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682B1 -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 Google Patents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682B1
KR101690682B1 KR1020150136112A KR20150136112A KR101690682B1 KR 101690682 B1 KR101690682 B1 KR 101690682B1 KR 1020150136112 A KR1020150136112 A KR 1020150136112A KR 20150136112 A KR20150136112 A KR 20150136112A KR 101690682 B1 KR101690682 B1 KR 10169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ace
medical waste
container
righ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희
김난현
이수민
남수연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관한 것으로, 의료폐기물이 수거되는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내부공간(11)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21)이 형성된 상부 커버(20)와, 상기 내부공간(11)을 상부공간(13)과 하부공간(15)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개폐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양단이 축 회전되면서 열려 상기 상부공간(13)과 상기 하부공간(15)을 연통시키는 중간 커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을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보관시 전체 용량의 70%를 넘지 않도록 유도하고, 악취 발생이 방지되며 유해성분 노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의료인력 및 수거인력의 감염 및 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폐기물 전용용기{CONTAINER FOR COLLECTING MEDICAL WASTES}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과 같은 의료현장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을 보관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폐기물은 봉합침, 주사 등의 날카로운 폐기물을 비롯하여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등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등이 포함되므로 악취가 나고 유해성분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은 최초로 발생한 때부터 종류별로 전용용기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또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는 전체 용량의 70%만을 채워야 한다.
그런데 현재 의료현장에서는 그 용량을 초과하여 꽉 채워 버리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의료폐기물 전용용기(1)는 사각 상자 형상으로 내부가 보이지 않고 상부 투입공(3)가 개방된 형상이다.
그에 따라 악취가 나고 쏟아질 위험이 있으며 유해성분에 노출되어 의료현장 종사자들은 감염 및 자상(칼 따위의 날카로운 것에 찔려서 입는 상처)에 노출되고 있다.
또한, 봉합침은 날카로운 기구만 버리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려야 하므로, 일체형으로 된 봉합침과 봉합사는 봉합침과 봉합사를 분리하기 위해 별도로 준비한 가위 등으로 잘라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폐기물을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보관시 전체 용량의 70%를 넘지 않도록 유도하고, 악취 발생이 방지되며 유해성분 노출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합침과 봉합사의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이 수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 커버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양단이 축 회전되면서 열려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중간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상부공간과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과 대응되는 부분이 불투명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 커버는 중간 부분에서 서로 맞닿게 배치되는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는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서로 맞닿은 부분이 각각 하방으로 잡아 당겨져 열린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의 저면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용기 본체의 내측면을 거쳐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복원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과,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발판의 누르는 힘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를 당기는 힘으로 연결되게 하는 다수 개의 축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공은 내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안내편이 돌출된 폐기물 투입공과, 상기 안내편이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안내편에 부착되어 봉합침과 봉합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칼날부와, 주사기와 바늘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주사바늘 분리공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 및 투입공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내부공간을 중간 커버를 이용하여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중간 커버의 양단이 축 회전되면서 열려 상부공간의 의료폐기물이 하부공간으로 이동되고 밀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악취 발생이 방지되며 넘어짐에 따른 쏟아짐을 방지하며 유해성분 노출이 차단될 수 있으며 최종수거시에도 수거인력이 악취와 유해성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 투입공의 안내편에 칼날부가 부착되어 있어 봉합침과 봉합사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고, 의료폐기물이 용기 본체 전체 용량의 70%를 넘지 않도록 하부공간에 보관되게 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로부터 의료인력 및 수거인력의 감염 및 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부 커버의 형상을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는 병원과 같은 의료현장 예를 들어, 치과의료종사자의 감염 및 자상 등을 줄이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는 용기 본체(10), 상부 커버(20), 중간 커버(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사각 상자,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의료폐기물이 수거되는 내부공간(11)이 형성되며, 내부공간(11)은 중간 커버(30)에 의해 후술할 상부공간(13)과 하부공간(15)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용기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0)는 의료폐기물을 내부공간(11)으로 투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투입공(21)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20)는 용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용기 본체(10)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투입공(21)은 폐기물 투입공(23)과 주사바늘 분리공(29)을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투입공(23)은 상부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안내편(25)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어 수거된 의료폐기물이 튕겨 나가거나 폐기물 투입공(23)에 걸쳐지지 않고 용기 본체(10) 내부로 잘 투입될 수 있다.
