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91B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91B1
KR102650891B1 KR1020230134488A KR20230134488A KR102650891B1 KR 102650891 B1 KR102650891 B1 KR 102650891B1 KR 1020230134488 A KR1020230134488 A KR 1020230134488A KR 20230134488 A KR20230134488 A KR 20230134488A KR 102650891 B1 KR102650891 B1 KR 10265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osing
pair
opening
t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호 filed Critical 정종호
Priority to KR10202301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전방의 출입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와, 후단이 본체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와, 출입구를 통해 수용공간에 장착되거나 외부로 분리되고, 내부의 저장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내측 개폐부와, 본체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부와, 페달부와 상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1동력전달부 및, 페달부와 내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내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 CONTAINER}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중 개폐 구조를 가지므로 상측 덮개를 개방시 쓰레기의 노출과 악취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화장실 그리고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쓰레기통은 대부분 손으로 덮개를 개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쓰레기통은 사용자들이 쓰레기를 버리고자 할 때 손으로는 한 손으로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쓰레기를 버려야 하므로, 오염물이 인체에 접촉될 수 있는 구조였고, 쓰레기를 투입시키기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므로 근골격계 진환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최근에는 발로 페달을 밟아 덮개를 개방시킬 수 있는 페달식 쓰레기통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페달식 쓰레기통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와, 본체의 전방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페달 및, 페달의 동작을 덮개의 개폐 동작으로 전환시키는 동력 전달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페달식 쓰레기통은 하나의 덮개에 의존한 개폐 방식을 가지므로, 페달을 밟아 덮개를 개방시 수용공간에 저장된 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였고, 쓰레기를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수용공간에 저장된 쓰레기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불괘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7375호(2009년 11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페달식 쓰레기통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중 개폐 구조를 가지므로 상측 덮개를 개방시 쓰레기의 노출과 악취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전방의 출입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와, 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장착되거나 외부로 분리되고, 내부의 저장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내측 개폐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와 상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1동력전달부 및, 상기 페달부와 내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내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개폐부는 상기 상측 개폐부가 개방시 폐쇄되고, 상기 상측 개폐부가 폐쇄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개폐부는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상부 회전축의 반경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덮개는 폐쇄 동작시 상기 페달부의 하강에 의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수평하게 커버하고, 개방 동작시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고, 하부에 작동공간을 형성시키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페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측 조작단과, 상기 상부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편심 링크와, 상기 하부 회전축의 반대되는 폭방향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 편심 링크와, 상단이 상기 상부 편심 링크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 링크 및, 상단이 상기 상부 연결 링크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편심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개폐부는 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측 상단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측 덮개 및, 상기 상측 덮개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하부 회전축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측 덮개측 회전축과, 상측 덮개측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페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측 덮개측 조작단과, 상기 상측 덮개측 회전축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상측 덮개측 연결단 및, 길이방향측 하단이 상기 상측 덮개측 연결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출입구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하고, 일측의 수직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중 개폐 구조를 가지므로 상측 개폐부를 개방시 쓰레기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악취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최소화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도어가 개방되고, 용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측 덮개가 개방되고, 내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페달부가 하강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측 덮개가 개방되고, 내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1동력전달부 및 제2동력전달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확인창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실링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도어가 개방되고, 용기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측 덮개가 개방되고, 내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페달부가 하강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상측 덮개가 개방되고, 내측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제1동력전달부 및 제2동력전달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확인창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실링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본체(100)와, 상측 개폐부(200)와, 용기부(300)와, 내측 개폐부(400)와, 페달부(500)와, 제1동력전달부(600) 및, 제2동력전달부(7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의 수용공간(110)이 상부로 개방되고, 전방의 출입구(120)가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수직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출입구(120)는 후술될 용기부(300)가 수용공간(110)과 본체(100)의 전방으로 출입하는 부분으로, 출입구(120)는 도어(130)의 회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후술될 용기부(300)와 출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어(130)는 출입구(120)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하고, 일측의 수직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130)를 폐쇄시키는 경우 도어(130)의 가장자리측 후면이 걸림 위치되도록 출입구(120)의 내주면으로부터 걸림단(121)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30)의 후면과 걸림단(121)의 전면에는 대응되는 극성(+/-)을 갖는 자석이 각각 결합될 수 있고, 도어(130)의 후면과 단턱(121)의 전면에는 대응되는 자석과 전도성 금속이 대응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어(1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측 개폐부(2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11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수용공간(110)의 상방을 커버하고, 후단이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공간(110)의 상방을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개폐부(200)의 후단에는 양측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이 각각 돌출될 수 있고, 힌지축이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 개폐부(200)는 본체(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수용공간(110)의 상방을 커버하고, 후단이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덮개(210) 및, 상측 덮개(2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212)는 결합부재(21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후술 될 승강빔(640)의 상단이 일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연결바(212)의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즉, 후술될 제1동력전달부(600)의 승강빔(640)이 개방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연결바(212)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측 덮개(210)가 상부로 회동되면서 수용공간(111)의 상방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승강빔(640)이 하강하는 경우 상측 덮개(210)가 자중에 의해 폐쇄위치로 회동되어 수용공간(111)의 상방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측 덮개(210)는 본체(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평하게 회동시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회동시 본체(100)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수용공간(1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덮개(210)의 후단은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과 다양한 힌지 구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 덮개(210)의 후단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과 암수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11)가 돌출될 수 있고, 결합부재(211)의 양측으로 힌지축이 각각 돌출되어 본체(100)의 후방을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기부(300)는 쓰레기(1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구(120)를 통해 수용공간(111)에 장착되거나 외부로 분리되고, 수용공간(111)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쓰레기(10)가 수용되도록 내부의 저장공간(310)이 상부로 개방된다.
