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320B1 -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320B1
KR101216320B1 KR1020100092918A KR20100092918A KR101216320B1 KR 101216320 B1 KR101216320 B1 KR 101216320B1 KR 1020100092918 A KR1020100092918 A KR 1020100092918A KR 20100092918 A KR20100092918 A KR 20100092918A KR 101216320 B1 KR101216320 B1 KR 101216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trash
opening
pedal
compar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397A (ko
Inventor
고연희
Original Assignee
고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연희 filed Critical 고연희
Priority to KR102010009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3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의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 및 상기 격실 부재의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상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Wastebasket comprising an upper compartment and a lower compartmen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격실 부재에 의해 내측 공간이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통의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 및 상기 격실 부재의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상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쓰레기통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쓰레기통(1)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a), 평소에는 폐쇄되며 쓰레기 투입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덮개(3), 개폐를 위한 덮개 힌지(2), 쓰레기통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4) 및 회동축(5)을 포함한다.
쓰레기통의 사용자는 양손으로 쓰레기를 들고 쓰레기통의 덮개를 개방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는 쓰레기통이 청결하게 유지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어서 쓰레기통에 손이 닿는 것에 대하여 불쾌감을 느끼기에, 종래의 일반적인 쓰레기통은 덮개을 개폐하기 위한 페달을 사용한다.
도 1a에서 쓰레기통(1)의 페달(11)이 쓰레기통(1)의 일 측면에 위치하며, 도 1b에서 쓰레기통(1)의 페달(11)은 쓰레기통(1)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쓰레기통(1)은 몸체 부 중앙에 페달을 위한 오목부(1b)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페달(11)을 밟아 압력을 가하면, 지지대(12)의 일측이 하강하고 힌지(13)에 의해 승강봉(14)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덮개 지지편(15)이 상승한다. 덮개 지지편(15)은 일반적으로 덮개(3)의 일측에 걸려 있어서, 덮개 지지편(15)의 상승에 따라 덮개(3)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사용자가 쓰레기통(1)의 투입구(1a)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덮개(3)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덮개(3) 개방시 쓰레기통(1) 내측에 위치하는 쓰레기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미관상 불쾌감을 준다. 또한, 덮개(3) 개방시 쓰레기통(1) 내의 쓰레기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으며, 쓰레기통(1) 내측의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게 되는 쓰레기통(1)의 경우 해충과 악취의 문제는 심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되는 쓰레기통을 제안하고자 한다.
쓰레기통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의 경우, 쓰레기통을 뒤집어 쓰레기통 내의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격실 부재가 자유롭게 개방되나,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를 개방한 경우에는 격실 부재가 폐쇄 유지됨으로써 하부 격실 내의 쓰레기가 덮개를 개방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쓰레기통의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 및 상기 격실 부재의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상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RFID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격실 부재에 가해지는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부재에 부착된 다수의 탄성 부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격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격실에서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는 상부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격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격실에서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는 하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탄성 부재는, 스프링,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및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부재에 부착된 태엽 스프링이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쓰레기통은, 덮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 및 상기 격실 부재의 개폐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 및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는 페달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페달이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달이 제 1단계 압력 미만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페달이 제 1단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부재가 폐쇄되고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페달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봉; 및 상기 승강봉에 부착되는 격실 부재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과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격실 부재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상에 위치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쓰레기통 외측으로 돌출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은 ㄴ자 형상이며, 상기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며, 상기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실 부재는, 일단이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된 프리스트레스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승강봉에 부착되는 덮개 지지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쓰레기통의 몸체와 덮개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덮개 지지편은 상기 덮개 힌지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격실 개폐용 페달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이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이 가해진 압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봉; 및 상기 승강봉에 부착되는 격실 부재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과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격실 부재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상에 위치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은 