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254B1 -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254B1
KR101039254B1 KR1020100054747A KR20100054747A KR101039254B1 KR 101039254 B1 KR101039254 B1 KR 101039254B1 KR 1020100054747 A KR1020100054747 A KR 1020100054747A KR 20100054747 A KR20100054747 A KR 20100054747A KR 101039254 B1 KR101039254 B1 KR 10103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llection
food waste
information
coll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식
김래현
김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0005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는 집합 수거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투거되는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측부; 중량 계측이 완료되면, 상기 계량용기를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계량용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되면 상기 집합 수거용기의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투거되도록 제어하며, 투거가 완료된 후 상기 개방된 집합 수거용기의 커버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위치와 집합 수거용기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차등적으로 구성하고, 집합 수거용기의 투입구 커버에 대한 최적화된 개방 여부의 제어를 통하여 더욱 친환경적이고 사용자 지향적인 집합 수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Apparatus for eco-friendly waste collection with user orientation}
본 발명은 집합 건물 내지 공동 건물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 등을 집합 수거하는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거 내지 수거에 대한 비용 처리가 개별적 투거량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사용자의 이용 환경이 더욱 친환경적으로 개선되고 더욱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이 구현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 등의 집합 건물이나 대형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으로 배출하고, 그 처리 비용 또한 공동으로 안분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각 과정을 집합, 수거, 비용 처리의 관점에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우선, 음식물 쓰레기를 모으는 집합 과정은 개별 세대 내지 영업점별로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집합 건물에서 생활 내지 영업을 영위하는 모든 배출자에게 공통된 집합 수거용기를 이용하여 함께 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집합이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기초하여 종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대한 비용은 세대 또는 인원 수에 따라 단순히 정량적으로 안분하는 방식이 적용하고 있다. 즉, 이러한 종래 방식은 개별 배출자 내지 주체별 음식물 쓰레기 량의 대소를 불문하고 전체 처리 비용을 공동 생활자의 수 내지 단위 면적 등으로 나눈 안분된 금액을 부담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용 정산의 간편함을 위한 행정 편의적 측면에 기초하고 있음은 물론, 비용에 대한 객관성과 개별성이 담보되지 않아 개별 주체의 비용 발생에 대한 저항감이 크지 않지 않아 무분별한 배출을 조장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내포되고 있음은 물론, 이에 비롯되어 친환경을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에 적극적인 노력이 경주되지 않아 환경오염, 에너지 절약 등과 같은 국가적이고 글로벌 지향적인 운용에 실질적인 일익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집합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살펴보건대, 집합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용역 처리 업체는 수거된 양에 근거된 비용을 관공서 등으로부터 받게 되는데, 수거되는 과정, 방식 등의 객관적인 자료 수집 수단이 미비하므로 수거된 양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제반 상황은 수거된 용량, 수거 횟수, 운행 거리 등과 관련하여 여러 편법적 운영이 만연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관련하여, 수거용 차량에 구비된 계량 장치를 이용하여 측량된 객관적인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비용을 처리하는 예도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비용을 지급받는 주체의 활동 영역에 자신이 받을 비용을 산출하는 계량 장치가 구비된다는 점과 배출자가 자신이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배출량에 따른 과금정보를 알 수 없다는 모순점은 물론, 수거 차량에 구비된 계량 장치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물리적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고장이나 오동작 가능성이 높아 부정확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방식에 의하는 경우, 과금 체계의 비 객관성에 의하며 불필요한 국가 내지 공공 기관의 예산이 쉽게 낭비될 수 있음은 물론, 수거업체와 관공서 등과 같은 수행 주체 간의 불필요한 분쟁이나 마찰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에 대한 개별적인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공동 책임에 의한 방식으로 운용되는 종래의 시스템 하에서는 과금 형평에 어긋나 국민 재산권에 대한 침해 소지가 있음은 물론, 친환경 의식에 대한 고취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파트 등의 집합 건물에서 사용되는 집합 수거 용기는 세대마다의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한다는 측면이나 수거 용역 업체의 수거 회수에 대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대용량 용기가 사용되게 되는데 현재 이러한 집합 수거용기로는 120L의 대용량 용기가 주로 사용되며 적용 형태에 따라 더 큰 수거용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120L 집합 수거용기의 높이는 대략 900mm 내지 1,000mm 정도가 되는데, 이 높이는 성인 기준 허리 이상의 높이가 되므로 세대 등에서 가지고 온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개별 수거 용기(비닐 봉투, 플라스틱 통 등)를 상기와 같은 높이에 형성된 집합 수거용기의 상단 투입구까지 들어올리는 것 자체가 상당히 불편함은 물론,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고 악취를 발생시키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가 파생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실시형태에서 상기 집합 수거 용기 상단에 추가적인 구성 등이 개재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더 높은 위치까지 개별 수거 용기를 들어올려야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배출자가 신장이 작은 사람이거나 노약자, 어린이 등인 경우에는 더욱 불편하게 되며, 딛고 올라설 수 있는 디딤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위험성이나 안전성에도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어, 종래 실시되는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 등이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종래에 실시되는 집합 수거 장치 중에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집합 수거용기의 뚜껑이 상시적으로 개방된 채로 운용되는 실시형태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 수거의 편의성과 같은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뚜껑이 상시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실시되고 있어 고온 다습한 일기 조건 등에서는 특히, 악취 등과 