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76B1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76B1
KR101149076B1 KR1020120007385A KR20120007385A KR101149076B1 KR 101149076 B1 KR101149076 B1 KR 101149076B1 KR 1020120007385 A KR1020120007385 A KR 1020120007385A KR 20120007385 A KR20120007385 A KR 20120007385A KR 101149076 B1 KR101149076 B1 KR 10114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opening
unit
waste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Priority to KR102012000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요금을 납부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보관부재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특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유닛와, 상기 몸체부재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부재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허가된 사용자인지여부를 감지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개폐유닛을 동작시켜서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중량측정유닛으로부터 쓰레기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쓰레기 처리비용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Pick-up apparatus to charge the taxes at a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거주지역별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일부 지역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여 사용한 후, 정해진 거점에 모아둠으로써 청소부가 거점 수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이용한 거점 수거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양이와 같은 야생동물 등이 음식물을 얻기 위하여 봉투를 뜯어내기 때문에 주변이 더럽혀져 악취가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닥으로 새어 나온 음식물이 그대로 하수도로 흐르게 되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다르게, 한국등록특허 10-0930076 (공고일 2009. 12. 0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거통을 각 세대별로 배치시킨 후, 음식물의 양에 맞는 스티커를 부착하여 문밖에 내놓도록 함으로써 청소부가 문전 수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거통을 이용하여 문전 수거하는 방식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청소부가 집집마다 수거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거통의 분실우려와 더불어 주변환경이 더러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각 세대별로 일정금액을 미리 받은 후, 크기가 큰 음식물 수거통을 일정 위치에 배치시켜 상기 음식물 수거통에 음식물을 자유롭게 버릴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정해진 일정 비용을 납부하고 크기가 큰 음식물 수거통에 음식물을 버리는 경우에는 무한적으로 음식물을 버릴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줄어들지 않고 점차 증대되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토지, 해양 등의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예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과 비례하여 사용자에게 비용을 부과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요금을 납부할 수 있게 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보관부재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특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유닛와, 상기 몸체부재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부재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허가된 사용자인지여부를 감지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정보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개폐유닛을 동작시켜서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중량측정유닛으로부터 쓰레기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쓰레기 처리비용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 의해 주거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까지 가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주거지 근처에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해당되는 금액을 정확하게 납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대기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탈취부재에 의해 악취가 제거됨으로써, 사용자들이 악취를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는 개폐유닛에 의해 몸체부재의 개구부가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 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위해 종래에서와 같이 손으로 커버를 잡지 않고도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 작업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의 몸체부재의 전면이 개방되어 보관부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서 개폐유닛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는 보관부재(110)와, 몸체부재(120)와, 개폐유닛(130)과, 중량측정유닛(140)과, 정보입력부(150)와, 미도시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관부재(110)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보관부재(110)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던 수거용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는 보관부재(110)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하던 수거용기를 보관부재(110)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몸체부재(12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특정 높이로 형성된다. 몸체부재(12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개구되게 형성된 개구부(123)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20)의 하측에는 이동부재(1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121)의 일예로 바퀴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121)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재(120)의 일측에는 스피커(12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2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안내 음성을 듣고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몸체부재(1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12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4)는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식물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재(124)는 몸체부재(120)의 내부면의 상측의 개구부(12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24)는 보관부재(110)의 상측의 개구된 부분보다는 약간 작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4)에 의해 음식물이 보관부재(110)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몸체부재(120) 내부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24)의 일예로 롤링장치(124)일 수 있다. 롤링장치(124)는 미도시된 모터와 롤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는 몸체부재(120)에 고정결합되고 롤링부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롤링장치(124)는 보관부재(110)가 몸체부재(120)에 수납되었음을 감지하고, 모터를 동작시켜서 롤링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롤링부의 자유단이 보관부재(110)의 상측의 개구된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관부재(110)가 몸체부재(120)로부터 분리되면, 모터를 동작시켜서 롤링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롤링부의 자유단이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개폐유닛(130)은 상기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개폐유닛(130)의 구조의 일예로, 모터(131)와, 커버(133)와, 브라켓(132)과, 회전바(134)와, 제1센서(135a)와, 제2센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1)는 몸체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커버(133)는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브라켓(132)은 모터(131)의 회전축과 커버(133)를 연결한다. 