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084B1 -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084B1
KR100633084B1 KR1020050010071A KR20050010071A KR100633084B1 KR 100633084 B1 KR100633084 B1 KR 100633084B1 KR 1020050010071 A KR1020050010071 A KR 1020050010071A KR 20050010071 A KR20050010071 A KR 20050010071A KR 100633084 B1 KR100633084 B1 KR 10063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barcode
weight
cost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658A (ko
Inventor
박수영
조영근
정종태
이소영
김진한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텍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텍
Publication of KR2006004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되는 쓰레기 무게에 따른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용기에 담아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쓰레기의 무게에 대응하여 일정한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 비용이 정산된 쓰레기 무게에 관한 정보를 행정관청 관리 서버와 수거운반업체의 호스트 컴퓨터로 온라인으로 전달되는 단계; 및 일정한 수집장소에 수집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한 출력정보는 바코드 또는 로드셀 입출력정보 및 기타 온라인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전달매체 등이 가능하며, 비용정산은 쓰레기전용 적산식카드 또는 ID카드 및 지문인식방법 등 어떠한 형태도 가능한 쓰레기 수거 방법을 제공한다.
전자저울시스템, 바코드, 로드셀, 적산식카드, 쓰레기수거시스템

Description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Waste Collection System for Calculating Costs and Estimating Discharge Amou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저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드셀을 적용한 쓰레기수집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코드 리더기 50: 쓰레기 전용 적산식 카드
100: 쓰레기 수거 차량 150: 쓰레기 수거 장소
200: 전자저울 시스템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무게 측정부 230: 바코드 생성부
240: 적산식카드 리더부 250: 바코드 출력부
260: 컨트롤러 270: 통신부
271: 메모리부 272: 비용산정부
300: 관리 서버 330, 350: 호스트 컴퓨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되는 쓰레기 무게에 따른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이 가능한 전자저울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1995년 쓰레기종량제의 도입으로 쓰레기 배출량 감소효과를 상당부분 이룰 수 있었으나 그에 따른 부가적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가장 큰 문제는 첫 번째, 종량제봉투의 색상에 관한 것으로 봉투가 투명하여 봉투내의 내용물이 모두 보이므로 쓰레기 배출시 불편하고 특히, 여성의 경우 위생용품을 배출할 때 많은 불편이 초래되는 등 사생활 침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두 번째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량제봉투는 각 지자체마다 봉투모양, 인쇄문구 및 색상이 다르게 제작되어 이사 등으로 인해 지역을 옮겨야 할 경우 이전 지역에서 사용하던 종량제봉투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량제봉투를 교환하거나 환불을 받아야 하지만 홍보부족으로 이 사실을 모르는 주민도 많을 뿐만 아니라 종량제봉투 판 매점에서 교환이나 환불에 비우호적이기 때문에 그냥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많다.
세 번째로는 종량제봉투의 재질과 강도에 관한 문제점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종량제봉투는 너무 얇고 강도가 약해서 쉽게 찢어지고, 특히 종량제봉투에 가능하면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으려는 행태로 인하여 더욱 그러하다. 이는 쓰레기 배출량만큼 비용을 지불하고자 하였던 종량제봉투 제도의 본 취지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네 번째로는 종량제봉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량제봉투를 묶을 수 있는 끈이 너무 짧아 봉투를 묶기가 불편하며 끈의 폭이 너무 좁아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섯 번째로는 종량제봉투의 일정부피를 채우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쓰레기가 소량 발생할 때마다 작은 비닐봉지에 담는 등 비닐봉지의 과다사용이 필연적으로 유발된다는 것이다.
