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540B1 -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540B1
KR101236540B1 KR1020100123601A KR20100123601A KR101236540B1 KR 101236540 B1 KR101236540 B1 KR 101236540B1 KR 1020100123601 A KR1020100123601 A KR 1020100123601A KR 20100123601 A KR20100123601 A KR 20100123601A KR 101236540 B1 KR101236540 B1 KR 10123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oor
unit
clo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372A (ko
Inventor
이민구
Original Assignee
이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구 filed Critical 이민구
Priority to KR102010012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5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개폐부에 설치된 상해방지수단에 의해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개폐도어에 끼더라도 상해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내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배출권한 여부를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된 신호에 의해 배출구 도어를 개폐가능하도록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개폐부에 연결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배출구 도어에 끼임된 상태에서 배출구 도어가 닫힘될 때, 배출구 도어의 닫힘을 저지시킴과 아울러 끼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하여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해방지수단과,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된 신호를 인가받아 도어개폐부를 제어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해방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도어개폐부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배출구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다수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추어 보호커버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COLLECTION DEVICE IN COMPARISON WITH DISCHARGE AMOUNT OF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게 하는 수단으로서 각 세대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정확히 계량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배출자에게 전파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배출구 도어의 닫힘시 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도어의 닫힘시 배출자(사용자)의 신체보호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무거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인.입출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일반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시, 군, 구 단위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작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넣어 일정한 장소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재활용품과 연탄재는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배출하면 무료로 수거해간다. 규격봉투에 넣기 어려운 대형쓰레기 등은 동사무소에 신고한 후 배출하고 시,군,구에서 정한 별도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봉투는 가격이 비싸고 약하여 잘 찢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그 지역에서 발생된 쓰레기양과 그 처리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는 문제점과 쓰레기봉투에 저장된 쓰레기(음식물쓰레기를 포함)가 토출되어 극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봉투는 봉투의 끈이 묶기에 불편하고 봉투 색상이 투명해 내용물이 보여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래들어 종량제 칩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종래의 일반적인 종량제 칩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첫 번째로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도어는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바, 상기한 도어개폐수단은 단순히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도어의 닫힘시 낄 경우 골절과 같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입출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종량제 칩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가득차게 되면, 수거자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케이스로부터 인출시키게 되는바, 이때,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출이 매우 어려울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게 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개폐부에 설치된 상해방지수단에 의해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개폐도어에 끼더라도 상해입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안내레일을 따리 슬라이드 인입출되는 수거함인,입출부재를 구비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입출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내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배출권한 여부를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된 신호에 의해 배출구 도어를 개폐가능하도록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개폐부에 연결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배출구 도어에 끼임된 상태에서 배출구 도어가 닫힘될 때, 배출구 도어의 닫힘을 저지시킴과 아울러 끼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하여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해방지수단과,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된 신호를 인가받아 도어개폐부를 제어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해방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도어개폐부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배출구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다수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추어 보호커버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수용하여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무게측정부측으로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거함인,입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따르면,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적게 배출하게 하고,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게 되므로 예상치 못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상해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도어개폐부에 설치된 상해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개폐도어에 끼더라도 상해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안내레일을 따리 슬라이드 인입출되는 수거함인,입출부재를 구비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입출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인입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의 배출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이 인출시키기 위해 수거함인,입출수단의 연장레일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의 배출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는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개폐부에 설치된 상해방지수단에 의해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등이 도어에 끼더라도 상해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입출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100)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양내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측정부(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커버(C)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배출권한 여부를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증부(130)와, 상기 인증부(130)로부터 인증된 신호에 의해 배출구 도어(D)를 개폐가능하도록 보호커버(C)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개폐부(140)와, 상기 도어개폐부(140)에 연결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배출구 