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33Y1 -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33Y1
KR200474633Y1 KR2020130000735U KR20130000735U KR200474633Y1 KR 200474633 Y1 KR200474633 Y1 KR 200474633Y1 KR 2020130000735 U KR2020130000735 U KR 2020130000735U KR 20130000735 U KR20130000735 U KR 20130000735U KR 200474633 Y1 KR200474633 Y1 KR 200474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storage device
receptacle
opening
reinforc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596U (ko
Inventor
김상익
Original Assignee
일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월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3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쓰레기통보관장치와,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로 위치되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통이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에 형성된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제1돌출부가 포함된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테두리의 제1돌출부에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보강천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쓰레기통보관장치의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테두리에 결합된 보강천을 통해 수거통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의 외측으로 튀지 않도록 하며, 수거통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가 튀지 않음으로써, 수거통의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예방하여 위생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A pot not spatter unit of basket for taking away a food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통의 상측으로 구조가 간단한 지지테두리 및 보강천을 형성하여, 상기 수거통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의 외측으로 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지지테두리 및 보강천을 간단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보강천에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의 신호를 원활하게 전송하도록 하며,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을 유입할 수 있는 유통홈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위생적으로 버릴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경우,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에 수거통을 위치시키고,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의 상부를 열고 수거통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로 수거통을 위치시키고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경우, 쓰레기통보관장치과 수거통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그 공간으로 음식물쓰레기가 튀거나 수거통의 용량보다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게 되면, 여분의 음식물쓰레기가 그 공간으로 넘치게 되면서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면서 주변환경이 더러워지며, 바닥에 남겨진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악취 및 여러 종류의 벌레 등이 생기게 되어 악취와 벌레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는 물론, 관리자가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로 떨어진 음식물쓰레기를 일일이 치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은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쓰레기통보관장치와,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로 위치되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통이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에 형성된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돌출부가 포함된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테두리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보강천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쓰레기통보관장치의 개구부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 지지테두리와 상기 지지테두리에 결합된 보강천을 통해 수거통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의 외측으로 튀지 않도록 하며, 수거통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가 튀지 않음으로써, 수거통의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예방하여 위생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테두리에 보강천을 결합시킬 때, 상기 지지테두리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천에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와 홈을 통해 지지테두리와 보강천을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천을 천 등으로 제작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관리자의 신체가 보강천에 닿더라도 관리자에게 해를 가하지 않게 되며, 상기 보강천에 유통홈을 형성하여 상기 유통홈을 통해 쓰레기통보관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악취제거제와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의 신호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제거와 보강천에 형성된 아크릴에 의해 보강천이 말려지지 않게 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튐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와 5는 본 고안인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부(1)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쓰레기통보관장치(2)와,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로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는 수거통(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개구부(1)에는 개구부(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수거통(3)을 쓰레기통보관장치(2)에서 빼내거나 넣을 수 있는 문(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에는 수거통(3)으로 