같은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어 친환경적이고 위생적인 장치 구현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수거 과정을 더욱 정확하고 투명하게 운용하여, 예산 운용이나 비용 처리 등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자마다의 개별적 배출량에 기초하여 개별 정산 또는 과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금의 객관성을 도모함은 물론, 친환경 의식에 대한 고취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정책이 실질적이고 실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도록 배출자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투입되는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집합 수거용기의 투입구가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악취 등의 환경 오염을 최소화되도록 하여 더욱 친환경적이고 그린 환경에 부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는 집합 수거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투거되는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측부; 중량 계측이 완료되면, 상기 계량용기를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상기 계량용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되면 상기 집합 수거용기의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투거되도록 제어하며, 투거가 완료된 후 상기 개방된 집합 수거용기의 커버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집합 수거용기는 상기 집합 수거장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집합 수거용기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모듈은 상승하는 이동 궤적으로 상기 계량용기를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구동암(arm);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계량용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되도록 상기 계량용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이동모듈은 상승하는 형태의 유도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계량용기를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계량용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되도록 상기 계량용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장치는 배출자에 대한 식별정보가 수록된 태그로부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상기 계측된 중량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배출자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된 중량정보 또는 이에 해당하는 과금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된 중량정보 또는 과금정보에 기초하여 배출자로부터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량 정보 또는 과금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이용된 비닐형 수거 용기가 수거되는 수거함; 및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비닐형 수거 용기가 밀착 통과되도록 상호 대면하며 내측으로 회전하는 로울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기준량 이상 집합되는 경우 수거업체 서버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담당 직원의 휴대 단말로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는 우선, 집합 건물 등에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와 관련하여 배출 주체마다의 개별적인 과금을 객관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과금 체계의 형평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개별 배출자마다 배출에 대한 습관이나 형태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적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어 국가 내지 관공서의 친환경 정책에 더욱 일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미래 지향적이고 비용 경제적인 사업을 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배출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거하는 투입구를 종래와 달리 낮은 위치에 구성하고, 장치 내부적인 이송 장치의 구동 및 제어를 통하여 집합 수거용기에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집합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환경에 관계없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집합할 수 있는 사용자 지향적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된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집합 수거 용기의 투입구 커버의 개방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동작이 불필요하도록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 발생, 벌레 문제, 세균 오염 등과 같은 비 친환경적인 요소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 장치의 외부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차적 음식물 쓰레기 투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계량용기가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 수거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기 집합 수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합 수거 완료 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거 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집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이하 수거장치로 칭한다)(100)의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등과 같은 배출물을 집합시키는 수거장치로서 아파트, 빌라, 대형 음식점, 대형 상가, 병원 등과 같은 집합 건물(1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집합 건물(11)은 하나의 예시적으로 지칭되는 명칭에 불과하다. 즉, 공동의 생활 또는 영업 등이 이루어지며 행정 정책 등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으로 배출하도록 구획된 물리적 건물 등에 해당한다면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집합 건물에 해당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수거장치(100)는 배출자가 휴대 내지 소지하거나 개별 투거 용기에 구비되는 식별 태그(200)를 인식하여 배출자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하는 과정, 투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을 계측하는 과정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렇게 확인된 배출자의 정보나 계측 정보 내지 과금 정보 등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를 주관하는 관공서 등의 서버(300)에 전송되어 비용, 과금 체계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거장치(100)는 상기 관공서 서버와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를 수행하는 수거업체의 서버(400)와도 다양한 방식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연계됨으로써 다양한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태그(200)는 배출자(사용자)가 휴대 소지할 수 있는 카드 등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수거 용기 또는 비닐형 봉지 등에 부착이나 착탈 가능하게 고리형, 부착형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상기 태그(200)에는 배출자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가 수록된다.
