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30B1 -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30B1
KR101371230B1 KR1020130109595A KR20130109595A KR101371230B1 KR 101371230 B1 KR101371230 B1 KR 101371230B1 KR 1020130109595 A KR1020130109595 A KR 1020130109595A KR 20130109595 A KR20130109595 A KR 20130109595A KR 101371230 B1 KR101371230 B1 KR 10137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llection device
waste collection
equip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한성
Original Assignee
(주)솔루션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루션아이티 filed Critical (주)솔루션아이티
Priority to KR102013010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6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1Ventilating means, e.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장비운용시점별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함과,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며, 수거함에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연통배관과, 공기연통배관에 일측이 삽입되어 마련되며,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공기연통배관에 가열공기 또는 냉각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전소자 모듈과,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 또는 가열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동작시켜 수거함 내부에 마련된 음식물쓰레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수거함 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부패되거나 음식물이 얼어 회수를 불가능하게 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내부의 온도 관리가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쓰레기 중 생활쓰레기는 지속적인 계도 및 계몽으로 분리수거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는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리 방법과 처리 비용의 해결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대한 정책으로 배출자가 배출한 양만큼 수거 및 처리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가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를 이용한 배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가득 찰 때까지 실내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되고 오염된 침출수가 생성되어 실내에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거를 위한 배출시 야간에 동물들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훼손되고, 이로 인해 수거업체에 의한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방치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에 몇몇 행정기관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의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용기를 보급하여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를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수거업체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량을 부풀려 시, 군, 구청의 해당 관리기관에 보고할 때, 해당 관리기관에서는 이를 검수 및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수거업체로부터 계근, 보고되는 양에 따라 수거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지급되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 쓰레기의 종량제 실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종량제 실시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여름에 음식물이 부패하여 악취 및 구더기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으며, 겨울에는 수거함 내에서 음식물이 얼어 처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음식이 부패되거나 냉동되어 처리가 어렵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장비 운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에 마련된 열전소자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동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하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에 마련된 열전소자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 또는 가열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내부에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연통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에 포함된 열전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공기연통배관을 통해 상기 수거함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에 포함된 열전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공기연통배관을 통해 상기 수거함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함;과,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거함에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연통배관;과, 상기 공기연통배관에 일측이 삽입되어 마련되며,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연통배관에 가열공기 또는 냉각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전소자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 또는 가열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동작시켜 상기 수거함 내부에 마련된 음식물쓰레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연통배관은 일측이 상기 수거함의 상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차단되어 공기가 상기 수거함의 상면으로만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일측은 상기 공기연통배관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외부로 공기를 내보낼 수 있도록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수거함 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가 부패되거나 음식물이 얼어 회수를 불가능하게 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 포함되는 열전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 통합 관리 서버(200) 및 정산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고,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종량제 요금을 책정하고 자동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카드 리더기와 키패드를 부착할 수 있고, 이들을 통해 획득된 배출자 카드 정보 또는 배출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배출자의 쓰레기 배출 권한을 확인한 후, 