여섯 번째로는 쓰레기봉투의 재질이 PVC계통인 점을 감안할 때 소각시에는 다량의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매립시에는 수십년동안 분해되지 않으므로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마다 봉투 제작 및 보급에 수십억원의 예산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쓰레기종량제로는 지자체의 적자운영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현재 지자체에서는 대부분 쓰레기 수거운반을 민간기업에 위탁처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수거운반을 담당한 민간기업에서 쓰레기 수거운반 처리 대행료를 많은 시간이 경과된 후에 행정관청에 청구하게 되어 있으므로 쓰레기 처리량에 대한 투명성과 적법성을 행정관청에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결국, 이 문제는 쓰레기 수거운반 을 담당하는 민간기업과 행정관청 사이가 오프라인 상태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이며, 실제로 쓰레기종량제 시행이후 고질적인 적자운영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 배출에 따른 비용을 기존 부피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 아닌 무게에 따라 배출현장에서 직접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과 이러한 배출량 정보가 실시간으로 행정관청과 수거운반업체에 온라인으로 전달되도록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데 특히 적합한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용기에 담긴 상태로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여 바코드를 생성하고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여 산정된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무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상기 용기에 부착할 수 있는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쓰레기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정된 쓰레기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정 보와 비용 정보를 소정의 원격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에 따라 비용을 계산하고, 비용결제 여부를 확인하고, 그리고 측정된 무게에 대한 정보 및 비용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전자저울 장치; 상기 생성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비용이 결제되었음을 확인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전자저울 장치로부터 측정된 배출 쓰레기의 무게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배출쓰레기의 무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계산된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카드를 인식하는 적산식카드 리더부; 상기 측정된 무게에 관한 정보 및 비용의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상기 바코드 생성부에서 생성한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부;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부; 및 전자저울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는 먼저, 기존 쓰레기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배출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일반봉투 또는 쓰레기배출용 전용용기를 사용하면서 쓰레기 무게에 따라 일정한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공중전화카드와 같은 쓰레기 전용 적산식카드 또는 ID카드로 비용을 정산한다. 비용정산 후에는 비용이 정산된 쓰레기 무게에 관한 정보가 행정관청과 수거운반업체에 온라인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일정한 수집장소에 수집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쓰레기 수집장소는 기존의 쓰레기 수거용 컨테이너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전자저울시스템이 부착된 쓰레기수집 전용용기일수도 있다. 한편, 쓰레기 무게정보는 바코드 형태의 정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로드셀을 이용한 쓰레기수집 전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로드셀 입출력 신호에 의한 정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타 온라인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정보전달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무게정보가 다른 시스템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일 실시예로는 바코드와 적산식카드를 이용한 전자저울시스템 채택형 쓰레기수거방법으로써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쓰레기 배출자는 기존 쓰레기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배출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일반봉투를 사용하면서 바코드생성과 비용지불카드 등을 총괄하는 컨트롤시스템이 부착된 전자저울을 통하여 쓰레기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따라 바코드를 생성한다. 쓰레기 배출자는 공중전화카드와 같은 쓰레기 전용 적산식카드로 비용을 정산한다. 비용정산 후에는 측정한 쓰레기 무게에 대한 정보 및 비용 지불완료를 담고 있는 바코드가 출력되며, 쓰레기 배출자는 이 스티커를 쓰레기를 담은 비닐, 종이봉투 또는 용기에 부착하여 쓰레기를 배출한다. 