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471A -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471A
KR20110101471A KR1020100020482A KR20100020482A KR20110101471A KR 20110101471 A KR20110101471 A KR 20110101471A KR 1020100020482 A KR1020100020482 A KR 1020100020482A KR 20100020482 A KR20100020482 A KR 20100020482A KR 20110101471 A KR20110101471 A KR 2011010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formation
subject
discharge
bas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우
박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닉스
Priority to KR102010002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471A/ko
Publication of KR2011010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3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programme controlled, e.g. by perforated tape
    • G01G19/38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programme controlled, e.g. by perforated tape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주택(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상가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되 규격화되지 않은 용기(쓰레기봉투 포함)의 사용이 가능하고, 후불제 결재방식을 통해 편리함을 도모하며, 표시창을 통해 광고(특히, 지역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제공해주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llecting point food was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상가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되 규격화되지 않은 용기(쓰레기봉투 포함)의 사용이 가능하고, 후불제 결재방식을 통해 편리함을 도모하며, 표시창을 통해 광고(특히, 지역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특히,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한 과금 방법은, 각 음식물 쓰레기통에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대한 산정이 어려웠던 관계로 각 가정별로 일률적으로 과금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금 방법은 실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비용이 부과되어 형평성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평성 논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3315호(등록일: 2008.04.11, 발명의 명칭: 쓰레기 계근 시스템) 및 등록특허 제10-0859012호(등록일: 2008.09.10, 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 기술은, 지역 및 배출주체별(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기타)로 일반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집계 및 계근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과금을 하도록 한 방식이다.
이를 위해 배출자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번호(태그)를 규격화된 음식물 쓰레기통에 부착하고, 수거장치에 상기 고유번호를 판독하기 위한 리더기를 구비하며, 상기 고유번호를 인식한 후,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에 버리면, 계근장치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계근한다.
이후 무게와 요금을 화면에 표시해주게 되고, 배출자가 전자화폐(IC카드, RFID카드, 교통카드, T머니, 기타 등)로 결제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사용자별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과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규격화된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용으로 다양한 용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일반 사용자들은 음식물 쓰레기 통으로 봉투를 싱크대에 걸어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 경우 봉투는 수거장치에 직접 사용할 수 없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경우 규격화된 쓰레기통에 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옮겨 담아야하며, 출근시에는 규격용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버리고 다시 수거용기를 집에 두고 출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선불제이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자 하면 규격화된 음식물 쓰레기통과 함께 반드시 결재용 전자화폐를 들고가 결재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만을 수거할 뿐, 다양한 광고(특히, 지역 광고)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주택(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상가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되 규격화되지 않은 용기(쓰레기봉투 포함)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공동주택일 경우 관리사무소를 통한 관리비 청구로 인해 미결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단독주택일 경우 관공서(예를 들어, 구청)를 통한 음식물 처리비 청구와 같은 후불제 결재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배출자에게 선불카드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편리함을 도모해주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창을 통해 광고(특히, 지역광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거시스템의 기능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제공해주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점수거장치는,
상기 배출자가 휴대한 인식카드를 판독하여 판독정보를 출력하는 리더기와;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또는 횟수를 인식하는 계근부와;
상기 판독정보와 계근 또는 횟수로 측정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데이터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거점수거장치의 관리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점수거장치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시에는 배출량과 수수료를 표시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광고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독정보를 분석하여 배출자를 인식하는 배출자 인식모듈과;
상기 인식한 배출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주체를 인식하는 배출주체 인식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 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과금 주체별로 배출자 정보를 분리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과금 주체의 판별은, 배출주체가 공동주택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고, 상기 배출주체가 단독주택일 경우 음식물쓰레기 수거를 담당하는 지자체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며, 상기 배출주체가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거점수거장치에 전송할 광고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모듈과;