안내편(25)에 칼날부(27)가 부착된다. 칼날부(27)는 안내편(25)이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되게 부착된다. 칼날부(27)는 안내편(25) 내측으로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내편(25)과 안내편(25) 사이에 봉합사를 세로로 잡고 밀어주는 것에서 봉합침과 봉합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칼날부(27)는 별도의 가위 등을 준비하지 않아도 용기 본체(10)에 수거하는 과정에서 봉합침과 봉합사의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주사바늘 분리공(29)은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주사바늘 분리공(29)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차츰 폭이 좁아지는 형상 또는 일측은 폭이 넓고 반대되는 타측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주사바늘 분리공(29)에서 폭이 넓은 부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폭이 좁은 부분으로 주사바늘을 이동시켜 주사바늘의 상단부를 걸은 다음 상부로 당기면 주사바늘이 주사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주사바늘 분리공(29)은 주사바늘의 종류 및 규격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은 중간 커버(30)에 의해 상부공간(13)과 하부공간(15)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부공간(13)에 수거된 의료폐기물은 중간 커버(30)의 개방시 하부공간(15)으로 이동하여 보관된다. 용기 본체(10)는 상부공간(13)과 대응되는 부분(m)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의료폐기물 용량 초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본체(10)는 하부공간(15)과 대응되는 부분(n)을 불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최종 수거된 의료폐기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하부공간(15)은 용기 본체(10) 전체 용량(ℓ)의 대략 80%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부공간(13)에는 용기 본체(10) 전체 용량의 90%가 되는 부분에 눈금선을 표시하여 의료폐기물이 상부공간(13)에 채워진 정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부공간(13)에 의료폐기물이 눈금선까지 채워지면 의료종사자가 이를 확인하고 중간 커버(30)를 개방하여 상부공간(13)에 수거된 의료폐기물을 하부공간(15)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커버(30)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어 하부공간(15)에 보관된 의료폐기물의 악취를 방지하고 넘어짐에 따른 쏟아짐을 방지하며 최종수거시에도 수거인력이 악취와 유해성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중간 커버(30)는 개폐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양단이 축 회전되면서 열리고 상부공간(13)과 하부공간(15)을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커버(30)는 중간 부분에서 서로 맞닿게 배치되는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로 구성되며,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는 개폐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서로 맞닿은 부분이 각각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양단이 힌지축(31a,33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여 열릴 수 있다.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는 서로 맞닿는 부분을 고무자석(31b,33b) 등으로 구성하여 닫힌 상태에서 정확하게 맞닿게 함으로써 닫힌 상태에서 하부공간(15)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개폐수단(40)은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를 열고 닫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수단(40)은 와이어(41,42), 발판(43), 축회전부(45,46,47,48)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1,42)는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의 저면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용기 본체(10)의 내측면을 거쳐 용기 본체(10)의 일측 하부로 연장된다. 와이어(41,42) 각각의 일단은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의 저면에 구비된 고리에 걸어지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발판(43)은 용기 본체(10)의 일측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41,42)의 타단과 연결된다. 발판(43)은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와이어(41,42)를 잡아당겨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복원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복원부재는 발판(43)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어 발판(43)에 가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9)일 수 있다. 또한, 복원부재는 상부공간(13)과 하부공간(15)의 경계부위에 배치되는 고정판(51,53)과 대응되는 위치의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에 배치되어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의 상면이 고정판(51,53)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자석(55,5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51,53)과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에 배치되는 자석(55,57)은 극이 서로 달라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자력이 생성된다.
축회전부(45,46,47,48)는 와이어(41,42)를 지지하여 발판(43)을 가압하는 힘이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를 당기는 힘으로 연결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축회전부(45,46,47,48)는 다수 개가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발판(43)을 가압하는 힘이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축회전부(45,46,47,48)는 좌측 커버(31)를 하방으로 당기기 위한 와이어(41)를 지지하기 위해 2개가 구비되고, 우측 커버(33)를 하방으로 당기기 위한 와이어(42)를 지지하기 위해 2개가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축회전부(45,46,47,48)는 와이어(41,42)를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4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에 손잡이부(59)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59)는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수거인력이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을 밀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60)가 더 포함된다. 용기 커버(60)는 상부 커버(20)의 상부로 결합되어 내부공간(11) 및 투입공(21)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용기 커버(60)는 용기 본체(10)에 압입식으로 결합되거나 걸림턱과 걸림후크 구조로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 커버(60)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 용기 본체(10)는 용기 커버(60)의 저면에 패킹이 설치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의료폐기물을 수거하고 보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는 현장에서 용기 커버(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20)의 투입공(21)을 통하여 의료폐기물을 수거하게 된다.
