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973A - 차량의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973A
KR20200049973A KR1020180130579A KR20180130579A KR20200049973A KR 20200049973 A KR20200049973 A KR 20200049973A KR 1020180130579 A KR1020180130579 A KR 1020180130579A KR 20180130579 A KR20180130579 A KR 20180130579A KR 20200049973 A KR20200049973 A KR 2020004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housing
guide
storage devi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037B1 (ko
Inventor
조민호
조장현
정대익
황진호
장승혁
안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주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주정공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37B1/ko
Priority to US16/352,193 priority patent/US11186227B2/en
Priority to CN201910222304.5A priority patent/CN111114442A/zh
Publication of KR2020004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를 분리하여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되더라도 해당 공간이 수납공간으로 활용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차량의 수납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수납 장치 {STORAGE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러기지룸 내부에 수화물의 적재 공간을 확보하고,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를 탈거시켜 외부에서도 사용 가능한 차량의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러기지룸이 구비된다. 이러한 러기지룸은 차량의 후방에 비치되며, 차량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디자인 트랜드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트렁크의 내부공간을 넓게 설계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차량관리에 필요한 청소도구, 안전물품 등의 물건들을 차량 내에 비치시킴에 따라 작은 수화물을 별도로 분류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필요한 추세이다. 최근에는 러기지룸에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러기지룸 측면의 불용 공간을 활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불용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트레이 본체를 두고 네트와 같은 격벽을 두어 수화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에 따라, 해당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러기지 박스가 러기지룸 내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실외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즉, 실외로 특정 수화물을 옮겨야 하는 상황 발생시, 러기지 룸에서 수화물을 개별적으로 꺼내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42993 (2017.04.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를 분리하여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되더라도 해당 공간을 다시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는 차량의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수납 장치는 러기지룸 측면부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러기지룸측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러기지하우징; 러기지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러기지박스; 및 러기지하우징에서 개방면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및 경사각을 가지고 틸팅되게 설치되며, 러기지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기구;를 포함한다.
러기지하우징은 개방면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개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에 가이드기구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레일부는 러기지하우징의 내측에서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다가 끝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기구는, 러기지하우징의 내측면에서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러기지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장착부와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개방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박스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는 장착용돌기가 형성되고, 장착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장착용돌기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착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레일부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되게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부를 관통하여 구동부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레일부는 최상단에 배치된 제1가이드홀, 중단에 배치된 제2가이드홀, 최하단에 배치된 제3가이드홀이 이격되어 나열되고, 장착부의 가이드부는 제2가이드홀에 안착되고, 연장부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홀과 제3가이드홀에 각각 관통하여 구동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에 톱니가 형성되며,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가이드레일부에는 가이드부의 톱니에 대응되는 톱니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는, 러기지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되며 장착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와, 러기지하우징에 고정되고 이동부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가 개방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는 러기지하우징에서 개방면측에 설치된 권취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동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면에 장착부가 결합되고 외측면에 권취스프링이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하우징에는 러기지박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가이드기구에 장착되고 개방면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탈부착커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부착커버의 상단부에는 가이드기구에 탈착되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러기지하우징의 하부에 탈착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하우징의 하단면에는 개방면측에 회전중심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면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회전커버가 더 구성되고, 회전커버의 회전중심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커버가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커버는 회전중심을 가지는 말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걸림턱이 