또한, 용기부(300)는 수용공간(111)에 삽입시 하면이 수용공간(111)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고, 용기부(3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후술될 용기부(300)를 지지하고, 하부에 작동공간(112)을 형성시키는 격판(140) 및, 격판(140)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개폐부(400)는 수용공간(110)의 내부를 상하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켜 상하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300)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공간(310)의 상방을 개폐시킨다.
이와 같은 내측 개폐부(400)는 상측 개폐부(200)가 개방시 폐쇄되고, 상측 개폐부(200)가 폐쇄시 개방된다. 즉 상측 개폐부(200)가 개방되더라도 내측 개폐부(400)가 용기부(300)의 상방을 커버하므로 쓰레기(10)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악취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최소화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개폐부(400)는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회전축(410) 및, 일측이 상부 회전축의 반경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덮개(420)는 도 6과 7에서처럼 폐쇄 동작시 후술될 페달부(500)의 하강에 의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어 저장공간(310)의 상방을 수평하게 커버한다. 이때 상측 덮개(210)는 제1동력전달부(600)의 동작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어 수용공간(110)을 개방시킨다. 반면 내측 덮개(420)는 도 4와 5에서처럼 개방 동작시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어 저장공간(310)의 상방을 개방시킬 수 있다.
페달부(500)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본체(100)의 전면으로 페달부(500)의 전단이 수평하게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페달부(500)는 본체(100)의 전면측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달부(500)의 후단이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양측을 향하는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페달부(500)의 전단을 발로 밟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페달부(500)의 후단이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페달부(500)의 전단을 발로 밟아 하강시킬 수 있다.
제1동력전달부(600)는 페달부와 상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측 개폐부를 개폐시킨다. 여기서 제1동력전달부(600)의 동력 전달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동력전달부(600)는 작동공간(112)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후술 될 하부 회전축(710)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과,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페달부(5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측 덮개측 조작단(620)과,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 및, 길이방향측 하단이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연결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빔(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은 전후로 수평하게 길이를 갖고, 전단이 본체(100)의 전방으로 관통되어 상측 덮개측 조작단(62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측 덮개측 조작단(620)과 함께 양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은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수용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지지대의 전후로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은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단이 수용공간(110)의 후면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은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단이 수용공간(110)의 후면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용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지지대의 전후로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상측 덮개측 조작단(620)은 페달부(500)의 하부에서 일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고, 페달부(500)가 개방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상단이 페달부(500)의 하단과 접촉되면서 하부로 회동된다. 이때 상측 덮개측 조작단(620)의 하단과 연결된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이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은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의 회동과 연동되어 승강빔(640)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승강빔(640)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다.
예를 들어, 페달부(500)가 폐쇄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이 수평하게 회동될 수 있고, 페달부(500)가 개방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이 상부로 회동되어 승강빔(64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빔(640)은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의 회동과 연동되어 상측 덮개(21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빔(640)의 상단은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연결바(212)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다.
여기서, 상측 덮개측 연결단(630)은 수용공간(110)의 후방영역에 위치되고, 승강빔(640)은 격판(140)의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홀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며, 승강빔(640)은 용기부(300)의 후방에 간섭 없이 위치된다.