그 후에 바코드 리더기가 부착된 쓰레기 수거운반차량 또는 쓰레기 중간집하장의 컨테이너 등에 비용 지불 완료를 알리는 바코드를 인식시킴으로써 승인을 받은 후 쓰레기가 수거되는 쓰레기 수거시스템 및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쓰레기 수거차량(100),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적산식 카드를 이용하여 비용이 정산된 후 바코드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자저울 시스템(200),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과 연결되는 관리서버(300) 및 행정관청의 쓰레기 담당부서 혹은 쓰레기 수거 운반업체의 호스트컴퓨터(330, 35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 수거 차량(100)에는 소정의 바코드리더기(10)를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바코드리더기가 쓰레기 수거장소나 중간집하장 등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쓰레기 수거차량(100)에 바코드리더기가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은 상기 쓰레기 수거차량(100)에 부착되거나, 소정의 쓰레기 수거장소(15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쓰레기 배출자는 쓰레기의 무게에 따라 적산식카드를 이용하여 비용을 정산하고 바코드를 출력 받아 쓰레기봉투에 부착(이 경우 상기 바코드는 그 일면은 점착성을 띠도록 하고, 그 위에 제거할 수 있는 용지가 이를 보호하고 있는 상태로 출력된 것을 의미한다)하여 배출한다. 비용정산의 방식으로는 기존 공중전화 카드와 비슷한 쓰레기 전용 적산식카드(5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에는 쓰레기 전용 적산식 카드발급기와 카드회수기 및 지폐인식기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바코드정보와 비용 정보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행정관청의 쓰레기 담당부서 및 쓰레기수거업체의 호스트컴퓨터(330, 350)에 전송되며, 상기 관리서버(300)는 각 전자저울시스템에서 수신된 정보를 관리하고, 지역별 차등요금제도 적용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바코드정보에는 배출장소 및 시간과 수거업체, 그리고 쓰레기 무게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며, 배출장소와 수거업체정보는 이미 전자저울시스템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고, 시간과 무게정보에 따라 각기 상이한 바코드(bar code)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출력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거업체 등 이미 전자저울시스템 내부에 내장된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해 원격으로 수정 및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전자저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저울 시스템(200)의 구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무게 측정부(220), 바코드 생성부(230), 적산식카드 리더부(240), 바코드출력부(250), 컨트롤러(260), 및 통신부(27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전자저울시스템의 구체적 구현방법에 따라 적 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전자저울시스템에 적산식카드 발급 및 회수기능까지 부가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되며, 입력수단으로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부(220)는 쓰레기가 담긴 봉투의 무게를 측정하며, 그 방식은 디지털 전자저울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은 상기 바코드 생성부(230), 상기 바코드 출력부(250)를 통해 상기 무게 측정부(220)에 의해 측정된 쓰레기의 무게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을 통해 생성된 바코드에는 배출장소 정보 및 시간과 수거업체, 그리고 쓰레기 무게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 바코드체계와의 상이점은 배출장소와 수거업체정보는 이미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 내부의 컨트롤러(260)에 내장되어 있고, 시간과 무게정보는 배출시점과 배출량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바코드 중 무게와 시간을 나타내는 부분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상이하게 생성하여 출력된다는 것이다. 한편, 수거업체 등 이미 전자저울시스템 내부에 내장된 정보는 관리서버(300)를 통해 원격으로 수정 및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일례로 수거업체가 변경될 경우 관리서버에서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코드 체계는 처음부터 2차원 이상의 바코드체계를 선택하여 프로그래밍 함으로써 바코드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과 바코드 크기를 최적화하고, 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각 지자체별로 확대 적용함에 따른 별도의 바코드체계 구축을 배제하고 기존 시스템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배출장소는 기존 우편번호에 부가적으로 두 세자리의 고유 코드를 지역별로 추가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이때 필요한 byte수는 10byte 내외이며, 시간의 경우는 12byte 내외, 무게정보는 무게감량 단위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대체로 10∼20byte 내외, 수거업체 정보는 10∼20byte 내외가 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40∼70byte가 필요하며 이 경우 1차원 바코드의 적용이 어렵다. 