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682A -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 Google Patents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682A
KR20130053682A KR1020110119241A KR20110119241A KR20130053682A KR 20130053682 A KR20130053682 A KR 20130053682A KR 1020110119241 A KR1020110119241 A KR 1020110119241A KR 20110119241 A KR20110119241 A KR 20110119241A KR 20130053682 A KR20130053682 A KR 2013005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rfid
weigh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740B1 (ko
Inventor
최신묵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이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to KR10201101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7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FID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따라 정확한 대금을 부가하고 이러한 정보는 처리기관에 송부할 수 있도록 하되,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건조 후 건조물 형태로 배출이 되도록 하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는 다양한 탈취수단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청정공기로 배출되도록 하며, 제 1, 2작동수단을 통해 건조물 배출구를 자동으로 손쉽게 밀폐 및 개방하고, 건조물 배출구에서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잔여되어 있는 음식물 건조물을 확실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CONTINUOUS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USING RFID}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정보를 무선으로 처리기관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처리 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 내 분진/수분 제거 및 3차에 걸친 탈취기능을 탑재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업체 혹은 지방자치단체가 음식물쓰레기의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에 정확히 비례한 요금을 부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에서는 별다른 장치 없이 대용량의 음식물쓰레기 용기만을 두고, 상기 용기가 음식물쓰레기로 가득차게 되면 회수하는 시스템이므로, 한 달 동안 배출된 전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요금을 부과하는 단순한 요금 정산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공동주택 전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기준으로는 종량제가 적용되고 있지만,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각 세대별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기준으로는 종량제가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공동주택 전체의 음식물쓰레기의 요금을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과는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세대수로 나누어 동일하게 부과하고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이 많은 세대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이 적은 세대 간의 요금 차가 발생되지 않고 동일하게 부과하고 있는 것이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더불어, 이렇게 수거되는 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에, 처리시 수분제거와 동시에 파쇄한 후 배출되어야지만 환경오염에 문제가 되지 않고 건조된 고형연료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악취 또한 대기오염에 문제가 될 수 있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와 함께 수분제거 및 탈취를 연속적이며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물로 배출하고 배출되는 수증기는 청정공기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종량제 봉투를 봉투채 연속적으로 투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시켜 건조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종량제 봉투의 중량을 체크하여, 중량에 따른 정확한 대금을 직접 지불할 수 있도록 하며, 중량 및 대금정보 등은 구청 등의 처리기간으로 송신이 되도록 RFID를 적용하되, 연속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에는 각 종량제 봉투의 중량을 적산하는 기능 또한 구비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는 다수번에 걸친 다양한 수단의 탈취수단을 통해 청정공기로 배출시켜 환경오염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한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하기 위한 파쇄건조부(1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전, 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저장되는 중량 및 대금지불정보를 처리기관에 송신하는 RFID부(20); 상기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건조부(10)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위한 연속식 투입수단(3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악취수증기의 분진, 수분을 제거하는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분진 및 수분이 제거된 악취수증기를 탈취하는 탈취부(50);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건조가 완료시 건조물이 배출되는 건조물 배출부(60);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담은 채 처리할 수 있되, 연속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따른 정확한 대금을 청구/지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처리기관에 송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파쇄건조하여 건조물 형태로 배출하여 선별 후 사료 및 퇴비로 활용 가능하기도 하고, 고형연료 등으로 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 수증기는 다양한 탈취수단으로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탈취되어 청정공기로 배기되기에, 환경오염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물이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자동배출하는 슬라이딩 도중 완전히 배출되지 못한 잔여 건조물을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올려놓는 개폐부가, 개방은 자동이되 닫힘은 수동동작되도록 하여, 개폐부의 자동닫힘으로 인해 개폐부에 사용자의 손이 끼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외부관체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순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물 