상기 태그(200)는 접촉식, 비접촉식 등의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치와 태그 간의 물리적 이격 거리를 고려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수록 정보의 크기, 신호 전달 내지 인식 체계의 정확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바코드 형태의 태그보다는 RFID를 이용한 태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그(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출되는 양에 근거하여 개별 배출자에게 정확하고 객관적인 과금을 부과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태그(200)는 관할 관공서에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 접속 등을 통한 로그인 등을 통하여 배출자의 주소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고유한 태그가 등록 및 발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태그 및 이에 대한 정보 등록의 과정에서 개인 신상정보의 노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출자의 주소 정보 또는 일련번호만으로 태그가 발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금 방법(선불카드, 신용카드, 지로, 소액 결제 등)이 함께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태그의 오용이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자마다의 고유한 비밀번호도 함께 등록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는 인식부(110), 계측부(120), 이동모듈(130), 제어부(140), 전송부(150), 화면표시부(160) 및 DB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10)는 RFID리더(read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출자(사용자)가 소지하거나 개별 수거 용기 등에 구비되며 배출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수록된 태그(200)를 비접촉식 방법 등에 의하여 인식한다(S100).
이와 같이 인식된 사용자 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제 배출한 음식물 쓰레기의 실측된 중량 정보 등과 함께 관공서 서버(300) 등에 전송되며 이를 기초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비용 주체 정보로 활용된다.
태그(200)로부터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의한 수거 장치(100) 내부에 ROM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DB부(170)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파싱 및 검색하여 그 결과에 해당하는 배출자에 대한 인적 정보 또는 비용 과금 처리에 대한 이력 정보 등을 화면표시부(160)로 출력한다(S110).
이러한 배출자 정보는 사용자 지향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를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출자의 성명, 주소, 최근 배출 시간, 배출 이력, 비용 정보, 마일리지 정보, 체납 정보, 재활용품 수거에 따른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대비된 비용이 자동적으로 과금된다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그가 도난되거나 유실되는 경우 등의 오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비밀번호 입력 등과 같이, 화면표시부(160)로 배출자 정보의 확인을 위한 인증 절차가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DB부(170)의 정보 저장 및 독출(read out)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는 관공서 서버(300) 등과도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식된 식별정보를 관공서에 전송한 후 해당되는 배출자 정보를 리턴받는 방법으로도 이용가능함은 물론이며, 상기 DB부(170)는 관공서 서버(300)에 소정 주기별로 접속하거나 실시간 정보 푸쉬(push) 방법 등으로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최초 설치 시 배출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DB부(170)는 통신 차단에 대비하여 일종의 백업 DB로서도 기능할 수 있으며, 배출자 정보, 과금 정보, 재활용 배출자 정보, 수익성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배출자 자신의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배출자가 LCD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창을 이용하여 확인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투입 내지 배출 과정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표시부(160)를 통하여 배출자 정보가 출력되고, 출력된 배출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장치에 구비되며 후술되는 계량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한 투입구(도 3의 20)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120).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과정마다 안내 멘트가 시각 또는 청각 매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 비용에 대한 납부를 강제하고, 무분별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자 정보의 출력 과정에서 해당 배출자에게 수거 비용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한 체납 내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체납 내역이 존재한다면, 이에 대한 안내정보를 화면표시부(160)로 출력하고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상기 인식된 정보에 해당하는 배출자 정보가 상기 집합 수거장치의 담당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16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20)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관련된 다양한 통계 내지 정책 수립, 예산 배정, 수거업체 선정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지역을 복수 개의 단위 셀과 단위 셀에 해당하는 특정 집합 수거 장치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태그에 수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자가 어느 지역에 해당하는 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지역이나 단위 셀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이를 안내하여 배출자에게 해당하는 수거 장치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정상적인 배출자로 판된되어, 본 발명에 의한 수거장치(100)의 투입구(20)가 개방되면 사용자(배출자)는 자신이 가지고 온 음식물 쓰레기를 개방된 투입구(20) 아래 방향에 존재하는 계량 용기(10)에 투입한다.