러기지하우징에 접촉되어 회전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하우징은 개방면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각기 마련된 회전격벽이 더 구성되고, 각 회전격벽은 전단면과 후단면에서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격벽은 러기지하우징의 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전방격벽과 러기지하우징의 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후방격벽으로 구성되고, 전방격벽과 후방격벽은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격벽과 후방격벽은 상호 포개지는 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부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박스의 내부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박스;를 더 포함하고, 러기지박스의 내부공간 하부면에는 푸쉬 조작 여부에 따라 캐리어박스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쉬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기지박스의 내측면에는 수직돌기 또는 수평돌기가 형성되고, 수직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수평돌기에 안착되는 파티션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수납 장치는 차량의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를 분리하여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되더라도 해당 공간이 수납공간으로 활용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1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수납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1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수납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룸 측면부에서 수납공간(S1)을 형성하고 러기지룸측으로 개방면(100a)을 가지는 러기지하우징(100);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공간(S2)을 가지는 러기지박스(200); 및 러기지하우징(100)에서 개방면(100a)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및 경사각을 가지고 틸팅되게 설치되며, 러기지박스(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기구(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러기지박스(200)는 러기지하우징(100)에 락킹되거나 락킹 해제될 수 있도록 후크 체결구조가 적용되거나 푸쉬업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러기지박스(200)와 러기지하우징(100)의 락킹 구조(L)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락킹 구조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러기지룸의 측면부에 러기지하우징(100)이 구비되고,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가 가이드기구(300)를 통해 인출입되며, 인출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러기지하우징(100)의 경우 러기지룸의 측면부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러기지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되고 수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S1)을 형성한다. 러기지박스(200)의 경우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S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러기지하우징(100)에 삽입시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을 대신하여 수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S2)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러기지박스(200)는 가이드기구(3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가이드기구(300)의 경우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경사각을 가지고 틸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를 인출시 러기지박스(200)는 가이드기구(300)에 의해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을 향해 인출된 후 틸팅되어 내부공간(S2)으로 수화물의 수납이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박스(200)가 인출된 상태에서, 러기지박스(200)를 가이드기구(300)에서 분리하여 러기지박스(200)를 실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러기지룸 내의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을 인출시켜 내부공간(S2)을 통해 수화물의 수납이 가능하며, 러기지박스(200)를 러기지하우징(100)에서 탈거시켜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러기지박스(200)가 탈거된 러기지하우징(100)은 수납공간(S1)을 통해, 수화물을 수납 가능함에 따라 수납공간(S1)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하우징(100)은 개방면(100a)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개방면(1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부(120)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120)에 가이드기구(30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러기지하우징(100)의 전단면 및 후단면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하지 않으며, 개방면(100a)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러기지하우징(100)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는 가이드레일부(120)가 개방면(100a)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고, 가이드기구(300)가 가이드레일부(1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이드기구(300)에 장착되는 러기지박스(200)가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부(120)는 러기지하우징(100)의 내측에서 개방면(100a)을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다가 끝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20)의 끝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됨으로써, 가이드레일부(120)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기구(300)가 절곡된 경로를 따라 틸팅되어 가이드기구(300)에 장착된 러기지박스(200)가 러기지하우징(100)에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기지박스(200)의 내부공간(S2)이 러기지하우징(100)에서 완전히 노출될 수 있고, 러기지박스(200)를 가이드기구(300)에서 분리하여 탈거시 러기지하우징(100)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탈거될 수 있다.