배출구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배출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량을 계근하여 요금을 책정한 후, 이들을 통해 획득된 배출자 카드 정보와 결제 요금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200)에 전달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가 정산 서버(300)와 상호 연동하여, 쓰레기량에 기반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결제 결과를 배출자에게 통보해줌으로써, 배출자가 이에 따른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결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면, 배출자는 쓰레기 배출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나, 결제 동작이 실패하였으면, 배출자는 결제 작업을 다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배출자 각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및 유지 관리하면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와 정산 서버(300) 간 데이터 흐름을 관장하면서 음식물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배출자 데이터베이스는 배출자 각각에 대해 생성되며, 배출자 각각의 마스터 카드 정보, 서브 카드 정보, 배출자 정보, 잔액, 미결제액, 미결제 횟수 등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게이트웨이서버 기능을 담당하거나 미납자를 포함하는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블랙리스트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산 서버(300)는 통합 관리 서버(200)의 요청하에 쓰레기량에 기반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배출자 카드의 요금 결제 방식에 따라 요금 처리 절차가 서로 상이해질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 포함되는 열전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의 상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내측으로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15), 투입구(115)의 상단에 위치되어 투입구(115)를 개폐시키기 위한 차단커버(120)가 마련되고, 내측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130)이 장착되며, 수거함(130)의 인출을 위한 도어(125)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25)는 본체(110)의 정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내측을 개폐시키도록 하고, 일측에 열쇠 등에 의해 잠금이 가능하도록 도어락(135)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정면 일측에는 수거함(130)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거비용을 사용자가 결제수단, 예컨데, 신용카드, 체크카드, 포인트카드, 후불카드, 동전이나 지폐 등을 통해서 결제할 수 있는 결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부(140)는 아파트 입주자임을 나타내는 RFID 카드를 인식하는 RFID 인식단말기가 사용됨으로써 관리비에 후불로 청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호수 및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아파트 입주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키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결제부(140)는 상술한 수단 외에 다양한 결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결제부(140)는 일예로, 본체(110)의 정면에 마련됨과 아울러 노출되는 면에 카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인식부를 가질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일측에는 열전소자 모듈(150), 공기연통배관(160) 및 온도센서(170)가 마련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150)은 열전소자(151), 열전달 성능이 좋은 금속이나 기타 재료로 구성되는 히트싱크(152), 제1팬(153), 열전달 성능이 좋은 금속이나 기타 재료로 구성되는 냉각싱크(154) 및 제2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151)는 미도시된 전류공급장치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면, 일면은 발열을 하고 일면은 흡열을 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발열면에 히트싱크(152)를 설치하고, 흡열면에 냉각싱크(154)를 설치하면 외부의 에너지가 냉각싱크(154)를 통하여 흡수되고, 흡수된 에너지는 히트싱크(152)를 통해 발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히트싱크(152)를 본체(115)의 통풍구(156)가 형성된 외면에 인접하게 형성하면, 공기연통배관(160)을 거쳐 냉각싱크(154)를 통해 전달되는 에너지가 히트싱크(152)를 통하여 발산할 수 있게 된다.
열전소자(151)는 직류전기의 +(플러스)로 대전된 측에서는 발열이, -(마이너스)로 대전된 측에서는 흡열이 일어나는데, 흡열된 열은 발열 측으로 전가된다. 따라서, 발열측은 흡열측에서 흡수한 열과 합하여 열을 발산하는 히트펌프의 작용을 하게 되며, 흡열측은 발열측으로 열을 보낼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콜드펌프의 작용을 하게 된다.
열전소자(151)는 제어부(182)에 의한 제어에 의해 전류공급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극이 바뀌면 발열측과 흡열측이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 모듈(150)은 계절에 따라 수거함(130)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히트싱크(152)와 냉각싱크(154)는 서로간에 기능이 바뀌게 된다.
한편, 상술한 열전소자(151)의 동작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동작된다. 펠티어 효과는 일종의 히트 펌핑(heat pumping)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n형 반도체 및 p형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회로에 직류전류를 가해주면, 전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도전자가 이동하고, 이때에 금속전극과 반도체의 접점에서 주위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금속전극으로부터 반도체 내부로 이동하므로 “-”로 대전된 접점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로 대전된 접점에서는 발열이 일어난다. 이를 펠티어 효과라고 칭한다.
공기연통배관(160)은 수거함(130)의 일측에 마련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에 수용된 수거함(130)의 상부로 냉풍 또는 온풍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연통배관(160)에는 열전소자 모듈(15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열전소자 모듈(150)로부터 출력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수거함(130)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온도센서(170)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중량감지부(112), 결제부(140), 온도센서(120), 제어부(182), 메모리부(184), 통신부(186), 디스플레이부(188), 스피커(190), 개폐구동부(192) 및 열전소자 모듈 구동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감지부(112)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거함(130)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도록 한다.
결제부(140)는 상술한 것처럼, 수거함(130)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비용을 사용자가 결제수단을 통해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부(140)는 사용자가 카드를 인식시키거나, 기타 비밀번호 등의 입력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정보를 제어부(182)에 전송한다.