채워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s)와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제가 분사되는 분사부(p)를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는 상기 센서(s)와 분사부(p)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기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센서(s)는 초음파, 적외선, 자외선 등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센서의 작동방법도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의 하측으로 상기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지지테두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개구부(1)의 형상과 동일하게 판재를 절곡한 후, 개구부(1)의 하측면이나 측면에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핀, 볼트, 리벳 등의 방법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테두리(11)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돌출부(11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a)는 볼트, 리벳, 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볼트나 리벳의 머리와 나사부와 같이 직경(d1, d2)이 다른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11b)의 직경(d1)을 작게 형성하고, 제2돌출부(11c)의 직경(d2)을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반대인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의 직경(d1, d2)을 반대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1돌출부(11b)의 직경(d1)이 상대적으로 제2돌출부(11c)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의 직경(d1, d2)가 반대일 경우 상기 지지테두리(11)에 결합되는 방향도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는, 직경(d1, d2)이 작은 부분이 지지테두리(11)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직경(d1, d2)이 큰 부분이 지지테두리(11)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테두리(11)에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를 결합할 때 직경(d1)이 작은 제1돌출부(11b)를 지지테두리(11)에 볼트와 같이 삽입하여 고정한 후, 직경(d2)이 상대적으로 큰 제2돌출부(11c)가 지지테두리(11)에서 일정간격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테두리(11)에 결합부(11d)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테두리(11)의 상측으로 'ㄱ'자 형상의 결합부(11d)를 형성하기 위해, 판재를 절곡하여 지지테두리(11) 및 지지테두리(11)와 일체형으로 결합부(11d)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테두리(11)에 결합부(11d)를 형성할 경우, 지지테두리(11)를 개구부(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결합부(11d)가 개구부(1)의 상측으로 밀착되고 지지테두리(11)는 개구부(1)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그런 후, 상기 결합부(11d)에 볼트, 리벳, 핀과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한 방법이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지지테두리(11)를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고정시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테두리(11)에 결합부(11d)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지지테두리(11)의 단면은 'l'자 형상과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테두리(11)에 결합부(11d)를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테두리(11)의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테두리(11)에 결합부(11d)를 형성하게 되면, 볼트, 핀,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결합부(11d)를 개구부(1)의 상측으로 거치하여,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용이하게 지지테두리(11)를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지지테두리(11)가 형성되면, 상기 지지테두리(11)에 보강천(12)이 결합되어 형성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천(12)이 지지테두리(11)의 둘레를 따라 지지테두리(11)를 감싸면서 커텐처럼 지지테두리(11)의 하측으로 보강천(12)이 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테두리(11)에 보강천(12)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강천(12)에는 상기 지지테두리(11)에 형성된 돌출부(11a)와 대응되는 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1a)에 홈(12a)을 끼움으로써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을 돌출부(11a)와 홈(12a)을 통해 결합할 때,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홈(12a)의 직경(d3)을 제1, 2돌출부(11b, 11c)의 직경(d1, d2)의 사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최초 보강천(12)을 지지테두리(11)에 고정시킬 때, 홈(12a)의 직경(d3)이 제2돌출부(11c)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자중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돌출부(11a)에서 보강천(12)이 분리되지 않고, 관리자만이 직접 돌출부(11a)에서 보강천(1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거통(3)으로 채워지는 음식물쓰레기가 보강천(12)에 부딪치면서 보강천(12)이 지지테두리(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돌출부(11a)에 형성된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는 볼트나 리벳의 나사부분과 머리부분과 같이 각각 직경(d1, d2)이 다르게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홈(12a)을 돌출부(11a)에 결합하게 될 때, 상기 돌출부(11a)와 홈(12a)이 최초에는 억지끼움형태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11a)와 홈(12a)이 결합되고 나면, 상기 직경(d1)이 작은 제1돌출부(11b)의 길이만큼 보강천(12)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천(12)이 자중에 의해 쉽게 돌출부(11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을 결합하게 되면, 외부의 충격 또는 자중에 의해 상기 돌출부(11a)에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직경(d2)이 큰 제2돌출부(11c)에 홈(12a)이 걸리게 되면서 보강천(12)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관리자가 직접 분리시킬 때만 지지테두리(11)에서 보강천(12)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로 수거통(3)이 형성되고,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개구부(1)에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이 결합되면, 상기 보강천(12)의 일부가 수거통(3)의 