상술한 러기지박스(200)의 인출을 위한 가이드기구(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기구(300)는, 러기지하우징(100)의 내측면에서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고 러기지박스(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320)와, 러기지하우징(100)의 외측면에서 장착부(320)와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개방면(100a)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구동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기구(300)는 장착부(320)와 구동부(340)로 구성되며, 장착부(320)와 구동부(340)는 서로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함께 이동된다. 이러한 장착부(320)에는 러기지박스(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부(340)는 러기지하우징(100)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부(120)에서 탄성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장착부(320)와 함께 러기지박스(200)가 구동부(340)에 의해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4에서 볼 수 있듯이, 러기지박스(200)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는 장착용돌기(220)가 형성되고, 장착부(3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장착용돌기(22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착용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기지박스(200)의 장착용돌기(220)를 장착부(320)의 장착용홈(321)에 삽입시, 러기지박스(200)가 장착부(32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320)의 장착용홈(3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러기지박스(2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장착부(320)에 장착할 수 있고,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장착부(32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러기지박스(200)의 장착용돌기(220)는 러기지박스(200)를 러기지하우징(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러기지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장착부(320)가 구동부(340)와 함께 러기지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시 러기지박스(200)가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에 최대로 삽입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2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되게 형성되고, 장착부(320)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부(120)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322)와,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부(120)를 관통하여 구동부(340)에 결합되는 연장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장착부(320)가 가이드레일부(120)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되고,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시 장착부(320)가 틸팅되도록 유도하여 장착부(320)와 함께 러기지박스(20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장착부(320)의 가이드부(322)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고, 장착부(320)에서 연장된 연장부(323)가 구동부(340)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부(340)는 장착부(320)와 함께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가이드레일부(120)는 최상단에 배치된 가이드레일부(120)의 연장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하측에 배치될수록 연장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320)가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되면, 가이드레일부(120)의 말단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레일부(120)는 최하단에 배치된 가이드레일부(120)의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됨에 따라 장착부(320)의 하단이 먼저 접촉되어 회전중심점으로 작용되고, 최상단에 배치된 가이드레일부(120)의 남은 이동반경만큼 장착부(320)의 상단이 이동되어 회전 동작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20)는 최상단에 배치된 제1가이드홀(121), 중단에 배치된 제2가이드홀(122), 최하단에 배치된 제3가이드홀(123)이 이격되어 나열되고, 장착부(320)의 가이드부(322)는 제2가이드홀(122)에 안착되고, 연장부(323)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홀(121)과 제3가이드홀(123)에 각각 관통하여 구동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322)는 장착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에 톱니(322a)가 형성되며, 가이드부(322)가 안착되는 제2가이드홀(122)에는 가이드부(322)의 톱니(322a)에 대응되는 톱니레일(120a)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322)가 가이드레일부(120)에 기어 체결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기구(300)의 장착부(320)가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시, 장착부(320)의 가이드부(322)가 제2가이드홀(122)을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부(322)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기 배치된 연장부(323)가 제1가이드홀(121) 및 제3가이드홀(123)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부(322)는 제2가이드홀(122)에 기어 체결됨에 따라 제2가이드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고, 장착부(320)의 연장부(323)가 제1가이드홀(121) 및 제3가이드홀(123)을 관통하여 구동부(340)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부(340)가 장착부(320)와 함께 이동된다. 이렇게, 장착부(320)가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개방면(100a)측으로 이동되면,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된 제3가이드홀(123)에 장착부(320)의 하측에 배치된 연장부(323)가 접촉된다. 이로 인해, 장착부(320)는 하측에 배치된 연장부(32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1가이드홀(121) 및 제2가이드홀(122)의 여유 거리만큼 가이드부(322) 및 상측의 연장부(323)가 이동됨으로써 장착부(3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부(320)에 장착된 러기지박스(200)는 러기지하우징(100)에서 인출된 후 틸팅되어 러기지하우징(100)에서 완전히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부(340)는, 러기지하우징(100)의 외측면에 위치되며 장착부(320)가 결합되는 이동부(341)와, 러기지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이동부(341)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341)가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34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341)는 상술한 장착부(320)의 연장부(323)가 결합되며, 복수의 연장부(323)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341)는 러기지하우징(100)에 고정된 탄성부(342)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이동부(341)에 결합된 장착부(320)와 함께 러기지박스(200)가 개방면(100a)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탄성부(342)는 러기지하우징(100)에서 개방면(100a)측에 설치된 권취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동부(3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면에 장착부(320)가 결합되고 외측면에 권취스프링이 연결되는 결합부(3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부(342)는 권취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이동부(34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권취스프링 외에 코일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동부(341)의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는 권취스프링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342)의 경우 러기지하우징(1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바, 이동부(341)의 외측면에 결합부(341a)를 형성하여 권취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342)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이동부(341)는 탄성력을 제공받아 가이드레일부(120)를 따라 직선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가 탈거시, 러기지하우징(100)이 별도의 수납공간(S1)을 형성해야 한다. 