상기 광고 관리모듈과 연동하여 광고를 상기 거점수거장치별로 분류하는 광고 분류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방법"은,
거점수거장치와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서 음식물쓰레기를 거점수거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출자 휴대용 인식카드의 판독정보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를 구분하는 단계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과금 정보를 상기 구분한 과금 주체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공동주택, 단독주택) 및 상가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되 규격화되지 않은 용기(쓰레기봉투 포함)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일 경우 관리사무소를 통한 관리비 청구와 단독주택일 경우 관공서(예를 들어, 구청)를 통한 음식물 처리비 청구와 같은 후불제 결재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배출자에게 선불카드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창을 통해 광고(특히, 지역광고)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거시스템의 기능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쓰레기 수거업체나 시스템 제공업체의 수익 창출을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업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점수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거점수거장치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의 광고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업무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점수거장치의 실시 예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의 실시 예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은, 거점수거장치(100), 통신 네트워크(200),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 웹(web)(400), 배출자(500), 관리 사무소(600), 관리자(700), 수거업체(800) 및 지자체(9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출자(500)는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 배출자가 음식물 쓰레기 관련 정보를 웹(400)을 통해 전달받기 위한 배출자 소유 단말기를 의미하며, 관리 사무소(600)는 웹(400)을 통해 공동주택의 세대원이 배출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세대원의 과금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관리비 항목에 부가하여 관리비 청구서를 작성하는 관리 사무소 컴퓨터를 의미한다.
또한, 관리자(700)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컴퓨터, 휴대폰, PDA, 기타 등)를 의미하며, 수거 업체(800)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특정 위치의 거점수거장치에 대한 음식물쓰레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고, 음식물수거에 대한 비용 결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수거업체 컴퓨터를 의미한다.
지자체(900)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지자체 내의 구민(또는, 시민)에 대한 음식물쓰레기 배출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구민에게 과금을 수행하는 지자체 관리 서버를 의미한다.
거점수거장치(100)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거점에 설치되며, 배출자가 휴대한 인식카드를 판독하고,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계근 또는 횟수를 산출하며, 통신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와 송수신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 또는 외부의 데이터 통신장치(예를 들어, USB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광고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점수거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모아두기 위한 수거집하함(103), 거점수거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배출자가 휴대한 인식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정보를 출력하는 리더기(101), 배출자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배출구개폐기(102), 상기 배출구개폐기(102)를 닫기 위한 닫힘 버튼(104),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계근하기 위한 계근저울(105), 수신한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06), 상기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정보 및 과금 정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광고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표시장치(107), 상기 판독정보와 계근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해주며, 데이터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고, 거점수거장치의 관리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통신모듈(108) 및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센서(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장치(107)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점수거장치(1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록된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 통신장치(예를 들어, USB 장치)가 접속되고, 전송되는 광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USB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거점수거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배출자 휴대용 인식카드의 판독정보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301), 제어모듈(302), 판독정보를 분석하여 배출자를 인식하는 배출자 인식모듈(303), 상기 인식한 배출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주체를 인식하는 배출주체 인식모듈(304), 상기 인식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 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과금 주체별로 배출자 정보를 분리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모듈(305), 상기 거점수거장치에 전송할 광고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모듈(306), 상기 광고 관리모듈(306)과 연동하여 광고를 상기 거점수거장치별로 분류하는 광고 분류 모듈(307), 각각의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식물쓰레기 배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관리 모듈(30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금 주체의 판별은, 배출주체가 공동주택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고, 상기 배출주체가 단독주택일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를 담당하는 지자체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며, 상기 배출주체가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사람(배출자)은 배출자를 인식하기 위해 미리 발급받은 인식카드를 휴대한 상태에서 배출할 음식물쓰레기를 가지고 거점에 설치된 거점수거장치(100)에 간 후, 휴대한 인식카드를 리더기(101)에 근접시켜 배출자 정보를 인식시킨다.