배출부의 개폐도어 개방동작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잔여물 배출판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의 분진제거, 수분제거, 탈취의 공정순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하기 위한 파쇄건조부(10); 기 파쇄건조부(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전, 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저장되는 중량 및 대금지불정보를 처리기관에 송신하는 RFID부(20); 기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건조부(10)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투하하기 위한 투입수단(30); 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악취수증기의 분진, 수분을 제거하는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 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분진 및 수분이 제거된 악취수증기를 탈취하는 탈취부(50);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건조가 완료시 건조물이 배출되는 건조물 배출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부(20)는 상기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장치(21); 중량 및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2);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서 측정된 중량에 따른 대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리더기(23); 상기 중량, 대금지불정보를 저장하고 처리기관에 송신하는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 연속적으로 올려지는 다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중량을 적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수단(30)은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개구되어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하되도록 하는 메인 투입구(31); 상기 메인 투입구(31)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되, 일면에 사전 투입구(32)를 형성하는 투입부(33); 상기 투입부(33)를 향해 전, 후 이동가능토록 상기 RFID부(20)의 중량측정장치(21) 상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투입부(33)로 진입시키는 푸싱장치(34); 상기 투입부(33)에 설치되어 사전 투입구(32)가 개방시 투입부(33) 내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3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투입구(31)에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낙하도어(3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수단(30)은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부(33) 및 푸싱장치(34)가 내설되는 외부관체(36); 상기 외부관체(36)의 일면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푸싱장치(34)의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되, 사용자가 ID카드를 RFID부(20)에 인식할 때는 자동 오픈되고, 닫힘은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개폐부(37); 상기 메인 개폐부(37)가 수동조작으로 닫혔을 시, 상기 메인 개폐부(37)가 열리지 않도록 메인 개폐부(37)를 외부관체(36)에 자동고정시키는 락킹장치(38);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는 상기 파쇄건조부(10)에 내설되어, 음식물 파쇄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 내 분진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필터(41); 상기 파쇄건조부(10) 외부에 설치되어, 1차 필터(41)를 통과한 악취수증기 내 분진을 2차로 제거하는 2차 필터(42); 상기 2차 필터(42)를 거친 악취수증기를 공랭시켜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기유입식 응축기(4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를 거친 악취수증기 내 악취성분을 오존산화시켜 1차로 탈취하는 오존발생장치(51); 상기 오존발생장치(51)를 거친 악취수증기를 가열하여 잔여수분 제거 및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2차로 탈취하는 열산화장치(53); 상기 열산화장치(53)를 거친 악취수증기의 악취성분을 촉매산화시켜 3차로 탈취하는 촉매산화장치(54); 상기 촉매산화장치(54)를 거친 청정수증기의 열을, 상기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악취수증기의 사전가열에 사용되도록 열교환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열교환장치(5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열산화장치(53) 및 촉매산화장치(54)의 구동 off시(냉각시) 발생되는 잔여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촉매산화장치(54) 후단에 설치되어 수증기의 악취성분을 열산화시키는 부가 열산화장치(56);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를 거쳐 유입되는 수증기의 일부를 파쇄건조부(10) 내로 재순환하여 파쇄건조부(10)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로 사용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물의 배출여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건조물 배출부(60)의 개폐 및 파쇄건조부(10)의 작동유무를 조절하는 제어부(16);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물 배출부(60)는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 형성된 건조물 배출구(61);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의 하단에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건조물 슬라이딩판(62);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작동수단(63); 상기 제 1작동수단(6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작동수단(63)의 상, 하 작동에 의해 건조물 배출구(61)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도어(64);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에 대응접촉되는 개폐도어(64)의 일면에 형성되는 실링부(65);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서 건조물 배출구(61) 및 개폐도어(64)를 내설하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확인도어(67)가 설치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을 통해 하강배출된 음식물 건조물이 처리마대에 담겨지도록 하는 보호관체(6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물 배출부(60)는 상기 보호관체(66)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작동수단(68); 상기 제 2작동수단(68)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보호관체(66)에 내설되되,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의 상면에 접촉되어 좌, 우 이동되는 잔여물 처리판(69);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는 파쇄건조부(10), RFID부(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20), 투입수단(30),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 탈취부(50), 건조물 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건조부(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1) 내에 음식물 쓰레기로 채워져 있는 종량제 봉투(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W)'라 칭함.)