ㄴ자 형상이며,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며,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은, 덮개; 상기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덮개 개폐 장치; 및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는 덮개 개폐용 페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달이 제 1단계 압력 미만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가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페달이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가 폐쇄되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쓰레기통의 덮개를 개방하여도 시각적으로 쓰레기를 보지 않을 수 있으며 격실 부재에 의해 폐쇄된 하부 격실에만 쓰레기가 유지되기에 악취 및 해충에 의한 고통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쓰레기통에 모인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쓰레기통을 뒤집는 경우에는 격실 부재가 자유롭게 개방되기에 사용의 편리성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쓰레기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시도로서, 설명을 위해 격실 개폐 장치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단면도로서, 설명을 위해 격실 개폐 장치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X"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일 실시예에서 격실 부재(100)와 쓰레기통의 측벽이 연결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다른 실시예에서 격실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에 설명된 실시예의 쓰레기통에서 격실 부재(100)와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200)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하기에서 기술되는 "쓰레기통"은 가정용 또는 공공용, 소형 또는 중대형의 모든 쓰레기통을 포함하는 개념임에 유의한다. 또한, 페달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통의 경우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페달이 쓰레기통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의 설명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주된 특징은, 쓰레기통(1)이 그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1c)과 하부 격실(1d)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100)을 포함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3)를 개방하는데(C), 이 때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격실 부재(100)만을 보게 되며 그 아래의 하부 격실(1d)에 위치한 쓰레기는 보이지 않고 악취 또한 거의 유출되지 않는다. 즉, 격실 부재(100)는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개방된다.
반대로, 쓰레기통(1)을 비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쓰레기통(1)을 뒤집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격실 부재(100)가 자유롭게 개방된다. 즉, 격실 부재(100)는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는 자유롭게 개방된다.
이러한 격실 부재(100)의 개폐 여부는 별도의 격실 개폐 부재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격실 부재(100)는 제 1 격실 부재(100a)와 제 2 격실 부재(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실 부재(100)가 쓰레기통(1)의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격실 부재(100a)와 제 2 격실 부재(100b)가 쓰레기통(1)의 내측 공간에서 맞닿게 된다. 맞닿는 영역을 포함하는 도 3a의 "X" 부분을 도 3b에서 상세히 도시한다.
제 1 격실 부재(100a) 및 제 2 격실 부재(100b)가 맞닿는 부분은 각각 제 1 실링 부재(101a) 및 제 2 실링 부재(10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부재(101)는 격실 부재(100)가 폐쇄된 경우 밀봉을 유지하고 격실 부재(10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격실 부재(100a)와 제 2 격실 부재(100b)가 맞닿는 면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연결부 덮개(102)가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제 2 격실 부재(100b)의 상부에 부착된 연결부 덮개(102)를 도시한다.
연결부 덮개(102)는 제 1 격실 부재(100a)의 상부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제 1 격실 부재(100a)와 제 2 격실 부재(100b)가 맞닿는 부분을 덮는다. 이로서 하부 격실(1c) 내에 존재하는 쓰레기로부터 유출되는 악취를 사용자에게 보다 단단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덮개(102)가 격실 부재(10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하여, 쓰레기통은 상기와 같이 격실 부재(100)를 포함하여 상부 격실 및 하부 격실로 구분됨과 동시에 RFID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RFID가 리딩되어 쓰레기통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만이 쓰레기통을 개폐하여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쓰레기통 내에는 격실 부재(100)가 위치하여 악취 및 해충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
격실 부재(100)가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는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가능한데,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소정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을 강조해둔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 부재(100)가 격실 부재(100) 상에 가해지는 중량에 의해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3)를 개방하고 쓰레기를 투입하면 1차적으로 격실 부재(100)에 쓰레기가 놓이며, 격실 부재(100)에 놓인 쓰레기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보다 큰 경우 격실 부재(100)가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되어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된다.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되면 격실 부재(100)에 가해지는 중량이 없어지기에 격실 부재(100)는 다시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폐쇄된다. 따라서 다음 사용자가 덮개(3)를 개방하였을 경우 격실 부재(100)는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격실 부재(100)에 어떠한 쓰레기도 위치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격실 부재(100)에는 다수의 탄성 부재가 격실 개폐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탄성 부재는 상부 탄성 부재(110)와 하부 탄성 부재(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복원력을 갖는 어떠한 종류의 재질 및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이 때에 스프링 사이에 음식물이 삽입되어 부식되거나 복원력을 방해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스프링을 감싸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부 탄성 부재(110) 및 하부 탄성 부재(120)는 최초 위치에서 균형을 이루어 격실 부재(100)의 폐쇄를 유지하며, 이를 위해 힘이 가해지지 않고 격실 부재(100)의 자중만 가해진 상태에서 격실 부재(100)가 폐쇄되도록 상부 탄성 부재(110) 및 하부 탄성 부재(120)가 프리스트레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실 부재(100)의 개폐를 위해, 격실 부재(100)의 일 말단에 축공(105)이 위치하고, 상기 축공(105)에는 연결축(106)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축(106)은 쓰레기통(1)의 대향하는 측벽에 연결됨으로써, 격실 부재(100)가 쓰레기통(1)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실 부재(100) 상에 기 설정된 중량 이상의 중량이 가해지면, 하부 탄성 부재(120)가 압축되고 상부 탄성 부재(110)가 인장되면서 격실 부재(100)가 개방된다.
