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547B1 - 차량용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547B1
KR102485547B1 KR1020210062644A KR20210062644A KR102485547B1 KR 102485547 B1 KR102485547 B1 KR 102485547B1 KR 1020210062644 A KR1020210062644 A KR 1020210062644A KR 20210062644 A KR20210062644 A KR 20210062644A KR 102485547 B1 KR102485547 B1 KR 10248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unit
support
rot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981A (ko
Inventor
황성민
이제욱
Original Assignee
황성민
이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민, 이제욱 filed Critical 황성민
Priority to KR102021006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5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차량 내부의 수용부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바디부와, 회전부와 지지부에 구비되고,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FOR MOTORS}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용기를 보관하는 바디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회전하여 지지부에 구비된 확장가압고정부를 나선방식으로 출몰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컵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차량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을 운행하거나 휴식 중에 음료수, 물병, 일회용 컵을 포함한 보관용기를 일시 보관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관용 전장부품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컵홀더는 단순하게 보관용기를 안치하는 형태로만 이루어지거나 안치된 보관용기가 차량 주행 중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용기를 탄성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잡아주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큰 사이즈의 보관용기를 고려하여 컵홀더에 적용되어 보관용기를 잡아주는 탄성가압구조를 크게 구성하여 큰 사이드의 보관용기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추세이다.
보관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가압구조는 주로 보관용기의 상측부위를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출몰 가압구조를 이용하여 보관용기를 눌러 고정하는 구성이 주를 이룬다.
그런데, 차량 내부에 컵홀더를 다수 구비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보관용기를 보관하기에는 컵홀더 개수가 많이 부족한 것으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컵홀더 조립체를 별물로 구입하여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종래의 컵홀더 조립체는 진동에 취약하고, 차량 내부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사용이 제한적이고 대중화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18171호(2021.02.16,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컵홀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보관용기를 보관하는 바디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회전하여 지지부에 구비된 확장가압고정부를 나선방식으로 출몰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컵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차량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동전관통홀부를 형성하여 회전부에 보관된 동전을 바디부를 들고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회동 되게 구비된 여러 기능을 갖는 서포트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에 분리가능한 분리형 동전보관부를 구비하므로 동전보관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를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부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차량 높이에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제3보조컵홀더를 필요에 따라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차량 내부의 수용부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가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안착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압입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 및 상기 결속돌부가 탄성적으로 압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회전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전이 통과하는 동전통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전통과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홈부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가압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돌기부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의 중심돌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고정부재는, 상기 나선돌기부에 결합되는 상기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 및 상기 반경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가압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작동돌기부; 상기 작동돌기부가 끼워지는 끼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돌기부의 회전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부재;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반경 외측으로 신축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드작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커버하는 회전안내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작동부는, 상기 회전판부재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돌기부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나선돌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고정부재는, 상기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 및 상기 반경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경이동부는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고 상기 지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돌기; 및 상기 레일돌기가 삽입되고, 반경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면서 설정 범위를 벗어난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안내덮개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측 일부가 끼워지는 까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부재를 덮어주는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 및 상기 덮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서포트하는 서포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에 제1안착부가 회전축부재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관용기를 추가적으로 안착하도록 상기 바디부 상측에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회전하는 제1보조컵홀더;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제1안착부의 상측에 제2안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관용기의 상측 테두리를 걸어 지지하는 제2보조컵홀더; 상기 제2보조컵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보관용기를 지지하는 제3보조컵홀더; 및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제1,제2안착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3보조컵홀더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핸드폰을 안착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핸드폰충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보관용기를 보관하는 바디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회전하여 지지부에 구비된 확장가압고정부를 나선방식으로 출몰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컵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차량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동전관통홀부를 형성하여 회전부에 보관된 동전을 바디부를 들고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회동되게 구비된 여러 기능을 갖는 서포트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에 분리가능한 분리형 동전보관부를 구비하므로 동전보관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를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부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차량 높이에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제3보조컵홀더를 필요에 따라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확장가압고정부를 확장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시켜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와 핸드폰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4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확장가압고정부를 확장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시켜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회전안내덮개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바디부의 동전통과부를 통해 동전이 낙하하여 회전부에 보관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와 핸드폰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로서, 확장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를 보관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확장가압고정부를 확장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시켜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와 핸드폰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지지부(100), 회전부(150), 바디부(200) 및 확장가압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차량 내부의 수용부(10)에 안착 지지되는 구성이다.