상측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수거통(3)으로 버려져 채워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s)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분사부(p)에서 발산되는 악취제거제가 보강천(12)에 막혀 수거통(3)으로 유입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천(12)에 센서(s)와 분사부(p)에서 전송 및 분사되는 신호와 악취제거제가 원활하게 수거통(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s)와 분사부(p)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통홈(1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통홈(12b)의 주위로 투명한 아크릴을 부착하여, 상기 아크릴이 일정한 무게를 보강천(12)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천(12)이 쉽게 말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유통흠(12b)의 주위로 아크릴을 형성하였지만, 아크릴 이외에 상기 보강천(12)이 말리지 않을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상기 아크릴은 일정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지는 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천(12)에 형성된 아크릴에 의해 보강천(12)이 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통홈(12b)은 센서(s)와 분사부(p)에서 전송 및 분사되는 신호와 악취제거제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더해. 상기와 같이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로 지지테두리(11) 및 보강천(12)을 형성하게 난 후, 관리자가 수거통(3)에 채워진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수거통(3)을 쓰레기통보관장치(2)에서 빼내거나 위치시킬 때, 보강천(12)에 관리자의 신체가 부딪쳐도 관리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지 않도록 천연직물지나 합성직물지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개구부(1)에 결합되는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은 개구부(1)의 둘레에 따라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문을 통해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로 수거통(3)을 위치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개구부(1)를 따라 지지테두리(11) 및 보강천(12)을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천(12)을 지지테두리(11)에 결합할 때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홈(12a)을 지지테두리(11)의 돌출부(11a)에 결합하는데, 상기 돌출부(11a)에 형성되며 지지테두리(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c)에 먼저 홈(12a)을 결합하면서 제1돌출부(12b)까지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부(12c)의 직경(d2)은 제1돌출부(12b)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2a)의 직경(d3)은 제1, 2돌출부(12b, 12c)의 사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돌출부(12c)에 최초 홈(12a)이 결합될 때 억지끼움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강천(12)이 지지테두리(11)에서 자중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개구부(1)에 지지테두리(11) 및 보강천(12)이 형성되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측으로 수거통(3)이 위치되면, 상기 보강천(12)이 수거통(3)의 상측 일부를 커텐과 같이 덮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측에 형성된 센서(s)에서 신호를 수거통(3)의 상측으로 전송하게 되면서 수거통(3)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나 수거통(3)에 쌓이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s)에서 수거통(3)의 상측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수거통(3)의 상측이 보강천(12)에 의해 막혀 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보강천(12)에는 센서(s)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통홈(12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통홈(12b)으로 센서(s)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원활하게 전송되면서 센서(s)가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s)가 수거통(3)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한 시간마다 또는 항상 측정하게 된다.
그런 후, 다른 사용자들이 개구부(2)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통(3)으로 버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개구부(2)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3)으로 버려지게 될 때,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3)의 상측 일부분을 덮고 있는 보강천(12)에 부딪치면서 보강천(12)이 구겨지거나 말릴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유통홈(12b)의 주위로 아크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크릴에 의해 보강천(12)이 수거통(3)에 부딪치거나 음식물쓰레기가 수거통(3)으로 버려지면서 발생되는 바람, 부딪침 등에 의해 쉽게 말리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수거통(3)의 상부측면을 덮도록 유지함으로써, 수거통(3)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가 쉽게 수거통(3)의 외부로 튀거나 넘치지 않으면서 수거통(3)으로 쌓여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거통(3)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려질 때, 수거통(3)의 양보다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더라도 상기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지지테두리(11) 및 보강천(12)이 수거통(3)의 상부 측면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일정한 양만큼은 보강천(12)에 의해 수거통(3)의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대로 분사부(p)가 작동하게 되면서 수거통(3)으로 악취제거제를 분사하게 되면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유통홈(12b)에 의해 상기 분사부(p)에서 분사되는 악취제거제가 원활하게 수거통(3)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거통(3)에 음식물쓰레기가 가득 차게 되어 더 이상 수거통(3)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지 못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개구부(1)를 개폐시키는 문을 더 이상 열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3)에 음식물쓰레기가 가득 차게 되면, 관리자는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문을 통해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수거통(3)을 