한편, 배출지역 및 수거업체 정보에 간단한 고유 ID를 부여하여 정보량을 Slim화한 경우에는 1차원 바코드의 적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바코드에는 부가적으로 바코드 암호화기술을 적용하여 바코드의 위변조를 막는 방법의 채택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바코드의 출력은 적산식카드(50) 및 적산식카드 리더부(240)를 통해 비용이 지불된 이후에 바코드가 스티커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산식카드 리더부(240)는 비용정산이 상기 적산식 카드(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적산식카드(50)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적산식카드(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게에 따라 비용을 산정하는 요금체계로 구성되며, 지역에 따라 쓰레기 배출단가를 조정할 수 있다. 기존 공중전화카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현행 종량제봉투와는 달리 쓰레기 배출지역에 관계없이 통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게에 따라 비용이 지불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ID카드처럼 이용자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 및 온라인처리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적산식카드 리더부(240)는 공중전화카드의 요금정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 방식과 마그네틱바를 읽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요금의 정산은 잔금이 남아있는 카드와 새 카드를 연속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비 용정산의 부가적인 요소로서 전자저울시스템에 적산식카드 발급기와 회수기 및 지폐인식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저울에서 직접 카드발급 및 사용카드의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 및 관리측면에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지폐인식기는 카드발급에 따른 필요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상기 컨트롤러(260)는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먼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을 통해 시스템 동작신호를 받아 시스템을 구동한다. 상기 컨트롤러(260)는 상기 무게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를 상기 바코드 생성부(230)로 전송하여 바코드 체계를 구성하고, 무게에 따른 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적산식카드 리더부(240)에 자료를 전송하고, 상기 적산식카드(50) 및 상기 적산식카드 리더부(240)를 통해 비용이 정산되면 구성된 바코드 체계를 상기 바코드 출력부(250)로 전송하여 스티커 형태로 바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27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 또는 행정관청의 쓰레기 담당부서 혹은 쓰레기 수거 운반업체의 호스트 컴퓨터로 측정된 쓰레기 무게 정보 및 배출장소, 시간, 수거업체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260)는 인터넷 연결이 끊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기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둘 수 있는 메모리 공간과 메모리 된 정보의 자동소멸 시효 및 인터넷 연결이 온라인 상태로 될 때 축적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270)는 상기 컨트롤러(26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70)는 유/무선 통신 수단 또는 인터넷 접속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에는 상기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비용을 산정하는 비용 산정부(272)와, 생성된 바코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 및 행정관청과 수거업체 호스트 컴퓨터(330, 350)에 전송하는 자료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쓰레기가 배출되면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은 배출된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한다(단계 S10).
다음에 S20 단계에서 컨트롤러 내부의 상기 바코드 생성부(230)와 상기 비용 산정부(272)에서 배출쓰레기 무게에 따른 바코드 생성과 비용을 산정하며, 이러한 동작은 병렬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도 3에서 바코드 생성단계(S20-1), 비용 산정단계(S20-2)로 표현하였다.
S30 단계는 비용정산단계로 비용정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산식카드(50) 및 상기 적산식카드 리더부(240)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200)은 비용정산이 완료되면, S40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출력하고 전자저울시스템 컨트롤러(260)에 내장된 메모리칩에 바코드 정보를 메모리하며, 그와 동시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바코드 정보를 관리서버(300) 및 행정관청과 쓰리기수거업체의 호스트컴퓨터(330, 350)로 전송한다. 바코드 출력과 메모리 및 전송은 병렬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도 3에서 바코드 출력단계를 S40-1, 바코드정보 메모리단계를 S40-2, 관리서버 및 호스트 컴퓨터로의 바코드정보 전송단계를 S40-3으로 각각 표현하였다. 한편, 비용이 정산되지 않을 경우에는 바코드 출력과 메모리 및 전송은 일어나지 않으며, 저울에서 쓰레기를 내려놓지 않을 경우 비용정산단계가 지속되고, 내려놓으면 저울은 초기화된다.
쓰레기 배출자는 S50 단계에서 바코드가 출력된 스티커를 쓰레기를 담은 비닐, 종이봉투 또는 용기에 부착하여 배출한다.