온도센서(170)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수거함(130)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음식물쓰레기의 부패를 막을 수 있다.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면 장비운용시점을 확인한다. 장비운용시점은 계절별 즉,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거나 시간대별로 나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하 편의를 위해 여름과 겨울로 나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장비운용시점이 여름인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정해진 제1기준온도와 현재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다. 제어부(182)는 제1기준온도보다 현재 측정된 온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열전소자모듈(150)을 구동시켜 수거함(130) 내부의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2)는 열전소자모듈(150)에 마련된 열전소자(151)에 일정 극방향의 전류를 인가시켜, 공기연통배관(160)을 통해 냉각된 공기가 제1팬(153)의 동작으로 수거함(1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장비운용시점이 겨울인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정해진 제2기준온도와 현재 측정된 온도를 비교한다. 제어부(182)는 제2기준온도보다 현재 측정된 온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열전소자모듈(150)을 구동시켜 수거함(130) 내부의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2)는 열전소자모듈(150)에 마련된 열전소자(151)에 냉각 기능 시 인가되었던 전극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공기연통배관(160)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제1팬(153)의 동작으로 수거함(1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2)는 결제부(140)에 의한 결제수단의 인식에 따라 개폐구동부(192)의 동작을 제어하고, 중량감지부(112)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수거함(130)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에 따라 산출되는 금액이 결제부(140)에 의해 결제되도록 한다.
제어부(182)는 본체(110)의 외측면, 예컨데 결제부(140)의 카드인식부와 함께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188)의 구동에 의해 동작 상태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본체(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스피커(190)의 구동에 의해 음성으로 사용 방법을 안내하도록 하며, 수거함(130)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하여 수거함(130)의 수거를 중단할 경우 스피커(190)의 구동에 의해 음성 또는 경보음으로 알리도록 한다. 여기서, 수거함(130)의 수거를 중단할 경우에 해당하는 설정된 중량이란 수거함(130)에 음식물쓰레기가 더이상 채워지기 힘든 상태의 수거함 중량을 의미하며,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8)은 개인별 음식물쓰레기의 월배출량, 현재배출량 및 현재 결제금액 등을 LED를 비롯한 그 밖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부(184)는 장비운용시점별로 열전소자모듈(150)을 동작시킬 수 있는 기준온도를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부(184)는 시간대별 기준온도 또는 계절별 기준온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뉠 수 있는 시점 별 기준온도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부(184)는 상술한 장비운용시점별 기준온도와, 해당 기준온도와 매칭되는 장비 운용 기준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84)는 장비운용시점이 여름인 경우, 그에 해당하는 기준온도와, 이 기준온도보다 측정 온도가 높은 경우 열전소자모듈(150)의 냉각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 또 다른 예로, 메모리부(184)는 장비운용시점이 겨울인 경우, 그에 해당하는 기준온도와, 이 기준온도보다 측정 온도가 낮은 경우 열전소자모듈(150)의 가열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준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86)는 통합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을 지원하며, 쓰레기 종량 처리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구동부(192)는 이용자가 결제부(140)를 통해 카드를 인식시키거나,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면 차단 커버(120)를 오픈하고, 이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해당 결제금액을 결제하면 차단 커버(120)를 클로즈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 구동부(194)는 제어부(182)의 제어에 따라 열전소자 모듈(15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 구동부(194)는 미도시된 전류공급장치를 제어하여 열전소자(151)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 구동부(194)는 공급되는 전류의 극을 변경시켜 열전소자 모듈(150)의 냉각 기능과 가열 기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공기연통배관(160) 내로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공기연통배관(160)내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면 장비 운용 시점을 확인한다.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는 상태뿐만 아니라, 그 동작이 진행되는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마다 장비 운용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장비 운용 시점을 2가지의 경우 즉, 여름과 겨울로 나뉜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82)는 장비 운용 시점이 동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 모듈(150)을 작동시켜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함(130) 내에서 얼지 않도록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200,210,220)
제어부(182)는 장비 운용 시점이 하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 모듈(150)을 작동시켜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함(130) 내에서 부패하지 않도록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230,2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82)는 일정 기준에 의해 장비 운용 시점이 동절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82)는 장비 운용 시점 판단 시,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거나, 내부적으로 운용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장비 운용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300)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이하이면, 열전소자 모듈(150)을 동작시켜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82)는 열전소자 모듈(150)을 동작시켜 공기연통배관(160)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310,320,330)
제어부(182)는 계속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초과하면 가열 동작을 정지한다.(340)
한편, 320단계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가열 동작을 미수행한다.(34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제어부(182)는 일정 기준에 의해 장비 운용 시점이 하절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82)는 장비 운용 시점 판단 시,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거나, 내부적으로 운용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장비 운용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400,410)
제어부(18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이상이면, 전열소자 모듈을 동작시켜 냉각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82)는 열전 소자 모듈(150)을 동작시켜 공기연통배관(160)을 통해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420,430)
제어부(182)는 계속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 미만이면 냉각 동작을 정지한다.(440)
한편, 420단계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냉각 동작을 미수행한다.(440)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장비운용시점을 여름과 겨울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설계에 의해 시간대별, 월별, 계절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장비운용시점이 정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시점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열전 소자모듈(150)의 작동되는 시점 및 작동 기능(냉각 기능, 가열 기능)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8)

  1.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에 의해 수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장비 운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에 마련된 열전 소자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동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 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를 가열시키며,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하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 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에 마련된 열전소자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 또는 가열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내부에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연통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에 포함된 열전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공기연통배관을 통해 상기 수거함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에 포함된 열전소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공기연통배관을 통해 상기 수거함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제어방법.
