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13B1 - 휴지통 - Google Patents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13B1
KR102124213B1 KR1020190029707A KR20190029707A KR102124213B1 KR 102124213 B1 KR102124213 B1 KR 102124213B1 KR 1020190029707 A KR1020190029707 A KR 1020190029707A KR 20190029707 A KR20190029707 A KR 20190029707A KR 102124213 B1 KR102124213 B1 KR 10212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pair
tras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은
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은, 정성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은
Priority to KR102019002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61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noise reduction, e.g. during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덮개의 개방을 용이하게 실행하며, 휴지통의 반복 사용에 따른 덮개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 덮개가 본체에 삽입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와 덮개에 각각 나사 체결된 경첩 부재, 상기 덮개를 개방시키는 개방 부재, 상기 경첩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부재에 의해 개방된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는 상기 본체의 이면 하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부보다 크게 마련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본체 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하여 덮개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덮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지통{Trash box}
본 발명은 심미감을 갖는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덮개의 개방을 용이하게 실행하며, 휴지통의 반복 사용에 따른 덮개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 쓰레기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투입하여 가득 차면 봉투 상단 개구부를 결속시킨 후 쓰레기 수거 업체에서 정기적으로 정해진 날짜에 수거하고 있다.
이러한 종량제 봉투는 구입 후 쓰레기가 가득 차기까지는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를 수시로 투입하기에 봉투를 묶어 둘 수 없고, 바닥에 봉투를 놓고 상부는 결속하지 않은 상태로 접어두는 경우가 많아, 쓰레기 투입시마다 접어진 봉투 상부를 개방시킨 후 쓰레기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부피가 큰 쓰레기 투입 시에는 봉투 개구부를 벌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쓰레기 투입 상의 문제점도 많아 종량제 봉투를 투입하여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 사용 중인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은 종량제 봉투가 전개되었을 시 형상에 부합하는 개략 원통형의 쓰레기통,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 그리고 봉투의 상부가 전개상태에서 접히지 않도록 쓰레기통 상부 외측에서 잡아주는 고정 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내용물이 부패하거나 악취가 심하게 나는 경우에는 손으로 덮개부를 열고 닫기가 어렵기 때문에 발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리도록 덮개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뚜껑이 설치된 통체의 하측으로 발판이 설치되어 뚜껑을 개폐시키도록 함에서, 상기 발판과 연결된 작동대의 상측으로 뚜껑의 결합 홈에 위치하며 뚜껑을 개방시키는 작동봉이 설치된 개폐축, 상기 개폐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안내 돌기의 외측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한 부분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완전히 개방되는 뚜껑, 상기 통체에 형성된 몸체 돌기의 결합 홈에 조립되며 한쪽으로 링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고정 돌기의 한 부분이 스프링 고정 홈에 삽입되는 개방 핀으로 이루어지는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몸체,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뒤쪽에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 하부에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측벽과 상기 뚜껑의 후면에 의해 둘러싸인 홈 형상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여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직선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뚜껑을 위로 밀게 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지지면이 맞닿게 되면서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의 뒤쪽으로 일정범위 이상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쓰레기통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쓰레기통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 축의 양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감합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핀부, 상기 각 힌지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 및 상기 힌지핀부에 장착되고, 양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또는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고, 상기 덮개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가 서서히 닫히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힌지핀부는 상기 힌지 축의 각 단부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구멍과 연통 되도록 상기 힌지 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절 구멍을 통해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충수단은 토션스프링인 쓰레기통의 덮개 개폐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036호(2006.06.0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6608호(2009.02.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1647호(2010.03.31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구조로서, 외관의 심미감이 저하되고 실내에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발판을 이용하여 뚜껑을 간편하게 개방시켜 통체에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고 발판을 놓으면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하였지만, 개폐축 등이 통체와 간격을 두고 외부에 마련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과정에서 개폐 축에 손상이 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하나의 개폐 축에 의해 T자형의 작동봉을 작동시키므로, 작동봉의 작동에 의한 뚜껑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뚜껑이 급격하게 닫히여 뚜껑이 파손될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뚜껑을 개폐하는 승강부가 쓰레기통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하나의 회동부가 시고 운동하므로 반복 사용에 의해 회동부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댐퍼와 쿠션부에 의해 뚜껑과 테두리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성을 마련하였지만, 이와 같은 댐퍼와 쿠션부의 제작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페달을 급격하게 떼게 되면 덮개부가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수단으로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지만, 음식물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반복 사용하는 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지통의 반복 사용에 따른 덮개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휴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개방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휴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부재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키지 않으며, 심미감을 유도할 수 있는 휴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한 휴지통으로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삽입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와 덮개에 각각 나사 체결된 경첩 부재, 상기 덮개를 개방시키는 개방 부재, 상기 경첩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부재에 의해 개방된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는 상기 본체의 이면 하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부보다 