쓰레기 수거 운반차량 또는 쓰레기 중간집하장의 컨테이너 등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10)는 S60 단계에서 바코드를 인식한 후 쓰레기를 수거한다. 즉, 상기 바코드 리더기(10)를 통해 바코드를 인식하는 단계는 비용정산이 되었음을 승인하는 절차에 해당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방법은 쓰레기 수거장소 또는 수거운반차량에 바코드리더기(10)가 설치 또는 장착되어 있어서 비용정산 후 출력되는 바코드가 붙어있는 쓰레기만 접수하는 방식이다. 수거장소 및 수거운반차량의 범위를 예를 들면 일정 수거장소에 바코드리더기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바코드가 부착된 쓰레기만 모아두었다가 쓰레기 수거운반차량이 주기적으로 수거해 가는 방식이 가능하고, 혹은 수거운반차량에 바코드리더기가 장착되어 있거나 휴대용 바코드리더기를 채택하여 쓰레기 수거운반 차량으로 쓰레기봉투를 투입시에 바코드를 리딩하는 방식, 그리고 향후 쓰레기 수거시스템이 관로수송 등의 선진기술이 도입되더라도 쓰레기 수송 관로에 바코드리더기를 장착하는 방식 중 어느 것도 가능하며, 그 적용범위는 여기에 언급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코드를 리딩하는 S60 단계는 상기 바코드리더기(10)를 중간집하장에 설치하느냐 혹은 수거차량에 설치하느냐 그리고 휴대용 바코드리더기를 채택하느냐에 따라 바코드를 리딩하는 주체가 쓰레기 배출자가 될 수도 있고, 쓰레기 수거업자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코드리더기(10)는 적외선방식, 레이저방식 및 CCD 바코드리더기 중 어느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나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바코드 영상을 통해 리딩하는 CCD 바코드리더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코드리더기(10)는 리딩한 바코드정보를 메모리하는 메모리칩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코드리더기(10)에 메모리된 정보는 주기적으로 쓰레기 수거업자에 의해 호스트컴퓨터로 Back-up되며, 이러한 리딩정보는 전자저울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된 바코드정보와 비교 관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생성되는 바코드에서 무게 및 시간정보를 제외한 발생지역 및 수거업체정보에 간단한 고유 ID를 부여하여 바코드에 포함되는 정보량을 단순화하거나, 생성되는 바코드와 출력되는 바코드를 이원화하여 발생지역, 수거업체정보, 발생시간 및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정보는 관리서버(300) 및 호스트컴퓨터(330, 350)에 전송하고, 출력되는 바코드는 단지 쓰레기 배출의 승인용으로만 사용하여 출력되는 바코드에 쓰레기의 무게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변형예로는 무게에 따른 쓰레기 수거비용 정산을 위해 적용되는 카드 또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위 실시예에서는 쓰레기전용 적산식카드를 제시하였으나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비용정산을 위해서 지문인식 감지기를 전자저울에 장착하는 방식과 기존 휴대전화기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적용예에 적합한 부대설비 및 시스템 구축이 수반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는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수거체계는 음식물 수거장소의 냄새문제와 배출자가 손으로 수거용기를 일일이 여닫는 불편함과 불쾌감,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수거업체가 수거함을 들어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차량에 옮기는 과정에서 수거함의 파손문제 등으로 인해 수거업체와 관공서에서 모두 새로운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시스템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적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시스템을 음식물쓰레기에 적용하는 방안은 내용물의 배출방법과 바코드 부착 등에서 생활쓰레기와 약간의 차이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저울 시스템(410),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430), 음식물 쓰레기 수거 차량(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일반쓰레기의 수거 방법 및 시스템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자(400)는 음식물 수거용기 또는 비닐 등에 음식물쓰레기를 모아 전자저울 시스템(410)을 통해 무게측정과 비용지불을 수행한다. 무게 측정 및 비용지불 이후 상기 전자저울 시스템(410)으로부터 바코드가 출력되면, 바코드리더기(433)가 부착된 음식물 수거함(430)에 바코드를 리딩시킨 후 음식물 수거함(430)에 내용물만 버리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수거함(430)은 자동개폐시스템(431)를 부착하여 바코드리더기(433)를 통해 바코드가 리딩되면 열리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차량(450)은 진공흡입관 등을 통해 음식물 수거함에서 음식물쓰레기만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바코드는 굳이 스티커 형태일 필요가 없고 용기에 굳이 붙일 필요도 없으며 단지 바코드 리딩용으로만 사용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43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차량(450)에 부착된 진공흡입관(455)을 통해 음식물수거함에 모인 음식물쓰레기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배출구가 있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음식물쓰레기에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생활쓰레기와 차이점은 바코드는 스티커 형태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고, 수거함에 바코드리딩기와 연동되는 자동개폐시스템가 부착되며, 수거차량은 내용물이 반액상 형태이기 때문에 진공흡입관을 채택한다는 것이다.
