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201B1 -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201B1
KR100929201B1 KR1020070087648A KR20070087648A KR100929201B1 KR 100929201 B1 KR100929201 B1 KR 100929201B1 KR 1020070087648 A KR1020070087648 A KR 1020070087648A KR 20070087648 A KR20070087648 A KR 20070087648A KR 100929201 B1 KR100929201 B1 KR 10092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tation
smart
vehicl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352A (ko
Inventor
목재균
윤희택
박영곤
변윤섭
김연수
김영민
김태원
김철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2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Abstract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은, 도로 또는 철로 상을 운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승객을 태우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차하는 곳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각각 마련되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는 정거장서버; 및 정거장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터서버를 구비하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탑승 전 미리 요금을 지불하도록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승객이 소지한 승차권을 인식하는 승차권인식부를 구비하는 게이트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에 마련된 센터서버와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마련된 정거장서버 간의 통신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승차 전 요금을 미리 지불함으로써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이용 시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도로 차량, 철도 차량, 스마트 정거장, 시스템, 제어, 센터서버, 서버, 무인

Description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Operation System of Smart Station for Road or 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승객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승하차가 신속히 진행되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이 각각 체계적으로 운영되되 무인으로 운영될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거장(또는 정류장이라고 지칭함)이라 함은, 버스 및 택시 등과 같은 도로 차량과, 경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장소로서, 승객이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정거장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차량용 정거장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차량용 정거장 특히 버스 정거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 중 대중교통으로 널리 이용되는 도로 차량, 예를 들면 버스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버스 정거장은, 전 지역에 걸쳐 고르게 설치되어 승객들이 원하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최근에 설치되는 버스 정거장은, 해당 정거장을 통과하는 버스가 정지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기존의 버스 정거장과는 달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정거장에는 해당 버스 정거장을 통행하는 버스 및 그 버스들의 노선이 상세히 기재된 게시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나 눈 등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며 쉴 수 있는 좌석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 버스 정거장에 도착하는 도로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주는 ARS 서비스 등이 실행되고 있다. 즉, 승객은 소정의 번호로 직접 전화를 함으로써 해당 정거장으로 진입하는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무작정 도로 차량을 기다리는 불편함을 어느 정도 경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가 실행된다 하더라도, 직접 전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승객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무작정 도로 차량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승객에게 도로 차량에 대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각 정거장의 편의 장치들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전체적인 운영시스템이 요구되는 바이다.
한편, 버스 등의 도로 차량을 탑승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여야 하는데, 요금 지불 방법으로 도로 차량 내에 설치된 수거함에 소정의 현금을 직접 지불하는 방법과 도로 차량 내에 마련된 승차카드인식부에 승차카드를 터치하여 소 정의 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직접 현금을 지불하는 것보다 승차카드를 통해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도로 차량 탑승 시 요금을 더 신속하게 지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출퇴근 시간과 같이 승객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에, 도로 차량 가령 버스는 거의 만원 차량이 되어 운행되는데, 이때 승차카드를 도로 차량의 승차카드인식부에 터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승객이 타는 경우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로 차량에 탑승할 때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도로 차량을 기다리는 정거장에 미리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에 마련된 센터서버와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마련된 정거장서버 간의 통신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승차 전 요금을 미리 지불함으로써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이용 시 불편을 줄일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 또는 철로 상을 운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승객을 태우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차하는 곳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 되는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는 정거장서버; 및 상기 정거장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터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탑승 전 미리 요금을 지불하도록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승객이 소지한 승차권을 인식하는 승차권인식부를 구비하는 게이트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가 설치되는 출입공간이 마련되는 출입 모듈; 및 상기 출입 모듈의 출입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대기공간이 마련된 대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 모듈에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한 승차권을 발매하는 승차권발매기가 설치되며, 상기 승차권발매기는 상기 승차권을 발권할 때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는 상기 승객의 개인 정보를 상기 승차권에 선택적으로 기록하며, 상기 정거장서버 및 상기 센터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는 웹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개인 정보가 기록된 상기 승차권을 상기 게이트에 인식시키는 경우 상기 웹서버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일정한 권한을 갖는 이용자가 상기 승객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출입공간을 촬영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가 설치 되며, 상기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상기 정거장서버 및 상기 센터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대기공간을 