도어에 끼임된 상태에서 배출구 도어가 닫힘될 때, 배출구 도어의 닫힘을 저지시킴과 아울러 끼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하여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해방지수단(150)과, 상기 인증부(130)로부터 인증된 신호를 인가받아 도어개폐부(140)를 제어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해방지수단(150)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도어개폐부(140)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배출구 도어(D)를 개방시키도록 다수의 버튼(미도시함)과 디스플레이부(미도시함)를 갖추어 보호커버(C)에 구비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수용하여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무게측정부(120)측으로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보호커버(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가 인증부(130)와 디스플레이부를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져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60)는 무게측정부(120)로부터 측정된 무게의 값이 60Kg 이상이 되면, 인증부(130)를 통하여 배출권한이 있을 경우라도 배출용 도어(D)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가능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인,입출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인입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측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하우징(110)은, 통신모뎀을 통해 경비실 또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된 관리서버(미도시함)와 데이터를 송,수신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는 수거자가 인증부를 통하여 인증이 완료되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도어(미도시함)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전면개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을 위한 배출구 도어(D)를 회동가능하게 설치가능하도록 상면개구부(111a)가 형성된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의 저면 모서리부에 케이스(111)의 수평을 맞추도록 높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조절부(112)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케이스(111)의 상면개구부(111a) 내측면에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배출구도어(D)가 개방되는 것에 대응되게 제어부(160)의 제어에 대응되게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가능한 LED램프(113)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전면 도어(D)의 개방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자가 인증부(130)를 RFID태그로 인증하는 것에 의해 개방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고장시 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무게측정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양내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측으로 배출된 음식물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제어부(160)측으로 인가능하도록 로드셀로 구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인증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개폐부(140)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호커버(C)의 상면 전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자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160)측으로 판단된 신호를 인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자는 IC칩을 내장해 무선으로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를 이용하여 인증부(130)에 근접시켜 인증절차를 거치는 것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도어개폐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가 인증부(130)를 통하여 인증절차를 완료하게 되면 제어부(16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 도어(D)를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도어개폐부(140)는, 배출구 도어(D)가 안착되는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상면에 보호커버(C)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인,입출가능한 피스톤(141)을 갖추어 구비되는 전동실린더(142)와, 상기 전동실린더(142)의 피스톤(141)에 일단이 고정된 상해방지수단(15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구 도어(D)의 후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개폐용회동바(143)의 일단을 고정연결시켜 피스톤(141)의 인,입출에 대응되게 개폐용회동바(143)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회동링크(1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용회동바의 양단은 베어링(미도시함)을 개재시켜 하우징(110)의 케이스(111)상면 후단에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각각 고정되는 클램프(도면부호 생략)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한 도어개폐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대응되게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인입출가능한 피스톤(141)을 갖는 전동실린더(142)와 회동링크(144)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모터와 기어 그리고 체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상해방지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개폐부(140)에 연결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배출구 도어(D)에 끼임된 상태에서 배출구 도어가 닫힘될 때, 배출구 도어의 닫힘을 저지시킴과 아울러 끼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상해방지수단(150)은 도어개폐부(140)의 피스톤(141)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고정연결편(151)과, 상기 고정연결편(151)의 타단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어 배출구 도어(D)가 닫힘시 손등 또는 손가락이 낄 경우, 피스톤(141)이 인입되는 것에 의해 인장되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장스프링(152)과, 상기 인장스프링(152)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기 인장스프링(152)이 걸림핀을 매개로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링크(14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회동연결편(153)과, 상기 고정연결편(151)에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 고정판(154)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피스톤(141)이 인입되는 것에 대응되게 인장스프링(152)은 인장됨과 동시에 고정판(154)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접점이 달락되어, 달락신호를 제어부(160)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60)가 도어개폐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접점스위치(15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은 하우징(110)의 케이스(111)에 내설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인입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은,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양내측면에 고정 구비된 무게측정부(12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무게전달레일부(171)와, 상기 무게전달레일부(171) 전방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11)의 양내측면에 각각고정 구비되는 안내레일부(172)와, 상기 안내레일부(172) 전반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11)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회동핀(도면부호 생략)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111)의 내측면 상단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레일부(173)와, 상기 하우징(110)의 케이스(11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저면은 케이스(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무게전달레일부(171)와, 안내레일부(172)와 그리고 연장레일부(17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174)가 구비되고, 전면과 상면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수용가능하도록 개구되어 구비되는 수거함카트부(17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연장레일부(173)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용이하게 인입출시키도록 상면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측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출자는 RFID태그를 보호커버에 설치된 인증부(130)에 접촉시킨다.
