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518B1 -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518B1
KR101517518B1 KR1020140145126A KR20140145126A KR101517518B1 KR 101517518 B1 KR101517518 B1 KR 101517518B1 KR 1020140145126 A KR1020140145126 A KR 1020140145126A KR 20140145126 A KR20140145126 A KR 20140145126A KR 101517518 B1 KR101517518 B1 KR 10151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id
food waste
clo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Abstract

본 발명은 상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을 향하는 전벽은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에 음식 쓰레기 수거통이 수용되는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돌출부를 구비하는 투입몸체; 상기 투입몸체와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 사이에 상기 투입몸체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음식 쓰레기 수거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요성 가이드 부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개폐하고,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닫는 경우, 상기 가요성 부재를 하향으로 눌러 고정하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밀폐하는 개폐덮개; 및 상기 개폐덮개를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개폐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FOOD GARBAGE INCLUDING A FREEZ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쓰레기 중 생활쓰레기는 지속적인 계도 및 계몽으로 분리수거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는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처리 방법과 처리 비용의 해결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대한 정책으로 배출자가 배출한 양만큼 수거 및 처리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가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를 이용한 배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가득 찰 때까지 실내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부패되고 오염된 침출수가 생성되어 실내에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거를 위한 배출시 야간에 동물들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훼손되고, 이로 인해 수거업체에 의한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방치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에 몇몇 행정기관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의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용기를 보급하여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를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수거업체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량을 부풀려 시,군,구청의 해당 관리기관에 보고할 때, 해당 관리기관에서는 이를 검수 및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수거업체로부터 계근, 보고되는 양에 따라 수거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지급되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쓰레기의 종량제 실시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줄이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의 종량제 실시를 가능하도록 하면서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의 투입구에는 습기가 많이 존재하는데, 이로 인하여 겨울에는 투입구가 얼게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에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4770호 [명칭: 음식물 쓰레기통]
본 명세서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구비된 투입구의 결빙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는, 상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을 향하는 전벽은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에 음식 쓰레기 수거통이 수용되는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돌출부를 구비하는 투입몸체; 상기 투입몸체와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 사이에 상기 투입몸체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음식 쓰레기 수거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요성 가이드 부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개폐하고,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닫는 경우, 상기 가요성 부재를 하향으로 눌러 고정하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밀폐하는 개폐덮개; 및 상기 개폐덮개를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개폐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후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공되는 동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한 이후, 상기 개폐덮개에 제 2 방향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 상판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덮개는 상기 투입몸체의 상부에 상기 투임몸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의 홈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는 실리콘, 우레탄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구비된 투입구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이 투영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의 전방에 사람이 기립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수 구조 및 수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입 몸체(13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가요성 가이드 부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개폐덮개(135)가 상기 투입몸체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있어서 결빙 방지 기능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온도에 따른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온도에 따른 개폐간격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이 투영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의 전방에 사람이 기립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100)는, 내부 공간에 쓰레기 수거통(미도시)이 수용되는 수거함 본체(120)와, 수거함 본체(1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수거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수거함 본체(120)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투입 플레이트(130)와, 조명 기구 등이 장착되는 캐노피(140)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150)와, 수거함 본체(12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그 상부에 중량 측정부(15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수거함 본체(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길게 형성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전방을 향하는 전벽(121)은 직각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경사진 구조로 인해서 장치 사용자(110, 도 4 참조)(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등의 장치 사용 행위를 하는 자)는 장치(100) 앞에서 엉거주춤 서있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에는 개폐문(125)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개폐문(125)을 열고 수거함 본체(120)의 내부에 음식물 수거를 위한 수거통을 인입시킬 수 있고, 또한 내부 공간에 배치된 수거통을 외부로 빼낼 수도 있다. 다만, 아무나 개폐문(125)을 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승인된 자만 열 수 있도록 개폐문에는 락킹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거함 본체(1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stainless steel)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함은 물론 내부 공간에서의 음식물 접촉 또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부식 및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절삭, 절곡을 통한 무용접 방식에 의해 수거함 본체(120)가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0)의 전체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 플레이트(130)는, 전체적으로 수거함 본체(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수거함 본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수거함 본체(120)의 내부에 있는 수거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투입 플레이트(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133)이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수거함 본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32)가 형성되는 투입몸체(131)와, 투입몸체(13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32)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개폐 덮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구(132)에 대한 개폐 덮개(135)의 개방 정도는 0 내지 80도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개폐 덮개(135)의 회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 덮개(135)에 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180, actuator)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액츄에이터(180)가 개폐 덮개(135)에 제공하는 동력의 크기에 따라 개폐 덮개(135)는 개방될 수 있어 장치 사용자(110)는 투입구(132)를 통해 수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고 반면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 후 액츄에이터(180)가 개폐 덮개(135)에 반대 방향의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투입구(132)에 대해 개폐 덮개(135)는 닫힐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개폐 덮개(135)는 최대 80도에 이르기까지 투입구(13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사용자(110)가 투입구(132)에 쓰레기를 버릴 때 이전에 비해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쓰레기 투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외부 환경에 따라 장치(100) 내로 액체와 같은 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입구(1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러버(rubber) 재질로 마련된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투입구(132)에 대해 개폐 덮개(135)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그 내부로 액체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투입구(132)에서 수거통으로 이르는 경로 상에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자(110)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132)로 버리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가이드 부재의 안내를 받아 수거통으로 이탈 없이 옮겨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투입몸체(131)의 전면(133)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진 전면(133)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100)의 여러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투입몸체(131)의 전면(133)은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이 전면(133)에 디스플레이부(170)가 구비되기 때문에 장치 사용자(110)의 시야에 디스플레이부(170)가 정확히 들어올 수 있다. 종래에는 전방을 향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거나 또는 장치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가시성이 좋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몸체(131)의 전면(133)의 경사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70)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입 플레이트(130)는,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구비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캐노피(140, canopy)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플레이트(130)의 투입몸체(131)의 양측부 및 후단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전방측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캐노피(140)는 투입 플레이트(130)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감쌈으로써 외부로부터 개폐 덮개(135)를 부분적으로 보호하며, 아울러 캐노피(140)에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조명 기구가 구비되어 투입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한다.