촬영하는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 상기 정거장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단말기; 상기 센터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방송장치; 및 상기 정거장서버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상기 정거장서버로 송신된 후 상기 센터서버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정거장서버를 통해 상기 센터서버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키오스크(Kios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단말기는 모니터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PDP, O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방송장치는, 상기 센터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실시간 방송하거나 상기 정거장서버에 의해 미리 코드화된 정보를 방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 및 상기 출입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에는,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사이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스마트 정거장과 상기 센터 사이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인터컴(Intercom)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촬영하는 차량인식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거장서버는 상 기 차량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 모듈의 일측에는 대피공간이 마련된 대피 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대피 모듈은, 대피출구; 및 상기 정거장서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도 조절되어 상기 대기공간에 냉풍 및 온풍을 제공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RFID 인식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외부에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정차 구간으로 조명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은 무인으로 운영되며, 상기 정거장서버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마련된 복수의 전등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전원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에 마련된 센터서버와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마련된 정거장서버 간의 통신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각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승차 전 요금을 미리 지불함으로써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이용 시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로에 설치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것이나, 이하에서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 시스템을 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기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1)은, 센터(2)에 마련되어 복수 개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 : 5a, 5b, 5c, 도 5 참조)을 무인으로 운영하는 센터서버(3)와, 복수 개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각각 마련되어 센터서버(3)와 송수신하며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마련된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정거장서버(6 : 6a, 6b, 6c,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즉, 센터서버(3)는 복수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마련된 정거장서버(6)와 송수신하며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마련된 각 장치들을 적절히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각 구성이 센터서버(3) 또는 정거장서버(6)에 의해 제어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은,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승객들이 대기하는 대기공간(20s)이 마련된 대기 모듈(20)과, 대기공간(20s)으로 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공간(10s)이 마련되며 대기 모듈(20)의 일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출입 모듈(10)과, 대기공간(20s)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피공간(40s)이 마련되며 대기 모듈(20)의 타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대피 모듈(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기 모듈(20), 출입 모듈(10) 및 대피 모듈(40)은 상호간 조립되어 설치될 장소로 운반되거나 조립 전 설치될 장소로 운반된 후 조립이 이루어지며, 조립되는 부분에 각각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상호 조립 시 전원 및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출입 모듈(10)에 대해서 설명하면, 출입 모듈(10)은, 승차권을 발매하 거나 승차카드를 충전하는 승차권발매기(11)와, 승차권 및 승차카드를 인식하여 승객이 출입공간(10s)으로부터 대기공간(20s)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복수의 게이트(12)와, 복수의 게이트(12)가 마련된 출입공간(10s)의 바닥에 설치되어 승객들, 특히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8)와, 출입공간(10s)을 형성하는 내부벽에 결합되어 출입공간(10s)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16, 도 6 참조)와, 센터(2) 또는 다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과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컴(17, Intercom, 도 6 참조)과, 도로 차량에 마련된 RFID 태그(미도시)를 인식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RFID 인식장치(18)와,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외부에서도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비프음 등으로 안내 방송을 하는 외부 스피커(19)와, 정거장서버(6)로부터 센터서버(3)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그 역방향으로의 데이터를 포착하는 차량통신 안테나(13)를 포함한다.
승차권발매기(11)는, 기본적으로 승차권 발매 및 승차카드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나아가 교통약자 예를 들어 노약자, 어린이 등을 인식하여 그에 맞는 승차권을 발매할 뿐만 아니라, 승차권 및 승차카드에 이용 승객의 기본적인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승차권발매기(11)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 내에 설치되는 정거장서버(6)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게이트(12, Gate)는, 승객이 소지한 승차권을 인입시키거나 승차카드를 승차권인식부(14)에 터치함으로써 통과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로 차량 이용을 위한 요 금을 직접 도로 차량을 탑승하여 도로 차량 내에 마련된 수거함에 내거나 또는 승차카드인식부에 의해 결제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 내에 요금을 지불하는 게이트(12)가 마련되어 도로 차량 탑승 시 별도의 요금을 지불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승객이 종래보다 신속히 도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차권이 인입되거나 승차카드가 인식되는 승차권인식부(14)와,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승차권인식부(14)에 인식시키지 않고 게이트(12)를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도어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소지한 사람, 즉 도로 차량 이용 요금을 지불한 사람만이 대기 모듈(20)의 대기공간(20s)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승차권발매기(11)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게이트(12)의 승차권인식부(14)에 인식시킬 경우, 승차권인식부(14)는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송신한다.