상기 인증부(130)로 RFID태그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배출권한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제어부(160)는 배출구 도어(D)를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도어개폐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상면 일측 즉, 배출구 도어(D) 일측에 설치된 도어개폐부(140)의 피스톤(141)이 전동실린더(142)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피스톤(141)의 인출로 인하여 상해방지수단(150)의 회동연결편(153)과, 연결된 회동링크(144)가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링크(144)가 회동으로 인하여 상기 회동링크(144)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된 개폐용회동바(143)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도 3과 같이 배출구 도어(D)가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후, 배출자는 음식물쓰레기를 케이스(111)의 상면개구부(111a)측으로 배출시키면 된다.
이때, 하우징(110) 케이스(111)의 상면개구부(111a) 내부는 LED램프(113)의 점등으로 인하여 밝아지므로 보다 안전하게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60)에 의해 도어개폐부(140)의 피스톤(141)이 전동실린더(142)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배출구 도어(D)가 케이스(111)측으로 회동하여 닫힘된다.
한편, 상기 상면개구부(111a)측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키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의 수거함카트부(175) 상면에 안착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측으로 수거되고,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는 케이스(111)의 양내측면에 설치된 무게측정부(120)가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160)측으로 측정된 무게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60)측으로 인가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는 통신모뎀을 통하여 관리사무소에 설치된 관리서버측으로 송신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수거자가 수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수거자는 인증부(1300를 통하여 인증을 완료하게 되면, 전면도어가 개방된다
상기 전면도어가 개방되면, 수거자는 케이스(111)에 걸림된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의 연장레일부(173)를 해제시켜 회동시킨다.
이후,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의 수거함카트부(175)를 당김시키게 되면, 수거함카트부(175)의 양측면 상부에 구비된 이동바퀴(174)가 케이스(111)의 양측면에 구비된 무게전달레일부(171)와 안내레일부(172) 그리고 연장레일부(173)를 따라 인출된다.
따라서, 수거자는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인,입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출구 도어(D)가 닫힘시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이 상면개구부(111a)와 배출구 도어(D) 사이에 끼게 되면, 도어개폐부(140)의 피스톤(141)은 전동실린더(142)측으로 계속 인입되고 그로 인하여 상해방지수단(150)의 인장스프링(152)은 인장되어 배출구 도어(D)는 닫힘되지 않게 되고, 이때, 고정판(154)은 피스톤(141)의 인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154)의 이동으로 상면에 고정된 접점스위치(155)는 접점이 단락되고 그로 인하여 제어부(160)는 도어개폐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60)의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도어개폐부(140)는 구동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도어는 개방되므로 배출자의 손등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110 ; 하우징
120 ; 무게측정부
130 ; 인증부
140 ; 도어개폐부
150 ; 상해방지수단
160 ; 제어부
170 ; 수거함인,입출수단

Claims (5)

  1. 각 세대별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처리비용을 차등부과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 인.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양내측면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무게측정부(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설치된 보호커버(C)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배출권한 여부를 판단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증부(130)와;
    상기 인증부(130)로부터 인증된 신호에 의해 배출구 도어(D)를 개폐가능하도록 보호커버(C)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도어개폐부(140)와;
    상기 도어개폐부(140)에 연결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배출구 도어에 끼임된 상태에서 배출구 도어가 닫힘될 때, 배출구 도어의 닫힘을 저지시킴과 아울러 끼임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하여 배출자의 손등 또는 손가락 등이 상해입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해방지수단(150)과;
    상기 인증부(130)로부터 인증된 신호를 인가받아 도어개폐부(140)를 제어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해방지수단(150)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응되게 도어개폐부(140)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배출구 도어(D)를 개방시키도록 다수의 버튼과 디스플레이부를 갖추어 보호커버(C)에 구비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수용하여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무게측정부(120)측으로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음식물쓰레기 수거함(B)을 인,입출가능하도록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수거함인,입출수단(170)은,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양내측면에 고정 구비된 무게측정부(12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무게전달레일부(171)와, 상기 무게전달레일부(171) 전방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11)의 양내측면에 각각고정 구비되는 안내레일부(172)와, 상기 안내레일부(172) 전반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11)의 양내측면에 일단이 회동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111)의 내측면 상단에 걸림 및 