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12B1 -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12B1
KR101798412B1 KR1020170048429A KR20170048429A KR101798412B1 KR 101798412 B1 KR101798412 B1 KR 101798412B1 KR 1020170048429 A KR1020170048429 A KR 1020170048429A KR 20170048429 A KR20170048429 A KR 20170048429A KR 101798412 B1 KR101798412 B1 KR 10179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was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s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목
Original Assignee
(주)콘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콘포테크 filed Critical (주)콘포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하는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수신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 수신기에 대한 알림 등록이 설정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시스템, 및 알림 등록된 수신기가 획득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스마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Food waste disposal/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뿐 아니라 음식점, 농축수산물의 판매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는 다른 처리 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해서 수거할 필요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음식물쓰레기를 절감하기 위한 사전감량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식은, 음식물 전용 수거용기를 이용한 문전수거 방식과,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 실시, 단독주택 일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요일의 지정된 시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 주택 앞에 내놓으면 다음날 새벽에 수거요원이 수거하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다수개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해 통합 수거하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선불형 또는 후불형 종량제 방식으로 운용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예를 들어, RFID가 활용되고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설치된 RFID 리더에 RFID를 태깅 하면, 사용자 식별 후 투입구가 개방된다. 음식물쓰레기 계근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쓰레기는 수거함으로 이동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계근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별 과금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분이 많은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식문화를 가지고 있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역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RFID를 주머니 등에서 꺼내 태깅할 때 손, 옷 또는 RFID에 음식물쓰레기가 묻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RFID를 주머니에서 꺼내기 위해 음식물쓰레기가 담긴 용기나 봉투를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위에 올려놓으면 수거/처리장치에 오물이 남게 되어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가 RFID 태깅을 하지 않고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하는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수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수신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 수신기에 대한 알림 등록이 설정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시스템, 및 알림 등록된 수신기가 획득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스마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신기 중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설치된 수신기에 상기 알림 등록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원거리 통신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하여 계근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부 및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계근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는 복수이고,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중 하나는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며, 상기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나머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로 잔여 용량 정보를 요청하며, 수신한 잔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달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투입구를 개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인증을 수신하는 원거리 통신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하여 계근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부 및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계근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출 이력에 따라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수거함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고, 잔여 용량 정보를 같은 위치에 설치된 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요청하며, 수신한 잔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달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접근만으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가 개방되므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중 수거함 사용량에 여유가 있는 수거/처리장치의 투입구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사용자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이력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개방 정도가 달라져서 악취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이력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이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 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비활성 상태, 예를 들어,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며, 근접 감지 센서부(220)만 활성화되어 있다. 감지 영역(110)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전방 및/또는 전방 좌. 우측에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이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나 부피를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와 음식물 처리장치를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로 총칭하기로 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지 영역(110)에 진입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활성화 상태, 예를 들어,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로 전환한다. 웨이크-업 모드에서, 통신 영역(115)이 감지 영역(1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감지 영역(110)과 통신 영역(115)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 영역(115)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통신 영역(115)에 진입한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 예를 들어, 원 패스 카드와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은, 예를 들어, 능동형 또는 수동형 무선 태그로서, 수십 cm부터 수 m 내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은 BLE(Bluetooth Light Energy) 비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은 RFID일 수 있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신 영역(115)에 진입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과 통신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으로부터 수신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 예를 들어, 고유(Unique) 일련 번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 또는 이들의 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예를 들어, CDMA와 같은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또는 단지/건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또는 단지/건물 관리 서버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승인 응답을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비교할 수도 있다.
도 1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투입구를 개방한다. 사용자가 개방된 투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한다. 계근 과정이 완료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수거함으로 이동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계근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또는 단지/건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과정에서,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를 개방된 투입구를 통해 버리는 동작을 제외하고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와 물리적으로 접촉(예를 들어, RFID 태깅 등)하거나 이를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바닥이나 수거/처리장치(100)의 상면에 놓아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제어부(200), 근거리 통신부(210), 근접 감지 센서부(220), 원거리 통신부(230), 구동부(240), 계량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운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타 구성부와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상태(수거함의 충만 상태, 정상/오류 상태 등)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조작 순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과 같은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및/또는 타 구성부는 근접 감지 센서부(22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활성화된 근거리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은 소정의 통신 영역(115)에 제공된다. 무선 전력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은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21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근거리 통신부(210)는 BLE 비콘인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120)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근접 감지 센서부(220)에 의해 근거리 통신부(210)만 활성화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21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200)가 활성화된다.
근접 감지 센서부(220)는 감지 영역(110)에 진입한 사용자를 감지한다. 근접 감지 센서부(2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 홀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근접 감지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감지 영역(110)은 근접 감지 센서부(2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지되면, 근접 감지 센서부(220)는 웨이크-업 신호를 근거리 통신부(210)및/또는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원거리 통신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 원거리 통신부(23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계근 정보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원격지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또는 단지/건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이로부터 인증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원거리 통신부(23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구동부(24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및 모터와 덮개를 연결하며 모터가 제공한 회전력에 의해 덮개를 밀거나 당기는 링크를 포함한다.