가 투입되는 건조기 내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건조기 내통(12) 내부에는 다수의 파쇄날을 돌출형성하여 구동수단(ex: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파쇄수단(13)을 형성하고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하되도록 하는 메인 투입구(3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파쇄건조부(10)의 하우징(11) 내부에는 다양한 열매체유(14)가 채워지도록 하여, 상기 건조기 내통(12)의 일부가 열매체유(14)에 담궈지도록 하고, 상기 열매체유(14)는 다양한 가열수단(ex: 전기 히터 등, 15)에 의해 가열되어 결과적으로 파쇄건조부(10)의 건조기 내통(12) 내에서 파쇄수단(13)에 의해 파쇄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열매체유(14)의 열에 의해 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파쇄건조부(10)는 건조기 내통(12) 내부에 투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한 후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파쇄건조부(10)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건조물 배출부(60)가 후술될 제 1작동수단(63)에 의해 개방되어 음식물 건조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어, 제 2작동수단(68)이 작동되어 잔여물 처리판(69)이 건조물 슬라이딩판(62)에서 하강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잔여 건조물들을 하강시켜 마져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정면에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물의 외부 배출유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6)가 구비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해, 건조물 형태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건조는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파쇄 및 건조작업이 시행된 후,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건조물 배출부(60)가 오픈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제어부(16)를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건조를 사전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어부(16)를 통해 건조물 배출부(60)의 개폐(제 1작동수단(63)을 작동시킴) 또한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이러한, 상기 건조물 배출부(60)의 자세한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RFID부(20)는 전술된 파쇄건조부(10)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전, 종량제 봉투 내부에 채워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정보와 함께 사전설정된 중량에 맞는 대금지불정보를 처리기관(ex: 구청 등)에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RFID부(20)는 중량측정장치(ex: 저울 등, 21), 디스플레이부(22), 리더기(23),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측정장치(21)는 전술된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처분하기 위한(파쇄건조시키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담아 올려놓는 곳이다.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올려놓게 되면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서는 그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을 후술될 디스플레이부(22) 또는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중량측정장치(21)에서 측정된 중량이 표시되며, 상기 측정된 중량에 따라 지불해야할 금액을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로부터 전송받아 대금지불정보 또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ex: 800g, 150원 등)하는 곳으로, 중량측정장치(21) 근처에 위치되도록 파쇄건조부(10)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리더기(23)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중량과 금액을 확인하면, 다양한 결제수단(교통카드, 직불카드, 신용카드 등)을 인식하여 대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곳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이다.
상기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는 중량측정장치(21)로부터 전송된 중량에 맞춰 사용자가 해당 중량을 처리하기 위해 지불해야할 금액을 계산한 후, 측정된 중량 및 대금지불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곳으로, 이러한 중량 및 대금지불정보(측정한 중량, 측정된 중량에 따른 금액 및 사용자가 대금을 지불했는지의 유무 등) 등을 처리기관(ex: 구청 등)에 무선 및 유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상기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를 통해 리더기(23)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대금지불)이 지불되면 후술될 투입수단(30)이 작동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건조부(10)로 투입시켜 파쇄 및 건조작업을 시행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2), 리더기(23),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량측정장치(21), 디스플레이부(22), 리더기(23),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는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더기(23) 외에 지폐 및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지불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RFID부(20)는 연속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적산(합산)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한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건조시, 한 사용자가 처리한 중량 및 대금지불금액 등을 적산하여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파쇄건조부(10)를 사용해 파쇄/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총 중량을 합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RFID부(20)에는 중량 및 대금지불금액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가 음성으로 지원되는 음성발생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이다.
