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15B1 -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15B1
KR102597715B1 KR1020210137872A KR20210137872A KR102597715B1 KR 102597715 B1 KR102597715 B1 KR 102597715B1 KR 1020210137872 A KR1020210137872 A KR 1020210137872A KR 20210137872 A KR20210137872 A KR 20210137872A KR 102597715 B1 KR102597715 B1 KR 10259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ening
support
shaped rol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4180A (ko
Inventor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모 filed Critical 정준모
Priority to KR102021013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1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된 것으로, 수직상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됨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용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범위가 향상되도록;
외주면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내측이 관통지지되면서 착탈고정되는 '관(PIPE)' 형상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를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지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고정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Garbage bin for ring-shaped roll bags}
본 발명은, 링형 두루마리형태로 성형된 봉지(쓰레기 수거 비닐봉지)가 적용되어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직상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됨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용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범위가 향상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담도록 된 비닐봉지는, 하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개구된 상부를 통해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봉지는,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에 비치되어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대용량의 비닐봉지와, 차량, 주방 및 책상 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공간에 비치되어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소용량의 비닐봉지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비닐봉지는, 통상적으로, 하단이 밀봉된 상태로 성형제조되어, 상부의 개구를 통해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처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되어 쓰레기의 수거용량에 따라, 각각 대형, 중형, 소형의 용량을 가지는 각각의 비닐봉지를 성형제조하여 적용하도록 되어 잇다.
한편, 근자에는,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29029호(명칭: 쓰레기통용 비닐봉지의 링형 두루마리 형성장치/2001.09.20.)에서는, 공지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가 중첩(重疊)되는 공정을 통해 같은 크기로 계속하여 쌓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관통된 '통' 형상의 비닐시트가 '링' 형상으로 상,하 같은 폭으로 감긴 두루마리형태의 적층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가 제안되었다.
즉, 상하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첩되어 일단을 당기어 수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도록 하여 공간적으로 사용효율을 높임은 물론,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록 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는,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 또는, 차량, 주방 및 책상 비치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1-0029029호(2001.09.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수납함과 아울러, 풀리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쓰레기통이 없어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장착 및 사용된 봉지의 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시키도록 된 것으로, 수직상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됨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용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범위가 향상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은, 외주면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의 내측이 관통지지되면서 착탈고정되는 '관(PIPE)' 형상의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를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지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상기 고정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재는, 수직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에 대하여 다수의 지점을 받침하여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주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은, 링형 두루마리 봉지를 고정본체에 펼쳐진 상태로 장착하여 쓰레기를 수거하며; 특히, 지주부재의 지주체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설치되는 봉지의 수직상 길이를 선택 시설할 수 있음에 따라, 배치되는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 또는, 차량, 주방 및 책상 등에서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도록 수거되는 쓰레기의 수거용량을 증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사용범위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를 구성하는 고정몸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를 구성하는 고정몸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구성하는 개폐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상하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첩되어 일단을 당기어 수납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도록 하여 공간적으로 사용효율을 높임은 물론,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록 된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를 수납하여 거치함은 물론,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링형의 두루마리 봉지(10)를 적용하여 별도의 선택된 위치에서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외주면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내측이 관통지지되면서 착탈고정되는 '관(PIPE)' 형상의 고정몸체(2)와; 상기 고정몸체(2)를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지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하가 관통된 '관(PIPE)' 형상의 상기 고정몸체(2)의 외주면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권취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2)를 상기 지지본체(3)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최외곽측 종단을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면으로 유도하여 펼쳐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개구를 통해 쓰레기를 투입하고,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내부로 수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최외곽측 종단은 묶음된 상태를 형성하여 수거되는 쓰레기가 외부로 무단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쓰레기의 수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몸체(2)는, 상하가 관통된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권취하여 고정하게 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본체(3)의 내측면에 받침하게 지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지지본체(3)는, 상기 고정몸체(2)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도록 된 상기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고정하도록 된 지주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31)의 내측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권취고정된 상기 고정몸체(2)가 지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32)가 상기 지지부재(31)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부재(32)의 수직상 높이에 따라,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펼쳐지면서 형성되는 쓰레기의 수용공간의 수직상 높이가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되는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 또는, 차량, 주방 및 책상 등에서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도록 수거되는 쓰레기의 수거용량을 증감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범위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31)는, 상기 고정몸체(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체(311)와; 상기 지지체(311)의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몸체(2)의 하단이 받침되면서 지지하도록 된 받침플랜지편(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에 상기 고정몸체(2)의 하단이 거치되면서 시설되고, 상기 고정몸체(2)과 상기 지지체(31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배치되어 외부에 대하여 보호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1)는, 단면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고정몸체(2)가 거치되면서 받침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받침플랜지편(312)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수용고정되는 