계량부(250)는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하여 계근 정보를 생성한다. 계량부(250)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서를 포함하며,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는 일정 단위, 예를 들어, 10g, 50g등의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 투입구를 통해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는 계근된 이후에 수거함으로 이송된다.
저장부(260)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저장부(26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연관된 배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이력 정보는, 일정 기간 생성된 복수의 계근 정보의 집합, 일정 기간 생성된 복수의 계근 정보로부터 산출된 음식물쓰레기의 평균 무게, 음식물쓰레기 배출 빈도,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이력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별 배출 이력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배출시 발생하는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사용자는 매일 적어도 2회 이상 소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며, 제2사용자는 3일에 한 번씩 대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한다고 가정하자. 배출 빈도 및/또는 음식물쓰레기의 평균 무게에 따라서, 지금 버려질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및/또는 부피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출 이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투입구는 항상 최대로 개방되어야 한다. 제1사용자의 경우, 매일 수회에 걸쳐 소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므로, 예측된 무게 및/또는 부피는 투입구를 최대로 개방하지 않더라도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내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사용자의 경우, 투입구를 최대로 개방하여 대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02)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상면(301)에 위치하며, 투입구(302)는 그 일단이 상면(30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3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덮개(300)는 제1링크 및 제2링크(320, 325)에 의해 모터(310)에 연결되며, 모터(310)가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덮개(300)가 회전하는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배출 이력을 참조할 때, 소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예측되면, 제어부(20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덮개(300)가 제1각도까지 회전시킨다. 일정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내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으면, 제어부(20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덮개(300)를 제2각도(>제1각도)까지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2각도는 덮개(300)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한편, 배출 이력을 참조할 때, 대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예측되면, 제어부(200)는 모터(310)를 제어하여 덮개(300)를 제2각도까지 회전시켜서 투입구(302)가 최대로 개방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무용 빌딩이나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건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이하 스마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현관 출입문 개방, 엘리베이터 호출, 주차 위치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시스템은 여러 장소에 설치된 수신기와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지/건물 관리 서버(4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이에 연관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리한다. 출입 관리 서버(410)는 건물의 현관 출입문(415) 및/또는 세대별 현관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서버(420)는 엘리베이터(425)를 제어한다. 위치 서버(430)는 복수의 수신기(435)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위치를 수집한다. 단지/건물 관리 서버(400), 출입 관리 서버(410), 엘리베이터 서버(420), 위치 서버(430)와 이들의 제어를 받는 엘리베이터(425), 수신기(435) 등은 이더넷과 같은 폐쇄적인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스마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구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이더넷을 통해 스마트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등을 통해 스마트 시스템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시스템은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와 연동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이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며, 도 6은 도 5의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위치를 수집하는 복수의 수신기(415a, 415b, 415c, 415d)가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다. 제1내지 제3수신기(415a, 415b, 415c)는 주차장내 도로를 따라 현관 출입문(500)으로부터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며, 제4수신기(415d)는 주차장 일부 공간에 위치한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각각 소지한 제1사용자(510)와 제2사용자(520)가 현관 출입문(500)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한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제1사용자(510)는 주차된 차량에 가기 위해 주차장에 진입하였으며, 제2사용자(520)는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주차장에 진입하였다. 도 5에 도시된 제1사용자(510)와 제2사용자(520)의 동선을 기준으로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현관 출입문(500) 주변에 설치된 제1수신기(415a)는 제1사용자(510) 및/또는 제2사용자(520)를 감지하고, 각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제1수신기(415a)의 수신기 식별 정보를 위치 서버(430)로 전송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수신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치 서버(430)는 제1사용자(510) 및/또는 제2사용자(520)가 현재 현관 출입문(500)앞(이하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600).
위치 서버(430)는 제1위치에 대응하는 제1수신기(415a)에 대한 알림 등록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610).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및/또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 시스템에 제1위치를 등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를 관리하며, 사용자 또는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배출 정보와 과금 정보를 처리한다. 위치 서버(430)는 제1위치를 등록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제1위치에 인접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거나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620).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웨이크 업 신호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의 원거리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며, 선택적으로, 근거리 통신부(210)는 기존의 RFID 리더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종량제 음식물쓰레기 운용 시스템의 동작 중 단계 600 내지 6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2수신기(415b)는 제1사용자(510)를 감지하며 제4수신기(415d)는 제2사용자(520)를 감지한다. 제2수신기(415b)는 제1사용자(51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그리고 제4수신기(415d)는 제2사용자(52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각각의 수신기 식별 정보와 함께 위치 서버(430)로 전송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수신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치 서버(430)는 제1사용자(510)가 주차장에 위치(이하 제2위치)하며 제2사용자(520)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에 위치(이하 제3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630).