상기 투입수단(30)은 전술된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투하하기 전, 상기 RFID부(20)를 통해 대금지불이 완료되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건조부(10)의 하우징(11) 상면에 개구된 메인 투입구(31)를 통해 건조기 내통(12) 내부에 투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투입수단(30)은 메인 투입구(31), 투입부(33), 푸싱장치(34), 공기 흡입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투입구(31)는 전술된 바와 같이, 파쇄건조부(10)의 건조기 내통(12) 상면에 개구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 내통(12)에 투하되도록 하는 곳이다.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메인 투입구(31)에 자동개폐가 가능한 낙하도어(31a)를 설치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투입부(33)는 전술된 메인 투입구(3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11)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이러한 투입부(33)의 일면에는 투입부(33)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사전 투입구(32)가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음식물 쓰레기가 사전 투입구(32)를 통해 우선적으로 투입부(33)에 진입되도록 한 후 사전 투입구(32)가 닫히면, 투입부(33)의 저면에 개구된 메인 투입구(3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되거나, 또는 메인 투입구(31)에 낙하도어(31a)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닫혀있던 낙하도어(31a)가 오픈(open)되면서 투입부(33) 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2중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푸싱장치(34)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 등을 통해 전술된 중량측정장치(21)의 상부에서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량측정장치(21)를 통해 중량이 측정되고,(도 3의 (A)) 후술될 RFID부(20)에서 사용자가 대금을 지불하게 되면,(도 3의 (B)) 상기 푸싱장치(34)는 중량측정장치(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중량측정장치(21)에 올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사전 투입구(32)를 밀면서 투입부(33)의 내부로 밀어넣게 된다.(도 4의 (C)) 이때, 상기 사전 투입구(32)는 상부가 투입부(33)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푸싱장치(34)에 의해 투입부(33)로 진입되는(밀려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열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33)로 완전 내입되면 힌지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투입부(33)를 밀폐하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전 투입구(32)의 형태 및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공기 흡입부(35)는 전술된 투입부(33)의 사전 투입구(32)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푸싱장치(34)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사전 투입구(32) 측으로 이동시, 진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사전 투입구(32)를 밀어, 사전 투입구(32)가 열림과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33)에 완전 내입되어 사전 투입구(32)가 힌지를 통해 닫힐때까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서는 푸싱장치(34)가 작동함과 동시에 공기 흡입부(35)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즉, 상기 공기 흡입부(35)는 사전 투입구(32)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진입으로 사전 투입구(32)가 개방시 건조기 내통(12) 내부에서 상승되어 투입부(33)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음식물 관련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1차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투입수단(30)의 역할을 다시 살펴보면, 사용자가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중량측정장치(21)에 올려놓아 중량을 측정하고 대금을 지불하게 되면, 상기 푸싱장치(34)가 중량측정장치(21) 상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부(33) 측으로 밀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기 흡입부(35)가 작동되어 투입부(33)의 사전 투입구(32)가 개방될 시 투입부(33) 내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푸싱장치(34)의 전진 작동을 통해 투입부(33)로 완전히 진입되면 사전 투입구(32)는 밀폐(10초 이내)되면서 공기 흡입부(35) 또한 작동을 멈추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전진시켰던 푸싱장치(34) 또한 원상태로 원위치되며 중량측정장치(21) 및 후술될 중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 또한 0점으로 되돌아 온다.(도 4의 (D) 및 (E))(이때, 후술될 탈취부(50)는 계속해서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다). 이후, 상기 투입부(33) 하단의 메인 투입구(3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투하되고, 투하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함량 10% 이하로 건조되면 내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파쇄건조부(10)의 열공급(전기히터 등) 및 건조 작동은 멈추게 되고, 냉각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메인 투입구(31)가 개방된 상태라도 사전 투입구(32)가 음식물 쓰레기의 진입부분을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기 내통(12) 내부의 악취는 투입부(33) 외부로 배출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33)에 진입시에는 공기 흡입부(35)가 악취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고, 투입부(33) 내 음식물 쓰레기가 메인 투입구(31)를 통해 건조기 내통(12)에 투하될 시에는 사전 투입구(32)에 의해 악취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는, 악취배출의 2차 차단 형태인 것이다.
