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133B1 -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내의 장치 - Google Patents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내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133B1
KR101082133B1 KR1020057014912A KR20057014912A KR101082133B1 KR 101082133 B1 KR101082133 B1 KR 101082133B1 KR 1020057014912 A KR1020057014912 A KR 1020057014912A KR 20057014912 A KR20057014912 A KR 20057014912A KR 101082133 B1 KR101082133 B1 KR 10108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front panel
controller
light sour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337A (ko
Inventor
윌리암 존 테스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5010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텔레비전 장치는 제1 및 제2 키를 가지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동작 로직의 탐지된 유형을 따라 키보드 동작 전압을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한다. 제어기가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이라고 판정하면, 제어기는 키보드 동작 전압을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한다. 그렇기 않고 제어기가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판정하면, 제어기는 키보드 동작 전압을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하지 않는다.
텔레비전, 광원, 프런트 패널 키보드

Description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 내의 장치 {APPARATUS IN A TV RECEI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TYPE OF KEYBOARD ATTACHED THERETO}
본 출원은 2003년 2월 14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448,603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신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텔레비전 수신기에 부착된 키보드의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텔레비전 수신기 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텔레비전(TV) 장치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신호를 수신, 검출, 식별하고, 예컨대, 누르거나 터칭하는 것에 의해서와 같이, 활성화된 키의 기능에 따라 텔레비전을 동작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텔레비전 장치에 전원 공급된 경우, 키보드를 비추기 위한 상부 광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TV가 "온(on)"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전원 LED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광원, 백라이트 또는 전원 LED는 일반적으로, 제어기에 의해 상부 광원, 백라이트 또는 전력 LED로 전달되는 신호, 예컨대 전압에 의해서 켜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장치"라는 용어는 표시 스크린을 갖는 TV 수신기(일반적으로 TV 세트라고 지칭됨), VCR, VCP(video cassette players), 셋톱박스(케이블 박스 및 위성 수신기와 같은) 및 비디오디스크 재생기와 같이 표시 스크린을 갖지 않는 TV 수신기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장치를 조립함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장착될 마지막의 몇 가지 작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원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유형이며, 하나는 음의 동작 로직이며 다른 하나는 양의 동작 로직이다. 음의 동작 로직을 갖는 키보드에서, 제어기는 키보드 동작 전압을 키보드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일시적 접촉 스위치를 사용한다. 반대로, 양의 동작 로직을 갖는 키보드에서는, 키보드가 자신의 키보드 동작 전압을 제공하며 제어기가 키보드로 전압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양의 동작 로직을 구비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키보드 센스 라인 상에 풀 다운 저항을 구비하여, 키보드 상에 접촉 닫힘(contact closure)에 의해 로직 원(logic one)이 제공될 때까지, 키보드 입력상에 로직 제로(logic zero) 조건을 설정한다. 양의 로직을 사용하는 키보드는 터치 버튼을 구비하는데, 이는 버튼이 눌렸다(활성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버튼 주변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사용한다.
이러한 두 유형의 키보드를 처리하기 위하여, 프런트 패널 키보드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 텔레비전 제어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텔레 비전의 가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텔레비전 제어기가 두 유형의 키보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텔레비전 제어기 및 키보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텔레비전 장치는, 제1 및 제2 키를 구비하는 패널 키보드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동작 로직의 검출된 유형에 따라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 키보드 동작 전압을 제공한다.
제어기가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제어기는 키보드 동작 전압을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한다. 그렇지 않고, 제어기가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제어기는 키보드 동작 전압을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하지 않는다.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키는 키보드 센스 라인을 통해서 제어기로 키 활성 신호를 송신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광원을 포함하며 제어기는 전압을 인가하여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서 광원을 켠다.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의해 제1 제어 라인에 인가된 식별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프런트 패널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라인은 광원 제어 라인이다. 식별 전압이 검출된 경우,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결정하고 키보드 동작 전압을 키보드 센스 라인에 인가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양의 동작 로직을 구비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키보드 라인 상에 풀 다운 저항을 가져서, 키보드 상에 접촉 닫힘에 의해 로직 원이 제공될 때까지, 키보드 입력상에 로직 제로 조건을 설정한다. 식별 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이라고 결정하고 키보드 제어 라인을 통하여 키보드 동작 전압을 키보드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양의 로직을 사용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텔레비전 장치의 제어기에 연결된 키보드 센스 라인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키 ― 상기 제어기는 두 개의 키 중 하나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검출함 ― ;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키 드라이브 신호를 전환하는 인버터 ― 상기 제어기는 키 드라이브 신호를 송신해서 활성화 신호가 상기 제1 키 또는 제2 키로부터 오는지 여부를 검출함 -; 및 상기 제2 키로부터의 키 활성화 신호 및 전환된 키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AND 게이트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인 텔레비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에 사용될, 음의 동작 로직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장치에 사용될, 양의 동작 로직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키 활성화 신호를 검출하고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캐닝하여서 어떤 키가 활성화되는지를 결정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음의 동작 로직을 갖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도 1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텔레비전 장치(100)의 부분을 도시한다. 