여기서 인식카드는 RFID카드이거나 IC카드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이 외부로 흐르지 않는 봉투를 사용하거나 임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반드시 규격화된 음식물쓰레기통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종래에는 배출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가 부착된 규격화된 음식물쓰레기통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통의 용기에 제한을 받아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싱크대에 음식물쓰레기 봉투를 걸어놓고 사용하는 경우, 배출시에는 전용의 규격화된 음식물쓰레기통에 봉투에 담긴 음식물쓰레기를 다시 옮겨 담아야 하며, 출근시에는 규격용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버리고 다시 수거용기를 집에 두고 출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배출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카드를 배출자가 별도로 휴대하도록 함으로써, 인식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봉투나 모든 용기의 사용이 가능해져, 사용자(배출자)에게 더욱 편리함을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
리더기(101)에서 정상적으로 배출자 정보가 판독되면, 제어기(106)에 의해 배출구 개폐기(102)가 개방되고, 배출자가 음식물쓰레기를 정해진 위치에 배출한 후 배출구개폐기 닫힘 버튼(104)을 누르면 제어기(106)의 제어에 의해 배출구개폐기(102)가 닫히게 된다.
이후 계근 저울(105)에 의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량이 계근되고, 제어기(106)의 제어하에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른 배출수수료(청구 예정 금액)가 표시장치(107)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어기(106)의 제어하에 통신모듈(108)은 인식카드 판독정보, 그리고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배출주체(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기타 등)를 판별하기 위한 배출주체 정보,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정보 등과 같은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포맷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음식물쓰레기 배출정보가 발생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거점수거장치(100)는 높이센서(109) 등을 이용하여 수거집하함(103)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하여 제어기(106)에 전달한다. 제어기(106)는 측정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최대가 되어 수거집하함(103)을 비워야 하는 경우 통신모듈(108)을 통해 수거업체(또는, 수거자)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 측정 데이터를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에 전송해주어, 통합적인 관리 체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거점수거장치(100)는 광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정보는 미리 등록된 관리자가 USB 포트에 USB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장치를 연결하고 광고 정보를 다운로드 하거나,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가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를 통해 광고 파일을 다운로드 하게 된다. 광고 정보가 다운로드 되면, 제어기(106)에서 통신 모듈(108)을 통해 이를 수신하여 내부의 메모리(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이후 메모리에 저장한 광고 정보를 추출한 후 재생을 하고, 표시장치(107)를 통해 화면 출력을 해줌으로써, 거점수거장치(100)에서 광고가 가능해진다. 필요에 따라 스피커를 장착하고, 광고에 포함된 음성도 재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출력하는 광고 정보는 모든 광고가 가능하지만, 해당 지역의 지역 광고를 위주로 광고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거점수거장치(100)는, 중간수거용기(120리터)가 여러 개 놓이는 경우, 키오스크(제어장치)를 여러 개 설치할 필요없이, 계근저율이 장착된 수거집하함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수거집하함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는 거점수거장치(100)로부터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모듈(302)의 제어하에 음식물쓰레기 배출관리 모듈(308)에서 배출 관련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309)에 등록한다.
아울러 배출자 인식모듈(303)에서 수신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로부터 배출자 인식카드 판독정보만을 추출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309)에 미리 등록된 배출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배출자를 인식하게 된다. 즉, 배출자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배출자인지를 확인하게 되는 데, 여기서 배출자는 초기에 인식카드를 부여받을 때 자신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인식카드를 부여받게 된다. 인식카드는 공동주택일 경우 관리 사무소에서, 단독주택일 경우 동사무소나 구청 등의 지자체를 통해서,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 사무소 등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배출자에게 인식카드를 발급하는 경우에는 배출자에 대한 정보(배출자의 기본 정보와 인식카드 고유번호 정보, 기타 등)가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의 정보 데이터베이스(309)에 등록된다.
배출자가 인식된 상태에서 배출주체 인식모듈(304)은 인식한 배출자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 데이터베이스(309)를 검색하여 배출주체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주체란 배출자가 공동주택 세대원인지, 단독주택 세대원인지, 아니면 상가 입주자인지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배출주체를 구분하는 이유는 과금 주체가 배출주체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고, 아울러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배출주체가 결정되면 과금 정보 생성모듈(305)은 배출주체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과금 주체를 판별하여 과금 주체 정보와 과금 정보를 제어모듈(302)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모듈(302)은 통신 모듈(301)과 연계하여, 웹(400)을 통해 과금 주체로 상기 과금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과금 주체는 공동주택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가 될 수 있으며, 단독주택일 경우 구청과 같은 지자체가 될 수 있으며,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사무소가 될 수 있다.