지지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0)는 차량의 내부에서 기어박스 상에 함몰 형성되어 컵, 음료수, 캔 등을 포함하는 보관용기(20)를 보관하는 컵홀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회전부(150)는 지지부(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회전부(150)에 보관되는 동전을 톨게이트 등에서 요금을 낼 때 잔돈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부(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부(100)의 원통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지지부(100)의 상측과 회전부(150)의 하측 사이에는 확장가압고정부(400)가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반경 내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디부(200)는 회전부(15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20)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바디부(200)는 안착부(210)에 의해 회전부(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부(210)는 바디부(200)가 회전부(150)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태에서 회전부(15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바디부(200)의 하측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부(210)는 결속부(230)에 의해 회전부(150)에 탄성적으로 압입 가능하게 결속된다.
결속부(230)는, 안착부(210)의 외주면 또는 회전부(15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232)와, 결속돌부(232)가 탄성적으로 압입되도록 회전부(150)의 내주면 또는 안착부(210)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홈부(234)를 포함한다.
바디부(200)를 회전부(150)에 결합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바디부(200)의 하측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안착부(210)를 회전부(150)의 내주면에 삽입하면서 결속부(230)의 결속돌부(232)가 진입할수록 탄성적으로 압축되다가 결속홈부(234)에 도달하는 순간 탄성 복원되면서 바디부(200)는 회전부(150)에 압입 설치된다. 바디부(200)를 회전부(150)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상술한 조립 반대과정을 거치면 된다.
바디부(100)에는 회전부(150)에 수용되는 동전이 통과하는 동전통과부(220)가 형성된다.
동전통과부(220)는, 바디부(200)의 바닥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222)와, 함몰홈부(222)에 구비되고, 함몰홈부(222)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224)를 포함한다.
동전통과부(220)는 기존에는 컵홀더의 바닥에 보관하는 동전을 확장가압고정부(300)를 작동하고 바디부(200)을 고정하게 해주는 회전부(150)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동전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톨게이트 등에서 잔돈으로 받는 동전을 바디부(200)에 수납시키면, 바디부(200)의 중심부위에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부(222)에 동전이 진입되고, 동전이 관통홀부(224)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여 회전부(150)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것으로서, 저금통에 저금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여 동전을 모으는 재미와 안전한 보관을 가능하게 해준다.
확장가압고정부(300)는 회전부(150)와 지지부(100)에 구비되고,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0)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확장가압고정부(300)는, 회전부(150)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310)와, 지지부(100)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나선돌기부(310)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22)가 형성되어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320)와, 지지부(100)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회전부(150)의 중심돌부(340)에 결합되어 지지부(100)에서 회전부(150)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330)를 포함한다.
회전부(15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1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30)를 감싸면서 회전부(15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돌기(152)가 구비된다. 회전안내돌기(152)와 지지돌기(1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고정부재(320)는, 나선돌기부(310)에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22)가 형성되고, 지지부(100)의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324)와, 반경이동부(324)의 외측에 구비되고, 지지부(100)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326)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반경이동부(324)는 이동안내부(5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고 지지부(10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동안내부(500)는, 반경이동부(324)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돌기(510)와, 레일돌기(510)가 삽입되고, 반경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면서 설정 범위를 벗어난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520)를 포함한다.
반경이동부(324)는 지지부(100)에서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10)를 통해 이동한다.
밀착고정부(326)는 지지부(100)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수납홈부(120)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밀착고정부(326)가 반경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지지부(100)의 수납홈부(130)에 수납되어지면, 원호형상의 밀착고정부(326)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100)에 대응하므로 밀착고정부(326)의 수납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일체감을 갖는다.
바디부(100)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서포트하는 서포트부(600)가 더 구비된다.
서포트부(600)는, 바디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610)와, 연장부재(610)에 제1안착부(622)가 회전축부재(6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관용기(20)를 추가적으로 안착하도록 바디부(100)의 상측에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회전하는 제1보조컵홀더(620)와, 연장부재(610)의 상측 또는 제1안착부(622)의 상측에 제2안착부(632)가 설치되어 보관용기(20)의 상측 테두리를 걸어 지지하는 제2보조컵홀더(630)와, 제2보조컵홀더(63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보관용기(20)를 지지하는 제3보조컵홀더(640)와, 연장부재(610)의 상측 또는 제1,제2안착부(622)(63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핸드폰을 안착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핸드폰충전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폰충전부(650)는, 제2안착부(632)의 상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거나 제3보조컵홀더(6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652)와, 받침부재(652)의 중심부위에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충전패드부(654)를 포함한다.
