게 비 또는 눈으로부터 쓰레기 수거 장치(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30)이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알에프아이디 리더의 구조를 설명한다.도 3a는 도 2의 실시예의 표시부(160)를 확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3c는 도 3a의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표시부(160)는 하우징(100)의 일 측에 배치되며 알에프아이디 리더(500)에 대응하여 하우징(1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60)를 통해 사용자는 쓰레기 계측 등의 진행상태를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160)안쪽에 알에프아이디 리더(50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알에프아이디 리더(500)는 표시부(16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알에프아이디 리더(500)는 쓰레기 관련 정보를 사용자 및 관리자와 정보교환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알에프아이디가 도체로 막혀있는 경우 작동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알에프아이디 리더(500)에 대응하는 부분을 부도체로 구성하여 알에프아이디 리더(500)의 작동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부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에프아이티 리더(500)는 지지대(550)에 의해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a의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부도체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 3b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알에프아이디 리더(500)에 대응하는 부분만 부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1)은 부도체를 구비하는 태그 대응부(111a) 및 태그 대응부(111a)로부터 연장되며 제1 수거부(2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1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2)의 일부는 연장되어 태그 대응부(112b)를 수용부(112a) 외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태그 대응부(112b)는 알에프아이디 리더(500)를 지지하며 부도체를 구비하여 알에프아이디 리더(50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 제1 커버(14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커버(140)의 일부는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는 제1 커버 연장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 연장부는 제1 커버(140)가 닫혀 있는 동안 제1 수거부(200)의 입구를 봉하여 악취 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커버 연장부는 제1 수거부(200)의 입구와 물리적으로 닿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커버 연장부는 제1 수거부(200) 입구에 대응하되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악취나 나지 않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제2 커버(150)는 제1 연결부재(151)에 의해 제1 커버(140)와 연결된다. 즉, 제2 커버(150)는 제1 커버(140)로부터 연장된 제1 커버 연장부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50)는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응하나 제1 수거부(200)와 물리적으로 맞닿는 것이 아니라 제1 하우징(110)의 입구(150o)를 봉함으로 악취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제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제1 커버(140)의 개폐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커버(140)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따르면,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150)는 와이어 등의 제1 연결부재(151)에 의해 제1 커버(140)에 연결되며 제1커버(140)가 구동부(143)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제2 커버(150)가 개폐될 수 있다. 즉, 도 4a에서 제1 커버(140)는 하우징(100)에 탄성부재(141)의 탄성력에 의해 ㅈ힌지(h)에 탄성지지되며, 구동부(143)는 제1 구동력 전달부(144)에 의해 제1 커버(140)와 연결되며, 도 4b에서 제1커버(140)가 제1 구동력 전달부(144)의 당기는 힘에 의해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4c에서 제1 커버(140)가 개방됨에 따라 제1 연결부재(151)에 의해 제2 커버(150)는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4d에서 제1 커버(140)가 최대한 당겨짐에 따라 제2 커버(150)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쓰레기 등을 제1 하우징 투입구(150o)에 투하할 수 있다. 이때, 투하가 종료되면 구동부(143)가 제1 구동력 전달부(144)를 서서히 풀어 제1 커버(140)는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이때, 탄성부재(141)에 의해 제1 커버(140)는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2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로 제1 커버(140)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1150)를 제1 하우징(110)이 더 구비하며 제2 커버(1150)는 제1 커버(1140)와 제1연결부재(1151)에 의해 연결되며 제2커버(1150)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제1 커버(1140)가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거부(1140)는 탄성부재(1141)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h)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구동부(1143)는 제1 구동력 전달부(1144)에 의해 제2 커버(1150)와 연결되며, 제2커버(1150)가 구동부(1143)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제1 커버(1140)가 점차 개방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2 커버(1150)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제1 커버(1140)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쓰레기 등을 투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c의 실시예는 제1 커버(1140)가 열리기 전 제2 커버(1150)가 먼저 열려 사용자 입장에서 도 4c의 중간단계와 같은 과정을 관찰할 수 없어 제1 커버(1140)가 개방된 후 바로 쓰레기를 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로 제1 커버(1240)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구동부(143)는 구동부(143)의 구동력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1247a)와 제2 이동부재(1247b)가 배치된 스크류바(12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재(1247a)와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1249a)과 제2 이동부재(1247b)와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1249b)을 구비하며 제1 프레임(1249a)과 제2 프레임(1249b)은 제1 힌지점(1250)에서 힌지 결합되며 제1 프레임(1249a)과 제2 프레임(1249b)은 각각 제1 커버(1240) 상의 제2 힌지점(1240a)과 힌지결합되어 구동부(143)가 구동함에 따라 제1 커버(1240)가 개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이동부재(1247a)와 제2 이동부재(1247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함에 따라 제1 힌지(1250) 및 제2 힌지(1240a)에 의해 각 프레임들이 접혀져 제1 커버(1240)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우징 투입구(1150o)를 통해 쓰레기를 투하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 제1 링크부(1350b) 및 제2 링크부(1350c)를 구비하며 제1 링크부(1350b)의 일 단 및 제2 링크부(1350c)의 일 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3 링크부(1350a)를 더 구비하며 제3 링크부(1350c)의 일 단은 제1 커버(1340)와 연결되며 구동부(1343)는 제1 