위치 서버(430)는 제2위치 및/또는 제3위치가 알림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640). 여기서, 제2위치는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제3위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및/또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의해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위치 서버(430)는 제3위치를 등록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제3위치에 인접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덮개를 열어 투입구를 개방한다(650).
음식물쓰레기 투입이 더 이상 없으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는 덮개를 닫아 투입구를 폐쇄하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계근 한다(660). 계근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계근 정보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또는 건물 별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가정이나 영업장에 설치된 단말, 예를 들어, 월 패드(wall pad), 개인용 컴퓨터 등이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통계 정보를 단지/건물 관리 서버에 제공하며, 사용자는 월 패드 등을 통해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배출 빈도, 과금 내역,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충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량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가 한 장소에 설치된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수거/처리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여유 잔량을 가진 수거/처리장치를 수동으로 선택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 내지 100d) 중 여유 잔량을 가진 수거/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감지 영역이 서로 상이하거나,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중 어느 하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만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도 7의 (a)에서,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는 사용자를 감지하였으나, 제2내지 제4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b 내지 100d)는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b)에서,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의 수거함은 더 이상 여유가 없으므로,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는 같은 위치에 설치된 제2내지 제4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b 내지 100d)로 잔여 용량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잔여 용량 정보 요청은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전송되거나,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의해 중계될 수 있다.
잔여 용량이 가장 많은 제3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c)가 선택되어 투입구가 개방된다. 잔여 용량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2내지 제4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b 내지 100d)는 수거함의 잔여 용량을 확인한 후 이를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로 반환한다.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는 잔여 용량이 가장 많은 제3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d)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제1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는 사용자의 배출 이력을 참조하여 제2내지 제4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b 내지 100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의 감지 영역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거나 일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의 (c)에서, 복수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 100b)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게 되면, 복수의 수거/처리장치의 투입구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b 내지 100d)는 같은 위치에 설치된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여기서는 100a로 가정)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잔여 용량 정보를 전송한다.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100a)는 잔여 용량 정보 및/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연관된 배출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투입구가 개방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이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만 제공되거나, 사용자 식별 정보는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모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가 마스터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만 제공되면, 도 7의 (b)에서 설명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제공되면, 도 7의 (c)에서 설명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투입구를 개방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인증을 수신하는 원거리 통신부;
    상기 인증의 결과에 따라 투입구를 개방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계근하여 계근 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부;및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계근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출 이력에 따라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수거함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고, 잔여 용량 정보를 같은 위치에 설치된 타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요청하며, 수신한 잔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달할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를 결정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KR1020170048429A 2017-04-14 2017-04-14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179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29A KR101798412B1 (ko) 2017-04-14 2017-04-14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29A KR101798412B1 (ko) 2017-04-14 2017-04-14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412B1 true KR101798412B1 (ko) 2017-12-20

Family

ID=6093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29A KR101798412B1 (ko) 2017-04-14 2017-04-14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4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937A (zh) * 2019-04-11 2019-06-14 北京林业大学 具有投放引导功能的交互式智能垃圾箱及其阵列系统
KR102498737B1 (ko) * 2022-08-29 2023-02-13 이후시스(주) 재활용 자원의 분리 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33241A (ko) * 2021-08-31 2023-03-08 김영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937A (zh) * 2019-04-11 2019-06-14 北京林业大学 具有投放引导功能的交互式智能垃圾箱及其阵列系统
KR20230033241A (ko) * 2021-08-31 2023-03-08 김영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7854B1 (ko) 2021-08-31 2023-11-06 김영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98737B1 (ko) * 2022-08-29 2023-02-13 이후시스(주) 재활용 자원의 분리 수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4240B2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KR101798412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CN104375417B (zh) 一种候车厅智能服务机器人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4010555A (zh) 分配器和污染物传感器
KR101674381B1 (ko)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110619398A (zh) 可自主行走的共享云智能垃圾桶运营管理系统
KR102110927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8031332A1 (en) Smart waste receptacle providing use-incentive
US2024012765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mote management of access to a group of devices
CN106241111A (zh) 一种智能垃圾存放装置及管理系统
KR20170050526A (ko) 스마트폰 앱(App)과 BL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 자동개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02962B1 (ko)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08485A (zh) 安全智能社区家庭系统
EP3671676A1 (en) Station for the separate collection of waste
CN110803408A (zh) 垃圾分类管理系统
KR101386590B1 (ko) 멀티형 종량제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206209863U (zh) 智能传送快递的装置
KR101732372B1 (ko) Ble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US11087574B1 (en) Monitoring system with trash can integration
US6580965B2 (en) Raw garbage liquefy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same
CN206125976U (zh) 一种智能垃圾存放装置及管理系统
KR101039254B1 (ko)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CN109969654A (zh) 一种多功能社区便民服务亭
KR101199222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개별계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