받침부재(652)와 충전패드부(654)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원형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확장가압고정부(3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회전부(150)를 회전하면, 회전부(150)의 하측에 구비된 나선돌기부(310)가 가압고정부재(320)의 나선결합홈부(422)를 나선으로 감아준 상태에서 반경 외측으로 밀어주면서 다수개(도면상 3개)로 분리된 반경이동부(324)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준다.
연이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진 밀착고정부(326)는 수용부(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가압고정부재(320)의 반경이동부(324)는 하측에 돌출 형성된 이동안내부(500)의 레일돌기(510)가 안내홈부(5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직진 이동하다가 최대한 펼쳐지면 안내홈부(520)의 걸림턱부위에 걸리면서 가압고정부재(320)는 지지부(100)의 개방부(11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서 분리하고자 한다면,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부(150)를 회전하면, 회전부(150)의 나선돌기부(310)가 나선결합홈부(322)를 감아주면서 가압고정부재(320)를 반경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수용부(10)의 내측면에서 이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4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서 확장가압고정부를 확장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시켜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회전안내덮개부의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바디부의 동전통과부를 통해 동전이 낙하하여 회전부에 보관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와 핸드폰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지지부(100), 회전부(150), 바디부(200) 및 확장가압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차량 내부의 수용부(10)에 안착 지지되는 구성이다.
지지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0)는 차량의 내부에서 기어박스 상에 함몰 형성되어 컵, 음료수, 캔등을 포함하는 보관용기(20)를 보관하는 컵홀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회전부(150)는 지지부(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회전부(150)에 보관되는 동전을 톨게이트 등에서 요금을 낼 때 잔돈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부(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부(100)의 원통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지지부(100)의 상측과 회전부(150)의 하측 사이에는 확장가압고정부(400)가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반경 내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디부(200)는 회전부(15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20)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바디부(200)는 안착부(210)에 의해 회전부(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착부(210)는 바디부(200)가 회전부(150)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태에서 회전부(15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바디부(200)의 하측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100)에는 회전부(150)에 수용되는 동전이 통과하는 동전통과부(220)가 형성된다.
동전통과부(220)는, 바디부(200)의 바닥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222)와, 함몰홈부(222)에 구비되고, 함몰홈부(222)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224)를 포함한다.
동전통과부(220)는 기존에는 컵홀더의 바닥에 보관하는 동전을 확장가압고정부(400)를 작동하고 바디부(200)을 고정 하게 해주는 회전부(150)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동전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톨게이트 등에서 잔돈으로 받는 동전을 바디부(200)에 수납시키면, 바디부(200)의 중심부위에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홈부(222)에 동전이 진입되고, 동전이 관통홀부(224)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여 회전부(150)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것으로서, 저금통에 저금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여 동전을 모으는 재미와 안전한 보관을 가능하게 해준다.
확장가압고정부(400)는 회전부(150)와 지지부(100)에 구비되고,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0)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확장가압고정부(400)는, 회전부(15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작동돌기부(410)와, 작동돌기부(410)가 끼워지는 끼움홀부(422)가 형성되고, 작동돌기부(410)의 회전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부재(420)와, 회전판부재(420)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0) 상에서 반경 외측으로 신축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드작동부(430)와, 회전부(150)의 하측에 구비되고, 지지부(100)에 체결되어 회전판부재(420)와 슬라이드작동부(430)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커버하는 회전안내덮개부(47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작동부(430)는, 회전판부재(420)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440)와, 지지부(100)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나선돌기부(440)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452)가 형성되어 회전판부재(42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1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450)와, 지지부(100)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나선돌기부(440)에 결압되어 지지부(100)에서 회전부(150)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460)를 포함한다.
가압고정부재(450)는, 나선결합홈부(452)가 형성되고, 지지부(100)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454)와, 반경이동부(454)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456)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반경이동부(454)는 이동안내부(5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고 지지부(10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동안내부(500)는, 반경이동부(454)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돌기(510)와, 레일돌기(510)가 삽입되고, 반경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면서 설정 범위를 벗어난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520)를 포함한다.