쓰레기통(1)을 뒤집는 경우, 격실 부재(100)의 자중이 상부 탄성 부재(110)에만 걸리기 때문에 격실 부재(100)가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 자유롭게 개방되며, 다시 쓰레기통(1)을 정 위치로 뒤집으면 최초 위치로서 격실 부재(100)가 폐쇄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 부재(100)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3)를 개방하고 쓰레기를 투입하면 1차적으로 격실 부재(100)에 쓰레기가 놓인다.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격실 부재(100)가 자동으로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되어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된다. 또한, 격실 부재(100)는 개방된 이후 즉시 다시 폐쇄되기에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다른 사용자가 덮개(3)를 개방하였을 경우 격실 부재(100)는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격실 부재(100)에 어떠한 쓰레기도 위치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와 같이 격실 부재(100)는 연결축(106)에 의해 쓰레기통의 대향하는 측벽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실 부재(100)의 시간에 따른 개폐는 시간에 따라 작동하는 부재들 사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실 부재(100)에 태엽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작동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격실 부재(100)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태엽 스프링이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격실 부재(100)가 개방될 수 있다.
태엽 스프링(미도시)은 일 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어서, 쓰레기통(1)을 뒤집는 경우, 격실 부재(100)의 자중에 의해 격실 부재(100)가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 부재(100)는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200)에 의해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투입하도록 덮개(3)를 개방하기 위해 페달(210)을 밟는다. 페달(210)을 중간 정도 밟으면 덮개(3)가 아직 개방되기 전의 상태에서 격실 부재(100)만이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된다. 이 때에 격실 부재(100) 상에 위치한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210)을 꾹 밟아서 덮개(3)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경우 격실 부재(100)는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격실 부재(100)에 어떠한 쓰레기도 위치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격실 부재(100) 중 어느 하나만이 페달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다른 하나도 같은 원리로 개폐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용자가 밟는 페달(210)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하기의 표 1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 2단계 압력은 사용자가 페달(210)을 끝까지 밟은 경우의 압력이며, 제 1단계 압력은 사용자가 페달(210)을 중간 정도만 밟은 경우의 압력이다.