초기에 쓰레기수거시스템을 위한 전자저울 시스템의 구현 시에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그리고 전국으로의 확대적용을 고려하여 바코드체계 및 소프트웨어의 수정 보완성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개발비용의 과다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전자저울 시스템에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생활쓰레기 선택버튼을 부여함으로써 단일시스템에서 차별화된 단가로 동시에 두 가지 쓰레기에 대한 무게측정과 비용산정 및 관련정보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쓰레기 수거 방법에 있어서, 생활쓰레기의 경우는 음식물쓰레기와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바코드는 스티커형태로 출력되며, 쓰레기 배출자는 종량제 봉투가 아닌 일 반적인 봉투에 출력된 바코드를 부착하여 쓰레기 중간집하장 또는 컨테이너에 바코드를 리딩시킨 후 버리면 된다.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쓰레기중간집하장에 바코드리더기와 연동되는 자동개폐시스템가 구비된 수거함 마련에는 비용부담이 있다. 따라서, 자동개폐시스템의 적용 보다는 기존 수거함에 바코드리더기만을 부착해놓고 쓰레기 수거시 바코드가 부착된 쓰레기만 수거해가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쓰레기 수거업체는 수거차량에 바코드리더기를 부착하거나 이동식 바코드리더기를 이용해 쓰레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수거함에 불법 투기되는 쓰레기에 대해서는 쓰레기수거업체와 관할지역 주민 사이에서 쓰레기배출단가 조정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며, 쓰레기 관로수송의 경우에는 쓰레기 투입구에 바코드리더기와 연동되는 자동개폐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는 쓰레기 무게 감지를 위해 쓰레기 수집용기의 하단부(또는 로드셀의 원리 및 종류에 따른 적합한 위치)에 로드셀(Load Cell)을 부착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양자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드셀이 부착된 쓰레기수집용 전용용기가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로드셀을 적용한 쓰레기수집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로드셀(Load Cell)이 부착된 쓰레기수집용기는, 하단부에 설치되고 그 주위를 실린더로 고정시켜 수직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Load Cell); 상기 로드셀과 밀접되고 사방에 축으로 고정된 하중 감지판; 비용 정산을 위한 쓰레기전용 적산식 카드 또는 ID카드와 같은 카드 투입구;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비용정산을 할 수 있도록 카드를 인식하는 적산식카드 리더/라이트부;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쓰레기수집용기의 각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쓰레기의 무게정보와 비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상술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자저울"이라 한다), 쓰레기 배출자가 상기 카드 투입구에 카드를 넣어주면 수집용기가 자동으로 열리고 쓰레기 투입구가 열려있는 동안 투입된 쓰레기 무게에 대해 비용지불이 되면 상기 쓰레기투입구가 자동으로 닫힌 후 카드가 배출되는 투입구 자동개폐시스템; 쓰레기를 투입하면 로드셀에 의해 무게가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해당되는 로드셀 입출력 정보와 비용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LCD표시부; 및 쓰레기전용 적산식카드 또는 ID카드에 의해 비용이 지불된 후 쓰레기 무게정보와 상기 비용정보를 해당 행정관청 관리서버와 쓰레기수거업자의 호스트컴퓨터로 전송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드셀이 부착된 쓰레기수집용 전용용기에 구비된 비용정산을 위한 쓰레기전용 적산식카드 또는 ID카드 투입구에, 쓰레기 배출자가 카드를 넣어주면(단계 S70) 수집용기의 쓰레기투입구가 자동으로 열리며, 쓰레기를 투입하면(단계 S71) 로드셀에 의해 무게가 감량되어 출력신호에 의해 무게정보와 쓰레기 무게에 해당되는 비용 정보를 LCD 표시부 화면에 표시되며(단계 S72), 쓰레기전용 적산식카드 또는 ID카드에 의해 비용이 지불된(단계 S73) 후 쓰레기 무게정보와 비용정보를 해당 행정관청 관리서버와 쓰레기수거업자의 호스트컴퓨터로 전송되고(단계 S74), 상기 자동개폐시스템에 의해 쓰레기 수집용 전용용기의 쓰레기 투입구가 자동으로 닫힌 후 카드가 배출된다(단계 S75).