회전바(134)는 브라켓(132)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2센서(135b)는 커버(133)가 개구부(123)를 폐쇄한 상태에서 회전바(13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1센서(135a)는 커버(133)가 개구부(12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회전바(13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센서(135a)와 제2센서(135b)에 의해 커버(133)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개폐유닛(130)은 잠금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36)는, 커버(133)가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커버(133)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잠금부(136)는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136)의 구조의 일예로 유압식, 전자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커버(133)가 개구부(123)를 폐쇄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13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잠금부(136)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개폐유닛(130)을 강제로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중량측정유닛(140)은 상기 몸체부재(12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부재(110)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한다. 중량측정유닛(140)의 구조의 일예로 미도시된 지지부와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보관부재(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로드셀은 몸체부재(120)의 바닥면과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보관부재(1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한다. 로드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금액을 납부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측정유닛(140)은 로드셀과 지지부로만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보입력부(150)는 상기 몸체부재(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정보입력부(15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허가된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로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한 정보입력부(150)는 RF리더기, 마그네틱 리더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매체의 일예로 IC칩이 내장된 카드가 될 수 있다. 카드에는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및 주소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카드를 정보입력부(15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자신이 허가된 사용자임을 정보입력부(150)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정보입력부(150)는 미도시된 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정보입력부(15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에 저장된 확인식별정보(허가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서 제어부로 전달한다.
통신모듈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방식의 일예로 WCDMA, Wibro, CDMA, Wi-Fi 등 다양한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에 의해 별도의 중계기나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입력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암호를 키패드(151)로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151)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요금에 음식물 쓰레기 배출비용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개폐유닛(130)의 동작시켜서 상기 몸체부재(120)의 개구부(123)를 개방하고, 상기 중량측정유닛(140)으로부터 쓰레기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쓰레기 처리비용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제어부의 일예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는 복수개의 경사도 조절부재(16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도 조절부재(160)는 상기 몸체부재(120)의 하측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재(120)로부터 하방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도 조절부재(160)에 의해 몸체부재(120)가 평면뿐만 아니라 경사면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장소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는 미도시된 전원공급부재와, 미도시된 탈취부재와, 쓰레기 감지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재는 몸체부재(120) 내부에 배치되어 개폐유닛(130), 중량측정유닛(140), 정보입력부(150) 및 제어부로 보조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재의 일예로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재의 다른 예로, 태양전지와 축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태양전지는 몸체부재(120)의 외면에 배치되어 주간에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축전부는 태양전지에서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되다가, 정전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비상시에 전원공급부재가 개폐유닛(130), 중량측정유닛(140), 정보입력부(150)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탈취부재는 상기 몸체부재(120) 내부에 배치되어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한다. 이러한 탈취부재는 온도센서와 향기발생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센서는 몸체부재(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를 넘는 경우, 예컨대, 측정된 온도가 여름철 실외온도인 경우 향기발생부에서 탈취제가 분사되게 한다. 탈취제의 일예로 목초액일 수 있다. 이러한 탈취부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쓰레기 감지부재(180)는 쓰레기가 보관부재(110)로부터 넘치게 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를 위한 쓰레기 감지부재(180)는 상기 몸체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관부재(110)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쓰레기 감지부재(180)의 일예로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쓰레기 감지부재(180)는 보관부재(110)에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보관부재(110)의 상측의 개구된 부분까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었음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개폐유닛(130)이 동작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몸체부재(120) 내부로 투입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쓰레기 감지부재(18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부재(110)의 내부에 과도하게 수용되어 넘쳐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200)는 빗물유입방지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빗물유입방지부재(17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1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개폐유닛(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빗물유입방지부재(170)에 의해 비가 몸체부재(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빗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100)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 의해 주거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까지 가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주거지 근처에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에 해당되는 금액을 정확하게 납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대기의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탈취부재에 의해 악취가 제거됨으로써, 사용자들이 악취를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는 개폐유닛에 의해 몸체부재의 개구부가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 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위해 종래에서와 같이 손으로 커버를 잡지 않고도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 작업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110: 보관부재 120: 몸체부재