정거장서버(6)는 센터서버(3)를 통하여 웹(Web)과 연계되어 승차권인식부(14)에 인식된 승객의 정보를 소정의 웹상 가령 철도공사 홈페이지 또는 운영사 홈페이지 등을 운영하는 웹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일정한 권한을 가진 사람이 가정 등에서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된 사람 가령 어린이와 같은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스컬레이터(8, Escalator)는, 게이트(12)의 통로에 마련된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8)는, 항상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게이트(12)에 작동버튼(9)이 마련되어 작동버튼(9)을 누르게 되면 작동하게 된다. 이는, 교통약자에 한해서 에스컬레이터(8)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교통약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절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16)는, 출입공간(10s)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보내고, 정거장서버(6)는 출입공간(10s)의 촬영 정보를 센터서버(3)에 보냄으로써 센터(2)에서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출입공간(10s)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16)로 인해, 센터(2)의 운영자는 각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출입공간(10s)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은 무인으로도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컴(17, Intercom, 도 6 참조)은, 출입공간(10s)을 형성하는 출입 모듈(10)의 내벽에 장착되어 출입 모듈(10)에 마련된 장치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비상사태가 발생되는 등의 경우 센터(2)에 있는 운영자와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대기 모듈(20) 및 다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설치된 인터컴(17)과 통화할 수 있어 소정의 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RFID 인식장치(18)는, 도로 차량에 내장된 RFID 태그(미도시)를 인식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전송함으로써 정거장서버(6)가 후술할 안내단말기(22)나 방송장치(23)를 통해서 도로 차 량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정거장서버(6)는 RFID 인식장치(18)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도로 차량이 정차 구간에 정차하면 후술할 스크린 도어(26)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 스피커(19)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해당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으로 진입하는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외부 스피커(19)는 정거장서버(6)에 의해 제어되어 미리 코드화된 방송을 방송하거나 또는 센터서버(3)에 의해 제어되어 센터(2)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스피커(19) 및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16)는 서로 연계하여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16)를 통해 획득된 촬영 정보 예를 들면 출입공간(10s)의 승객 상황을 실시간으로 외부 스피커(19)를 통해 음성 방송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출입 모듈(10)의 외측벽에 모니터(미도시)를 장착하여 외부에서도 출입공간(10s)의 승객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대기 모듈(20)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도로 차량에 승차 전 대기하는 대기공간(20s)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좌석(21)과, 대기공간(20s)을 형성하는 대기 모듈(20)의 내벽에 결합되어 대기공간(20s)을 촬영하는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28)와, 운행 중인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안내하는 안내단말기(22)와,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등을 스피커 등을 통해 방송하는 방송장치(23)와, 대기공간(20s)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는 공기덕트(24)와, 기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25, Kiosk)와, 스크린 도어(26, Screen Door) 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감지하는 화재감지부(31, 도 6 참조)와, 도로 차량 진입 시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를 향해 발광되는 복수의 조명등(32)을 구비한다.
먼저,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28)는 대기공간(20s) 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대기공간(20s)에서 대기하는 승객의 동작을 촬영하거나 스크린 도어(26)의 동작 등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으로써, 대기공간(20s)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크린 도어(26)를 통해 승객이 도로 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승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28)에 의해 촬영된 촬영 정보는 정거장서버(6)로 송신된 후, 정거장서버(6)에서 다시 센터서버(3)로 송신되며, 센터서버(3)로 송신된 촬영 정보는 센터(2)에 마련된 모니터 등에 표현되어 센터(2)에 있는 운영자가 대기 모듈(2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송수신 원리에 의해 각각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은 무인으로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듈(20)의 외벽에는, 비 또는 눈 등이 대기공간(20s)으로 들어오는 것을 저지하는 차폐부(27, 도 1 참조)가 마련되며, 또한 해당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정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도로 차량을 촬영하는 차량인식 카메라(29)가 설치된다. 차량인식 카메라(29)는, 도로 차량의 진입을 모니터링(monitoring)할 뿐만 아니라 도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거장서버(6)가 스크린 도어(26)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단, 본 실시 예에서는 대기 모듈(20)의 외벽에 차량인식 카메라(29)가 설치된다고 설명하 였으나, 도로 차량 진입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면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안내단말기(22)는, 정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다음으로 도착할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이나, 또는 다양한 광고 내지는 홍보 내용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센터서버(3)는 복수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각각 마련된 정거장서버(6)로부터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도착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정거장서버(6)로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도착 예정시간 등을 송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안내단말기(22)의 화면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대기공간(20s)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은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단말기(22)는, 승객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대기 모듈(20)의 측벽 상부에 설치되며, LCD, PDP 또는 OLED 등으로 마련된다. 안내단말기(22)는, 전술한 도로 차량에 대한 정보 외에도 다양한 광고 내지는 홍보 자료를 안내할 수도 있다.