또한, 상기 파쇄건조부(10) 내 파쇄, 건조, 탈취 작동은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건조부(10)에 투하될 시에는 안전을 위해 운전이 소정시간 정지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투입수단(30)에는 외부관체(36), 메인 개폐부(37), 락킹장치(38)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외부관체(36)는 전술된 투입부(33) 및 푸싱장치(34)가 내설될 수 있도록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메인 개폐부(37)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외부관체(36)는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서 투입부(33) 및 푸싱장치(34)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형태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술된 푸싱장치(34)의 상면(더욱 자세히는 중량측정장치(21) 상면)으로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종량제 봉투를 메인 개폐부(37)를 개방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푸싱장치(34)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종량제 봉투가 투입부(33)에 투입되기 전,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 의해 중량을 측정하는 순간에도 외부관체(36)에 의해 외부로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 종량제 봉투가 올려졌을 시, 중량측정장치(21)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종량제 봉투가 이탈되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상기 메인 개폐부(37)는 외부관체(36)의 일면(더욱 자세히는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사전에 사용자에게 배분된 ID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RFID부(20)의 리더기(23)에 인식을 시키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관체(36) 내 중량측정장치(21)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중량측정장치(21)에 올려놓은 후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메인 개폐부(37)를 닫는 수동방식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메인 개폐부(37)를 수동으로 닫히게 구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중량측정장치(21)에 올려놓기도 전에 메인 개폐부(37)가 닫히거나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중량측정장치(21)에 올려놓는 도중 닫혀 사용자의 손이 메인 개폐부(37)에 끼는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개폐부(37)에는 투명창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 개폐부(37)가 닫혔을 시, 외부관체(36)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푸싱장치(34)에 의해 투입부(33)로 이동이 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토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락킹장치(38)는 메인 개폐부(37)가 닫힐 시 메인 개폐부(37)가 접촉되는 외부관체(36) 측면에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메인 개폐부(37)를 닫았을 시, 닫혀진 메인 개폐부(37)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메인 개폐부(37)가 닫혀져 있던 상태에서 새로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ID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RFID부(20)의 리더기(23)에 인식을 시키면, 상기 락킹장치(38)는 RFID부(20)의 제어신호를 받아 락킹이 풀리면서 메인 개폐부(37)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는 전술된 파쇄건조부(10)의 건조기 내통(12)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하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및 건조될 시, 파쇄 및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 분진과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는 1차 필터(41), 2차 필터(42), 공기유입식 응축기(43)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필터(41)는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및 건조되는 건조기 내통(12) 내부 상부측에 설치되어, 파쇄/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의 분진을 1차적으로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2차 필터(42)는 전술된 하우징(11)에서 건조기 내통(12)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1차 필터(41)를 거친 악취수증기의 분진을 2차로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유입식 응축기(43)는 건조기 내통(12)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1, 2차 필터(42)(41, 42)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분진이 여과된 악취수증기를 공랭시켜 응축시킴으로써 악취수증기 내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응축된 악취수증기의 응축수는 활성탄 및 바이오필터존으로 이루어진 응축수 처리기(44)를 통해 처리되어 깨끗한 응축수 형태로 외부에 배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 탈취부(50)는 전술된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를 거치며 분진과 수분이 제거된 악취수증기를 탈취하여 외부로 배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탈취부(50)는 건조기 내통(12)의 외부에 설치되되, 오존발생장치(51), 열산화장치(53), 촉매산화장치(54), 열교환장치(55)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발생장치(51)는 전술된 공기유입식 응축기(43)를 거친 악취수증기의 악취성분을 1차로 탈취하는 것으로, 상기 오존발생장치(51)는 악취수증기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오존산화시켜 1차로 탈취하는 것이다.
상기 열산화장치(53)는 전술된 오존발생장치(51)를 거쳐 1차 탈취가 된 악취수증기를 블로워(ex: Blower, Fan, 52)를 통해 전달받는 곳으로, 악취수증기를 가열하여, 악취수증기 내에 잔여하고 있는 수분을 마져 증발시키고,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2차로 탈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산화장치(53)로 550℃ 이상으로 악취수증기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산화장치(54)는 전술된 열산화장치(53)를 통해 2차 탈취가 된 악취수증기를 3차로 탈취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열산화장치(53)를 통해 유동된 악취수증기를 다양한 촉매(ex: 금속 및 귀금속 촉매(Pt))를 이용하여 촉매산화시켜 3차로 탈취함으로써, 악취수증기가 오존발생장치(51), 열산화장치(53), 촉매산화장치(54)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청정수증기로 탈취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55)는 전술된 오존발생장치(51), 열산화장치(53), 촉매산화장치(54)를 통해 3차까지 탈취된 청정수증기가 배기 전 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악취수증기는 열산화장치(53)를 거칠 시 약 550℃ 이상의 온도를 가지게 되고, 촉매산화장치(54)를 통과 후에는 200~250℃ 이상의 온도를 가진 상태로 청정수증기가 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상기 열교환장치(55)를 청정수증기를 배출하는 촉매산화장치(54) 후단과 악취수증기가 유입되는 열산화장치(53) 전단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촉매산화부를 거친 고온의 청정수증기를, 오존발생장치(51)를 거쳐 블로워(52)를 통해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약 90℃ 정도의 악취수증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촉매산화부를 거치며 고온상태의 청정수증기는 악취수증기를 가열 후 온도가 낮아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악취수증기는 청정수증기의 열로 인해 