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363A -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363A
KR20220049363A KR1020200132902A KR20200132902A KR20220049363A KR 20220049363 A KR20220049363 A KR 20220049363A KR 1020200132902 A KR1020200132902 A KR 1020200132902A KR 20200132902 A KR20200132902 A KR 20200132902A KR 20220049363 A KR20220049363 A KR 2022004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roll
bag
trash
roll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710B1 (ko
Inventor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모 filed Critical 정준모
Priority to KR102020013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7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맞춤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내부에 상부의 개구의 하측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로 상부의 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공간의 전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통본체와; 상기 통본체의 상부 개구에 탈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본체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링(ring)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안내벽이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Garbage bin for ring-shaped roll bags}
본 발명은, 링형 두루마리형태로 성형된 봉지(쓰레기 수거 비닐봉지)가 적용되어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맞춤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담도록 된 비닐봉지는, 하부가 밀페된 상태에서 개구된 상부를 통해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봉지는,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에 비치되어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대용량의 비닐봉지와, 차량 및 주방 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공간에 비치되어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소용량의 비닐봉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근자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첩되어 일단을 당기어 수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도록 하여 공간적으로 사용효율을 높임은 물론,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록 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가 제안되었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29029호(명칭: 쓰레기통용 비닐봉지의 링형 두루마리 형성장치/2001.09.20.)에서는, 공지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가 중첩(重疊)되는 공정을 통해 같은 크기로 계속하여 쌓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관통된 '통' 형상의 비닐시트가 '링' 형상으로 상,하 같은 폭으로 감긴 두루마리형태의 적층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는,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비치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소형의 쓰레기수거용으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29029호(2001.09.20.)
한편, 종래에는 대용량의 쓰레기수거용에는 적합하게 적용되지 못하여 사용상의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대용량의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를 안정적으로 수납함과 아울러, 풀리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가 없어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맞춤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은, 내부에 상부의 개구의 하측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로 상부의 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공간의 전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통본체와; 상기 통본체의 상부 개구에 탈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본체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링(ring)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안내벽이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본체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본체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안치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직립되게 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안치편과, 상기 안치편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을 가지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은, 대용량의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링(ring)' 형상의 안내벽을 통해 안정적으로 깔끔하고 치밀하게 시설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고정수단을 통해 봉지의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쓰레기를 수거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링형 두루마리 봉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분리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단면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첩되어 일단을 당기어 수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도록 하여 공간적으로 사용효율을 높임은 물론,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록 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를 수납하여 거치함은 물론,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를 적용하여 별도의 선택된 위치에서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내부에 상부의 개구의 하측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A)의 하부로 상부의 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공간(B)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공간(B)의 전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통본체(2);를 가진다.
즉, 상기 통본체(2)의 상기 수납공간(A)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을 묶음하여 밀봉하고, 상기 통본체(2)의 상부 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통본체(2)는, 평면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통본체(2)의 상기 수거공간)b)의 전방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개폐문(21)을 통해 외부에 대해 개폐되는 개폐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공을 통해 상기 수거공간(B)에서 쓰레기가 수거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빼내어 별도로 처리함은 물론, 상기 수납공간(A)에 수납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을 밀봉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통본체(2)는, 양단이 관통되며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A)과 상기 수거공간(B)이 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통몸체(22)와; 상기 통몸체(22)의 하단이 끼움결합하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상기 베이스판(23)의 상부에 상기 통몸체(22)가 결합되면서 상기 통본체(2)가 조립되도록 됨에 따라, 각각의 구성을 분리하고, 설치공간으로 용이하게 운반한 후, 조립하여 상기 통본체(2)를 설치공간에 시설하게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는, 상기 통본체(2)에서 상기 수납공간(A)의 내측면에는,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링(ring)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안내벽(31)이 구비되는 고정수단(3)이 구비된다.
즉, 상기 통본체(2)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수단(3)의 안내벽(31)의 사이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링(ring)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상기 안내벽(31)의 내측면에 안내되도록 풀어지면서 상기 수거공간(B)에 밀본된 상태로 배치되어 사용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3)은, 상기 통본체(2)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링(ring) 형상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3)이 상기 통본체(2)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3)은, 상기 통본체(2)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링(ring) 형상의 상기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의 상부에 안치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직립되게 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안치편(33)과, 상기 안치편(33)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31)을 가지는 고정체(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3)이 상기 통본체(2)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에 탈부착되는 상기 고정체(34)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체(34)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고정한 후, 상기 고정체(34)를 상기 지지편(32)에 시설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3)의 조립을 완료하면서, 상기 통본체(2)의 내부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고정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상기 통본체(2)의 상부 개구에 탈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덮개(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즉, 상기 통본체(2)의 상부 개구를 상기 상부덮개(4)를 통해 개폐하면서 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덮개(4)에서 저면에는, 상기 투입공의 외측에서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안내벽(31)의 내측으로 사이간격을 가지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도록 된 지지벽(4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벽(41)을 통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풀릴 때, 상기 안내벽(31)과 상기 지지벽(41)의 사이공간을 관통하여 안내되면서 풀리게 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풀림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상부덮개(4)에는,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투입공을 개폐하도록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개폐판(42);을 더 가진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판(42)을 통해 상기 투입공을 폐쇄하여 상기 통본체(2)의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상기 통본체(2)로 수거되는 쓰레기에서 발산되는 각종 악취 및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여 청결성을 유지하게 되며; 필요시 사용자가 상기 개폐판(42)을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투입공을 개방한 상태에서 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청결성과 사용성이 확고히 유지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상기 고정수단(3)은, 상기 통본체(2)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링(ring) 형상의 상기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의 상부에 안치 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직립되게 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안치편(33)과, 상기 안치편(33)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거치편(35)을 가지는 거치링체(36)와; 외주면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권취되며 내측하단이 상기 거치편(35)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끼움결속되어 지지되는 권취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상기 권취부재(37)의 외주면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재(37)를 상기 거치링체(36)에서 상기 거치편(35)과 상기 안치편(33)이 점유하는 사이공간에 거치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미사용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들을 각각의 상기 권취부재(37)에 권추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쓰레기통 10 : 링형 두루마리 봉지
2 : 통본체 21 : 개폐문
22 : 통몸체 23 : 베이스판
3 : 고정수단 31 : 안내벽
32 : 지지편 33 : 안치편
34 : 고정체 35 : 거치편
36 : 거치링체 38 : 권취부재
4 : 상부덮개 41 : 지지벽
42 : 개폐판
A : 수납공간 B : 수거공간