하기에는, 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제1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하우징(100)에는 러기지박스(200)가 탈거된 상태에서, 가이드기구(3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방면(100a)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탈부착커버(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가 분리 가능함에 따라, 러기지박스(200)가 분리되면, 해당 공간은 빈공간이 된다. 이를 수납공간(S1)으로 활용하기 위해,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에 탈부착커버(140)를 장착하여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으로 수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탈부착커버(140)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net)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탈부착커버(14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기구(300)에 탈착되는 제1고정부(141)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부에 탈착되는 제2고정부(142)가 형성되어, 탈부착커버(140)를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부(141)의 경우 가이드기구(300)의 장착용홈(321)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탈부착커버(140)의 내측면에서 상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부(142)의 경우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후크 구조로 적용될 수 있고,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고정부(142)가 장착되는 후크 작착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가 분리되면,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에 탈부착커버(140)를 배치시킨 후 개방면(100a)으로 이동된 가이드기구(300)에 제1고정부(141)를 연결하고,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부에 제2고정부(142)를 연결함으로써, 탈부착커버(140)의 위치가 고정되어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로서,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단면에는 개방면(100a)측에 회전중심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면(100a)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회전커버(150)가 더 구성되고, 회전커버(150)의 회전중심에는 토션스프링(151)이 설치되어 회전커버(150)가 개방면(100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커버(150)는 러기지하우징(100)의 하단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러기지박스(200)가 러기지하우징(100)에서 탈거되면 상방으로 회전되어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을 일부 폐쇄하도록 한다. 특히, 회전커버(150)의 경우 회전중심에 토션스프링(151)이 설치됨으로써,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가 탈거되면 토션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면(100a)을 향해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회전커버(150)는 회전중심을 가지는 말단부에 걸림턱(152)이 형성되어 개방면(100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걸림턱(152)이 러기지하우징(100)에 접촉되어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커버(150)는 개방면(100a)을 향해 회전되면, 걸림턱(152)이 러기지하우징(100)에 걸리어 회전이 제한되고, 개방면(100a)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제3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하우징(100)은 개방면(100a)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각기 마련된 회전격벽(160)이 더 구성되고, 각 회전격벽(160)은 전단면과 후단면에서 개방면(100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격벽(160)은 러기지하우징(100)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각기 수납된 상태에서, 러기지박스(200)가 러기지하우징(100)에서 탈거되면 개방면(100a)을 향해 회전되어 러기지하우징(100)의 개방면(100a) 일부를 폐쇄한다. 이러한 회전격벽(160)의 경우에도 별도의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성력에 의해 개방면(100a)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회전격벽(160)의 경우 러기지하우징(100)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 복수개로 각기 구성된다. 즉, 회전격벽(160)은 러기지하우징(100)의 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전방격벽(161)과 러기지하우징(100)의 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후방격벽(162)으로 구성되어, 러기지박스(200)의 이탈시 전방격벽(161)과 후방격벽(162)이 러기자하우징의 개방면(100a)을 일부 폐쇄하도록 한다. 특히, 전방격벽(161)과 후방격벽(162)은 개방면(100a)을 향해 전개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전방격벽(161)과 후방격벽(162)의 전개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방격벽(161)과 후방격벽(162)은 상호 포개지는 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부(163)가 내장되어, 자성부(163)의 인력에 의해 전방격벽(161)과 후방격벽(162)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전개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박스의 내측면에는 수직돌기(281) 또는 수평돌기(282)가 형성되고, 수직돌기(281)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수평돌기(282)에 안착되는 파티션(2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러기지하우징(100)의 내측면에는 수직돌기(281)와 수평돌기(282)가 형성되며, 이러한 수직돌기(281) 및 수평돌기(282)에 파티션(240)이 지지되도록 하여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을 분할할 수 있다. 즉, 러기지하우징(100)의 수직돌기(281)에 파티션(240)을 수직방향으로 꽂아 고정시,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은 전후방향으로 구획되며, 수평돌기(282)에 파티션(240)을 수평방향으로 안착시키면 수납공간(S1)은 상하방향으로 구획된다. 