따라서 장치 사용자(110)가 개폐 덮개(135)를 열고 투입구(132)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밝은 환경을 조성하여 쓰레기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캐노피(140)는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투명의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수거함 본체(120)의 하단부에는 지지 플레이트(160)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중량 측정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60)는 수거함 본체(12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폭 및 너비를 갖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수거함 본체(12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6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상부에 로딩되는 중량 측정부(150)가 지지 플레이트(160) 상부에 안정성 있게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량 측정부(150)의 정밀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중량 측정부(150)는 내구성을 구비하면서도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거통은 중량 측정부(150)의 상부에 로딩되는 구조를 갖는데, 중량 측정부(15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만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중량은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며 따라서 장치 사용자(11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중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결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결재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결재 카드를 결재부에 터치함으로써 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거함 본체(120)의 후벽에는 팬 유닛(190)이 장착된다. 팬 유닛(190)의 작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 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팬 유닛(190)의 인접 부분에 악취 제거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악취 제거부는 수거함 본체(120)의 내부 공간에 주기적으로 악취 제거를 위한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종래에는 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장치 사용자(110)가 쓰레기를 투입구(132)에 투입할 때 엉거주춤 서서 할 수밖에 없어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장치 사용자(110)는 장치 앞에서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은 하방으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벽(121)의 상단부는 전술한 투입 플레이트(130)의 투입몸체(131)의 전면(133)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전벽(121)의 아래 부분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수거함 본체(120)가 지지되는 지지 부분(예를 들면, 지면)에 대한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의 경사 각도(α)는 70 내지 85도, 바람직하게는 80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사용자(110)가 장치 앞에 섰을 때 장치 사용자(110)의 발 앞 부분이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의 경사진 구조에 의해 생기는 내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장치 사용자(110)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132)에 투입할 때 투입구(132)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쓰레기 투입 시 발생 가능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함 본체(120)의 전벽(121)의 하방으로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장치 사용자(110)가 쓰레기를 버릴 때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투입구(132)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쓰레기 투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70)가 장치 사용자(110)의 시야각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부(170)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수 구조 및 수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방수 구조는 투입몸체(131),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 및 개폐덮개(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입 몸체(13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투입몸체(131)는 내부에 투입구(132)가 형성되도록 돌출부(412)를 구비한다. 상기 투입구(132) 및 상기 돌출부(412)는 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가요성 가이드 부재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는 상기 투입 몸체(131)와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440) 사이에 상기 투입몸체(131)의 돌출부(412)에 끼워져 결합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음식 쓰레기 수거통(440)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는 깔대기 형상을 갖고 실리콘, 우레탄 및 고무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질로 가요성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는 경우, 재질 특성에 의하여 음식 쓰레기 수거함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는 본체(422) 및 상기 본체(4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투입몸체(131)의 돌출부(412)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부(424)를 포함한다.
개폐덮개(135)는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440)을 개폐하고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440)을 개폐하는 경우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를 하향으로 눌러 고정하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440)을 밀폐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개폐덮개(135)가 상기 투입몸체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6, 9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덮개(135)는 수평판(432), 고정부(434)를 포함한다. 수평판(432)은 상기 투입몸체(131)의 상부에 상기 투입몸체(13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고정부(434)는 상기 수평판(432)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420)의 홈부(424)를 눌러 고정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434)와 홈부(424)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물청소를 하더라도, 물기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있어서 결빙 방지 기능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빙 방지 기능을 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는 제어부(710), 액츄에이터(720), 개폐덮개(7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720)는 개폐덮개(73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10)는 상기 개폐덮개를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개폐하도록 액츄에이터(7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710)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를 상기 개폐덮개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얼음이 깨지도록 개폐하도록 액츄에이터(7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10)는 온도에 기초하여 개폐덮개의 움직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온도에 따른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도가 낮은 경우, 제어부(710)는 상대적으로 큰 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도 11(a) 참조), 온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710)는 상대적으로 작은 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11(b) 참조).
일반적으로, 개폐덮개(730)와 가요성 가이드 부재 사이에 습기가 많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개폐덮개(730)와 가요성 가이드 부재 사이의 습기가 얼어서 개폐덮개(730)가 잘 열리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710)가 상기 개폐덮개를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개폐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73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개폐덮개(730)와 가요성 가이드 부재 사이에 생긴 얼음이 주기적으로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겨울에도 결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개폐덮개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간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온도에 따른 개폐간격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온도가 낮은 경우, 제어부(710)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개폐덮개가 개폐되는 간격을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개폐덮개가 개폐되는 간격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10)는 개폐덮개에 제공되는 동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 동력의 크기에 의하여 개폐덮개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동력의 크기보다 큰 제 2 동력의 크기가 개폐덮개에 제공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한 이후, 상기 개폐덮개에 제 2 방향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의 결빙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후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구비된 투입구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개폐덮개에 일정한 동력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개폐덮개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개폐덮개에 인가되는 동력이 점차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에 구비된 투입구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120: 수거함 본체
130: 투입 플레이트
140: 캐노피
150: 중량 측정부
160: 지지 플레이트
710: 제어부
720: 액츄에이터
730: 개폐덮개