제2동력전달부(700)는 페달부와 내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내측 개폐부를 개폐시킨다. 여기서 제2동력전달부(700)의 동력 전달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700)는 작동공간(112)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회전축(710)과, 하부 회전축(710)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페달부(500)의 하부에 위치되고,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과, 상부 회전축(410)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편심 링크(730)와, 하부 회전축(710)의 반대되는 폭방향으로부터 연장되고, 가이드홀(150)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 편심 링크(740)와, 상단이 상부 편심 링크(730)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 링크(750) 및, 상단이 가이드홀(150)을 통해 상부 연결 링크(750)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 편심 링크(74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 링크(7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회전축(710)은 상측 덮개측 회전축(610)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하게 이격 위치되고, 하부 회전축(710)의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지지대의 전후로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하부 회전축(710)은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단이 수용공간(110)의 후면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 하부 회전축(710)은 전단이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단이 수용공간(110)의 후면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용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된 지지대의 전후로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은 페달부(500)의 하부에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각도를 형성하고, 페달부(500)가 개방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상단이 페달부(500)의 하단과 접촉되면서 하부로 회동된다. 이때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의 하단과 연결된 하부 회전축(710)이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한 쌍의 상부 편심 링크(730)는 도 4와 5에서처럼 내측 덮개(420)가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어 저장공간(310)의 상방을 개방시키는 경우, 내측 덮개(420)들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반면, 내측 덮개(420)들이 도 6과 7에서처럼 페달부(500)의 하강에 의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어 저장공간(310)의 상방을 수평하게 커버하는 경우, 상부 연결 링크(750)의 하강에 의해 하부로 길이를 갖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편심 링크(740)는 하부 회전축(710)들의 반대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항 경사지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하부 연결 링크(760)의 하단과 전후방향의 수평회전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연결 링크(750)는 상하로 길이를 갖고, 상단이 상부 편심 링크(730)의 하단과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단이 가이드홀(150)을 통해 하부 연결 링크(760)의 상단과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하부 연결 링크(760)는 하부 회전축(710)들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하단이 하부 연결 링크(760)의 상단과 전후방향의 수평회전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부 연결 링크(750)의 하단과 전후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페달부(500)가 개방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의 상단이 페달부(500)의 하단과 접촉되면서 하부로 회동된다. 이때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의 하단과 연결된 하부 회전축(710)이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하부 편심 링크(74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됨과 동시에 하부 연결 링크(760)들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상부 연결 링크(750)를 하강시키고, 상부 연결 링크(750)의 하강에 의해 상부 편심 링크(730)가 하부로 회동되면서 상부 회전축(410)과 내측 덮개(420)를 폐쇄위치로 회동시킨다.
반면, 페달부(500)가 폐쇄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내측 덮개(420)가 자중에 의해 폐쇄위치로 회동되고, 상부 편심 링크(730)의 상승 회동에 의해 상부 연결 링크(750)가 상승함과 동시에 하부 연결 링크(760)가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 편심 링크(740)가 하부 연결 링크(760)의 견인력에 의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동되면서 복귀되고, 하부 회전축(710)의 회동에 의해 내측 덮개측 조작단(720)이 원래의 각도로 복귀됨과 동시에 페달부(500)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도 10에서처럼 내측 덮개(420)들의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설치홈 및, 가장자리가 설치홈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한 쌍의 확인창(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창(421)은 투명한 플라스틱 등이 소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측 덮개(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내측 덮개(420)의 확인창(421)을 통해 저장공간(310)의 쓰레기(10) 존재 유무 및 저장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도 11에서처럼 내측 덮개(420)의 마주하는 일측이 상하방향에 교차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덮개(420) 중 하나의 하면에는 하부 단턱(422)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상면에는 하부 단턱(422)과 대응되게 상하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부 단턱(423)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단턱(422)의 하면 또는 상부 단턱(423)의 상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고무, 실리콘 등)를 이용한 실링부재(424)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덮개(420)들이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되는 경우 하부 단턱(422)과 상부 단턱(423)이 상하로 밀착되고, 실링부재(424)의 상면 또는 하면이 하부 단턱(422)의 하면 또는 상부 단턱(423)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내측 덮개(420)들이 수평하게 폐쇄되는 경우 내측 덮개(420)들의 상하로 밀착되고, 내측 덮개(420)들의 접촉면이 실링부재(424)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내측 덮개(42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악취가 다량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2중 개폐 구조를 가지므로 상측 개폐부(200)가 개방되더라도 내측 개폐부(400)가 용기부(300)의 상방을 커버한다. 따라서 상측 개폐부(200)가 개방되더라도 쓰레기(10)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고, 악취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최소화활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쓰레기 100: 본체