방송장치(23)는, 전술한 안내단말기(22)와 마찬가지로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 등을 방송하는 장치로서, 안내단말기(22)가 승객의 시각을 의존하는 것과는 달리 방송장치(23)는 스피커 등을 통해 승객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방송장치(23)를 통해 실시간 방송 또는 미리 코드화된 방송을 한다. 실시간 방송이란, 센터서버(3)에 의해 모든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으로 동일한 내용을 방송하는 전(全) 정거장 방송과, 선택된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 장(5)에만 소정의 정보를 방송하는 선택적 정거장 방송으로 분류된다. 미리 코드화된 방송은, 정거장서버(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송으로 정해진 타이밍에 정해진 내용을 방송하는 것을 가리킨다.
공기덕트(24)는, 대기공간(20s)에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함으로써 대기공간(20s)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대피 모듈(40)에 마련된 공조장치(42, 도 6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정거장서버(6)는 대기공간(20s)의 온도 또는 습도 상태에 따라 공조장치(42)를 작동시켜 대기공간(20s)의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키오스크(25, Kiosk)는, 일반적으로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인단말기를 가리키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소정의 정보를 얻거나 구매, 발권, 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이러한 키오스크(25)가 대기공간(20s)에 설치됨으로써 승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하는 시간동안 키오스크(25)가 지원하는 간단한 업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25)는 정거장서버(6)를 통해 센터서버(3)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스크린 도어(26, Screen Door)는, 대기 모듈(20)의 대기공간(20s)과 도로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와의 이동 통로가 되는 부분으로서, 도로 차량이 해당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정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등의 경우 정거장서버(6)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도로 차량으로 승객들이 탑승하거나 또는 도로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승객들이 대기공간(20s)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크린 도어(26)를 통해 도로 차량으로 이동 시 승객 특히 교통약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스크린 도어(26)가 설치된 대기 모듈(20)의 바닥으로부터 외부 도로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발판부(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휠체어 등을 탄 교통약자가 대기공간(20s)으로부터 도로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인식 카메라(29) 또는 안테나(13)와 정거장서버(6) 간의 정보 송수신에 의해 제어된다. 즉, 차량인식 카메라(29)가 진입하는 도로 차량을 촬영한 후 촬영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보내거나, 또는 안테나(13)가 도로 차량의 RF 신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보내고, 정거장서버(6)는 차량인식 카메라(29) 또는 안테나(13)로부터 송신된 정보 예를 들면 도로 차량의 종류, 속도 등에 기초하여 스크린 도어(26)의 개폐를 결정한다. 또한, 도로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승객이 안전하게 스크린 도어(26) 내로 진입한 것이 차량인식 카메라(29) 또는 전술한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28)에 의해 확인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정거장서버(6)에 보냄으로써 정거장서버(6)의 제어에 의해 스크린 도어(26)를 닫히게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스크린 도어(26)가 정거장서버(6)에 의해 제어된다고 상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센터서버(3)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화재감지부(31, 도 6 참조)는,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화재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물질을 감지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정거정서버(6)로 송신한다. 정거장서버(6)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장치(23) 등을 통해 비상사태를 승객에게 알리고, 또한 센터서버(3)로 정보를 송신하여 센터(2)에 있는 운영자가 비상사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바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조명등(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듈(20)의 외측벽 상단 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를 발광하는 부분으로서, 도로 차량 진입 시 도로 차량의 진입 신호를 받아 조명이 순차적으로 발광된다. 