Claims (10)

  1. 상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을 향하는 전벽은 하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공간에 음식 쓰레기 수거통이 수용되는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돌출부를 구비하는 투입몸체;
    상기 투입몸체와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 사이에 상기 투입몸체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음식 쓰레기 수거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요성 가이드 부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개폐하고,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닫는 경우, 상기 가요성 부재를 하향으로 눌러 고정하여 상기 음식 쓰레기 수거통을 밀폐하는 개폐덮개; 및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를 상기 개폐덮개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얼음이 깨지도록 개폐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상기 개폐덮개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후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공되는 동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덮개에 제 1 방향의 동력을 제공한 이후, 상기 개폐덮개에 제 2 방향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 상판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상기 투입몸체의 상부에 상기 투입몸체 상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의 홈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가이드 부재는 실리콘, 우레탄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KR1020140145126A 2014-08-13 2014-10-24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KR101517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77 2014-08-13
KR20140104877 2014-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518B1 true KR101517518B1 (ko) 2015-05-15

Family

ID=5339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26A KR101517518B1 (ko) 2014-08-13 2014-10-24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172A (zh) * 2018-03-28 2018-07-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医用垃圾回收封装装置
CN109342099A (zh) * 2018-11-16 2019-02-15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垃圾桶测试装置、测试装置组合结构及测试方法
KR20200002159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용 결빙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68B1 (ko) * 2011-12-13 2012-06-18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이미지코드시스템이 구비되는 음식물류 쓰레기처리장치
KR101196133B1 (ko) * 2012-02-02 2012-10-30 이영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216320B1 (ko) * 2010-09-24 2013-01-09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1402162B1 (ko) * 2012-12-27 2014-06-03 주식회사 투해피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20B1 (ko) * 2010-09-24 2013-01-09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1158068B1 (ko) * 2011-12-13 2012-06-18 주식회사 코리아환경스마트 이미지코드시스템이 구비되는 음식물류 쓰레기처리장치
KR101196133B1 (ko) * 2012-02-02 2012-10-30 이영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402162B1 (ko) * 2012-12-27 2014-06-03 주식회사 투해피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172A (zh) * 2018-03-28 2018-07-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医用垃圾回收封装装置
KR20200002159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용 결빙방지장치
KR102069086B1 (ko) * 2018-06-29 2020-01-22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용 결빙방지장치
CN109342099A (zh) * 2018-11-16 2019-02-15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垃圾桶测试装置、测试装置组合结构及测试方法
CN109342099B (zh) * 2018-11-16 2022-01-28 上海拓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垃圾桶测试装置、测试装置组合结构及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644B1 (ko) 로드셀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US10988310B2 (en) Trash receptacle
KR101517518B1 (ko) 결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CA2866335C (en) Waste-disposal device
US8123266B1 (en) Pet feces collection device
KR101871440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2237146B1 (ko) 위생 용기 또는 그에 관련된 개량
US20130098794A1 (en) Refuse Collection Apparatus
ES2638513T3 (es) Armazón de almacenaje para un contenedor de basura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146239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관장치
KR100871136B1 (ko) 클린하우스
US20060169214A1 (en) Animal waste receptacle
ATE522669T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oder ausgrabung von schlitzwänden
KR101173008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US8984847B1 (en) Liner sealing garbage container
NO325244B1 (no) Tredelt urinseparerende torrtoalett
KR20160110015A (ko) 생리대용 휴지통
CN108706248A (zh) 智能垃圾分类机
KR200474633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KR100958698B1 (ko) 쓰레기 압축 보관 장치
KR101966429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210479809U (zh) 一种提高卫生系数的家居垃圾桶
GB2351645A (en) Suction insect trap device
CN210417812U (zh) 一种再生资源回收箱及其投递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