111: 수용공간 112: 작동공간
120: 출입구 121: 걸림단
130: 도어 140: 격판
150: 가이드홀 200: 상측 개폐부
210: 상측 덮개 211: 결합부재
212: 연결바 300: 용기부
310: 저장공간 400: 내측 개폐부
410: 상부 회전축 420: 내측 덮개
421: 확인창 422: 하부 단턱
423: 상부 단턱 424: 실링부재
500: 페달부 600: 제1동력전달부
610: 상측 덮개측 회전축 620: 상측 덮개측 조작단
630: 상측 덮개측 연결단 630: 승강빔
700: 제2동력전달부 710: 하부 회전축
720: 내측 덮개측 조작단 730: 상부 편심 링크
740: 하부 편심 링크 750: 상부 연결 링크
760: 하부 연결 링크

Claims (5)

  1. 내부의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고, 전방의 출입구가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측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상측 개폐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장착되거나 외부로 분리되고, 내부의 저장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내측 개폐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와 상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1동력전달부; 및
    상기 페달부와 내측 개폐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내측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개폐부는 상기 상측 개폐부가 개방시 폐쇄되고, 상기 상측 개폐부가 폐쇄시 개방되되,
    상기 내측 개폐부는,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회전축 및,
    일측이 상기 상부 회전축의 반경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회동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덮개는,
    폐쇄 동작시 상기 페달부의 하강에 의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수평하게 커버하고, 개방 동작시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을 개방시키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고, 하부에 작동공간을 형성시키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경방향이 나란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페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내측 덮개측 조작단과,
    상기 상부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 편심 링크와,
    상기 하부 회전축의 반대되는 폭방향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 편심 링크와,
    상단이 상기 상부 편심 링크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 연결 링크 및,
    상단이 상기 상부 연결 링크의 하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편심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개폐부는,
    후단이 상기 본체의 후방측 상단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한 한 쌍의 상측 덮개 및,
    상기 상측 덮개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서 전후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하부 회전축의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측 덮개측 회전축과,
    상측 덮개측 회전축의 전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페달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측 덮개측 조작단과,
    상기 상측 덮개측 회전축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상측 덮개측 연결단 및,
    길이방향측 하단이 상기 상측 덮개측 연결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출입구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하고, 일측의 수직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20230134488A 2023-10-10 2023-10-10 쓰레기통 KR10265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488A KR102650891B1 (ko) 2023-10-10 2023-10-10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488A KR102650891B1 (ko) 2023-10-10 2023-10-10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91B1 true KR102650891B1 (ko) 2024-03-22

Family

ID=9048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488A KR102650891B1 (ko) 2023-10-10 2023-10-10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2119A1 (en) * 2004-04-08 2008-11-06 Polychronis Efstathiou Waste Container with Foot Operated Lid Control Device
KR20120008136A (ko) * 2010-07-16 2012-01-30 홍승표 쓰레기통의 연동형 덮개장치
KR20120031397A (ko) * 2010-09-24 2012-04-03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2398285B1 (ko) *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2119A1 (en) * 2004-04-08 2008-11-06 Polychronis Efstathiou Waste Container with Foot Operated Lid Control Device
KR20120008136A (ko) * 2010-07-16 2012-01-30 홍승표 쓰레기통의 연동형 덮개장치
KR20120031397A (ko) * 2010-09-24 2012-04-03 고연희 상?하부 격실을 포함하는 쓰레기통
KR102398285B1 (ko) * 2020-12-28 2022-05-17 김채연 뛰어난 냄새 차단성과 사용성을 갖는 쓰레기봉투 교체형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0341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upwardly-openable door
US20060090521A1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and linearly movable door
KR102650891B1 (ko) 쓰레기통
US4968856A (en) Socket cover
KR20060039185A (ko) 세탁기의 도어
JP2018090364A (ja) ごみ箱
US952173A (en) Refuse-receptacle.
US3890653A (en) Incinerator toilet having a vertically movable incinerator chamber lid
KR100577842B1 (ko)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페달 휴지통
EP3878770B1 (en) Wastebasket having airtight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foul odors
KR102017459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306224B1 (ko) 쓰레기통
KR102389658B1 (ko) 손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도어 구조체
KR101271173B1 (ko) 위생 양변기
JP3048218B2 (ja) 蓋付流しキャビネット
JP2024066404A (ja) ごみ箱
JP3223053B2 (ja) 洗濯機
JPS6033916Y2 (ja) 洗濯機の蓋装置
JP2000027270A (ja) 床下収納式トイレ
JP2521672Y2 (ja) 汚物入れの支持構造
JPS6232559Y2 (ko)
KR200291947Y1 (ko) 감속돌기부가 구비된 힌지
JP6013554B1 (ja) サニタリーボックス
JPH0630093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JPH0744244Y2 (ja) 化粧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