이렇게, 파티션(240)의 안착 위치에 따라, 러기지하우징(100)의 수납공간(S1)이 다양하게 구획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수화물을 분리시켜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박스(200)의 내부공간(S2)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박스(400);를 더 포함하고, 러기지박스(200)의 내부공간(S2) 하부면에는 푸쉬 조작 여부에 따라 캐리어박스(400)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쉬기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러기지박스(200)의 내부공간(S2)에는 캐리어박스(40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캐리어박스(400)는 러기지박스(200)에서 삽탈되록 구성됨으로써, 러기지박스(200)의 내부공간(S2)에 삽입시 캐리어박스(400)가 수화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러기지박스(200)에서 탈거시 러기지박스(200)와 캐리어박스(400)가 별도로 수화물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러기지박스(200)의 하부면에는 푸쉬 조작 여부에 따라 캐리어박스(400)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쉬기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푸쉬기구(230)는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고 푸쉬 동작시 하트캠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푸쉬 조작에 따른 탄성력이 선택적으로 작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기지하우징(100)에서 러기지박스(200)를 인출시킨 후 캐리어박스(400)를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푸쉬기구(230)가 푸쉬 조작됨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여 캐리어박스(400)가 러기지박스(20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캐리어박스(400)가 러기지박스(200)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사용자는 캐리어박스(400)를 더 편리하게 탈거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수납 장치는 차량의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200)를 분리하여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러기지박스(200)가 분리되더라도 해당 공간이 수납공간(S1)으로 활용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수납 장치는 차량의 러기지룸에서 러기지박스를 분리하여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되더라도 해당 공간이 수납공간으로 활용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러기지하우징 120:가이드레일부
140:탈부착커버 150:회전커버
160:회전격벽 200:러기지박스
220:장착용돌기 230:푸쉬기구
240:파티션 300:가이드기구
320:장착부 340:구동부

Claims (19)

  1. 러기지룸 측면부에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러기지룸측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러기지하우징;
    러기지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러기지박스; 및
    러기지하우징에서 개방면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및 경사각을 가지고 틸팅되게 설치되며, 러기지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하우징은 개방면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개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에 가이드기구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레일부는 러기지하우징의 내측에서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다가 끝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러기지하우징의 내측면에서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되고 러기지박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러기지하우징의 외측면에서 장착부와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개방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러기지박스의 전단면 및 후단면에는 장착용돌기가 형성되고,
    장착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장착용돌기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착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레일부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되게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부를 관통하여 구동부에 결합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레일부는 최상단에 배치된 제1가이드홀, 중단에 배치된 제2가이드홀, 최하단에 배치된 제3가이드홀이 이격되어 나열되고,
    장착부의 가이드부는 제2가이드홀에 안착되고, 연장부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홀과 제3가이드홀에 각각 관통하여 구동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에 톱니가 형성되며,
    가이드부가 안착되는 가이드레일부에는 가이드부의 톱니에 대응되는 톱니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구동부는, 러기지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되며 장착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와, 러기지하우징에 고정되고 이동부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부가 개방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0. 청구항 10에 있어서,
    탄성부는 러기지하우징에서 개방면측에 설치된 권취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동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측면에 장착부가 결합되고 외측면에 권취스프링이 연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하우징에는 러기지박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가이드기구에 장착되고 개방면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탈부착커버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탈부착커버의 상단부에는 가이드기구에 탈착되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러기지하우징의 하부에 탈착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하우징의 하단면에는 개방면측에 회전중심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방면의 일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회전커버가 더 구성되고, 회전커버의 회전중심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커버가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회전커버는 회전중심을 가지는 말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걸림턱이 러기지하우징에 접촉되어 회전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하우징은 개방면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단면 및 후단면에 각기 마련된 회전격벽이 더 구성되고, 각 회전격벽은 전단면과 후단면에서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회전격벽은 러기지하우징의 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전방격벽과 러기지하우징의 후단면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는 후방격벽으로 구성되고,
    전방격벽과 후방격벽은 개방면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전방격벽과 후방격벽은 상호 포개지는 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부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박스의 내부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리어박스;를 더 포함하고,
    러기지박스의 내부공간 하부면에는 푸쉬 조작 여부에 따라 캐리어박스를 상방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쉬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러기지박스의 내측면에는 수직돌기 또는 수평돌기가 형성되고, 수직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수평돌기에 안착되는 파티션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납 장치.
