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769B1 - 휴지통 - Google Patents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769B1
KR100379769B1 KR10-2001-0011560A KR20010011560A KR100379769B1 KR 100379769 B1 KR100379769 B1 KR 100379769B1 KR 20010011560 A KR20010011560 A KR 20010011560A KR 100379769 B1 KR100379769 B1 KR 10037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inlet
control pan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902A (ko
Inventor
손태순
Original Assignee
손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순 filed Critical 손태순
Priority to KR10-2001-001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7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지통의 개폐문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위생성 향상, 제품의 고급화, 하이패션 감각에 부응하는 휴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휴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6)와, 상기 수납체(6)의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체(7) 상에 축핀(8)에 의해 각운동하면서 투입구(9)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문(4)을 구비한 통상의 휴지통(1)에 있어서, 뚜껑체(7)의 투입구(9) 전측에는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2)를 설치하여 콘트롤판넬(12)에 휴지 등의 투입 유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입구(9)의 개폐문(4) 개폐상태 신호를 콘트롤판넬(12)로 인가할 수 있는 근접센서(3)를 투입구(9)의 전후로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4)에 축고정된 축핀(8)은 콘트롤판넬(12)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제어되는 정역모터(10)와 감속기어(11)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뚜껑체(7)의 상부에는 솔라셀(5)을 설치하여 밧데리(13)와 연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지 등을 수납체(6)의 내부로 투입구(9)를 통하여 투입코자 할 시에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2)에 의해 정역모터(10)가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휴지 등을 버릴 때 개폐문(4)의 자동개폐로 인해 위생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품의 고급화에 일조함과 동시에 휴지통의 미관향상및 항상 청결함을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지통{A wastebasket}
본 발명은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지통의 개폐문을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감지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위생성 향상, 제품의 고급화, 하이패션 감각에 부응하는 휴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지통은 개폐문을 구비하지 않은 것과 개폐문을 구비한 것으로 대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휴지통에 수납된 각종 휴지나 이물, 쓰레기 등이 주위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관자에게 불쾌감을 조장함은 물론 위생적으로도 상당히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의 휴지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후자와 같이 휴지통에 개폐문을 구비한 휴지통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의 경우 휴지통 개폐문을 수동개폐 방식을 취하고 있어 휴지나 이물, 쓰레기 등을 투입코자 할 경우 사용자가 개폐문을 수동으로 개폐해 주어야 하므로 이의 번거로움은 차치하고라도 개폐문에 잔류한 각종 이물 및 비위생적인 세균 등으로 인하여 세균감염의 우려 또한 높다고 하겠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폐문을 발을 사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족답식 개폐문을 가진 휴지통도 안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족답식 개폐문을 가진 휴지통의경우는 사용자가 필히 발로서 족답페달을 족답하여야 만이 개폐문이 개방되므로 이 역시 번거로움을 깨끗이 일소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또한 족답식 개폐문을 갖는 휴지통의 경우는 족답페달을 빈번히 족답시킴으로 인하여 족답페달의 파손률 등이 높고, 하반신 장애자의 경우는 하체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부득이 족답식 휴지통을 사용코자 할 경우는 손으로 족답페달을 눌려서 개폐문을 개방사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위생성을 제공받을 수 없었고, 장애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제품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휴지통 중에서 개폐문을 가진 휴지통에 있어서 개폐문을 사용자가 개폐코자 할 시에 적외선센서 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휴지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연동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휴지통을 제공하여 위생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 그리고 제품의 고급화, 하이패션 감각에 부응하는 휴지통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휴지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를 함께 도시한 휴지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개폐문과 구동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문 개폐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휴지통 2:감지센서
3:근접센서 4:개폐문
5:솔라셀(solar cell) 6:수납체
7:뚜껑체 8:축핀
9:투입구 10:정역모터
11:감속기어 12:콘트롤판넬
13:밧데리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지통(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등으로서, 도시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의 유기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실제 본 발명의 디자인 등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지통(1)은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2)에 의해 사용자가 휴지통(1)에 휴지 등의 투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감지센서(2)와 연동하여 근접센서(3)가 개폐문(4)의 개폐상태 여부를 감지토록 하며, 전원공급은 솔라셀(5)을 사용토록 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즉, 휴지통(1)을 구성하는 수납체(6)의 상부에 끼움결합식으로 안치될 수 있는 상부 뚜껑체(7) 상부에는 개폐문(4)을 좌우 축핀(8)에 의해 투입구(9) 상을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일측의 축핀(8)상에는 개폐문(4)의 자동개폐를 위하여 일측에 설치되는 정역모터(10)와 감속기어(11)를 통하여 상호 기어연결토록 함으로서 소정의 감속된 회전비로 축핀(8)이 회전하여 개폐문(4)이 개폐작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정역모터(10)는 감속기어를 일체로 가진 감속정역모터 등으로 대체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뚜껑체(7)의 개폐문(4) 전방측에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2)를 설치하여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된 콘트롤판넬 (12)과 회로연결하고, 전원공급을 위하여 뚜껑체(7)의 상부 일측에는 통상의 솔라셀 (5)을 설치하여 밧데리(13)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개폐문(4)의 각운동 범위내에는 이의 개방 및 확인을 감지하여 콘트롤판넬(12)로 감지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근접센서(3)를 각각 설치하여 회로연결시킨 것이다.