사전예열되어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됨으로써, 열산화장치(53)가 무리하게 작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열산화장치(53)가 시동이 막 시작된 일정시간 동안에는 악취수증기의 가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탈취부(50)에는 촉매산화장치(54)와 열교환장치(55) 사이에 부가 열산화장치(56)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악취수증기가 촉매산화장치(54)까지 3차에 걸쳐 탈취되면, 구동되던 열산화장치(53)와 촉매산화장치(54)가 정지되면서 쿨링작동이 시행되게 되는데, 악취수증기가 이동한 열산화장치(53)와 촉매산화장치(54)에 쿨링작업이 시행되면 각 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악취가 촉매산화장치(54) 후단에서 청정수증기를 배출하는 배관까지 이동되어 악취를 발생할 수 있기에, 이렇듯 열산화장치(53)와 촉매산화장치(54)가 구동 후 쿨링공정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배기되는 수증기에 악취가 나지 않도록 총 3종류의(오존발생장치(51), 열산화장치(53), 촉매산화장치(54))의 1차수단 외에 부가적인 2차 수단(부가 열산화장치(56))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탈취부(50)의 구성 중 분진 및 수분이 제거되고 오존발생장치(51)를 통해 1차로 탈취되어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수증기의 일부를 파쇄건조부(10)의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유입시켜 재순환시키는 바이패스 라인(70)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분진 및 수분이 제거되고 1차로 탈취되어 비교적 깨끗하고, 열교환장치(55)를 통해 예열된 수증기를 파쇄건조부(10)의 건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수증기의 일부를 리턴시켰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열산화장치(53)를 거친 수증기 또는 촉매산화장치(54)를 거친 수증기를 리턴시키도록 바이패스 라인(70)을 변경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건조물 배출부(60)에 전술된 바와 같이 파쇄건조부(10)를 통해 파쇄/건조된 음식물 건조물이 파쇄건조부(10)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서, 건조물 배출구(61), 건조물 슬라이딩판(62), 제 1작동수단(63), 개폐도어(64), 실링부(65), 보호관체(66), 제 2작동수단(68), 잔여물 처리판(6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물 배출구(61)는 전술된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파쇄건조부(10)의 건조기 내통(12) 내에서 파쇄/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은 전술된 건조물 배출구(61)의 하단에 하향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건조물 배출구(61)로부터 배출되는 건조물이 건조물 슬라이딩판(62) 상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하강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작동수단(63)은 건조물 배출구(6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 수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는 실린더(63a)와, 상기 실린더(63a)의 일단에서 실린더(63a) 외부로 토출되거나 내부로 내입되는 피스톤(63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 1작동수단(63)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작동수단(6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구동펌프, 전원장치(배터리 등)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비나 눈, 외부 이물질 등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작동수단(63)을 감싸는 커버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음이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될 제 2작동수단(68)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개폐도어(64)는 전술된 제 1작동수단(63)의 일단부에 결합(더욱 자세히는 제 1작동수단(63)의 피스톤(63b)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작동수단(63)의 피스톤(63b)이 상, 하 이동되는 작동을 통해, 상기 개폐도어(64)가 건조물 배출구(61)로 밀려 건조물 배출구(61)를 밀폐하거나 또는 건조물 배출구(61)에서 상부로 들리면서 건조물 배출구(61)를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도어(64)는 상면이 제 1작동수단(63)(제 1작동수단(63)의 피스톤(63b))과 힌지결합되어 있고, 전단 측면이 건조물 배출구(61)의 상단측에서 파쇄건조부(10)의 하우징(1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작동수단(63)(더욱 자세히는 제 1작동수단(63)의 피스톤(63b))이 하강하면, 상기 개폐도어(64)는 하우징(11)과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건조물 배출구(61)에 대응접촉되어 건조물 배출구(61)를 밀폐하고, 상기 제 1작동수단(63) 내 피스톤(63b)이 상승하면, 상기 개폐도어(64)의 하우징(11)과 힌지결합된 부분이 회전하면서 개폐도어(64)의 전단이 들리면서 건조물 배출구(61)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65)는 전술된 개폐도어(64)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도어(64)의 일면이라 함은 건조물 배출구(61)가 개폐도어(64)에 의해 닫혔을 시, 개폐도어(64)가 건조물 배출구(61)에 대응되어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로써, 건조물 배출구(61)를 개폐도어(64)가 닫았을 시, 건조물 배출구(61)와 개폐도어(64)의 접촉부위 주변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링부(65)로는 고무, 실리콘 등 실링(Sealing)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보호관체(66)는 파쇄건조부의 전면(앞면)에 설치되어, 건조물 배출구(61) 및 슬라이딩판(62), 개폐도어(64) 등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으로, 상기의 건조물 배출구(61) 및 슬라이딩판(62), 개폐도어(64)를 비롯하여, 후술될 잔여물 처리판(69) 또한 상기 보호관체(66) 내에 내설되어 보호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호관체(66)는 하단이 개구되도록 한 후, 개구된 보호관체(66)의 하단에 처리마대(ex: 음식물 건조물을 담기 위한 통)를 설치하여, 상기 건조물 배출구(61)로부터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을 통해 하향배출되는 음식물 건조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처리마대가 가득차면, 비어 있는 새로운 처리마대로 대체하여 설치하고 가득차 있는 처리마대를 수거해가면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보호관체(66)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확인도어(67)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확인도어(67)를 열어 보호관체(66)의 내부를 확인하거나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작동수단(68)은 보호관체(66)의 일측에서 파쇄건조부(10)의 하우징(11)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작동수단(63)과 마찬가지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일단에서 외부로 토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을 통해 후술될 잔여물 처리판(69)을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잔여물 처리판(69)은 전술된 제 2작동수단(68)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제 2작동수단(68)에서 좌, 우로 이동가능한 피스톤에 결합된다. 