이러한 수집전용용기를 채택한 시스템은, 쓰레기 수집용기 쓰레기투입구는 카드가 투입되어야 열리며, 또한 열려있는 동안 투입되는 쓰레기 무게에 대해서 비용지불이 완료되어야 카드가 배출되면서 수집용기 투입구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시스템을 생활쓰레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종량제 봉투가 아닌 일반봉투에 쓰레기를 담아서 배출하면 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수집용기에 내용물만 배출하는 방식을 취한다. 추가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수집용기는 수거차량에 부착된 진공흡입관을 통해 수집용기에 모인 음식물쓰레기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배출구가 있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실제 적용에 있어서 용이한 어떠한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조합 및 변형을 통하여 응용될 수 있는 변형예들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수거시스템이 구축되면 색상, 재질 및 강도, 형태 등의 문제가 제기된 기존 종량제 봉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종량제 봉투 제작에 따른 비용을 연간 수십억원씩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많은 양의 종량제 봉투를 소각 또는 매립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수거된 쓰레기 무게가 행정관청에 실시간으로 전송됨으로써 행정관청과 수거업체간의 쓰레기 수거비용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본 시스템을 적용하는 지자체의 관리서버를 통해 쓰레기의 지역별 기간별 배출량의 산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배출 비용이 쓰레기 무게에 따라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에 상관없이 쓰레기 배출자의 적산식카드를 통하여 쓰레기를 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향후 쓰레기 수거시스템이 관로수송 등의 선진시스템이 도입되더라도 이 시스템을 그대로 응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 방식에 따라,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법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수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소정 용기에 담긴 상태로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가 저울에 의하여 측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여 산정된 비용이 정산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상기 용기에 부착할 수 있는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비용정산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쓰레기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정보와 비용 정보를 소정의 원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방법.
  3.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에 따라 비용을 계산하며, 비용결제 여부를 확인하고, 그리고 측정된 무게에 대한 정보 및 비용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전자저울 장치;
    상기 생성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비용이 결제되었음을 확인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전자저울 장치로부터 측정된 배출 쓰레기의 무게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배출쓰레기의 무게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비용 정산과 배출량 파악이 가능한 전자저울 시스템을 이용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계산된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카드를 인식하는 적산식카드 리더부;
    상기 측정된 무게에 관한 정보 및 비용의 결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상기 바코드 생성부에서 생성한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부;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부; 및
    전자저울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측정된 쓰레기 무게 정보 및 비용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 장치는
    상기 측정된 무게에 대응하는 비용을 산정하는 비용 산정부; 및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관리서버 및 행정관청과 수거업체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하는 자료 전송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시스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일정기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둘 수 있는 메모리공간을 구비하며, 메모리 된 정보의 자동소멸 시간 및 인터넷 연결이 온라인 상태로 된 경우에 축적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8. 소정의 용기에 담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가 저울에 의하여 측정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음식물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음식물 쓰레기 무게에 대응하여 산정된 비용이 비용지불을 위한 카드에 의하여 정산하는 단계;
    비용지불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를 인식하는 수단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함이 상기 바코드가 인식된 경우에만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함에는 음식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진공흡입관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 차량이 상기 쓰레기 수거함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은 자동개폐시스템를 구비하여, 바코드를 인식하는 수단이 바코드를 인식한 경우에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방법.