반경이동부(454)는 지지부(100)에서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10)를 통해 이동한다.
밀착고정부(456)는 지지부(100)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수납홈부(120)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밀착고정부(456)가 반경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지지부(100)의 수납홈부(130)에 수납되어지면, 원호형상의 밀착고정부(456)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100)에 대응하므로 밀착고정부(456)의 수납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일체감을 갖는다.
회전안내덮개부(470)는, 회전부(150)의 하측 일부가 끼워고, 회전판부재(420)를 덮어주는 덮개부재(472)와, 덮개부재(472)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판부재(420)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회전판부재(4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474)와, 덮개부재(472)를 관통하여 지지부(100)에 체결되어 덮개부재(420)를 지지부(10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476)를 포함한다.
덮개부재(472)의 저면 중심부위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회전부(15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안내돌기(474)는 사각돌기 형태로 설정각도 단위로 다수개씩 하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판부재(420)의 둘레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판부재(420)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바디부(100)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서포트하는 서포트부(600)가 더 구비된다.
서포트부(600)는, 바디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610)와, 연장부재(610)에 제1안착부(622)가 회전축부재(6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관용기(20)를 추가적으로 안착하도록 바디부(100)의 상측에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회전하는 제1보조컵홀더(620)와, 연장부재(610)의 상측 또는 제1안착부(622)의 상측에 제2안착부(632)가 설치되어 보관용기(20)의 상측 테두리를 걸어 지지하는 제2보조컵홀더(630)와, 제2보조컵홀더(63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보관용기(20)를 지지하는 제3보조컵홀더(640)와, 제3보조컵홀더(640)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핸드폰을 안착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핸드폰충전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폰충전부(650)는, 제2안착부(632)의 상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거나 제3보조컵홀더(6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652)와, 받침부재(652)의 중심부위에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충전패드부(654)를 포함한다.
받침부재(652)와 충전패드부(654)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원형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확장가압고정부(4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회전부(150)를 회전하면, 회전부(150)의 하측에 구비된 나선돌기부(310)가 끼움홀부(422)에 결합된 회전판부재(4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부재(430)의 하측에 구비된 나선돌기부(440)가 가압고정부재(320)의 나선결합홈부(452)를 나선으로 감아준 상태에서 반경 외측으로 밀어주면서 다수개(도면상 3개)로 분리된 반경이동부(454)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준다.
연이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진 밀착고정부(456)는 수용부(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가압고정부재(450)의 반경이동부(454)는 하측에 돌출 형성된 이동안내부(500)의 레일돌기(510)가 안내홈부(5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직진 이동하다가 최대한 펼쳐지면 안내홈부(520)의 걸림턱부위에 걸리면서 가압고정부재(450)는 지지부(100)의 개방부(11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서 분리하고자 한다면,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부(150)를 회전하면, 회전부(150)의 나선돌기부(440)가 나선결합홈부(452)를 감아주면서 가압고정부재(450)를 반경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수용부(10)의 내측면에서 이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수용부(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차량의 조립 사시도로서, 차량의 수용부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조립 상태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하측 부위 확대 단면도로서, 확장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서포트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관용기를 보관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지지부(100), 회전부(150), 바디부(200) 및 확장가압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주요 구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와 유사한 부분이 부분이 많이 있으므로 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고,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성에 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적용하도록 한다.
지지부(100)는 차량 내부의 수용부(10)에 안착 지지되는 구성이다.
지지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0)는 차량의 내부에서 기어박스 상에 함몰 형성되어 컵, 음료수, 캔 등을 포함하는 보관용기(20)를 보관하는 컵홀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회전부(150)는 지지부(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구성이다. 회전부(150)에 보관되는 동전을 톨게이트 등에서 요금을 낼 때 잔돈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부(1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부(100)의 원통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지지부(100)의 상측과 회전부(150)의 하측 사이에는 확장가압고정부(400)가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반경 내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디부(200)는 회전부(15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20)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회전부(150)는 분리 가능한 분리형 동전보관부(160)를 포함한다.
