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49U -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 Google Patents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49U
KR20120003149U KR2020100011083U KR20100011083U KR20120003149U KR 20120003149 U KR20120003149 U KR 20120003149U KR 2020100011083 U KR2020100011083 U KR 2020100011083U KR 20100011083 U KR20100011083 U KR 20100011083U KR 20120003149 U KR20120003149 U KR 201200031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vinyl
plastic ba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기
Original Assignee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100011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149U/ko
Publication of KR20120003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8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transpa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커터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물수거용 비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두루마리 비닐을 포함하는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개폐장치는,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일측에는 두루마리 비닐의 내부와 통하는 투입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 중, 투입공의 근접 부위에 설치된 감지센서;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된 피니언;상기 몸체의 투입공을 향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있는 랙이 설치된 슬라이딩 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waste basket for roll vinyl}
본 고안은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오물이 외부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두루마리 비닐봉투에 휴지가 포화되면 두루마리 비닐봉투를 잡아당겨 일부를 커팅하고 매듭만 지어주면 다시 봉투가 형성되는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지통은 생활 속에서 발생 되는 오물 및 휴지 등을 수거하는 물품으로써, 가정에서는 물론 관공서 및 식당, 화장실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필수품이다.
근래에는 "쓰레기 종량제"라는 사회적 열풍과 함께 쓰레기 분리 처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증가 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휴지통은 분리 수거를 위한 기능적인 역할과, 주거 공간을 장식하는 인테리어 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휴지통은 버려진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발생을 억제하도록, 휴지통 입구에 덮개를 씌우거나, 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리수거 하도록 다양한 수거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휴지통은 깨끗하고 아름다움 디자인을 갖게 형성되어서, 주거 공간의 한 모퉁이에서 인간의 삶을 연출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지통은 일정량의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된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쓰레기에 대한 손쉬운 수거뿐만 아니라, 수거된 쓰레기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루마리 비닐이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이 제공되고 있다.
즉, 휴지통 내부에 두루마리 비닐을 설치하여 일회씩 한번에 오물을 처리할수 있음으로써 휴지통 내부에 오물이 묻지 않게 되어 오물에 대한 처리 및 휴지통에 대한 관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은 케이스(1)와 이 케이스(1)를 차폐하는 덮개(2)와, 두루마리 비닐(3)과, 페달(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는 휴지통의 외관을 구성하며, 그의 내부에는 두루마리 비닐(3)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1)의 내부에는 두루마리 비닐(3)을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커터(cutter)(5)가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2)는 페달(4)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페달(4)를 밟을 때마다 상방으로 젖혀지면서 케이스(1)의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페달(4)을 놓으면, 덮개(2)는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케이스(1)의 내부를 차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오물을 버리기 위해 페달(4)을 밟아 덮개(2)를 상방으로 젖혀 두루마리 비닐(3)의 내부를 개방한 후, 오물을 두루마리 비닐(3)에 투입시킨다.
이후, 밟았던 페달(4)을 놓으면, 덮개(2)가 저절로 내려와 두루마리 비닐(3)을 차폐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의 기술적 목적은 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있지만, 휴지통 자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있는바, 상기한 종래의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은 위생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있어서 다소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즉, 케이스(1)의 내부를 개방하는 과정에 있어서, 덮개(2)를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덮개(2)가 상방으로 젖혀지는 작용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과실로 인해 덮개(2) 주변에 오물이 접촉될 확률이 높고, 덮개(2)와 페달(4)의 연동작용이 고장 날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직접 덮개(2)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관리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다.
게다가,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이 사용되는 용도로서, 일반적인 오물만 수거하는 것이 아니라, 화장실에서 사용된 휴지 및 여성들의 생리 패드 등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휴지통 외관에 대한 청결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둘째, 휴지통 내부의 개방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지 못하였다.
즉, 한 손에 오물을 들고 ㅍ일일이 페달(4)을 밟아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지통 내부의 개방을 간편하게 하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커터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물수거용 비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두루마리 비닐을 포함하는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개폐장치는,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일측에는 두루마리 비닐의 내부와 통하는 투입공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 중, 투입공의 근접 부위에 설치된 감지센서;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는 구동모터;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된 피니언;상기 몸체의 투입공을 향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있는 랙이 설치된 슬라이딩 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창은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지센서에 의해 슬라이딩 창이 자동으로 열리므로, 사용자의 오물 투입 행위가 한결 간편해진다.