이러한 잔여물 처리판(69)은 제 2작동수단(68)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보호관체(66)에 내설되되, 하단이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 2작동수단(68)의 구동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 상면에서 하향배출되지 않고 남아있거나 고착되어 있는 음식물 건조물 등을 긁어내면서 일측으로 밀어,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 하단(더욱 자세히는 보호관체(66)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는 처리마대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악취수증기 등이 필터 및 전술된 다양한 탈취부 내 구성 등을 이동하도록, 상호간의 구성들을 배관으로 연결시켜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구동이 되어야 하는 다양한 장치( 가열수단(15), 메인 개폐부(37), 락킹부(38), 블로워(52), 공기유입식 응축기(43) 등)들은 각각 전원공급수단(ex: 배터리 등)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제 1작동수단(63)은 파쇄건조부(1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건조가 완료시 구동되어, 건조물 배출구(61)가 개방되면서 건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제 1작동수단(61) 및 제 2작동수단(68)은 제어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조작이 가능토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파쇄건조부 11: 하우징
12: 건조기 내통 13: 파쇄수단
14: 열매체유 15: 가열수단
16: 제어부 20: RFID부
21: 중량측정장치 22: 디스플레이부
23: 리더기 24: RFID 컴퓨터 저장 및 전송장치
30: 투입수단 31: 메인 투입구
31a: 낙하도어 32: 사전 투입구
33: 투입부 34: 푸싱장치
35: 공기 흡입부 36: 외부관체
37: 메인 개폐부 38: 락킹장치
40: 악취 및 수분 제거부 41: 1차 필터
42: 2차 필터 43: 공기유입식 응축기
44: 응축수 처리기 50: 탈취부
51: 오존발생장치 52: 블로워
53: 열산화장치 54: 촉매산화장치
55: 열교환장치 56: 부가 열산화장치
60: 건조물 배출부 61: 건조물 배출구
62: 건조물 슬라이딩판 63: 제 1작동수단
64: 개폐도어 65: 실링부
66: 보호관체 67: 확인도어
68: 제 2작동수단 69: 잔여물 처리판
70: 바이패스 라인

Claims (12)

  1.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및 건조하기 위한 파쇄건조부(1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전, 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저장되는 중량 및 대금지불정보를 처리기관에 송신하는 RFID부(20);
    상기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건조부(10)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기 위한 투입수단(3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악취수증기의 분진, 수분을 제거하는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
    상기 파쇄건조부(10)에 설치되어 분진 및 수분이 제거된 악취수증기를 탈취하는 탈취부(50);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 및 건조가 완료시 건조물이 배출되는 건조물 배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부(20)는
    상기 파쇄건조부(10) 상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장치(21);
    중량 및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22);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서 측정된 중량에 따른 대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리더기(23);
    상기 중량, 대금지불정보를 저장하고 처리기관에 송신하는 RFID 컴퓨터저장 및 전송장치(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측정장치(21)에 연속적으로 올려지는 다수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중량을 적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30)은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개구되어 건조기 내통(12)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하되도록 하는 메인 투입구(31);
    상기 메인 투입구(31)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되, 일면에 사전 투입구(32)를 형성하는 투입부(33);
    상기 투입부(33)를 향해 전, 후 이동가능토록 상기 RFID부(20)의 중량측정장치(21) 상면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투입부(33)로 진입시키는 푸싱장치(34);
    상기 투입부(33)에 설치되어 사전 투입구(32)가 개방시 투입부(33) 내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3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투입구(31)에는 자동개폐가 가능한 낙하도어(3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30)은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부(33) 및 푸싱장치(34)가 내설되는 외부관체(36);
    상기 외부관체(36)의 일면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푸싱장치(34)의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되, 사용자가 ID카드를 RFID부(20)에 인식할 때는 자동 오픈되고, 닫힘은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개폐부(37);
    상기 메인 개폐부(37)가 수동조작으로 닫혔을 시, 상기 메인 개폐부(37)가 열리지 않도록 메인 개폐부(37)를 외부관체(36)에 자동고정시키는 락킹장치(38);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는
    상기 파쇄건조부(10)에 내설되어, 음식물 파쇄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수증기 내 분진을 1차로 제거하는 1차 필터(41);
    상기 파쇄건조부(10) 외부에 설치되어, 1차 필터(41)를 통과한 악취수증기 내 분진을 2차로 제거하는 2차 필터(42);
    상기 2차 필터(42)를 거친 악취수증기를 공랭시켜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기유입식 응축기(4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를 거친 악취수증기 내 악취성분을 오존산화시켜 1차로 탈취하는 오존발생장치(51);
    상기 오존발생장치(51)를 거친 악취수증기를 가열하여 잔여수분 제거 및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2차로 탈취하는 열산화장치(53);
    상기 열산화장치(53)를 거친 악취수증기의 악취성분을 촉매산화시켜 3차로 탈취하는 촉매산화장치(54);
    상기 촉매산화장치(54)를 거친 청정수증기의 열을, 상기 열산화장치(53)로 유입되는 악취수증기의 사전가열에 사용되도록 열교환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열교환장치(5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열산화장치(53) 및 촉매산화장치(54)의 구동 off시 발생되는 잔여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촉매산화장치(54) 후단에 설치되어 수증기의 악취성분을 열산화시키는 부가 열산화장치(56);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50)는