의료폐기물 중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분리,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커버(20)에 형성된 주사바늘 분리공(29)의 폭이 넓은 부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고 폭이 좁은 부분으로 주사바늘을 이동시켜 상단부를 걸은 다음 상부로 당기면 주사바늘이 주사기로부터 분리되고 주사바늘은 상부공간(13)으로 감염의 우려없이 수거된다.
또한, 봉합사와 일체형인 봉합침은 폐기물 투입공(23)의 안내편(25) 내측으로 부착된 칼날부(27)에 봉합침이 하부를 향하도록 세로로 잡고 밀어 넣는 것에서 손쉽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폐기물 투입공(23)을 통해 수거된 의료폐기물은 상부공간(13)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25)에 의해 폐기물 투입공(23)에 걸쳐지지 않고 용기 본체(10) 내부로 잘 투입될 수 있고 수거된 의료폐기물이 외부로 튕겨 나가지 않는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상부공간(13)에 의료폐기물이 수거되면, 발판(43)을 밟아 중간 커버(30)를 개방함으로써 상부공간(13)의 의료폐기물이 하부공간(15)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과정은 발판(43)을 밟으면 발판(43)이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좌측 커버(31) 및 우측 커버(33)와 연결된 와이어(41,42)를 잡아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의 서로 맞닿은 부분이 각각 와이어(41,42)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그 양단이 힌지축(31a,33a)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중간 커버(30)가 개방될 수 있다.
중간 커버(30)의 개방에 의해 상부공간(13)의 의료폐기물이 하부공간(15)으로 이동하면 발판(43)을 밟은 상태를 해제하여 중간 커버(30)를 닫음으로써 평상시에는 의료폐기물이 하부공간(15)에 위치하고 중간 커버(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발판(43)을 밟은 상태를 해제하면 발판(43) 저면 일측에 배치된 스프링(49)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43)이 다시 상승되고, 와이어(41,42)가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서 자력에 의해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가 자석(55,57)의 자력에 의해 고정판(51,53)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중간 커버(30)가 닫힐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좌측 커버(31)와 우측 커버(33)의 맞닿는 부분이 고무자석(55,57)으로 구성됨에 따라 정확하게 맞닿아 하부공간(15)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공간(15)에 보관된 의료폐기물의 악취를 방지하고 넘어짐에 따른 쏟아짐을 방지하며 최종수거시에도 수거인력이 악취와 유해성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공간(13)에 수거된 의료폐기물이 눈금선까지 채워진 경우에는 확인이 용이하여 발판(43)을 밟아 상부공간(13)의 의료폐기물이 하부공간(15)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공간(15)에 의료폐기물이 70% 정도 채워지면 발판(43)을 밟아도 발판(43)이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음으로 인해 용기 본체(10)에 70% 정도 의료폐기물이 채워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중간 커버(30)를 용기 본체(10)의 대략 80% 부분에 배치하여 용기 본체(10)에 70% 용량을 초과하면, 발판(43)을 밟아도 발판(43)이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음으로 인해 용기 본체(10)에 70% 정도 의료폐기물이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용기 본체(10)에 의료폐기물이 70% 정도 채워지면 상부 커버(20)의 상부에 용기 커버(60)를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한다.