분리형 동전보관부(160)는, 회전부(15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이 보관되는 동전보관통(162)와, 동전보관통(162)의 상측을 커버하고, 분리 가능한 보관통커버(164)와, 보관통커버(164)의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홈부(166)와, 오목홈부(166)에 구비되고, 오목홈부(166)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과홀부(168)를 포함한다.
보관통커버(164)는 착탈부(170)를 통해 동전보관통(162)에서 분리 가능하게 착탈된다.
착탈부(170)는, 동전보관통(162)의 상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172)와, 테두리부(172)에 상하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걸림홈부(174)와, 걸림홈부(174)에 삽입되고, 동전보관통(162)에 대해 보관통커버(164)를 회전하여 걸어주도록 보관통커버(16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176)를 포함한다.
보관통커버(164)를 동전보관통(162)의 테두리부(172) 측으로 이동하고, 보관통커버(164)의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부(176)를 걸림홈부(174)로 끼운 후, 보관통커버(164)를 회전시키면, 걸림돌부(176)가 테두리부(172)에 걸려짐으로써, 보관통커버(164)는 동전보관통(162)에 걸림 조립된다. 분리는 반대과정을 거치면 된다.
분리형 동전보관부(160)는 기존에는 컵홀더의 바닥에 보관하는 동전을 확장가압고정부(300)를 작동하고 바디부(200)을 고정하게 해주는 회전부(150)에 구비된 동전보관통(162)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동전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톨게이트 등에서 잔돈으로 받는 동전을 바디부(200)에 수납시키면, 바디부(200)의 중심부위에 구비된 보관통커버(164)의 하측으로 함몰된 오목홈부(166)에 동전이 진입되고, 동전이 통과홀부(168)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여 회전부(150)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것으로서, 저금통에 저금하는 기분을 느끼게 하여 동전을 모으는 재미와 안전한 보관을 가능하게 해준다.
바디부(200)는 높이조절부(180)에 의해 회전부(150)에서 높이가 조절된다.
높이조절부(180)는, 회전부(150)의 둘레에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선홈부(182)와, 나선홈부(182)에 결합되도록 바디부(200)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승강돌부(184)를 포함한다.
바디부(200)를 회전하면, 하단 내주면 돌출 형성된 승강돌부(184)가 회전부(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부(182)에 삽입되어 승하강 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확장가압고정부(300)는 회전부(150)와 지지부(100)에 구비되고,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0)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확장가압고정부(300)는, 회전부(150)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310)와, 지지부(100)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나선돌기부(310)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22)가 형성되어 회전부(150)의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320)와, 지지부(100)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회전부(150)의 중심돌부(340)에 결합되어 지지부(100)에서 회전부(150)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330)를 포함한다.
가압고정부재(320)는, 나선돌기부(310)에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322)가 형성되고, 지지부(100)의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324)와, 반경이동부(324)의 외측에 구비되고, 지지부(100)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326)를 포함한다.
도 23 및 도 25를 참조하면, 반경이동부(324)는 이동안내부(50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고 지지부(100)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동안내부(500)는, 반경이동부(324)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돌기(510)와, 레일돌기(510)가 삽입되고, 반경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520)를 포함한다.
반경이동부(324)는 지지부(100)에서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10)를 통해 이동한다.
밀착고정부(326)는 지지부(100)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수납홈부(120)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밀착고정부(326)가 반경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지지부(100)의 수납홈부(130)에 수납되어지면, 원호형상의 밀착고정부(326)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100)에 대응하므로 밀착고정부(326)의 수납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일체감을 갖는다.
밀착고정부(326)는 4개 형성되되, 수용부(10)의 형상을 고려하여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부(100)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서포트하는 서포트부(600)가 더 구비된다.
서포트부(600)는, 바디부(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610)와, 연장부재(610)에 제1안착부(622)가 회전축부재(6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관용기(20)를 추가적으로 안착하도록 바디부(100)의 상측에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회전하는 제1보조컵홀더(620)와, 연장부재(610)의 상측 또는 제1안착부(622)의 상측에 제2안착부(632)가 설치되어 보관용기(20)의 상측 테두리를 걸어 지지하는 제2보조컵홀더(630)와, 제2보조컵홀더(63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보관용기(20)를 지지하는 제3보조컵홀더(640)와, 연장부재(610)의 상측 또는 제1,제2안착부(622)(63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핸드폰을 안착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핸드폰충전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폰충전부(650)는, 제2안착부(632)의 상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거나 제3보조컵홀더(6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652)를 포함한다.