과금 주체가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일 경우, 관리사무소(600)에서 각 세대별 배출량에 따른 개별 과금 총액을 월별로 집계하고, 이렇게 집계한 각 세대별 과금액을 관리비에 항목으로 집어넣어 음식물쓰레기 배출에 따른 수수료를 관리비로 청구한다. 배출자는 매월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관리비를 결재하면, 자동으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정산하게 된다. 즉, 후불제 방식의 결재가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정해진 쓰레기통 이외에 결재를 위한 결재카드(예를 들어, 교통카드, 기타 등)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도 해소한다. 아울러 자신이 배출한 배출량에 대해서만 정산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매우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과금 주체가 상가 관리사무소일 경우 상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과금 주체가 구청과 같은 지자체일 경우, 음식물쓰레기 배출에 따른 수수료를 지로 용지나 기타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자체일 경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각 배출주체별로 음식물쓰레기 배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 이러한 통합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거점수거장치의 위치를 재설정하거나 개수를 조정할 수 있어, 거점수거장치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의 제어모듈(302)의 각 거점수거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거점수거장치의 현재 음식물쓰레기 수거 상황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거집하함을 비워야하는 거점수거장치가 존재하면, 웹(400)을 통해 수거업체(800)로 수거집하함을 비우도록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거점수거장치의 인식은 각 거점수거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해 놓고, 거점수거장치가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때 자신의 고유 정보를 함께 보내면 제어모듈(302)에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거점수거장치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거 정보를 전달받은 수거업체(800)는 해당 위치로 수거자를 보내 수거집하함을 비우도록 하고, 수거집하함을 비운 후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것은 추후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대한 비용을 정산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거점수거장치에서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광고 정보는 거점수거장치를 통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가 광고 정보를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에 의뢰하면, 광고 관리 모듈(306)에서 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309)에 등록한다.
이후 광고 분류 모듈(307)에서 광고 의뢰자가 광고 의뢰시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거점수거장치를 구분하고, 해당 광고를 구분한 거점수거장치로 전송한다. 즉, 광고주는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거점수거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광고 분류 모듈(307)에서 이를 분류하여 광고를 광고주가 지적한 거점수거장치에만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거점수거장치를 통해 광고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거점수거장치의 배출순서를 보인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 배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장치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101).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도중에 배출원이 리더기(리더부)에 인식카드를 접촉하면 상기 리더기에서 인식카드의 정보를 판독(스캔)하고(S103 ~ S105), 상기 판독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적인 배출자로 인식되면 배출구를 개방한다(S107).
이후 배출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면, 배출구를 닫고(S109 ~ S111),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계측(계근)하게 되며(S113), 계근량에 따라 수수료를 산출하여 표시장치에 수수료를 표시하게 된다(S115). 여기서 수수료 산출은 배출주체에 따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출주체에 따른 수수료는 수수료 징수 기관에서 정해놓은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300)의 제어 모듈(302)에서 수행하는 제어 과정을 보인 것이다.
거점수거장치(100)로부터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음식물쓰레기 배출자 정보, 배출량, 거점수거장치의 수거집하함 상태 정보, 기타 등)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고(S201), 배출자 정보를 판별한 후 이를 기반으로 배출주체를 판별한다(S203).
다음으로, 배출주체의 판별에 따라 과금 주체를 구분하고, 배출주체 또는 과금 주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수수료 징수 기준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205 ~ S207). 여기서 과금은 배출주체(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또는 과금 주체(지자체,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상가 관리사무소)에 따라 수수료 규정이 달라 수수료가 달라질 수 있다.