    상기 분진 및 수분 제거부(40)를 거쳐 유입되는 수증기의 일부를 파쇄건조부(10) 내로 재순환하여 파쇄건조부(10)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로 사용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의 배출여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건조물 배출부(60)의 개폐 및 파쇄건조부(10)의 작동유무를 조절하는 제어부(16);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 배출부(60)는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 형성된 건조물 배출구(61);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의 하단에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건조물 슬라이딩판(62);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작동수단(63);
    상기 제 1작동수단(6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작동수단(63)의 상, 하 작동에 의해 건조물 배출구(61)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도어(64);
    상기 건조물 배출구(61)에 대응접촉되는 개폐도어(64)의 일면에 형성되는 실링부(65);
    상기 파쇄건조부(10)의 전면에서 건조물 배출구(61) 및 개폐도어(64)를 내설하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확인도어(67)가 설치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을 통해 하강배출된 음식물 건조물이 처리마대에 담겨지도록 하는 보호관체(6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 배출부(60)는
    상기 보호관체(66)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작동수단(68);
    상기 제 2작동수단(68)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보호관체(66)에 내설되되, 상기 건조물 슬라이딩판(62)의 상면에 접촉되어 좌, 우 이동되는 잔여물 처리판(69);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20110119241A 2011-11-16 2011-11-16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128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41A KR101286740B1 (ko) 2011-11-16 2011-11-16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41A KR101286740B1 (ko) 2011-11-16 2011-11-16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82A true KR20130053682A (ko) 2013-05-24
KR101286740B1 KR101286740B1 (ko) 2013-07-16

Family

ID=4866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241A KR101286740B1 (ko) 2011-11-16 2011-11-16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2417A1 (en) 2014-04-21 2015-10-29 Winnow Solutions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waste
KR20150143121A (ko) 2014-06-13 2015-12-23 오병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장비의 관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0420722A (zh) * 2019-07-31 2019-11-08 崔建霞 一种湿垃圾处理系统
KR102619398B1 (ko) * 2023-03-06 2023-12-29 주식회사 미래환경 열교환 및 오존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401B1 (ko) * 2021-06-08 2023-03-14 주식회사 기산하이텍 음식물 쓰레기 감량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289A (ko) * 1999-02-02 1999-07-05 이헌필 음식물쓰레기의자원화방법
KR20100043807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2417A1 (en) 2014-04-21 2015-10-29 Winnow Solutions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waste
EP3198245B1 (en) * 2014-04-21 2020-12-09 Winnow Solutions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waste
US11062619B2 (en) 2014-04-21 2021-07-13 Winnow Solu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waste from a plurality of consecutive disposal events
US11854419B2 (en) 2014-04-21 2023-12-26 Winnow Solu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waste
KR20150143121A (ko) 2014-06-13 2015-12-23 오병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장비의 관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0420722A (zh) * 2019-07-31 2019-11-08 崔建霞 一种湿垃圾处理系统
CN110420722B (zh) * 2019-07-31 2021-08-17 刘明 一种湿垃圾处理系统
KR102619398B1 (ko) * 2023-03-06 2023-12-29 주식회사 미래환경 열교환 및 오존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740B1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740B1 (ko)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2397021B1 (ko)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KR20048291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101155269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10139854A (ko) 공동주택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7014851U (zh) 一种多功能纸箱自助回收装置
CN107073143A (zh) 用于处理医疗废物的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765139B1 (ko) 볼밸브를 이용한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종량 투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149076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1469817B1 (ko) 무인조작 공동주택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123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93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20150104752A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연속건조 감량방법 및 장치
KR101548942B1 (ko)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한 밀폐형 응축시스템
KR101702591B1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20080066900A (ko) 공동 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2008264715A (ja) 生ゴミ処理機
KR101880698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1465004B1 (ko)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2014003964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