따라서,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외부에 있는 사람들 또한 조명등(32)의 켜진 개수를 확인함으로써 도로 차량의 근접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차량의 진입 신호는, RFID 인식장치(18)를 통해 획득되는 도로 차량의 RFID 태그 정보이거나,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장착된 위치추적장치(미도시)로부터 획득되는 GPS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대피 모듈(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듈(2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즉, 대기 모듈(20)을 중심으로 대기 모듈(20)의 일측에는 출입 모듈(10)이, 타측에는 대피 모듈(4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대피 모듈(40)은, 대기 모듈(20)의 대기공간(20s)과 연통되는 대피공간(40s)과, 대기 모듈(20)에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는 대피출구(41)와, 대기 모듈(20)에 설치된 공기덕트(24)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제공하는 공조장치(42)와,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2)의 센터서버(3)와 통신하며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마련된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정거장서버(6)를 구비한다. 또한, 대피 모듈(40)에는 전술한 RFID 인식장치(18)가 마련되어 도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정거장서버(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서버(3)와 통신하며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각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정거장서버(6)는, 전원 점등을 선택적으로 관리하는 전원 컨트롤러(7)를 구비한다. 전원 컨트롤러(7)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 내에 마련된 각 장치의 온/오프(On/Off)를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령, 시간대에 따라 각 모듈(10, 20, 40)의 각 공간(10s, 20s, 40s)에 설치된 조명 전등(미도시)의 켜진 숫자를 달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 모듈(20)의 외측벽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등(32)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시간대에 따라 스크린 도어(26)와 같은 도어들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절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조명등(32) 또는 스크린 도어(26) 등이 정거장서버(6)에 의해 제어된다고 상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센터(2)의 센터서버(3)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1)의 기능적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승객이 출입 모듈(10)의 출입공간(10s)으로 진입한 후, 승차권발매기(11)로부터 승차권을 발매한다. 이때, 승객은 승차권발매기(11)를 통해 자신의 개인 정보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등을 발매될 승차권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승객은 대기 모듈(20)의 대기공간(20s)으로 진입하기 위해 게이트(12)의 승차권인식부(14)에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를 인식시킨다. 이때, 승차권인식부(14)는 승차권 또는 승차카드로부터 승객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정보 를 정거장서버(6)로 송신한다. 정거장서버(6)는 센터서버(3)를 통하여 웹(Web)과 연계되어 승차권인식부(14)에 인식된 승객의 정보를 소정의 웹상 가령 철도공사 홈페이지 또는 운영사 홈페이지 등을 운영하는 웹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가정 등에서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된 사람 가령 어린이와 같은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2)를 통과할 때 도로 차량 이용에 대한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도로 차량 내에 마련된 수거함 또는 승차권인식부(미도시)에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어 도로 차량 탑승 과정이 신속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게이트(12)를 통과한 승객은 대기공간(20s)의 좌석(21)에 앉아 도로 차량을 기다리게 된다. 이때 안내단말기(22)의 화면 또는 방송장치(23)의 방송을 통해서 승객은 진입하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안내단말기(22) 및 방송장치(23)는 센터(2)의 센터서버(3)와 통신하는 정거장서버(6)에 의해 안내 내용 및 방송 내용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해당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의 정차 구역으로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대기 모듈(20)의 외측벽에 장착된 차량인식 카메라(29)는 도로 차량의 번호 및 차량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정거장서버(6)로 보낸다. 정거장서버(6)는 이러한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안내단말기(22) 또는 방송장치(23)를 통해 차량 진입 여부를 나타내고 도로 차량이 안전하게 정차 구역으로 진입 시 스크린 도어(26)를 개방한다.