생성한 과금 정보는 과금 주체별로 분리하고, 과금 주체별로 구분하여 과금 정보를 웹(WEB)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S209 ~ S211). 즉, 과금 주체가 공동주택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고, 과금 주체가 지자체일 경우 지자체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며, 과금 주체가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사무소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광고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제어모듈(302)은 광고주에 의해 광고가 의뢰되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S221), 상기 저장한 광고를 거점수거장치별로 분류를 하게 된다(S223). 이후 분류한 광고를 각각의 거점수거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게 된다(S225).
따라서 광고주는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지역의 거점수거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광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거점수거장치의 선택은 지역 광고일 경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거점수거장치
101… 리더기
106… 제어기
107… 표시장치
108… 통신모듈
300…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
303… 배출자 인식모듈
304… 배출주체 인식모듈
305… 과금 정보 생성모듈
306… 광고 관리모듈

Claims (9)

  1. 음식물쓰레기를 거점 수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제공해주는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수거장치는,
    상기 배출자가 휴대한 인식카드를 판독하여 판독정보를 출력하는 리더기와;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배출량) 또는 횟수를 인식하는 계근부와;
    상기 판독정보와 상기 인식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또는 배출횟수 정보를 포함한 음식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데이터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거점수거장치의 관리 정보를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 전송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점수거장치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광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시에는 배출량과 수수료를 표시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광고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수거장치는, 등록된 관리자가 휴대용 데이터 통신 장치를 통해 광고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통신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독정보를 분석하여 배출자를 인식하는 배출자 인식모듈과;
    상기 인식한 배출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주체를 인식하는 배출주체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 주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과금 주체별로 배출자 정보를 분리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주체를 판별하는 것은, 배출주체가 공동주택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고, 상기 배출주체가 단독주택일 경우 음식물쓰레기 수거를 담당하는 지자체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며, 상기 배출주체가 상가일 경우 상가 관리사무소를 과금 주체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는,
    상기 거점수거장치에 전송할 광고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모듈과;
    상기 광고 관리모듈과 연동하여 광고를 상기 거점수거장치별로 분류하는 광고 분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9. 거점수거장치와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관리 서버에서 음식물쓰레기를 거점수거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점수거장치로부터 전송된 배출자 휴대용 인식카드의 판독정보로 배출자의 인식과 배출주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한 배출주체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주체를 구분하는 단계와;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과금 정보를 상기 구분한 과금 주체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과금 주체에 과금 정보를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방법.
KR1020100020482A 2010-03-08 2010-03-08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1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82A KR20110101471A (ko) 2010-03-08 2010-03-08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82A KR20110101471A (ko) 2010-03-08 2010-03-08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471A true KR20110101471A (ko) 2011-09-16

Family

ID=4495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482A KR20110101471A (ko) 2010-03-08 2010-03-08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51B1 (ko) * 2013-11-05 2014-03-11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4019208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씨원 생활 폐기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활 폐기물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51B1 (ko) * 2013-11-05 2014-03-11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4019208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씨원 생활 폐기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활 폐기물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5139B (zh) 垃圾投放箱及垃圾分类投放方法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204433513U (zh) 垃圾投放箱
US20040064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il including pre-sorted mail, and a smart mail box adaptable for use with the system and method
CN110021109A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模式
CN106295965A (zh) 基于互联网的垃圾分类回收方法、系统及垃圾分类终端机
KR101427138B1 (ko) 단독주택의 지역별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중량 측정 시스템
CN103106695A (zh) 一种自助包裹寄送存取设备、及其系统
CN203186930U (zh) 一种垃圾分类回收智能化的系统
KR100633084B1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019286B1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3807A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KR101003659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처리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46937A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387104A (zh) 一种垃圾回收充值系统
KR20090002120A (ko) Rfid기반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수거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20110101471A (ko) 음식물쓰레기 거점수거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163875A (zh) 一种可追溯的垃圾付费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1378943B1 (ko) 음식물 처리기 미납요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315315B1 (ko)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
CN106355372A (zh) 一种物联网智能柜管理方法
KR101871309B1 (ko) 선불제 쓰레기 종량제에서의 회원 등록 및 정산 방법
KR20170123799A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211392490U (zh) 一种垃圾分类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