폐기물 처리업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를 수거하여 처리공장으로 이송하게 되며, 수거 이송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감염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용기 본체 11: 내부공간
13: 상부공간 15: 하부공간
20: 상부 커버 21: 투입공
23: 폐기물 투입공 25: 안내편
27: 칼날부 29: 주사바늘 분리공
30: 중간 커버 31: 좌측 커버
33: 우측 커버 31a,33a: 힌지축
31b,33b: 고무자석 40: 개폐수단
41,42: 와이어 43: 발판
45,46,47,48: 축회전부 49: 스프링
51,53: 고정판 55,57: 자석
59: 손잡이부 60: 용기 커버

Claims (6)

  1. 의료폐기물이 수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내부공간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이 형성된 상부 커버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양단이 축 회전되면서 열려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중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커버는 중간 부분에서 서로 맞닿게 배치되는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는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서로 맞닿은 부분이 각각 하방으로 잡아 당겨져 열리며,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는 서로 맞닿는 부분에 각각 서로 자력으로 밀착되는 고무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의 저면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용기 본체의 내측면을 거쳐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 하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가압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가 열리도록 하고, 가압 해제시 복원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발판과,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여 상기 발판의 누르는 힘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를 당기는 힘으로 연결되게 하는 다수 개의 축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발판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어 발판에 가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의 경계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에 자력으로 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상기 좌측 커버, 상기 우측커버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좌측커버에는 상기 자석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우측커버에는 상기 자석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에 상기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 커버를 자력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상부공간과 대응되는 부분이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과 대응되는 부분이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은
    내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안내편이 돌출된 폐기물 투입공과,
    상기 안내편이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안내편에 부착되어 봉합침과 봉합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칼날부와,
    주사기와 바늘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주사바늘 분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 및 투입공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용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KR1020150136112A 2015-09-25 2015-09-25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KR10169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12A KR101690682B1 (ko) 2015-09-25 2015-09-25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12A KR101690682B1 (ko) 2015-09-25 2015-09-25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682B1 true KR101690682B1 (ko) 2016-12-28

Family

ID=5772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12A KR101690682B1 (ko) 2015-09-25 2015-09-25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142A (zh) * 2018-04-09 2018-08-31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针头分离器
CN109760939A (zh) * 2019-01-15 2019-05-17 江山市艺康化学有限公司 一种五氧化二磷运输保护桶
KR20200042333A (ko) * 2018-10-15 2020-04-23 정문일 음식물 쓰레기통
CN111301889A (zh) * 2020-03-24 2020-06-19 台州椒江行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垃圾自动消毒分类箱
KR200494782Y1 (ko) 2020-09-22 2021-12-28 포세도 주식회사 감염성 의료폐기물 수집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667Y1 (ko) *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KR20120031397A (ko) * 2010-09-24 2012-04-03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20120138330A (ko) * 2011-06-15 2012-12-26 한대현 음식물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667Y1 (ko) *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KR20120031397A (ko) * 2010-09-24 2012-04-03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20120138330A (ko) * 2011-06-15 2012-12-26 한대현 음식물 쓰레기통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142A (zh) * 2018-04-09 2018-08-31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针头分离器
CN108465142B (zh) * 2018-04-09 2024-03-19 宁波新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针头分离器
KR20200042333A (ko) * 2018-10-15 2020-04-23 정문일 음식물 쓰레기통
KR102156806B1 (ko) 2018-10-15 2020-09-16 정문일 음식물 쓰레기통
CN109760939A (zh) * 2019-01-15 2019-05-17 江山市艺康化学有限公司 一种五氧化二磷运输保护桶
CN109760939B (zh) * 2019-01-15 2020-04-03 江山市艺康化学有限公司 一种五氧化二磷运输保护桶
CN111301889A (zh) * 2020-03-24 2020-06-19 台州椒江行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垃圾自动消毒分类箱
CN111301889B (zh) * 2020-03-24 2021-04-20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垃圾自动消毒分类箱
KR200494782Y1 (ko) 2020-09-22 2021-12-28 포세도 주식회사 감염성 의료폐기물 수집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682B1 (ko)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CA2642435C (en) Sterile kit containing silicone gel for stereotaxy
KR102145133B1 (ko) 의료폐기물 수거용 용기
DE102009038131A1 (de) Am Körper eines Benutzers tragbare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Unterdruck für medizinische Anwendungen
KR101902884B1 (ko) 감염성 폐기물의 밀폐용기
CN202605177U (zh) 一体化多功能治疗盘
BRPI0609822A2 (pt) dispositivo de segurança para prevenir ferimentos por picadas de agulhas
US5758775A (en) Protective kit for medical sharp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505769B2 (en) Medical waste receptacle
KR200404777Y1 (ko)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Radjou et al. Tetanus following dog bite
BRPI1100656A2 (pt) embalagem protetora e aplicadora de pràtese de silicone
US7392903B2 (en) Bedside disposal of contaminated sharps
ITPS20100008A1 (it) Dispositivo per inocuizzazione di aghi a uso sanitario
CN212816545U (zh) 一种内分泌科用利器盒
KR200386659Y1 (ko) 감염성 폐기물 전용 용기
CN213489405U (zh) 多功能根管锉测量台
WO2006132604A1 (en) Sharps disposal
RU83061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едицинских
RU1211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хранения и утилиза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изделий и инструментов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CN212038483U (zh) 废弃血液透析穿刺针处理盒
US20140227658A1 (en) Handheld tray for supplying porcelain to a dentist
Reddy et al. Awareness and knowledge practices about the bio medical waste management at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Dhar et al. Biomedical waste management in dental clinics-a review
CN219680795U (zh) 容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