특히, 감지센서가 투입공 근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오물 투입 행위와 동시에 슬라이딩 창이 열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둘째, 휴지통 내부의 개방을 위한 슬라이딩 창의 개폐작용이 상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개폐되므로, 슬라이딩 창에 오물이 묻지 않게 되어 휴지통에 대한 관리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휴지통 내부에 두루마리 비닐을 설치하여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 잘라 버릴 수 있어 오물의 악취나 부패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화장실 화장대 등 앉은 상황에서 한 손만 사용해야 할 경우 불편함을 감지센서로 해결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을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딩 창이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의 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이하, 첨부된 도 2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이하, '휴지통'이라 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휴지통은 케이스(100)와, 두루마리 비닐(200)과, 개폐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휴지통의 외관을 구성하며, 그의 내부에는 두루마리 비닐(200)이 설치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도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개폐하며, 상기 도어(110)를 통해 오물이 수거된 두루마리 비닐(200)이 배출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 일측에는 커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는 두루마리 비닐의 일부(200)를 자르는 역할을 하며, 도어(110)의 내측면에 설치됨이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두루마리 비닐(200)은 오물이 수거되는 부위이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루마리 비닐(200)은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되며,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두루마리 비닐 틀(210)에 설치된다.
이때, 두루마리 비닐(200)은 상기 두루마리 비닐 틀(210)에 의해 두루마리 비닐(200)이 벌어지면서 내부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개폐장치(300)는 케이스(100)의 내부, 정확하게는 입구가 벌어진(오물이 투입되기 위한) 두루마리 비닐(200)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케이스(100)의 상부를 구성한다.
이때, 개폐장치(300)는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부품의 교체 및 수리 등을 위해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개폐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300)는 몸체(310)와, 감지센서(320)와, 구동부(330)와, 슬라이딩 창(340)을 포함한다.
몸체(310)는 개폐장치(3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휴지통의 상부를 구성한다.
이때, 개폐장치(300)의 외관은 휴지통의 케이스(100)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몸체(310)의 일측에는 오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311)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두루마리 비닐(200)의 내부와 통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310)의 타측에는 전원공급부(312)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구동모터에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전력원으로는 건전지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몸체(310)의 타측에는 전원공급부(312) 및 후술하는 감지센서(320)의 신호를 제어하는 회로기판(313)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313)은 케이블에 의해 전원공급부(312)와 감지센서(320)에 연결된다.
한편, 몸체(310)에는 슬라이딩홈(310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310a)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창(340)이 출입되는 부위이며, 투입공(311)으로부터 몸체(310)의 타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홈(310a)은, 몸체(31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대략 슬라이딩 창(34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태의 이격부재(310b)가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이격부재(310b)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310c)이 형성되며, 이 통공(310c)은 슬라이딩홈(310a)에 배치된 슬라이딩 창(340)의 랙(후술하기로 함)이 노출되는 부위이다.
다음으로, 감지센서(320)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회로기판(313)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지센서(3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공(311)의 근접한 부위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오물을 투입하는 행위를 함과 동시에 감지센서(320)가 이를 감지함에 따라 슬라이딩 창(340)은 바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32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전지 사용시에는 건전지의 전압상태와 교체시기를 쉽게 판단할수 있도록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시간 열림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수동 열림, 수동 닫힘 작동 스위치기능을 첨부할 수 도있다.
다음으로, 구동부(330)는 감지센서(320)의 신호를 전달받은 회로기판(313)의 제어에 의해 슬라이딩 창(34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몸체(3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구동부(330)는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331)와, 이 구동모터(331)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332)을 포함한다.
이때, 피니언(332)은 이격부재(310b)의 통공(310c)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창(340)은 몸체(310)의 투입공(311)을 개폐하며, 슬라이딩홈(310a)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 창(340)의 저면에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랙(341)이 형성되며, 상기 랙(341)은 피니언(332)에 맞물린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창(340)의 재질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지통의 개폐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슬라이딩 창(340)이 투입공(311)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로서, 오물이 투입되지 않을 때의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물을 버리기 위해서는 오물을 투입공(311)으로 가져가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은 감지센서(320)에 의해 감지된다.