121: 이동부재 122: 스피커
123: 개구부 124: 가이드부재
130: 개폐유닛 131: 모터
132: 브라켓 133: 커버
134: 회전바 135a: 제1센서
135b: 제2센서 136: 잠금부
140: 중량측정유닛 150: 정보입력부
151: 키패드 160: 경사도 조절부재
170: 빗물유입방지부재 180: 쓰레기 감지부재

Claims (4)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 보관부재;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특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유닛;
    상기 몸체부재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부재에 투입되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허가된 사용자인지여부를 감지하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정보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개폐유닛을 동작시켜서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중량측정유닛으로부터 쓰레기의 중량값을 전달받아 쓰레기 처리비용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면의 상측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음식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재의 상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개폐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물유입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의 하측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재로부터 하방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도 조절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3. 삭제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개폐유닛, 중량측정유닛, 정보입력부 및 제어부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재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의 동작 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관부재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쓰레기가 보관부재로부터 넘치게 되는 것을 감지하는 쓰레기 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20120007385A 2012-01-25 2012-01-25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14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385A KR101149076B1 (ko) 2012-01-25 2012-01-25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385A KR101149076B1 (ko) 2012-01-25 2012-01-25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76B1 true KR101149076B1 (ko) 2012-06-28

Family

ID=4668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385A KR101149076B1 (ko) 2012-01-25 2012-01-25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7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65B1 (ko) 2013-04-15 2013-08-20 주식회사 한썸 종량 기능이 내장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 처리 장치
KR101386590B1 (ko) * 2012-11-30 2014-04-21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멀티형 종량제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1457630B1 (ko) 2012-11-20 2014-11-10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1523642B1 (ko) * 2014-06-23 2015-05-29 김영돈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방수 구조
KR101526460B1 (ko) * 2014-03-31 2015-06-10 주식회사 웰콤 높이감지부 및 방진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종량처리 장치
KR101565552B1 (ko) * 2014-02-11 2015-11-03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2080791B1 (ko) * 2019-05-02 2020-05-04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2384536B1 (ko) * 2022-03-07 2022-04-08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3Y1 (ko) 2006-01-26 2006-04-28 이인환 상하 직선 이동 높낮이 조절용 다리바퀴
KR100927351B1 (ko) 2009-03-12 2009-11-19 (주)콘포테크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945B1 (ko) 2010-05-06 2012-01-10 엔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63Y1 (ko) 2006-01-26 2006-04-28 이인환 상하 직선 이동 높낮이 조절용 다리바퀴
KR100927351B1 (ko) 2009-03-12 2009-11-19 (주)콘포테크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945B1 (ko) 2010-05-06 2012-01-10 엔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30B1 (ko) 2012-11-20 2014-11-10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1386590B1 (ko) * 2012-11-30 2014-04-21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멀티형 종량제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1298665B1 (ko) 2013-04-15 2013-08-20 주식회사 한썸 종량 기능이 내장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 처리 장치
KR101565552B1 (ko) * 2014-02-11 2015-11-03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526460B1 (ko) * 2014-03-31 2015-06-10 주식회사 웰콤 높이감지부 및 방진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종량처리 장치
KR101523642B1 (ko) * 2014-06-23 2015-05-29 김영돈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방수 구조
KR102080791B1 (ko) * 2019-05-02 2020-05-04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W&P)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2384536B1 (ko) * 2022-03-07 2022-04-08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76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EP3789319B1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100886969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40010847A (ko)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100854117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ES2909249T3 (es) Recipiente para almacenamiento de residuos
KR1011459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장치
US20060123693A1 (en) Electrocution animal trap with a sender
RU2011111333A (ru) Подз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бора мусора
KR10101728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2110927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7123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95311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196133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211970506U (zh) 地埋式垃圾收集装置
KR101302962B1 (ko)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JP7350160B2 (ja) 積載物収集装置
KR101314534B1 (ko) 음식물 쓰레기 집합 처리장치
KR20120003234U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KR100990456B1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KR101798412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