계량 용기(10)에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완료되면, 중량 센서 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계측부(120)는 계량 용기(1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한다(S130).
계측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계측된 중량 정보 또는 상기 중량 정보에 대응되는 과금 정보가 상기 화면표시부(160)로 출력되도록 제어(S190) 하여 사용자는 해당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대한 처리 비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된 정보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어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전송부(150)는 상기 중량 정보 또는 과금정보를 상기 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S190)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미리 관공서에 등록된 비용 지급 방법에 대한 안내, 예를 들어, "상기 금액은 2010년 5월 **신용카드의 결제 비용으로 청구됩니다. 감사합니다" 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이 완료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추가적인 투거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방된 투입구가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계측된 후 상기 계측부(120)에서 중량의 변동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사용자 안내 등을 통하여 추가 과금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송부(150)가 해당 과금 정보 등을 관공서 서버(300) 등으로 전송하면, 상기 관공서 서버(300)는 금융서버(600), 이통사 서버 등과 연계하여 해당 배출자마다 개별적인 과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출자의 다른 세금 수납 정보, 체납 정보 등과의 상호 연계 적용을 위하여 행정망 네크워크로 연결되는 타 관공서 서버(예를 들어, 상하수도 관리 서버)(500)등과도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관계 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200)에 대한 인식 및 배출자 확인 정보 등이 완료되면, 장치 외면에 구비된 개방구(20)가 오픈된다.
상기 개방구(20)가 열리면 배출자는 개방구(20)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계량용기(10)로 자신이 가지고 온 음식물 쓰레기를 일차적으로 투거한다. 상기 계량용기(10)는 배출자가 실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등의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용기로서, 계량용기에 구비되는 중량 센서 등으로 상기 계량 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 정보가 계측된다(S130).
계측이 완료되면, 상기 계측된 중량 정보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통하여 해당하는 배출자 정보와 연계되어 본 발명의 DB부(17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공서 서버(300) 등에 관련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측이 완료되면, 상기 계량 용기(10)에 유입되었던 음식물 쓰레기는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되어 집합된다. 상기 집합 수거용기(30)는 바람직하게, 이동식 방법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 내부로 인입 내지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계량용기(10)에 유입이 완료된 상태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a)가 계량용기(10)에 유입되게 되면, 본 발명의 이동모듈(130)은 상기 계량용기를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킨다(S140).
상기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 수거용기(30)는 음식물 쓰레기가 계량용기에 유입되는 동안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기 전 대기 상태 동안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커버(31)는 닫힌 상태가 유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집합 수거용기(3)의 커버(31)는 힌지 결합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온오프가 구동되는 방법을 포함하여 유도 가이드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당업자 간에 다양한 적용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집합 수거용기 커버(31)의 개방과 폐쇄는 소정의 구동 수단을 구비한 커버 제어모듈(70)을 통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 용기(10)가 놓여지는 위치는 장치의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집합 수거용기(30)의 높이에 따른 사용자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 지향적인 구조를 더욱 적극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계량용기(10)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상방에 위치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가지고 온 음식물 쓰레기(a)를 더욱 편리하게 투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계량용기(10)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용기(10)로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이동모듈(130)은 상기 계량용기(10)를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운동 내지 회전 등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이동모듈(130)은 상기 계량용기(10)와 연결되고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 궤적을 형성하는 구동암(arm)(41) 및 자세제어모듈(4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이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 및 이동모듈(130)의 구동에 의하여 계량용기(10)가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용기(10)로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완료되면, 이동모듈(130)은 회전 및 상승 방향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구동암(41)에 연결된 계량용기(10)를 상기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시킨다.