크게 마련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마련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덮개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와 한 쌍의 연결부는 일체로 마련되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는 60~70도 까지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상기 본체와 덮개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상부 중앙 부분과 상기 덮개의 내측의 중앙 부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인접하여 마련된 댐퍼와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덮개의 하부 둘레 부분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오일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의 상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 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이면측을 향한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한 쌍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쓰레기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 의하면, 본체 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하여 덮개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덮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 의하면, 본체의 전면의 하부에서 본체의 전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본체와 분리된 누름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누름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덮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 의하면, 본체의 이면 하부의 양측에 이동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본체의 전면에서 볼 때 바퀴 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휴지통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 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폐쇄 부재와 완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체와 덮개의 둘레에 마련된 완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이동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 지지 부재가 본체의 전면 부분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상부 홈에 쓰레기봉투의 양단이 끼워지고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홈에 쓰레기 봉투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바닥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덮개와 본체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휴지통"은 쓰레기통으로 적용 가능하며,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통으로서, 본체와 덮개는 스테인리스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의 본체에서 "전면"은 본체의 개방 부재의 누름부가 마련된 부분을 의미하고, "양 측면"은 개방 부재의 연결부 및 가동부가 마련된 부분을 의미하며, "이면"은 전면에 대향하혀 이동 부재가 마련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덮개 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폐쇄 부재와 완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의 금속재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100)와 상기 상부를 덮는 덮개(200)를 구비한 휴지통으로서, 상기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에 삽입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와 덮개(200)에 각각 나사 체결된 경첩 부재(300), 상기 덮개(200)를 개방시키는 개방 부재(400), 상기 경첩 부재(300)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부재(400)에 의해 개방된 덮개(200)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500), 상기 폐쇄 부재(500)에 의해 상기 덮개(200)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600),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7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첩 부재(300)의 상부(310)는 덮개(200)에, 예를 들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고, 경첩 부재(300)의 하부(320)는 본체(100)의 내부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경첩 부재(300)의 상부(310)와 하부(320)는 삽입 축(3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덮개(200)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경첩 부재(300)가 본체(100)와 덮개(200)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본체(100)와 덮개(200)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스테인리스의 금속제 대신에 고강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개방 부재(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전면(110)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마련된 누름부(410), 상기 누름부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부(420), 상기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덮개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가동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410)는 쓰레기통 또는 휴지통의 대략 중앙 부분에 사용자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체(100)의 전면(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되고, 앞쪽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누름부(410)의 어느 한 부분을 누르는 것에 의해 덮개(20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는 사용자가 누름부(410)를 누르기 위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이, 본체(100)의 전면(110)의 어느 방향에서도 누름부(410)를 누를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 측면(120)에서 상기 누름부(410)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410)와 연동한다. 또 연결부(420)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안내 핀(421)이 본체(110)의 측면(12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누름부(410)를 사용자의 발로 누르는 것에 의해 연결부(420)는 안내 핀(42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가동부(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측면(120)에서 체결 핀(422)에 의해 연결부(420)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결합 핀(431)에 의해 덮개(20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 가동부(430)와 연결부(420)는 120~150도의 경사를 갖도록 체결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410)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70도 까지만 개방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420)와 가동부(4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 측면(120)에 거의 밀착하도록 마련되는 것에 의해, 누름부(410)의 작동 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심미감도 우수하게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는 하나의 회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체(100)의 양 측면(120)에 연결부(420)와 가동부(430)를 마련하므로, 덮개(200)의 빈번한 작동에 의한 연결부(420)와 가동부(4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420)와 가동부(430)의 어느 한쪽에서 파손이 발생하여도 덮개(200)의 개방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폐쇄 부재(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의 상부 중앙 부분과 상기 덮개(200)의 내면(210)의 중앙 부분에서 경첩 부재(300)의 삽입 축(330)에 장착되며,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은 예를 들어 경첩 부재(300)의 상부(310)에 일단이 지지되고, 경첩 부재(300)의 하부(320)에 타단이 지지되며, 그 일단과 타단 사이의 각도는 60~70도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개방 부재(400)에 인가한 힘이 소멸되면, 덮개(200)가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하강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폐쇄 부재(500)의 작동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덮개(200)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더욱 용이하게 실현된다.