Claims (3)

  1. 내부에 상부의 개구의 하측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로 상부의 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공간의 전면에 개방공이 형성된 통본체와; 상기 통본체의 상부 개구에 탈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통본체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링(ring)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안내벽이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본체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통본체의 내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안치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가 직립되게 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안치편과, 상기 안치편의 내측단에서 상부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종단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안내되도록 된 상기 안내벽을 가지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1020200132902A 2020-10-14 2020-10-14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10251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02A KR102510710B1 (ko) 2020-10-14 2020-10-14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02A KR102510710B1 (ko) 2020-10-14 2020-10-14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63A true KR20220049363A (ko) 2022-04-21
KR102510710B1 KR102510710B1 (ko) 2023-03-15

Family

ID=8143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902A KR102510710B1 (ko) 2020-10-14 2020-10-14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7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20110003256U (ko) * 2009-09-24 2011-03-30 권중한 쓰레기통
KR20120003149U (ko) * 2010-10-28 2012-05-08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20110003256U (ko) * 2009-09-24 2011-03-30 권중한 쓰레기통
KR20120003149U (ko) * 2010-10-28 2012-05-08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두루마리 비닐봉투가 내장된 휴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710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751B2 (en) Waste container
US6568555B1 (en) Garbage receptacle with incorporated liner compartment
US20130105487A1 (en) Wastebasket equipped with roll vinyl pack
KR20110055933A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휴지통
KR101688466B1 (ko) 쓰레기통
US20050199633A1 (en) Trash can with pull thruough bags
KR20220049363A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102241981B1 (ko) 실내용 쓰레기통
KR102339877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카트리지
KR101813990B1 (ko) 쓰레기봉투 고정형 쓰레기통
KR200417407Y1 (ko) 쓰레기통
KR20140002455U (ko) 쓰레기통
US20080264949A1 (en) Trash receptacle and collection system
CN212075194U (zh) 卷式垃圾袋兼容的垃圾箱
CN105730922B (zh) 一种设置有垃圾袋收纳盒的垃圾桶
CN218023422U (zh) 垃圾桶
KR100644288B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KR20190068835A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102597715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CN218318709U (zh) 垃圾桶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KR20150002613U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CN220744188U (zh) 一种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