해제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레일부(173)와, 상기 하우징(110)의 케이스(11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저면은 케이스(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무게전달레일부(171)와, 안내레일부(172)와 그리고 연장레일부(173)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174)가 구비되고, 전면과 상면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수용가능하도록 개구되어 구비되는 수거함카트부(1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부(140)는, 배출구 도어(D)가 안착되는 하우징(110)의 케이스(111) 상면에 보호커버(C)에 의해 보호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인,입출가능한 피스톤(141)을 갖추어 구비되는 전동실린더(142)와, 상기 전동실린더(142)의 피스톤(141)에 일단이 고정된 상해방지수단(15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구 도어(D)의 후단을 관통하여 고정된 개폐용회동바(143)의 일단을 고정연결시켜 피스톤(141)의 인,입출에 대응되게 개폐용회동바(143)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회동링크(1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해방지수단(150)은 도어개폐부(140)의 피스톤(141)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하여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고정연결편(151)과, 상기 고정연결편(151)의 타단내측으로 일단이 수용되어 배출구 도어(D)가 닫힘시 손등 또는 손가락이 낄 경우, 피스톤(141)이 인입되는 것에 의해 인장되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장스프링(152)과, 상기 인장스프링(152)의 타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기 인장스프링(152)이 걸림핀을 매개로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링크(14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회동연결편(153)과, 상기 고정연결편(151)에 고정된 고정판(154)의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피스톤(141)이 인입되는 것에 대응되게 인장스프링(152)은 인장됨과 동시에 고정판(154)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접점이 달락되어, 달락신호를 제어부(160)측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60)가 도어개폐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접점스위치(1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5. 삭제
KR1020100123601A 2010-12-06 2010-12-06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23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601A KR101236540B1 (ko) 2010-12-06 2010-12-06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601A KR101236540B1 (ko) 2010-12-06 2010-12-06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72A KR20120062372A (ko) 2012-06-14
KR101236540B1 true KR101236540B1 (ko) 2013-02-22

Family

ID=4668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601A KR101236540B1 (ko) 2010-12-06 2010-12-06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131B1 (ko) * 2013-04-15 2014-03-27 주식회사 한썸 종량제를 지원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08B1 (ko) * 2012-07-31 2013-01-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물쓰레기 계량장치
KR101331915B1 (ko) * 2013-06-04 2013-11-26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기의 호퍼 승하강장치
KR200472206Y1 (ko) * 2013-09-26 2014-04-09 (주)평화하이텍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114A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글로벌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0993983B1 (ko) * 2010-03-10 2010-11-11 유영석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114A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글로벌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0993983B1 (ko) * 2010-03-10 2010-11-11 유영석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131B1 (ko) * 2013-04-15 2014-03-27 주식회사 한썸 종량제를 지원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72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54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04443949A (zh) 一种智能识别卡自动分选收集方法
ES2157022T3 (es) Aceptador rotativo de billetes.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N207014851U (zh) 一种多功能纸箱自助回收装置
KR10095311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WO2011110283A1 (en) Bin for collecting solid waste
CN202976133U (zh) 自动发卡机
KR100990456B1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US5758819A (en) Secured waste container assembly
CN111547411A (zh) 一种医用智能回收机及其工作流程
EP2285555A1 (en) Article compaction apparatus
CN102750793A (zh) 票据扫描回收装置
CN101966903B (zh) 自动回收垃圾桶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154165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30053682A (ko)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20110124593A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장치
JP6663462B1 (ja) ゴミ箱
KR102412255B1 (ko) 재활용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KR200464070Y1 (ko) 쓰레기 수거함의 잠금장치
RU2727549C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KR200477681Y1 (ko)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CN212981208U (zh) 上掀式智能垃圾分类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