상기 계량용기(10)가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상기 커버 제어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커버(3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음식물 쓰레기가 계량용기(10)로부터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 수거용기(30)의 커버(31)가 개방되면(S160),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상기 자세 제어모듈(42)을 제어하여 계량용기의 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계량용기(10)의 자세를 아래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계량용기(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a)가 커버(31)가 개방된 집합 수거용기(30) 내부로 투거되도록 제어한다(S170).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커버가 개방되는 시간은 최소화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상기 계량용기(10)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 상에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상기 감지 센서가 상기 계량용기(10)의 이동을 센싱하는 경우(S150) 상기 센싱 신호와 이동모듈에 의한 상기 계량용기(10)의 이동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계량용기(10)와 상기 집합용 수거 용기 사이의 최적화된 위치 내지 거리에서 상기 커버(31)가 개방(S160)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a)가 집합 수거용기(30)로 모두 유입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제어모듈(70) 등을 구동시켜 개방된 커버(31)가 닫히도록 제어한다(S180).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커버(31)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소화 및 최적화시킬 수 있어 집합 수거용기(30) 커버의 개방에 따른 앞서 기술된 다양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집합 수거장치(100)는 공동으로 이용된는 장치임을 감안할 때, 그 특성상 많은 사람들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빈번한 음식물 쓰레기의 투거가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주변은 미생물이나 세균 등으로 쉽게 오염될 수 있고, 악취 등이 발생하여 사람들의 근접이 꺼려지는 혐오 설비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주변의 위생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악취 발생 및 이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환경적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음식물 쓰레기(a)가 집합 수거용기(30)로 모두 유입되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모듈(130)의 제어 등을 통하여 상기 계량용기(10)가 최소 대기 위치로 환원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8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모듈(130)은 상기 계량용기(10)의 위치에서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의 위치로 이동 경로가 형성된 유도 가이드(43)를 따라 상기 계량용기(10)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레일, 컨베이어 벨트, 회전 체인 등과 같은 매개체 등으로 구현되는 유도 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계량용기(10)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세제어모듈(45)의 회전 구동 등에 의하여 상기 계량용기(10)를 회전시켜 상기 계량용기(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a)가 집합 수거용기(30)로 투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거 장치(100)는 수거함(60) 및 로울러(50) 구성을 추가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데, 상기 로울러(50)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외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이용된 폐 비닐형 수거 용기를 상기 수거함(60)에 더욱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로울러(50)는 상기 수거함(60)의 상방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대면하는 한 쌍의 로울러(roller) 형태로 구현하여, 상호 내측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 로울러 사이의 이격 틈으로 사용된 비닐형 수거 용기를 배출자 등이 삽입 내지 투입하면 마찰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비닐형 수거 용기가 상기 로울러에 밀착 통과되어 하방의 수거함(60)으로 이동된다.
상기 로울러(50)의 구동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대한 일련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거함(60)의 상방에 소정의 개폐 커버(61)를 구비하여 상기 로울러(50)가 구동되는 경우에만 한시적으로 상기 개페 커버가 개방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수납함(60)에 수납된 비닐형 수거 용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 장치(100) 상단부 등에 태양광에 의한 광전 효과가 발생되는 태양 전지모듈(8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태양 전지모듈(80)에 의한 전력으로 장치가 구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탄소 발생이 없는 청정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고 환경 오염을 감소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에 집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제2중량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전송부(150)는 상기 제2중량 센서에서 상기 집합 수거용기(30)에 투거된 음식물쓰레기가 기준량 이상 집합되는 경우를 센싱하면, 수거업체 서버 또는 담당 수거 직원의 단말 등에 수거 내지 교체를 위한 취지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집합 수거용기(30)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이 초과되기 전 적절하고 신속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더욱 쾌적하고 사용자의 이용에 불편이 없는 사용자 지향적인 수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합용기(30) 교체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의 화면표시부(160) 또는 소정의 음성 장치 등으로 출력하여 시각 또는 청각으로도 식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수거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발명의 설명에 있어 상부, 하부 등과 같이 방향이나 위치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는 각 구성의 위치 관계 등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절대적인 기준에서 방향이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이와 함께, 제1, 제2 등과 같과 같이 기재된 용어는 각 구성을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중요도 등을 절대적 기준에서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된 용어가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집합 수거 장치 110 : 인식부
120 : 계측부 130 : 이동모듈
140 : 제어부 150 : 전송부
160 : 화면표시부 170 : DB부
200 : 태그 300 : 관공서 서버
10 : 계량용기 20 : 투입구
30 : 집합 수거용기 41 : 구동암
42 : 자세제어모듈 50 : 로울러
60 : 수거함

Claims (9)

  1. 집합 수거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투거되는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는 계측부;