받침부재(652)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원형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받침부재(652)의 중심부위에는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충전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슬라이드결합부(670)에 의해 연장부재(610)와 슬라이드 결합된다.
슬라이드 결합부(670)는, 바디부(2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홈(672)과, 슬라이드레일홈(67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후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연장부재(61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돌기(674)를 포함한다.
연장부재(610)는 제1끼움결합부(680)에 의해 제1보조컵홀더(620)의 제1안착부(622)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1끼움결합부(680)는, 연장부재(6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682)와, 제1끼움홈부(682)에 끼워지도록 제1안착부(622)에 돌출 형성되는 제1끼움돌기(684)를 포함한다.
제1안착부(610)는 제2끼움결합부(690)에 의해 제2보조컵홀더(630)의 제2안착부(632)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2끼움결합부(690)는, 제1안착부(62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끼움홈부(692)와, 제2끼움홈부(692)에 끼워지도록 제2안착부(632)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끼움돌기(694)를 포함한다.
제3보조컵홀더(640)는 걸림장착부(700)에 의해 제2보조컵홀더(630)에 걸림 장착될 수 있다.
걸림장착부(700)는, 제2보조컵홀더(630)에 끼워지도록 제3보조컵홀더(64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출부(710)와, 끼움돌출부(710)에 젖힘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보조컵홀더(630)의 하단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후크(720)를 포함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작용 및 효과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한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로 대체하도록 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제2,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보관용기를 보관하는 바디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회전하여 지지부에 구비된 확장가압고정부를 나선방식으로 출몰시켜 수용부의 내측면에 컵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차량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관통홀부를 형성하여 회전부에 보관된 동전을 바디부를 들고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에 회동 되게 구비된 여러 기능을 갖는 서포트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에 분리가능한 분리형 동전보관부를 구비하므로 동전보관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를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부에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차량 높이에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제3보조컵홀더를 필요에 따라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수용부 100: 지지부 :
110: 개방부 120: 수납홈부
130: 지지돌기 150: 회전부
160: 분리형 동전보관부 162: 동전보관통
164: 보관통커버 166: 오목홈부
168: 통과홀부 170: 착탈부
172: 테두리부 174: 걸림홈부
176: 걸림돌부 180; 높이조절부
182: 나선홈부 184: 승강돌부
152: 회전안내돌기 200: 바디부
210: 안착부 220: 동전통과부
222: 함몰홈부 224: 관통홀부
230: 결속부 232: 결속돌부
234: 결속홈부 300: 확장가압고정부
310: 나선돌기부 320: 가압고정부재
322: 니선결합부 324: 반경이동부
326: 밀착고정부 330: 결합부재
400: 확장가압고정부 410: 작동돌기부
420: 회전판부재 422: 끼움홀부
430: 슬라이드작동부 440: 나선돌기부
450: 가압고정부재 452: 나선결합홈부
454: 반경이동부 456: 밀착고정부
460: 결합부재 470: 회전안내덮개부
472: 덮개부재 474: 안내돌기
470: 체결부재 500: 이동안내부
510: 레일돌기 520: 안내홈부
600: 서포트부 610: 연장부재
620: 제1보조컵홀더 630: 제2보조컵홀더
640: 제3보조컵홀더 650: 핸드폰충전부
652: 받침부재 654: 충전패드부
660: 회전축부재 670: 슬라이드결합부
672: 슬라이드레일홈 674: 슬라이드레일돌기
680: 제1끼움결합부 682: 제1끼움홈부
684: 제1끼움돌기 690: 제2끼움결합부
692: 제2끼움홈부 694: 제2끼움돌기
700: 걸림장착부 710: 끼움돌출부
720: 걸림후크

Claims (17)

  1. 차량 내부의 수용부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가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분리 가능한 분리형 동전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동전보관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이 보관되는 동전보관통;
    상기 동전보관통의 상측을 커버하고, 분리 가능한 보관통커버;
    상기 보관통커버의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홈부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안착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압입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 및
    상기 결속돌부가 탄성적으로 압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회전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전이 통과하는 동전통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전통과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 중심부위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몰홈부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에서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선홈부; 및
    상기 나선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승강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6. 차량 내부의 수용부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가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가압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돌기부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의 중심돌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재는,
    상기 나선돌기부에 결합되는 상기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 및
    상기 반경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8. 차량 내부의 수용부에 안착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전을 보관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관용기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가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가압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작동돌기부;
    상기 작동돌기부가 끼워지는 끼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돌기부의 회전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부재;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에서 반경 외측으로 신축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드작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커버하는 회전안내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는,
    상기 회전판부재의 저면에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나선돌기부;