  6.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에 의해 수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수거함;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거함에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연통배관;
    상기 공기연통배관에 일측이 삽입되어 마련되며,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연통배관에 가열공기 또는 냉각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를 공급하는 열전소자 모듈;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냉각 기능 또는 가열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동작시켜 상기 수거함 내부에 마련된 음식물쓰레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장비 운용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동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 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를 가열시키며,
    상기 장비 운용 시점이 하절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온도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장비 운용 시점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열전 소자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통배관은 일측이 상기 수거함의 상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차단되어 공기가 상기 수거함의 상면으로만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일측은 상기 공기연통배관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외부로 공기를 내보낼 수 있도록 본체의 내벽 방향으로 마련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30109595A 2013-09-12 2013-09-12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95A KR101371230B1 (ko) 2013-09-12 2013-09-12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95A KR101371230B1 (ko) 2013-09-12 2013-09-12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30B1 true KR101371230B1 (ko) 2014-03-10

Family

ID=5064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95A KR101371230B1 (ko) 2013-09-12 2013-09-12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785B1 (ko) * 2015-07-06 2016-11-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7916A (ko) * 2016-11-01 2018-05-10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7435B1 (ko) * 2018-03-12 2018-09-10 주식회사 일산기계 악취제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32942B1 (ko) 2018-07-04 2019-10-16 조현우 냉각수단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설비
KR102176206B1 (ko) * 2020-05-25 2020-11-09 주식회사 씨원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
KR102261415B1 (ko) * 2020-06-19 2021-06-07 정한인프라(주) 동파방지 ict 스마트 종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401A (ja) * 1994-05-13 199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の処理方法および厨芥処理機
KR100861501B1 (ko) * 2007-04-27 2008-10-02 김대중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401A (ja) * 1994-05-13 199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の処理方法および厨芥処理機
KR100861501B1 (ko) * 2007-04-27 2008-10-02 김대중 음식물 쓰레기 보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785B1 (ko) * 2015-07-06 2016-11-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자동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7916A (ko) * 2016-11-01 2018-05-10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8957B1 (ko) * 2016-11-01 2019-10-11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7435B1 (ko) * 2018-03-12 2018-09-10 주식회사 일산기계 악취제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32942B1 (ko) 2018-07-04 2019-10-16 조현우 냉각수단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설비
KR102176206B1 (ko) * 2020-05-25 2020-11-09 주식회사 씨원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
KR102261415B1 (ko) * 2020-06-19 2021-06-07 정한인프라(주) 동파방지 ict 스마트 종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23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20140010847A (ko)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200408385Y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11459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장치
KR101185148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196133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95311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10139854A (ko) 공동주택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10927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210034911A (ko) 재활용 쓰레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0456B1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KR101148953B1 (ko)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101286740B1 (ko) Rfid가 적용된 연속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101732372B1 (ko) Ble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1412741B1 (ko) 무단투기방지 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84657B2 (ja) 生ごみ液状化装置およびその管理方法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373251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87846Y1 (ko) 쓰레기 배출무게에 따른 비용결제기능과 외부통신기능을갖춘 쓰레기 수거용기
KR101090938B1 (ko) 생활폐기물 종량 처리 통합관리 시스템
KR20150051931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815951A (zh) 一种可自动开合闸门的钞容器及具有该钞容器的存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