링크부(1350b), 제2 링크부(1350c) 또는 제3 링크부(1350a) 중 적어도 어느 한 링크부와 연결되는 제2 구동력 전달부(1345)를 구비하여 제1 커버(1340)는 구동부(1343)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의 실시예의 제4 변형예로 제1 커버(1440) 개폐과정을 구분동작으로 설명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3 프레임(1450)은 제1 커버(14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1450) 상에 제1 돌출부(1450a) 및 제2 돌출부(145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제1 돌출부(1450a) 및 제2 돌출부(1450b)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이드부(g1) 및 제2 가이드부(g2)가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g1)는 직선 및 만곡부를 가지며 제2 가이드부(g2)는 직선부를 가져 제1 커버(1440)가 구동부(1443)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제1 커버(1440)는 제1 가이드부(g1) 및 제2 가이드부(g2)에 의해 직선 및 곡선 운동을 하며 개폐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g1)와 제2 가이드부(g2)를 따라 제1 커버(1440)는 경사를 가지는 직선운동(M1)을 하며 열릴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구동부(1443)가 제3 구동력 전달부(1445)를 통해 당기면 제1 가이드부(g1)의 만곡부를 따라 회전운동(M2)을 하게 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에 따르면, 제1 수거부(200)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150)는 와이어 등의 제1 연결부재(151)에 의해 제1 커버(140)에 연결되며 제1커버(140)가 구동부(143)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제2 커버(150)가 개폐될 수 있다.이때, 제1 수거부(200)를 원상복귀하게 하기 위해 도 5a에서는 탄성부재(141)가 사용되었으나 도 9a에 따르면 무게추(149)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무게추(149)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제1 커버(140)와 무게평형을 유지하며 닫히게 될 수 있다. 도 9b,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면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와 유사하게 운행이 가능하며 다만 탄성부재(141)의 탄성력이 아닌 무게추(149)의 무게에 의한 중력으로 제1 커버(140)가 원상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a을 참조하여 시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b는 시건장치의 지지부(147)를 확대한 도면이다. 구동부(143)는 구동부(143)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력 전달부(14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부(144)의 일단은 지지부(147)와 연결되며 지지부(147)는 제1 커버(140) 상에서 미끌리도록 가이드되며 지지부(147)는 제1 커버(140) 상에서 지지부 탄성부재(146)에 의해 하우징(100)에 가깝도록 지지부(147)를 탄성 지지하며 하우징(100)은 지지부(147)가 걸리는 걸림턱(100p)을 더 구비하며 지지부(147)가 제1 구동력 전달부(144)에 의해 지지부 탄성부재(146)를 압축할 경우 걸림턱(101p)으로부터 풀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조명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제어시스템(700)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제어시스템(700)은 수신부(701), 제어부(702), 디스플레이부(703) 및 구동부(704)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시스템(700)은 쓰레기 수거장치(1) 전반에 관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시스템(700)은 쓰레기의 계측이나 관리자와의 통신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쓰레기 계측을 위해서는 제1 수거부(20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170)이 필요하다. 로드셀(170)은 체중계타입으로 하우징(100)과 제1 수거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로드셀(17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수거부(200) 전체의 무게를 매달아 재기 위해 하우징(100) 측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수신부(701)는 로드셀(170)로부터 제1 수거부(200)의 무게를 전달받으면 제어부(702)는 로드셀(170)이 계측한 상기 제1 수거부(200)의 무게로부터 직전 제1 수거부(200)의 무게를 차감하여 추가적으로 투하한 무게를 디스플레이부(703)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701)는 제1 수거부(200)에 투하된 쓰레기 잔량을 센서(6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센서(600)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수신부(701)가 수신한 쓰레기 잔량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었다고 제어부(702)가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703)에 쓰레기가 가득 찼음을 표시하고 관리담당자에게 통신으로 보고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별도의 시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알에프아이디에 의해 시건장치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커버(140)의 개폐를 쓰레기 처리업체나 알에프아이디 카드를 가진 사용자 등의 특정인에게만 국한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팬(320) 및 팬(320)의 일 측에 배치되는 필터(3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필터(310)는 냄새방지필터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될 때 공기를 정화해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팬(320)은 제1 수거부(140) 개폐시에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알에프아이디 카드 등에 의해 제1 커버(140)를 개방하려할 경우 제어부(702)는 팬(320)을 회전시켜 하우징(100)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게 함으로 사용자가 제1 커버(140)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를 맡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바깥으로 배출하는 공기가 하우징(100)바깥에 위치한 사용자나 기타 환경에 유해하지 않도록 필터(310)를 통해 냄새제거를 하므로 위생적으로 향상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히터(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히터(400)를 더 구비하여 겨울철 등에 로드셀(170)이 낮은 온도로 인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로드셀(170)은 온도가 낮을 경우 무게측정 오차가 비교적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온도 이하에서 열선 등을 구비한 히타를 사용함으로 로드셀(170)의 작동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 장치를 이용 및 제조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 쓰레기 처리 장치 100: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120: 제2 하우징
130: 제3 하우징 140, 1140, 1240, 1340, 1440: 제1 커버
143: 구동부 150: 제2 커버
160: 표시부 170: 로드셀
200: 제1 수거부 310: 필터
320: 팬 400: 히터
500: 알에프아이디 리더 600: 센서
700: 제어 시스템

Claims (21)

  1.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가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부도체를 구비하는 태그 대응부; 및
    상기 태그 대응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수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는,