이어서, 차량인식 카메라(29)를 통해 도로 차량에 대해 승객의 승하차가 완 료되는지의 여부를 촬영하고 도로 차량으로부터 내린 승객이 모두 대기공간(20s) 내로 안전하게 진입하는 것이 확인되면 정거장서버(6)의 제어에 의해 스크린 도어(26)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센터서버(3) 및 각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마련된 정거장서버(6)에 의해 각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을 운영하는 사람 없이도 각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또한 도로 차량에 탑승하며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게이트(12)를 통과하며 요금을 지불하기 때문에 도로 차량의 탑승이 신속히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모듈화된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5)에 의해 승객이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도로 차량을 기다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이 출입 모듈, 대기 모듈 및 대피 모듈로 구성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게이트가 마련된 어느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기 모듈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2 : 센터 3 : 센터서버
5 : 도로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6 : 정거장서버
7 : 전원 컨트롤러 10 : 출입 모듈
11 : 승차권발매기 12 : 게이트
14 : 승차권인식부 15 : 도어부
20 : 대기 모듈 22 : 안내단말기
23 : 방송장치 25 : 키오스크
26 : 스크린 도어 27 : 차폐부
28 :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 40 : 대피 모듈

Claims (14)

  1. 도로 또는 철로상을 운행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승객을 태우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차하는 곳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는 정거장서버; 및
    상기 정거장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터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탑승 전 미리 요금을 지불하도록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기 위한 승객이 소지한 승차권을 인식하는 승차권인식부를 구비하는 게이트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가 설치되는 출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한 승차권을 발매하는 승차권발매기가 설치되는 출입 모듈;
    상기 출입 모듈의 출입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대기공간이 마련된 대기 모듈; 및
    상기 대기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며 대피공간이 마련된 대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대피 모듈은,
    대피출구; 및
    상기 정거장서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도 조절되어 상기 대기공간에 냉풍 및 온풍을 제공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차권발매기는 상기 승차권을 발권할 때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을 이용하는 상기 승객의 개인 정보를 상기 승차권에 선택적으로 기록하며,
    상기 정거장서버 및 상기 센터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는 웹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개인 정보가 기록된 상기 승차권을 상기 게이트에 인식시키는 경우 상기 웹서버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일정한 권한을 갖는 이용자가 상기 승객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모듈에는 상기 출입공간을 촬영하는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출입공간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상기 정거장서버 및 상기 센터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버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대기공간을 촬영하는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
    상기 정거장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단말기;
    상기 센터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방송장치; 및
    상기 정거장서버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공간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상기 정거장서버로 송신된 후 상기 센터서버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은,
    상기 정거장서버를 통해 상기 센터서버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키오스크(Kios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단말기는 모니터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PDP,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 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치는,
    상기 센터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실시간 방송하거나 상기 정거장서버에 의해 미리 코드화된 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및 상기 출입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에는,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사이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 스마트 정거장과 상기 센터 사이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인터컴(Intercom)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촬영하는 차량인식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거장서버는 상기 차량인식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상기 도로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하는 RFID 인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 상기 출입 모듈 및 상기 대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는, 외부에서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정차 구간으로 조명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은 무인으로 운영되며,
    상기 정거장서버는,
    상기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에 마련된 복수의 전등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전원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KR1020070087648A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KR10092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8A KR100929201B1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8A KR100929201B1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352A KR20090022352A (ko) 2009-03-04
KR100929201B1 true KR100929201B1 (ko) 2009-12-01

Family

ID=4069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648A KR100929201B1 (ko) 2007-08-30 2007-08-30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034A (ko) * 1997-11-20 1999-06-15 김영환 고속도로 운행요금 자동정산장치
KR200199005Y1 (ko) * 2000-05-04 2000-10-02 윤경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R20040050191A (ko) * 2002-12-09 2004-06-16 조승호 선승인 방식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5793A (ko) * 2004-05-03 2005-11-08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자동발권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034A (ko) * 1997-11-20 1999-06-15 김영환 고속도로 운행요금 자동정산장치
KR200199005Y1 (ko) * 2000-05-04 2000-10-02 윤경 지능형 보안체제 시스템
KR20040050191A (ko) * 2002-12-09 2004-06-16 조승호 선승인 방식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5793A (ko) * 2004-05-03 2005-11-08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자동발권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352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664B2 (ja) 複雑な交通システム用の案内および安全システム
US20200250896A1 (en) Vehicle parking and mass transport beacon system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76167B1 (ko) 승하차 안전 게이트 시스템
JP5340123B2 (ja) 車両内監視システム、車両内監視方法、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N112863218A (zh) 自动代客泊车系统以及终端装置
KR100968210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KR200477262Y1 (ko) 정류장 단말기를 이용한 버스 내 탑승자 수 제공 시스템
KR20090023515A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JP7151562B2 (ja) 自律走行車両
KR100929201B1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의 운영시스템
CN110758406B (zh) 一种应用于车站的换乘岛系统
JP3746406B2 (ja) 閉そく装置
US200400345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tickets
JP7153517B2 (ja) 自動運転車駐車システム
CN110758407A (zh) 一种基于换乘岛的车站进站系统
JP7120614B2 (ja) 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方法
KR100968209B1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CN212267449U (zh) 一种应用于车站的换乘岛系统
CN110962868B (zh) 一种基于换乘岛的进站方法
KR100966644B1 (ko) 급행열차의 게이트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JP3852112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H09218967A (ja) 車載用非接触型自動改札機
JP2003044558A (ja) 列車座席状況表示システム
KR102530998B1 (ko) 철도차량 출입문 자동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