    상기 지지부에 다수개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선돌기부가 대응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수용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압고정부재;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나선돌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재는,
    상기 나선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상측에 안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경이동부; 및
    상기 반경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확장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1. 제 7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이동부는 이동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고 상기 지지부에서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반경이동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돌기; 및
    상기 레일돌기가 삽입되고, 반경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덮개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측 일부가 끼워지고, 상기 회전판부재를 덮어주는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 및
    상기 덮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3. 제 1항, 제 6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서포트하는 서포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에 제1안착부가 회전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관용기를 추가적으로 안착하도록 상기 바디부 상측에 위치되었다가 사용시 회전하는 제1보조컵홀더;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제1안착부의 상측에 제2안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보관용기의 상측 테두리를 걸어 지지하는 제2보조컵홀더;
    상기 제2보조컵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보관용기를 지지하는 제3보조컵홀더; 및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제1, 제2안착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제3보조컵홀더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핸드폰을 안착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핸드폰충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슬라이드결합부에 의해 상기 연장부재와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배치되는 슬라이드레일홈;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홈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후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연장부재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제1끼움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보조컵홀더의 제1안착부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안착부는 제2끼움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보조컵홀더의 제2안착부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조컵홀더는 걸림장착부에 의해 상기 제2보조컵홀더에 걸림 장착되고,
    상기 걸림장착부는,
    상기 제2보조컵홀더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3보조컵홀더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출부; 및
    상기 끼움돌출부에 젖힘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보조컵홀더에 걸려지는 다수개의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0210062644A 2021-05-14 2021-05-14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48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4A KR102485547B1 (ko) 2021-05-14 2021-05-14 차량용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4A KR102485547B1 (ko) 2021-05-14 2021-05-14 차량용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81A KR20220154981A (ko) 2022-11-22
KR102485547B1 true KR102485547B1 (ko) 2023-01-05

Family

ID=8423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44A KR102485547B1 (ko) 2021-05-14 2021-05-14 차량용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5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918A (ja) * 2013-02-21 2016-03-24 シャンハイ ヤンフェン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シ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深さ調節が可能なカップホルダー
KR102112946B1 (ko) * 2019-01-03 2020-05-19 서정옥 차량용 높낮이 가변형 다용도 수납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37B1 (ko) * 2019-10-29 2021-07-27 (주)연우 출몰식 용기
KR102177789B1 (ko) * 2020-01-31 2020-11-11 박민우 무선충전기능의 트레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918A (ja) * 2013-02-21 2016-03-24 シャンハイ ヤンフェン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シー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深さ調節が可能なカップホルダー
KR102112946B1 (ko) * 2019-01-03 2020-05-19 서정옥 차량용 높낮이 가변형 다용도 수납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81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826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емкостей с напитками, сосудов для питья и т.п. в футляре в автомобиле
KR101182555B1 (ko) 컵 홀더
PL192448B1 (pl) Wirówka do sałaty z koszykiem i mechanizmem napędowym
JP3647540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2485547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CN113163927A (zh) 用于包装和施用产品棒、尤其是化妆品产品棒的装置,所述棒的插入和移除方法以及包括所述装置的组件的产品套件
KR10244650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
JP2021030766A (ja) 飲料容器保持装置
KR20200049973A (ko) 차량의 수납 장치
JP5234337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090092093A (ko)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KR101553278B1 (ko) 휴지통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CN110353499B (zh) 壶盖及具有该壶盖的水壶
US5388724A (en) Coffee filter storage and dispensing canister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US5839605A (en) Cup dispenser
KR200356089Y1 (ko) 절첩식 저장통
KR102597715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쓰레기통
FR2758063A1 (fr) Table a rallonges
KR100680531B1 (ko) 차량 운전석의 컵 홀더 장치
KR102061784B1 (ko) 뚜껑 회동장치가 장착된 휴지통
KR200448032Y1 (ko) 수납함
KR19980033215U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460311Y1 (ko)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