    중량 계측이 완료되면, 상기 계량용기를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상기 계량용기가 상기 집합 수거 용기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계량용기의 이동을 센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계량용기의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의 이동이 센싱되면 상기 계량용기의 이동속도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대한 상기 계량용기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집합 수거 용기의 커버를 개방시키고, 상기 계량용기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투거되도록 제어하며, 투거가 완료된 후 상기 개방된 집합 수거용기의 커버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배출자에 대한 식별정보가 수록된 태그로부터 인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배출자 정보 및 상기 계측된 중량정보 또는 이에 해당하는 과금정보가 출력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로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출자로부터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중량 정보 또는 과금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이용된 비닐형 수거 용기가 수거되는 수거함;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비닐형 수거 용기가 밀착 통과되도록 상호 대면하며 내측으로 회전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가 완료된 후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로울러; 및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로울러가 구동되는 경우에 한해 개방되고 상기 로울러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닫혀 있도록 제어되는 개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수거용기는,
    상기 집합 수거장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용기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집합 수거용기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승하는 이동 궤적으로 상기 계량용기를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구동암(arm);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계량용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되도록 상기 계량용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승하는 형태의 유도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계량용기를 상기 집합 수거용기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계량용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되도록 상기 계량용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집합 수거용기에 투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기준량 이상 집합되는 경우 수거업체 서버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담당 직원의 휴대 단말로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1020100054747A 2010-06-10 2010-06-10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10103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47A KR101039254B1 (ko) 2010-06-10 2010-06-10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47A KR101039254B1 (ko) 2010-06-10 2010-06-10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254B1 true KR101039254B1 (ko) 2011-06-07

Family

ID=444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47A KR101039254B1 (ko) 2010-06-10 2010-06-10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8B1 (ko) * 2010-10-05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거주자 확인 쓰레기 배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10339A (zh) * 2019-09-24 2019-11-29 尚子童 观众席自动清理系统及其清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69B1 (ko) * 2001-03-06 2003-04-10 손태순 휴지통
KR20070096281A (ko) * 2006-03-23 2007-10-02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쓰레기저류장치, 쓰레기처리 징수금장치 및 쓰레기처리징수금 방법
KR20090039939A (ko) * 2007-10-19 2009-04-23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중량측정 요금부과방식 슈트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953110B1 (ko) * 2009-11-19 2010-04-19 (주)아이티코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69B1 (ko) * 2001-03-06 2003-04-10 손태순 휴지통
KR20070096281A (ko) * 2006-03-23 2007-10-02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쓰레기저류장치, 쓰레기처리 징수금장치 및 쓰레기처리징수금 방법
KR20090039939A (ko) * 2007-10-19 2009-04-23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중량측정 요금부과방식 슈트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953110B1 (ko) * 2009-11-19 2010-04-19 (주)아이티코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28B1 (ko) * 2010-10-05 2012-05-21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거주자 확인 쓰레기 배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10339A (zh) * 2019-09-24 2019-11-29 尚子童 观众席自动清理系统及其清理方法
CN110510339B (zh) * 2019-09-24 2024-05-14 尚子童 观众席自动清理系统及其清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EP3789319B1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CN105292847B (zh) 智能垃圾分类回收箱
CN206255468U (zh) 智能垃圾投放装置
CN104609060B (zh) 一种智能垃圾回收方法
CN106005837A (zh) 智能垃圾投放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526064U (zh) 智能环保垃圾分类回收系统
KR101148953B1 (ko)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CN103569551A (zh) 一种智能垃圾回收桶
CN101927888A (zh) 垃圾分类回收器
KR101003659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처리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19398A (zh) 可自主行走的共享云智能垃圾桶运营管理系统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9178722A (zh) 垃圾投放管理方法及系统
CN111056178A (zh) 智能垃圾分类收集装置及分类收集方法
CN104609061A (zh) 一种智能垃圾回收装置
KR101457630B1 (ko)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KR101039254B1 (ko)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20060041658A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798412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CN110803408A (zh) 垃圾分类管理系统
KR101386590B1 (ko) 멀티형 종량제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113320861A (zh) 搭载移动车辆的可溯源无接触式垃圾分类控制系统
KR101732372B1 (ko) Ble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206773801U (zh) 一种双显示屏智能旧衣物回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