페달(210)에 인가된 압력 0 - 제 1단계 압력 - 제 2단계 압력
격실 부재(100) 폐쇄 개방 폐쇄 폐쇄 폐쇄
덮개(3) 폐쇄 폐쇄 폐쇄 개방 완전개방
즉, 하나의 페달(200)로 격실 부재(100) 및 덮개(3)의 개폐가 모두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200)로 칭한다. 즉,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덮개 개폐 장치(10)에 격실 개폐 장치가 부가된 형태이다.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200)는, 사용자가 밟을 수 있어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는 페달(210); 페달(210)에 연결되는 지지대(220); 지지대(220)에 연계되어 지지대(220)가 하강한 경우 상승하는 승강봉(240); 지지대(220)와 승강봉(240)을 연결시키는 힌지(230); 격실 부재(100)를 개폐시키는 격실 부재 지지편(250); 및 덮개(3)를 개폐시키는 덮개 지지편(260)을 포함한다. 격실 부재 지지편(250)은 ㄴ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루기 위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격실 부재(100)의 연장부(107)는 쓰레기통(1)의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연장부(107)에는 리세스(108)가 존재하고, 리세스(108) 내에 걸림 부재(109)가 위치한다. 걸림 부재(109)에 격실 부재 지지편(250)이 걸림에 따라, 승강봉(240)이 상승하면 걸림 부재(109)가 상승하게 되어 연장부(107)의 일단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연결축(106)에 의해 피벗 운동하는 격실 부재(100)가 하강하여 개방된다(A). (도 6 참조)
도 5a는 페달(210)에 압력이 인가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페달(210)에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다.
페달(210)에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되면(D1) 승강봉(240)이 상승하고(E1) 이에 따라 격실 부재 지지편(250)이 상승하며, 격실 부재 지지편(250)에 걸려 있는 걸림 부재(100)가 함께 상승함으로써 피벗 운동에 의해 격실 부재(100)가 개방된다.
페달(210)에 제 1단계 압력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어 격실 부재 지지편(250)이 이에 상응하도록 상승되면, 연결축(106)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운동하는 걸림 부재(109)가 ㄴ자 형상의 격실 부재 지지편(250)의 수직 부분을 빠져나가게 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걸림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130)에 의해 격실 부재(100)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폐쇄된다.
이와 동시에 덮개 지지편(260)이 덮개(3)를 상승시켜 개방시키기 시작한다.
도 5c는 페달(210)에 제 2단계 압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다.
페달(210)에 제 1단계 압력보다 큰 제 2단계 압력이 인가되면(D2) 승강봉(240)이 상승하고(E2) 이에 따라 격실 부재 지지편(250) 및 덮개 지지편(260)이 상승한다. 격실 부재 지지편(250)과 걸림 부재(100)의 걸림이 해제되었기에 격실 부재(100)가 개폐되지 않는다. 덮개 지지편(260)은 덮개 힌지(2)에 의해 힌지 결합된 덮개(3)를 개방시킨다(C). 덮개(3)의 개방은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페달(210)에서 발을 떼어 이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면 승강봉(240)이 하강하여 최초의 위치(도 5a)로 복귀한다. 이 때에 격실 부재 지지편(250)이 걸림 부재(109)를 지나 내려오게 되는데, 걸림 부재(109)에 의해 승강봉(240)의 하강이 방해되지 않도록 걸림 부재(109)는 약간의 공차를 두어 리세스(108)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 부재(109)가 다시 원 위치로 회귀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미도시)가 부설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쓰레기통(1)을 뒤집는 경우, 격실 부재(100)의 자중에 의해 격실 부재(100)가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 자유롭게 개방된다. 이러한 운동에 탄성 부재(130)가 방해되지 않도록, 탄성 부재(130)는 프리스트레스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격실 부재(100)는 격실 개폐 장치(미도시)에 의해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쓰레기통(1)에는 격실 개폐 장치(미도시)와 덮개 개폐 장치(10, 도 1a 및 도 1b 참조)가 별도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격실 개폐용 페달(미도시)과 덮개 개폐용 페달(11)의 2개의 페달이 설치된다.
격실 개폐 장치의 작동 원리는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덮개 개폐 장치의 작동 원리는 종래 기술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3)를 개방하기 이전에 격실 개폐용 페달(미도시)을 먼저 밟아서 격실을 개폐시키고 격실 부재(100) 상에 위치한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격실 개폐용 페달(미도시)에서 발을 떼면 격실 부재(100)는 다시 폐쇄된다.