끼움돌출편(313)이 상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돌출편(313)이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에 끼움되면서 결속되어, 상기 고정몸체(2)가 확고히 고정됨에 따라, 무단으로 유동되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는, 상기 고정몸체(2)에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배치되는 부위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본체(3)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에 받침되면서 지지되는 지지단턱(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몸체(2)의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21118518999-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몸체(2)에서 상기 지지단턱(21)의 상부외측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권취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면으로 유도되면서 수용되어 내부가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안정되게 배치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턱(21)이 상기 지지본체(3)의 받침플랜지편(312)에 대하여 받침되면서 지지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상기 지지본체(3)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안정되게 시설될 수 있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고정몸체(2)는, 상단에서 외측으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절곡형성된 안내절곡편(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몸체(2)의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절곡편(22)의 외측에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수용되도록 되어 권취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종단이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면에 수용되면서 내부가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안정되게 배치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절곡편(22)의 하단이 상기 지지본체(3)의 받침플랜지편(312)에 받침되면서 지지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상기 지지본체(3)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안정되게 시설될 수 있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몸체(2)의 수직상 길이가 상기 안내절곡편(22)의 수직상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안정되게 구현하게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절곡편(22)의 하단이 받침되면서 지지되는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출편(313)이 상기 안내절곡편(22)의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수용고정되어, 상기 고정몸체(2)가 확고히 고정됨에 따라, 무단으로 유동되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고정몸체(2)와 상기 지지체(311)는, 평면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지주부재(32)는, 수직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에 대하여 다수의 지점을 받침하여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주체(32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주체(321)들이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을 받침하면서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형성하면서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주체(321)의 상단과 상기 지지부재(31)의 받침플랜지편(312)에 결속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주체(321)의 상단과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은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며; 이 경우, 별도의 체결나사가 통해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에 형성된 체결공(314)을 관통하면서 상기 지주 체(321)의 상단에 형성된 너트홈에 나사체결하여 조립하도록 되는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주체(321)의 상단과 상기 받침플랜지편(312)의 결속되는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주체(321)는, 길이를 가지는 '봉(棒;rod)'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지주부재(32)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각각의 상기 지주체(321)들을 각각 구비하여, 배치되는 도로 및 인도 및 건물의 내부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공간 또는, 차량, 주방 및 책상 등에서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도록 수거되는 쓰레기의 수거용량에 따라 각각 맞춤되는 길이의 상기 지주체(321)를 선택하여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지주체(321)들의 수직상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면서 결합되어 다양한 길이를 형성하도록 한 후, 쓰레기의 수거용량에 따라 각각 맞춤되는 길이의 상기 지주체(321)를 선택하여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서, 상기 지주부재(32)는,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되며 상부에 상기 지주체(321)들이 결속되는 '판(板;plate)'형상의 지주플레이트(32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주플레이트(322)를 통해 다수의 상기 지주체(321)들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배치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주플레이트(322)에는, 저면에 상기 지주체(321)들의 하부를 나사체결하도록 된 '체결너트' 또는 '체결나사'를 수용하는 수용홈(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용홈(323)에 상기 '체결너트' 또는 '체결나사'를 수용하여 바닥에 대하여 상기 '체결너트' 또는 '체결나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지주플레이트(322)가 평편한 상태로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상기 고정몸체(2)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체(311)의 상단에 결속되며 내주면의 내경이 상기 고정몸체(2)와 동일 또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링(ring)'형상의 상부덮개링(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체(311)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몸체(2)의 상단 및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상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보호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몸체(2)의 상단과 상기 상부덮개링(4)의 사이를 통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몸체(2)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가 더욱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면서 시설된다.
상기에서 상부덮개링(4)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체(311)의 내측상단이 끼움결속되는 결속단(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하측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으로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된 유도연장돌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은, 상기 상부덮개링(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 및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수단(5)을 통해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 및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쓰레기의 수거시에는 개방하고, 쓰레기의 미수거시에는 폐쇄하여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에 수거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건위생성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개폐수단(5)은, 상기 상부덮개링(4)의 상부면에 끼임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개폐프레임(51)과;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탄성적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개폐편(5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프레임(51)이 상기 지지체(311)의 상면에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편(52)들이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절곡되면서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부를 개방하게 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편(52)들이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측에서 복귀 탄성을 가지어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부를 폐쇄하게 되면서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 및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에 대한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수거된 쓰레기에서 방출되는 악취가 누출되지 않아 위생적이면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되어 사용품질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개폐프레임(51)과 상기 개폐편(52)들은, 자체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폐수단(5)이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사출성형을 통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개폐편(52)들은, 상기 개폐프레임(51)에서 종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도록 되어, 종단측으로 갈수록 보다 작은 크기의 하중에 대응하여 절곡되는 탄성지지력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편(52)들으로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대하여 상기 개폐편(52)들의 전면적에 걸쳐 맞춤되게 대응하도록 종단측에서부터 상기 개폐프레임(51)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절곡되어 개폐된다.