  11.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쓰레기를 모으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쓰레기 투입구;
    배출되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에 따라 비용을 계산하고, 그리고 비용결제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전자저울; 및
    상기 전자저울에 의하여 비용결제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쓰레기 투입구가 열리도록 하는 자동개폐시스템;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은
    투입된 쓰레기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
    비용 정산을 위한 적산식 카드 또는 ID카드 투입구; 및
    상기 측정된 무게에 따라 계산된 비용을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된 카드를 인식하는 적산식카드 리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측정된 쓰레기 무게에 대한 정보 및 계산된 쓰레기 비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쓰레기 무게에 대한 정보 및 쓰레기 비용정보를 소정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수집용기.
KR1020050010071A 2004-03-12 2005-02-03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33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042 2004-03-12
KR20040017042 2004-03-12
KR1020040034259 2004-05-14
KR20040034259 200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58A KR20060041658A (ko) 2006-05-12
KR100633084B1 true KR100633084B1 (ko) 2006-10-12

Family

ID=371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071A KR100633084B1 (ko) 2004-03-12 2005-02-03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0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29B1 (ko) 2007-09-03 2009-03-26 한솔이엠이(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투기량 측정장치
KR101046209B1 (ko) 2010-11-24 2011-07-04 주식회사 이메닉스 생활폐기물 종량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1107604B1 (ko) 2008-09-12 2012-01-25 한국토지공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1960742B1 (ko) 2017-11-03 2019-03-21 김재하 쓰레기통 gps위치관리와 자동수거요청을 통한 스마트 쓰레기 자동 수거 서비스 시스템
KR20210082327A (ko) 2019-12-25 2021-07-05 주식회사 같다 동일 식별자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서비스 사용자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446A (ko) * 2005-09-28 2005-12-07 이재성 휴지통을 이용한 폭발물 감지 시스템
KR100825128B1 (ko) * 2006-05-16 2008-04-25 김경남 바코드 납부필증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관리 시스템
KR100823315B1 (ko) * 2007-04-20 2008-04-17 전주시 쓰레기 계근 시스템
KR100910214B1 (ko) * 2007-06-13 2009-07-31 한국환경자원공사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한 유해성 특수폐기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29B1 (ko) 2007-09-03 2009-03-26 한솔이엠이(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투기량 측정장치
KR101107604B1 (ko) 2008-09-12 2012-01-25 한국토지공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장치
KR101046209B1 (ko) 2010-11-24 2011-07-04 주식회사 이메닉스 생활폐기물 종량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1960742B1 (ko) 2017-11-03 2019-03-21 김재하 쓰레기통 gps위치관리와 자동수거요청을 통한 스마트 쓰레기 자동 수거 서비스 시스템
KR20210082327A (ko) 2019-12-25 2021-07-05 주식회사 같다 동일 식별자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서비스 사용자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58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084B1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CN104495139B (zh) 垃圾投放箱及垃圾分类投放方法
RU2146390C1 (ru) Запоминание, поиск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нанесение на корреспонденцию стоимости почтового отправления
US20210012605A1 (en) Methods of recyclable electronic based reward system for invoking proper recycling procedures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EP27655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hecking waste delivery
US20040064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il including pre-sorted mail, and a smart mail box adaptable for use with the system and method
MXPA05011378A (es) Sistema y metodo para recoleccion de desperdicios.
KR101019286B1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43807A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CN104794820A (zh) 一种停车场自动收费机及系统
JP2002104607A (ja) ゴミ収集システム
JP3965361B2 (ja) 物流又は運送に関わるサービス料金のカード決済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203858707U (zh) 一种停车场自动收费机及系统
CN101276502A (zh) Pos系统和控制pos系统的方法
KR20090002120A (ko) Rfid기반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수거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JP2006155645A (ja) 廃棄物保管装置
KR102315315B1 (ko)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
CN112163875A (zh) 一种可追溯的垃圾付费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0387846Y1 (ko) 쓰레기 배출무게에 따른 비용결제기능과 외부통신기능을갖춘 쓰레기 수거용기
EP0876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waste material, as well as a suitable collector therefor
KR101126721B1 (ko) 충전카드를 이용한 종량제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23799A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0368015B1 (ko) 지로공과금 납부 장치 및 납부 처리 방법
KR20110101471A (ko)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