이후, 덮개 개폐용 페달(11)을 밟아 덮개(3)를 개방하면, 격실 부재(100)는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격실 부재(100)에 어떠한 쓰레기도 위치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쓰레기를 투입한 후 다음 사용자를 위해 격실 개폐용 페달(미도시)을 한 번 더 밟음으로써 쓰레기가 하부 격실(1d)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쓰레기통(1)을 뒤집는 경우, 격실 부재(100)의 자중에 의해 격실 부재(100)가 상부 격실(1c) 방향(B)으로 자유롭게 개방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시 먼저 쓰레기통의 격실 부재(100)가 개방되고, 다음 격실 부재(100)가 폐쇄되고, 다음 덮개(3)가 개폐되는 제 3 실시예와 반대로, 먼저 쓰레기통의 덮개(3)가 개방되고, 다음 덮개(3)가 폐쇄되고, 이후 격실 부재(100)가 개폐될 수 있다. 즉, 표 1에서 제 1단계 압력 미만으로 가압된 경우 덮개(3)가 개방되고, 제 1단계 압력으로 가압되면 덮개(3)가 폐쇄되고, 제 1 단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면 격실 부재(10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페달에 의할 수 있으며, 그 작동 원리는 제 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의 쓰레기통의 경우 덮개(3)가 개방되기 직전에 격실 부재(100)가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악취가 다소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덮개(3)가 개방되기 직전에 격실 부재(100)가 개폐되지 않고 덮개(3)의 폐쇄 이후에야 비로서 격실 부재(100)가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악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일단 덮개(3)가 폐쇄된 후에는 반드시 격실 부재(100)가 개폐되기에, 다음 사용자가 쓰레기통 사용을 위해 덮개(3)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격실 부재(100) 상에 별도의 쓰레기가 남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5개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함께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격실 부재(100)는 이에 가해지는 중량에 의해서 하부 격실(1d) 방향(A)으로 개방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페달(210)을 밟음으로써 개방될 수도 있다. 쓰레기통(1)을 뒤집는 경우 격실 부재(100)가 자유롭게 개방됨은 당연하다.
1: 쓰레기통
1a: 투입구
1b: 오목부
1c: 상부 격실
1d: 하부 격실
2: 덮개 힌지
3: 덮개
4: 바퀴
5: 회동축
10: 덮개 개폐 장치
11: 덮개 개폐용 페달
12: 지지대
13: 힌지
14: 승강봉
15: 덮개 지지편
100: 격실 부재
100a: 제 1 격실 부재
100b: 제 2 격실 부재
101: 실링 부재
101a: 제 1 실링 부재
101b: 제 1 실링 부재
102: 연결부 덮개
105: 축공
106: 연결축
107: 연장부
108: 리세스
109: 걸림 부재
110: 상부 탄성 부재
120: 하부 탄성 부재
130: 탄성 부재
200: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
210: 페달
220: 지지대
230: 힌지
240: 승강봉
250: 격실 부재 지지편
260: 덮개 지지편

Claims (12)

  1. 쓰레기통의 내측 공간을 상부 격실과 하부 격실로 구분하는 격실 부재; 및
    상기 격실 부재의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상부 격실 방향으로의 개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개방이 가능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간이며,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부재에 부착된 태엽 스프링이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RFID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격실 부재에 가해지는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부재에 부착된 다수의 탄성 부재이며,
    상기 다수의 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격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격실에서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는 상부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격실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격실에서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는 하부 탄성 부재;
    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덮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 및 상기 격실 부재의 개폐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 및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는 페달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페달이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이 제 1단계 압력 미만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페달이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부재가 폐쇄되고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및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페달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봉; 및
    상기 승강봉에 부착되는 격실 부재 지지편
    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부재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상에 위치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쓰레기통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은 ㄴ자 형상이며,
    상기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며,
    상기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일단이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된 프리스트레스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격실 개폐용 페달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부재는,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이 가압된 경우 상기 격실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개폐 장치는,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이 가해진 압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봉; 및