상기 완충 부재(600)는 개방 부재(400)에 인가한 힘이 소멸되고 덮개(200) 자체의 하중에 의해 덮개(200)가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하강하여 본체(100)와 덮개(200)의 접촉에 의한 덮개(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지통에 완충 부재(60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내에 장착된 휴지통의 개폐에 따른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6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체와 덮개의 둘레에 마련된 완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완충 부재(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쇄 부재(500)인 코일 스프링에 인접하여 마련된 댐퍼(610)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덮개의 하부 둘레 부분에 마련된 제1 및 제2 탄성부(620, 630)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610)는 본체(100)와 덮개(200)의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오일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개방 부재(400)에 의해 상기 덮개(200)가 개방되었을 때 스프링의 힘에 의해 덮개(200)가 본체(100)의 상부와 맞닿는 면 이상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며, 덮개(200)가 폐쇄 부재(500)에 의해 폐쇄되면 덮개(200)의 자중에 의해 실린더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된다.
또 상기 완충 부재(600)의 제1 탄성부(6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에서 전면(110)과 양 측면(120)에 걸쳐서 고무 패킹이 삽입된 구조로 마련되고, 제2 탄성부(6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의 전면과 양 측면에 걸쳐서 고무 패킹이 삽입된 구조로 마련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완충 부재(600)로서, 제1 및 제2 탄성부(620, 630)를 마련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댐퍼(610)와 제1 탄성부(620)만을 적용하던가 또는 댐퍼(610)와 제2 탄성부(630)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는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700),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120)의 상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 부재(8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900)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이동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 지지 부재를 본체의 전면 부분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상부 홈에 쓰레기봉투의 양단이 끼워지고 지지 부재를 회전시켜 홈에 쓰레기 봉투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는 상기 본체(100)의 이면(130) 하부의 양측에 마련된다. 즉 상기 이동 부재(700)의 바퀴는 본체(100)의 저면(140)과 접촉하지 않으며, 저면(130)과 수평 방향을 향해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을 실내, 예를 들어 사무실 등에 장착하는 경우,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전면(110)에서 볼 때 바퀴 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휴지통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 부재(8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900)와 가동부(430)의 사이에서 본체(1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이동시, 사용자가 본체(100)의 양 측면(120)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 부재(800)를 잡고, 본체(100)를 이면(130) 측으로 잡아 누르는 것에 의해 본체(100)의 이면(130)에 마련된 이동 부재(700)의 바퀴 부분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100)를 눕힌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9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 측면(120)의 상부에서 회전 핀(901)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를 경유하여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지지축(910)과 이 한 쌍의 지지축(910) 사이에 유지되는 지지대(9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9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920)가 본체(100)의 전면(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양 측면(120)의 상부에 형성된 홈(101) 부분에 쓰레기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걸치게 한 후, 지지축(910)을 회전시켜 상기 홈(101)에 지지대(920)를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쓰레기봉투가 본체(100)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의 바닥면의 구조에 대해 도 8 및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바닥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 덮개와 본체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에서는 본체(100) 내부에서 오염수 등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본체(100)의 내부를 물로 청소하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해 저면(140)의 내부에 슬롯 형상의 관통구(141)가 다수 개 마련되며, 또 오염 물질의 배출을 전면(110)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면의 하부에 오목부(142)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보다 크게 마련된 연장부(201)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201)는 상기 덮개(200)의 회전을 제한, 예를 들어 덮개(200)가 본체(100)에서 9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게 한다. 즉 덮개(200)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이면(130) 보다 돌출되게 마련되고, 이 연장부(201)에 의해 덮개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휴지통을 사용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본체(10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로 누름부(410)를 누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410)의 하강에 따라 연결부(420)의 타단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430)가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당겨져 덮개(200)가 개방된다.