상기 콘트롤판넬(12)에는 개폐문(4)이 오작동시 이를 주위에 고지할 수 있는 알람(alarm)을 동시에 구비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휴지통(1)은 실내외에 비치하여 각종 휴지나 이물, 쓰레기 등을 임시적으로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적소에 비치된 휴지통(1)에 사용자가 휴지 등을 투입코자 손을 근접시키면 뚜껑체(7)의 투입구(9) 전측에 설치된 감지센서(2)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센서(2)의 감지신호는 콘트롤판넬(12)로 인가되어 프로그램의 지령에 의해 정역모터(10)를 도 4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감속기어(11)가 구동하여 축핀(8)을 회전시키게 되고, 축핀(8)에 축고정된 개폐문(4)이 개방된다.
개폐문(4)의 개방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후측 근접센서(3)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판넬(12)로 신호를 인가하여 정역모터(10)를 구동정지하게 되어 개폐문(4)은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개방된 투입구(9)를 통하여 휴지 등을 수납체(6)의 내부로 투입하면 콘트롤판넬(12)에 사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약 2~3초 정도)이 경과 후 콘트롤판넬(12)에서 신호가 인가되어 정역모터(10)가 전기한 개방시와는 역방향으로 정역모터(10)를 구동시켜 축핀(8)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문(4)이 폐쇄작동되며, 투입구(9) 전측의 근접센서(3)에 의해 개폐문(4)이 폐쇄상태로 전환된 것이 감지되면 콘트롤판넬(12)에서 신호를 인가받아정역모터(10)의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즉, 감지센서(2)에 의하여 개폐문(4)의 개방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개폐문(4)의 개폐작동 제어신호는 투입구(9)의 전후로 설치된 근접센서(3)의 신호에 의해 정역모터(1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 및 정지토록 콘트롤판넬(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자동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4)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작동으로 전환되어야 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개폐문(4)이 수납체(6) 내부로 투입된 내용물 등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어린이 등)의 강제적인 폐쇄방해 행위 등으로 인하여 개폐문(4) 개방이 지연 내지 오작동 될 경우에는 콘트롤판넬(12)상에 부가 설치된 알람이 작동하여 주위에 이를 고지작동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역모터(10) 등의 구동에너지는 뚜껑체(7)의 상부에 설치된 솔라셀(5)에서 빛을 모아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뚜껑체(7)에 설치된 밧데리(13)로 충전을 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설치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휴지통(1)을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지통(1)은 수납체(6)의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체(7)에 개폐문(4)을 각운동 하면서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개폐문(4)은 사용자가 휴지 등을 수납체(6)의 내부로 투입구(9)를 통하여 투입코자 할 시에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에 의해 정역모터(10)가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휴지 등을 버릴 때 그로 인한 위생성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품의 고급화에 일조함과 동시에 휴지통의 미관향상 및 항상 청결함을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등 실로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1)

  1. 휴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체(6)와, 상기 수납체(6)의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체(7) 상에 축핀(8)에 의해 각운동하면서 투입구(9)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문(4)을 구비한 통상의 휴지통(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7)의 투입구(9) 전측에는 감지센서(2)를 설치하여 콘트롤판넬(12)에 휴지 등의 투입 유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입구(9)의 개폐문(4) 개폐상태 신호를 콘트롤판넬(12)로 인가할 수 있는 근접센서(3)를 투입구(9)의 전후로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4)에 축고정된 축핀(8)은 콘트롤판넬(12)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제어되는 정역모터(10)와 감속기어(11)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뚜껑체(7)의 상부에는 솔라셀(5)을 설치하여 밧데리(13)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KR10-2001-0011560A 2001-03-06 2001-03-06 휴지통 KR10037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560A KR100379769B1 (ko) 2001-03-06 2001-03-06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560A KR100379769B1 (ko) 2001-03-06 2001-03-06 휴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02A KR20010084902A (ko) 2001-09-07