KR1020180130579A 2018-10-30 2018-10-30 차량의 수납 장치 KR10260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9A KR102603037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의 수납 장치
US16/352,193 US11186227B2 (en) 2018-10-30 2019-03-13 Storage device for vehicles
CN201910222304.5A CN111114442A (zh) 2018-10-30 2019-03-22 用于车辆的储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9A KR102603037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의 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973A true KR20200049973A (ko) 2020-05-11
KR102603037B1 KR102603037B1 (ko) 2023-12-04

Family

ID=7032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79A KR102603037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의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6227B2 (ko)
KR (1) KR102603037B1 (ko)
CN (1) CN1111144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350B1 (ko) * 2019-04-10 2024-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KR20200121397A (ko) * 2019-04-15 2020-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KR20220055824A (ko) * 2020-10-27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트레이 장치
US11440479B2 (en) * 2021-02-11 2022-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853A (ko)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차량의 애시트레이 착탈장치
KR1998002398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의 러기지 룸에 설치된 러기지 수납함취출장치
US20110169292A1 (en) * 2008-09-26 2011-07-14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Automobile glove compartment
KR20170042993A (ko) 2015-10-12 2017-04-20 최효진 차량의 스페어타이어룸과 연동되는 다용도 수납박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540A (ja) * 1981-10-12 1983-04-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物入れ構造
DE3419982C2 (de) * 1984-05-29 1986-09-0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ippascher mit herausnehmbar angeordnetem Aschereinsatz,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3259608B2 (ja) * 1995-09-27 2002-0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荷室艤装装置
DE29518173U1 (de) * 1995-11-16 1996-01-11 Itw Ateco Gmbh Vorrichtung zur Dämpfung der Bewegung eines beweglich gelagerten Bauteils, insbesondere einer Klappe in einem Automobil o.dgl.
US6050628A (en) * 1997-06-25 2000-04-18 Ford Motor Company Glove box for a vehicle
US6135529A (en) * 1997-08-19 2000-10-24 Atoma International Inc. Multi-position sliding center console
DE19835364C2 (de) * 1998-08-05 2000-06-08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Einbau in einem Kraftwagen mit einem Ausziehteil
US6073984A (en) * 1998-12-23 2000-06-1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djustable storage compartment
KR100411423B1 (ko) * 2001-07-2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 룸 트레이
FR2876329B1 (fr) * 2004-10-11 2008-10-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aintien d'objets pour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JP5577178B2 (ja) * 2010-07-29 2014-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バッグ
US9409525B2 (en) * 2014-06-30 2016-08-09 Fca Us Llc Storage bin having hidden touch pad
JP6948200B2 (ja) * 2017-09-26 2021-10-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内装の収納構造
US10967802B2 (en) * 2019-03-11 2021-04-06 Volvo Car Corporation Storage compartment of a vehicle
KR102647350B1 (ko) * 2019-04-10 2024-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KR20200121397A (ko) * 2019-04-15 2020-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853A (ko) * 1995-07-26 1997-02-19 김태구 차량의 애시트레이 착탈장치
KR1998002398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의 러기지 룸에 설치된 러기지 수납함취출장치
US20110169292A1 (en) * 2008-09-26 2011-07-14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Automobile glove compartment
KR20170042993A (ko) 2015-10-12 2017-04-20 최효진 차량의 스페어타이어룸과 연동되는 다용도 수납박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0587A1 (en) 2020-04-30
CN111114442A (zh) 2020-05-08
KR102603037B1 (ko) 2023-12-04
US11186227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9973A (ko) 차량의 수납 장치
US6719344B2 (en) Center console of vehicle
JP5279494B2 (ja) 収納ユニット
KR100626175B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KR100505892B1 (ko) 소물 수납함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EP2815853B1 (en) Tool organiser
KR101055007B1 (ko)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KR101293919B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2016097958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KR100666270B1 (ko) 차량용 콘솔박스
JP4461461B2 (ja) 水平回動式トレイ付きキャビネット
JP4329615B2 (ja) 容器ホルダ装置
JP6669086B2 (ja) 車両バックドア及び車両後部構造
JP2006327515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472660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H0450046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857707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JP581602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S6245959Y2 (ko)
US7513554B2 (en) Cup holder
KR200294086Y1 (ko) 공구상자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