다음에 덮개(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대(920)를 손으로 잡고 전면을 향해 지지축(910)을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가 완전 개방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00)의 상부 홈(101)에 쓰레기봉투(10)의 양단을 끼우고, 지지 부재(900)를 회전시켜 홈(101)에 쓰레기봉투(10)가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을 들어 누름부(410)에 인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폐쇄 부재(500)인 코일 스프링에 의해 덮개(200)가 하강하여 본체(100)의 상부를 덮게 한다. 이 때 덮개(200)는 완충 부재(600)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여 덮개(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소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10)가 본체에 내장된 휴지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부(410)을 누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개방되고, 사용자가 쓰레기를 쓰레기봉투(10)에 투입한 후, 누름부(410)에서 발을 떼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을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본체(100)의 양 측면(120)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 부재(800)를 잡고, 본체(100)를 이면(130) 측으로 잡아 누르는 것에 의해 이동 부재(700)의 바퀴 부분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100)를 눕힌 상태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지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체 내에 완충 부재를 마련하여 덮개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덮개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100 : 본체
200 : 덮개
300 : 경첩 부재
400 : 개방 부재
500 : 폐쇄 부재
600 : 완충 부재

Claims (5)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한 휴지통으로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삽입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와 덮개에 각각 나사 체결된 경첩 부재,
    상기 덮개를 개방시키는 개방 부재,
    상기 경첩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 부재에 의해 개방된 덮개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부재,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한 쌍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는 상기 본체의 이면 하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부보다 크게 마련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의 회전을 제한하되,
    상기 개방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마련된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연결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덮개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와 한 쌍의 연결부는 일체로 마련되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는 60~70도 까지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본체와 덮개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의 상부 중앙 부분과 상기 덮개의 내측의 중앙 부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4. 제1항에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인접하여 마련된 댐퍼와 상기 본체의 상부 또는 덮개의 하부 둘레 부분에 마련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오일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5.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의 상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 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쓰레기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이면측을 향한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한 쌍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의 상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KR1020190029707A 2019-03-15 2019-03-15 휴지통 KR10212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07A KR102124213B1 (ko) 2019-03-15 2019-03-15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07A KR102124213B1 (ko) 2019-03-15 2019-03-15 휴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213B1 true KR102124213B1 (ko) 2020-06-17

Family

ID=7140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707A KR102124213B1 (ko) 2019-03-15 2019-03-15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95B1 (ko) * 2022-01-28 2022-06-16 주식회사 민들레사람들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036Y1 (ko) 2006-03-15 2006-06-16 나호준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JP2008280143A (ja) * 2007-05-10 2008-11-20 Asuberu Kk ゴミ箱
KR100886608B1 (ko) 2008-07-07 2009-03-0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쓰레기통
KR100951647B1 (ko) 2009-05-13 2010-04-07 포세도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덮개 개폐구조
CN108357815A (zh) * 2017-12-28 2018-08-03 宁波蚁行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展会垃圾环保回收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036Y1 (ko) 2006-03-15 2006-06-16 나호준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JP2008280143A (ja) * 2007-05-10 2008-11-20 Asuberu Kk ゴミ箱
KR100886608B1 (ko) 2008-07-07 2009-03-0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쓰레기통
KR100951647B1 (ko) 2009-05-13 2010-04-07 포세도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덮개 개폐구조
CN108357815A (zh) * 2017-12-28 2018-08-03 宁波蚁行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展会垃圾环保回收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95B1 (ko) * 2022-01-28 2022-06-16 주식회사 민들레사람들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6030B (zh) 具有靠近盖子的运动阻尼器的容器
US6024238A (en) Trash receptacle with a lid damper
US9434538B2 (en) Trash can
EP1705137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motion damper for lid
US7874446B2 (en) Trash container with compacting lid
CN107150870A (zh) 具有运动阻尼器的容器组件
EP0203018B1 (fr) Poubelle compacteuse perfectionnée
US20070289967A1 (en) Bin Compactor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EP1652793A1 (en) Waste paper basket
US8584582B2 (en) Lid construction for compressing content of a container
KR101216320B1 (ko)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US10464747B2 (en) Bin
KR102124213B1 (ko) 휴지통
KR101946064B1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US20050224496A1 (en) Trash can receptacle
KR200476988Y1 (ko) 압축 쓰레기통
GB2501392A (en) Expanding lid for waste receptacle
KR100421593B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US20090152273A1 (en) Laterally expandable receptacle
KR101098663B1 (ko) 쓰레기 압축 장치
KR20026259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090114739A (ko) 쓰레기통
KR200488547Y1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