KR100379769B1 true KR100379769B1 (ko) 2003-04-10

Family

ID=1970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560A KR100379769B1 (ko) 2001-03-06 2001-03-06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7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54B1 (ko) * 2010-06-10 2011-06-07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20190099636A (ko) * 2018-02-19 2019-08-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KR20190100818A (ko) * 2018-02-21 2019-08-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개폐식 스마트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72B1 (ko) * 2007-12-07 2009-07-16 현대건설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용 쓰레기 투입구의 손끼임 방지구조
CN103662535B (zh) * 2013-11-26 2015-11-25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具有放大电路的垃圾桶
CN103662507B (zh) * 2013-11-26 2016-01-20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放大电路的垃圾桶
CN103662504B (zh) * 2013-11-26 2016-01-20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痰盂垃圾桶
CN103662505B (zh) * 2013-11-26 2015-12-30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放大电路的痰盂垃圾桶
CN104627578A (zh) * 2015-01-27 2015-05-20 绵阳晓迪圣点创意科技有限公司 家用感应式智能垃圾桶
CN104875996A (zh) * 2015-05-03 2015-09-02 李良杰 感应垃圾桶
KR200482678Y1 (ko) * 2016-08-17 2017-03-08 김원우 음식물 쓰레기통
KR102348584B1 (ko) * 2020-10-20 2022-01-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통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70132B1 (ko) * 2023-03-21 2023-08-25 이쎌 주식회사 스마트 배변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54B1 (ko) * 2010-06-10 2011-06-07 주식회사 아이티아이에스 사용자 지향적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KR20190099636A (ko) * 2018-02-19 2019-08-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KR102052323B1 (ko) * 2018-02-19 2019-12-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KR20190100818A (ko) * 2018-02-21 2019-08-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개폐식 스마트 쓰레기통
KR102047180B1 (ko) 2018-02-21 2019-11-2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개폐식 스마트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02A (ko)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769B1 (ko) 휴지통
WO2006073224A1 (en) Waste basket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1772615B1 (ko) 쓰레기통
US10022467B2 (en) Trashcan
US8456120B2 (en) Container with touch control arrangement
US8569980B2 (en) Trash can with power operated lid
US7656109B2 (en) Trash can with power operated lid
SK283931B6 (sk) Zásobník na znečistené a/alebo kontaminované materiály
US9054609B2 (en) Container with touch control arrangement
TWI525243B (zh) 自動門
CN112027407A (zh) 一种可自动封口更换垃圾袋的智能垃圾桶
CN2790971Y (zh) 自动翻盖垃圾桶
KR20120110722A (ko) 내용물의 온, 습도를 구별하여 개폐되는 휴지통
KR102230985B1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자동 덮개 쓰레기통
US20070257036A1 (en) Automatic solid surface access port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70019073A (ko) 쓰레기통
CN212221260U (zh) 一种多功能智能杀菌消毒垃圾桶
KR200268000Y1 (ko) 휴지통
KR20200102903A (ko)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
KR20120003149U (ko)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KR200321169Y1 (ko) 자동 개폐식 휴지통
EP3530591B1 (en) Knee operated and/or motor operated waste bin
WO2019200804A1 (zh) 一种橱柜内感应垃圾桶
CN219688212U (zh) 无接触式垃圾桶
CN209618057U (zh) 一种智能滑盖式文明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