이후, 감지센서(320)는 회로기판(313)으로 신호를 보내고, 회로기판(313)은 구동모터(331)를 회전시킨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구동모터가 역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피니언(332)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32)에 맞물려 있는 랙(341)이 형성된 슬라이딩 창(340)은 슬라이딩 홈(310a)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투입공(311)이 저절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투입공(311)을 통해 오물을 두루마리 비닐(200)의 내부로 투입시킨다.
이후, 감지센서(320)로부터 손이 멀어짐에 따라, 회로기판(313)은 구동모터(331)를 정회전시킨다.
이때, 피니언(332) 역시 정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32)에 맞물려 있는 랙(341)이 형성된 슬라이딩 창(340)은 이동하여 투입공(311)을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개폐장치(300)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두루마리 비닐(200)에 오물이 포화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케이스(100)의 도어(110)를 열어 두루마리 비닐(200)의 일부를 커터로 잘라낸다.
이후, 두루마리 비닐(200)의 개방된 부위를 묶어 쓰레기 봉투 등에 버림으로써, 오물에 대한 처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은 두루마리 비닐이 설치된 휴지통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창이 형성됨으로써 오물을 버리는 과정이 한결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100 : 케이스 110 : 도어
200 : 두루마리 비닐 300 : 개폐장치
310 : 몸체 310a : 슬라이딩 홈
310b : 이격부재 310c : 통공
311 : 투입공 312 : 전원공급부
313 : 회로기판 320 : 감지센서
330 : 구동부 331 : 구동모터
332 : 피니언 340 : 슬라이딩 창
341 : 랙

Claims (2)

  1.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커터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오물수거용 비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두루마리 비닐을 포함하는 두루마리 비닐용 휴지통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개폐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일측에는 두루마리 비닐의 내부와 통하는 투입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중, 투입공의 근접 부위에 설치된 감지센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된 피니언;
    상기 몸체의 투입공을 향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투입공을 개폐하며,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있는 랙이 설치된 슬라이딩 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창은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KR2020100011083U 2010-10-28 2010-10-28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KR201200031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83U KR20120003149U (ko) 2010-10-28 2010-10-28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83U KR20120003149U (ko) 2010-10-28 2010-10-28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49U true KR20120003149U (ko) 2012-05-08

Family

ID=4661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083U KR20120003149U (ko) 2010-10-28 2010-10-28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14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584B1 (ko) * 2018-06-11 2019-11-08 엄태현 비닐봉투의 연속 공급형 쓰레기통
KR20200053210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2351084B1 (ko) * 2020-08-14 2022-01-13 하예림 자동 개폐 쓰레기통
KR20220049363A (ko) * 2020-10-14 2022-04-21 정준모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584B1 (ko) * 2018-06-11 2019-11-08 엄태현 비닐봉투의 연속 공급형 쓰레기통
KR20200053210A (ko) * 2018-11-08 2020-05-18 장광옥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2351084B1 (ko) * 2020-08-14 2022-01-13 하예림 자동 개폐 쓰레기통
KR20220049363A (ko) * 2020-10-14 2022-04-21 정준모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467B2 (en) Trashcan
KR101772615B1 (ko) 쓰레기통
KR101482535B1 (ko)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JP2005170545A (ja) ゴミ箱
CN103370266A (zh) 用于处理废弃物的设备和方法
KR20120003149U (ko)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KR101620492B1 (ko) 생리대 수거함
KR20100006760U (ko)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10146239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관장치
CN113247491A (zh) 医疗废弃物密封排出装置
CN203237641U (zh) 智能暗装垃圾桶
KR20170019073A (ko) 쓰레기통
KR100379769B1 (ko) 휴지통
JP2012132156A (ja) 蓋の開放を探知し、自動的に洗浄する便器
KR20200102903A (ko)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
CN107618781A (zh) 一种可不脏手便捷更换垃圾袋的智能垃圾桶
DE102009021653A1 (de) Anordnung zur Entsorgung von Resturin nach dem Gebrauch eines Urinals
CN213536003U (zh) 一种公共场合用屉式分类垃圾箱
CN207090230U (zh) 一种智能化免触医废收集箱
KR20170022543A (ko) 생리대 수거함
CN206255466U (zh) 一种可不脏手便捷更换垃圾袋的智能垃圾桶
CN201494843U (zh) 感应式废物柜
CN212767822U (zh) 回收装置
CN217946405U (zh) 一种智能垃圾桶的自动除臭杀菌结构
CN2893009Y (zh) 如厕板循环消毒机以及分离的如厕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