문을 통해 빼내어 수거통(3)을 비우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관리자가 쓰레기통보관장치(2)에서 수거통(3)을 빼낼 때, 상기 보강천(12)을 젖히고 수거통(3)을 빼내어야 하는데, 상기 보강천(12)이 천연직물지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있어, 관리자가 쉽게 보강천(12)을 젖히고 빼낼 수 있으며, 관리자의 신체가 보강천(12)에 닿더라도 신체에 해가 없이 간편하게 수거통(3)을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측으로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을 형성함으로써 수거통(3)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상기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에 의해 수거통(3)의 외부로 음식물쓰레기가 넘치거나 튀지 않게 되어, 쓰레기통보관장치(2)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직물지 등으로 형성된 보강천(12)에 의해 관리자의 신체에 해를 입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테두리(11)에 돌출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천(12)에 홈(12a)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11a)와 홈(12a)을 통해 지지테두리(11)와 보강천(12)을 원활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며, 직경(d1, d2)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제1돌출부(11b)와 제2돌출부(11c)에 의해 보강천(12)이 자중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지지테두리(11)에서 분리되지 않고, 관리자가 지지테두리(11)에서만 분리시킬 때에만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유통홈(12b)을 통해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양,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센서(s)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원활하게 수거통(3)으로 전송하여, 수거통(3)으로 쌓이는 음식물쓰레기의 양,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수거통(3)의 넘침을 예방하며, 상기 분사부(p)에서 발산되는 악취제거제를 수거통(3)으로 원활하게 유입시킴으로써, 수거통(3)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천(12)에 형성된 유통홈(12b)의 주위로 아크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크릴에 의해 보강천(12)이 쉽게 말리지 않게 됨으로써, 수거통(3)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넘치거나 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개구부 2 : 쓰레기통보관장치
3 : 수거통 11 : 지지테두리
12 : 보강천
10 :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상부로 개구부(1)가 형성되는 쓰레기통보관장치(2)와,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로 위치되어 개구부(1)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통(3)이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에 형성된 개구부(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돌출부(11a)와 ㄱ자 형상의 결합부(11d)가 포함된 지지테두리(11)와, 상기 지지테두리(11)의 돌출부(11a)에 결합되는 홈(12a)과 주위에 아크릴이 부착된 유통홈(12b)이 형성된 천연직물지나 합성직 물지로 이루어진 보강천(12)과, 상기 쓰레기통보관장치(2)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s)와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제가 분사되는 분사부(p)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0735U 2013-01-28 2013-01-28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KR200474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35U KR200474633Y1 (ko) 2013-01-28 2013-01-28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35U KR200474633Y1 (ko) 2013-01-28 2013-01-28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96U KR20140004596U (ko) 2014-08-06
KR200474633Y1 true KR200474633Y1 (ko) 2014-10-01

Family

ID=5200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35U KR200474633Y1 (ko) 2013-01-28 2013-01-28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79B1 (ko) * 2014-09-17 2015-02-1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540469B1 (ko) * 2014-09-26 2015-07-3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871440B1 (ko) * 2018-01-09 2018-06-26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966429B1 (ko) * 2018-10-12 2019-05-14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475A (ja) * 2006-11-08 2008-05-29 Shin Meiwa Ind Co Ltd ダストシュートシステム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475A (ja) * 2006-11-08 2008-05-29 Shin Meiwa Ind Co Ltd ダストシュートシステム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96U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633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튐방지유닛
US8123266B1 (en) Pet feces collection device
WO2015061452A1 (en) Waste collector
KR101314534B1 (ko) 음식물 쓰레기 집합 처리장치
CN105691989A (zh) 清洁型垃圾桶
US8109409B1 (en) Garbage can deodorizer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US20100239191A1 (en) Trash bag with drawstring and air vents
KR101255988B1 (ko)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CN206645364U (zh) 一种分离式垃圾收集装置
CN210943249U (zh) 一种垃圾容器
KR200425905Y1 (ko) 편리한 쓰레기통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KR19990068366A (ko) 다기능쓰레기통
US20160176631A1 (en) Mountable receptacle for the temporary placement of lightweight trash or debris
KR102603808B1 (ko) 쓰레기처리에 효과적인 도로변용 그레이팅
CN205970986U (zh) 一种列车用便捷型垃圾箱
CN212164533U (zh) 一种猫砂盆
KR102214132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 장치
CN212173363U (zh) 一种除异味家庭生活的垃圾桶
JP3155220U (ja) 生ゴミ保持容器
CN208217578U (zh) 一种智能型全埋式垃圾回收桶
JP2004075373A (ja) エレベータの敷居装置
CN206336653U (zh) 一种感应式多层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