이에 따라,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개폐편(52)들의 탄성절곡되는 형태가 각각 맞춤되는 대응을 하게 되어, 작동품질이 우수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개폐수단(5)은, 2개 1조가 수직상으로 적층되면서 각각 결속되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폐수단(5)의 상기 개폐프레임(51)에서 연장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개폐편(52)들이 평면상 그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폐수단(5)의 상기 개폐프레임(51)에서 연장형성되는 각각의 절개홈(53)이 서로 겹쳐지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개폐수단(5)들의 각각의 상기 절개홈(53)들이 타측의 상기 개폐편(52)들에 의해 폐쇄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폐편(52)들 사이의 상기 절개홈(53)들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편(52)들의 표면이 위치하도록 형성 배치되어, 상기 절개홈(53)들을 각각 폐쇄함으로써, 상기 절개홈(53)을 통해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10 : 링형 두루마리 봉지
2 : 고정몸체 21 : 지지단턱
22 : 안내절곡편 3 : 지지본체
31 : 지지부재 311 : 지지체
312 : 받침플랜지편 313 : 끼움돌출편
314 : 체결공 32 : 지주부재
321 : 지주체 322 : 지주플레이트
323 : 수용홈 4 : 상부덮개링
41 : 결속단 42 : 유도연장돌부
5 : 개폐수단 51 : 개폐프레임
52 : 개폐편 53 : 절개홈

Claims (2)

  1. 외주면에 링형 두루마리 봉지(10)의 내측이 관통지지되면서 착탈고정되는 '관(PIPE)' 형상의 고정몸체(2)와; 상기 고정몸체(2)를 바닥에 대하여 직립되게 지지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몸체(2)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지지고정하도록 수직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에 대하여 다수의 지점을 받침하여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지주체(321)를 가지는 지주부재(32)가 구비된 지지본체(3);를 포함하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의 상단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면서 지지체(311)의 상단에 결속되며 내주면의 내경이 상기 고정몸체(2)와 동일 또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링(ring)'형상의 상부덮개링(4)과; 상기 상부덮개링(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 및 상기 고정몸체(2)의 상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개폐수단(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덮개링(4)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체(311)의 내측상단이 끼움결속되는 결속단(4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덮개링(4)의 내측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링형 두루마리 봉지(10)를 하측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고정몸체(2)의 내측으로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된 유도연장돌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5)은,
    2개 1조가 수직상으로 적층되면서 각각 결속되어 되며, 상기 상부덮개링(4)의 상부면에 끼임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개폐프레임(51)과,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개폐프레임(5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탄성적으로 절곡되는 다수의 개폐편(52)들을 포함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폐수단(5)의 상기 개폐프레임(51)에서 연장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개폐편(52)들이 평면상 그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개폐수단(5)의 상기 개폐프레임(51)에서 연장형성되는 각각의 절개홈(53)이 서로 겹쳐지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2. 삭제
KR1020210137872A 2021-10-15 2021-10-15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10259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72A KR102597715B1 (ko) 2021-10-15 2021-10-15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72A KR102597715B1 (ko) 2021-10-15 2021-10-15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80A KR20230054180A (ko) 2023-04-24
KR102597715B1 true KR102597715B1 (ko) 2023-11-01

Family

ID=8614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72A KR102597715B1 (ko) 2021-10-15 2021-10-15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744B2 (ja) 1999-07-26 2001-10-15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表示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可読記録媒体
KR100920156B1 (ko) 2007-12-06 2009-10-06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오물 수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698B1 (ko) * 2017-07-31 2018-06-11 박인수 상품포장 비닐봉투용 쓰레기통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744B2 (ja) 1999-07-26 2001-10-15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表示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可読記録媒体
KR100920156B1 (ko) 2007-12-06 2009-10-06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오물 수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80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004B1 (en) Compressible waste receptacle
US5868364A (en) Bag support assembly
EP2338398A3 (en) Table top folded sheet dispenser
US5662238A (en) Container liner holder assembly
KR200465545Y1 (ko) 압축 쓰레기통
US20180265286A1 (en) Bin
KR102597715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20170054343A (ko) 쓰레기봉투 거치 쓰레기통
WO2013150307A1 (en) Expanding lid for a waste receptacle
US20030146230A1 (en) Refuse container lid
KR20130019692A (ko) 쓰레기봉투 거치대
KR102339877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카트리지
KR101813990B1 (ko) 쓰레기봉투 고정형 쓰레기통
KR102510710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KR200441491Y1 (ko) 벽걸이용 쓰레기통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2124213B1 (ko) 휴지통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KR200441166Y1 (ko) 신문 분리수거함
JP4490258B2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洗濯槽の固定装置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JP2002193401A (ja) 袋支持具
KR102485547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0434952Y1 (ko) 압축식 쓰레기통
JP6753993B1 (ja) ゴミ袋抑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