    상기 태그 대응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4.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와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가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5.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상기 제1 수거부의 입구에 대응한 제2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가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6.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가 배치된 스크류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와 힌지 결합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이동부재와 힌지 결합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제1 힌지점에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커버 상의 제2 힌지점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부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가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7.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부의 일 단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일 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3 링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링크부의 일 단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링크부, 상기 제2 링크부 또는 상기 제3 링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링크부와 연결되는 제2 구동력 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8.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된 제3 프레임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직선 및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직선부를 가져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직선 및 곡선 운동을 하며 개폐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수거부 사이에 로드셀이 배치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이 계측한 상기 제1 수거부의 무게로부터 직전 무게를 차감하여 추가 무게를 출력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알에프아이디 리더에 대응하여 외측에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알에프아이디에 의해 시건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거부의 잔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쓰레기 수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팬; 및
    상기 팬의 일 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1 수거부 개폐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히터를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 시에, 상기 제1 수거부 입구가 이루는 면과 예각을 이루는 각도로 배치된 쓰레기 수거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 가장자리에서 더 연장된 하우징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는 쓰레기 수거 장치.
  21. 개폐 가능한 제1 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수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력 전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부의 일단은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 상에서 미끌리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 상에서 지지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가깝도록 상기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구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 탄성부재를 압축할 경우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풀릴 수 있는 쓰레기 수거 장치.
KR1020110016030A 2011-02-23 2011-02-23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07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30A KR101074854B1 (ko) 2011-02-23 2011-02-23 쓰레기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30A KR101074854B1 (ko) 2011-02-23 2011-02-23 쓰레기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854B1 true KR101074854B1 (ko) 2011-10-19

Family

ID=4503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30A KR101074854B1 (ko) 2011-02-23 2011-02-23 쓰레기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8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96Y1 (ko) 2011-11-14 2012-09-26 신석호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314534B1 (ko) 2013-02-04 2013-10-04 주식회사 금산엔지니어링 음식물 쓰레기 집합 처리장치
KR102110927B1 (ko) * 2019-09-02 2020-05-15 정한인프라(주)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8731B1 (ko) * 2021-02-25 2022-06-14 경상북도 영주시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용 가림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06Y1 (ko) * 2005-03-31 2005-08-01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서랍식 위생용 쓰레기통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06Y1 (ko) * 2005-03-31 2005-08-01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서랍식 위생용 쓰레기통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96Y1 (ko) 2011-11-14 2012-09-26 신석호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314534B1 (ko) 2013-02-04 2013-10-04 주식회사 금산엔지니어링 음식물 쓰레기 집합 처리장치
KR102110927B1 (ko) * 2019-09-02 2020-05-15 정한인프라(주)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08731B1 (ko) * 2021-02-25 2022-06-14 경상북도 영주시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용 가림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385Y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EP2344403B1 (en) System with SUBSURFACE SYSTEM FOR THE COLLECTION OF REFUSE
CN206255468U (zh) 智能垃圾投放装置
KR100854117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US8523051B2 (en) Refuse collection apparatus
CN106005837A (zh) 智能垃圾投放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40010847A (ko)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100886969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01728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EP2179944A1 (en) Container for separate waste collection
EP2544968B1 (en) Bin for collecting solid waste
CN10972075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扫地垃圾桶及其管理系统
KR10095311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200463876Y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KR101113174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장치
JP3091171B2 (ja) ごみ箱
KR10123654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0921782B1 (ko) 음식물쓰레기 중량제 수거 장치
CN215923331U (zh) 医废处理区块链系统智能收集箱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