    상기 승강봉에 부착되는 격실 부재 지지편
    을 포함하며,
    상기 격실 부재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 상에 위치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쓰레기통의 측벽에 연결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은 ㄴ자 형상이며,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에 제 1단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며, 그리고
    상기 격실 개폐용 페달에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격실 부재 지지편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봉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이 제 1단계 압력 미만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가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페달이 상기 제 1단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덮개가 폐쇄되고 상기 격실 부재가 상기 하부 격실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100092918A 2010-09-24 2010-09-24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121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18A KR101216320B1 (ko) 2010-09-24 2010-09-24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18A KR101216320B1 (ko) 2010-09-24 2010-09-24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397A KR20120031397A (ko) 2012-04-03
KR101216320B1 true KR101216320B1 (ko) 2013-01-09

Family

ID=4613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918A KR101216320B1 (ko) 2010-09-24 2010-09-24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18B1 (ko) * 2014-08-13 2015-05-15 김현철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KR101924105B1 (ko) 2017-02-16 2018-11-3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82B1 (ko) * 2015-09-25 2016-12-2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CN109823739A (zh) * 2019-04-08 2019-05-31 成都市云海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开启的垃圾分类箱
CN111186664A (zh) * 2020-03-06 2020-05-22 王林英 一种基于交替封闭的环保性垃圾桶
CN111377167B (zh) * 2020-04-01 2021-10-29 台州市黄岩奇逞模塑有限公司 一种基于转杆推动的小区用环保地下垃圾桶
KR102350227B1 (ko) * 2020-11-06 2022-0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쓰레기통
CN113679488A (zh) * 2021-08-28 2021-11-23 郭全华 一种多功能医疗垃圾处理装置
KR102650891B1 (ko) * 2023-10-10 2024-03-22 정종호 쓰레기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08A (ja) * 1994-05-25 1995-12-05 Kyushu Hitachi Maxell Ltd ごみ箱
KR200353004Y1 (ko) 2004-03-31 2004-06-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분리수거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KR100499689B1 (ko) 2005-03-23 2005-07-04 공병원 공동주택용 자동인식 살균 탈취 쓰레기처리장치
KR20090005008U (ko) * 2007-11-21 2009-05-26 구자황 음식물쓰레기통의 덮개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08A (ja) * 1994-05-25 1995-12-05 Kyushu Hitachi Maxell Ltd ごみ箱
KR200353004Y1 (ko) 2004-03-31 2004-06-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분리수거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KR100499689B1 (ko) 2005-03-23 2005-07-04 공병원 공동주택용 자동인식 살균 탈취 쓰레기처리장치
KR20090005008U (ko) * 2007-11-21 2009-05-26 구자황 음식물쓰레기통의 덮개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18B1 (ko) * 2014-08-13 2015-05-15 김현철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KR101924105B1 (ko) 2017-02-16 2018-11-3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397A (ko)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320B1 (ko)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CN100591592C (zh) 垃圾压制器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US20050224496A1 (en) Trash can receptacle
KR20100115563A (ko) 이중 페달식 쓰레기통
CN201411197Y (zh) 一种垃圾桶
KR100407165B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구조
CN202624889U (zh) 一种无推杆的脚踏垃圾桶
CN201647509U (zh) 便于垃圾集中收集的压缩式垃圾筒
CN204847016U (zh) 自动封口防感染垃圾筒
JP2015113235A (ja) 圧縮機能を持つ椅子
CN206782560U (zh) 一种垃圾桶
KR102124213B1 (ko) 휴지통
KR102368578B1 (ko) 페달식 쓰레기통
CN206735094U (zh) 一种市政环保垃圾箱
CN110668045B (zh) 环保垃圾桶
JP2022506844A (ja) 悪臭漏れ防止用気密手段を備えたゴミ箱
CN107352197B (zh) 一种环保型垃圾处理箱
CN2926117Y (zh) 一种分类垃圾箱
CN102161415B (zh) 垃圾桶开阖装置
CN205526097U (zh) 新型家用垃圾桶
KR20090116177A (ko)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CN201148266Y (zh) 环保医疗垃圾箱
CN221025574U (zh) 一种防异味散发的垃圾收集箱
KR200414123Y1 (ko) 압착식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