텔레비전 장치(100)는 제어기(110) 및 사용자 입력을 제어기(110)로 송신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기(110)는 사용자 신호에 명시된 기능에 따라 텔레비전 장치(100)를 동작한다.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텔레비전 장치의 부분들만이 도 1에 포함된다. 그 밖의 사항은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된다. 예컨대, 텔레비전 장치(100)는 또한 튜너, 표시 드라이버 및 라우드스피커 드라이버(loudspeaker drive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는 키 어레이를 포함한다. 키 어레이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의 기타 컴포넌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컴포넌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될 것이다. 사용자가 키를 활성화하는 경우,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는 키보드 센스 라인 KS1-KS4를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 신호를 키 활성화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110)에 송신한다. 키보드 센스 라인의 개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에서 지원되는 키의 개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키보드 센스 라인 KS1-KS4은 하나 이상의 키에 의해서 공유되고, 도 2 및 도 3에서 예시적인 키보드를 설명하면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110)는, 어떤 키가 활성화되었는지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통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로 키보드 드라이브 신호를 송신하면서, 키 활성화 신호를 갖는 키보드 센스 라인의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를 스캔하여야 한다.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은 보호 저항(예컨대, 1 ㏀)을 갖는 저항(R13)을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는 사용자가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 상의 키를 더욱 명확히 보도록 광원을 포함하거나, 후면으로부터 키를 조명하기 위한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TV가 켜진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전원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위에 상부 광원의 예를 들자면, 제어기(110)는 광원 제어 라인(150)을 통해서 광원 제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광원을 켤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는 또한 식별 전압과 같은 식별 신호를 광원 제어 라인(150)에 인가하여서, 제어기(110)는 식별 신호로부터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식별 신호는 상이한 제어 라인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 제어 라인을 공유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5) 및 FPGA(field programmable gate logic; 12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로컬 버스(116)를 통해서 FPGA에 기입하고 판독하지만, I2C 버스와 같은 다른 버스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마이크로프로세 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나타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PGA(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5)에 의해 비트 1-4 및 7은 읽기 전용으로, 비트 5 및 6은 기입용으로 사용되는 7개의 비트 1-7을 포함하는 키보드 레지스터(121)를 포함한다. FPGA(120)는, 키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로직 값으로 변환하고, 각 로직 값을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121)의 각 비트 1-4에 저장하기 위하여, 키 센스 라인 KS1-KS4에 각각 연결된 키 입력 버퍼(수신기)(131-134)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신된 키 활성화 신호가 제1 임계치보다 크면, 대응 비트에 로직 원이 저장되며, 수신된 키 활성화 신호가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로직 제로로서 저장된다. 로직 원은 일반적으로 2.0볼트에서 5.0볼트에 이르는 전압으로서 나타나고, 로직 제로는 일반적으로 -1.0볼트에서 +1.0볼트에 이르는 전압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제1 임계치는 2.0볼트로 설정되고 제2 임계치는 1.0볼트로 설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임계치가 0.8볼트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FPGA(120)는 광원 제어 라인(150)과 연결된 트랜시버(14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140)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키보드 레지스터(121)의 비트 7에 연결된 수신기(136)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에서 광원을 켜기 위하여 송신기(137)를 통해 광원 제어 라인(150)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레지스터(138)에 연결된 송신기(137)를 포함한다. 예컨대, 식별 신호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압 신호가 제1 임계치보다 크면, 로직 원이 비트 7에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비트 7이 1의 로직 값을 갖는 것을 검 출한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반대로, 전압 신호가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로직 제로가 비트 7에 저장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이라고 판단한다. 양의 동작 로직을 갖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그 자신의 동작 전압을 제공하여, 어떠한 키도 눌리지 않은 경우에 로직 상태를 0으로 설정하도록 키보드 및 저항성 풀 다운을 동작시키는 반면, 음의 동작 로직을 갖는 키보드는 제어기가 키보드 동작 전압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텔레비전 장치(100)가 켜진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광원 제어 전압을 공급하여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를 켠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레지스터(138)를 어떤 값으로 설정하고 그 값은 출력 버퍼(137)를 로직 원으로 구동하며, 이는 대략 3.3V의 아날로그 전압을 제어 라인(150)에 인가한다. 제어 라인(150) 상의 아날로그 전압은 이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의 광원으로 전해진다. 제어 라인(150)은 실례에 있어서 1㏀의 저항을 갖는 보호 저항(R16)을 포함한다.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과적인 전압이 프런트 패널 키보드 상의 광원을 켜기에 충분하기만 하면 보호 저항(R16)의 저항값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1000 피코패럿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선택적인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되어서, 커패시터와 R16이 RC 회로를 형성해서 FPGA(120)에서 사용되는 클록으로부터 임의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한다. RC 회로는, FCC "개방 필드 방사(open field radiation)" 레벨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FPGA(120)에 부착된 케이블 어셈블리가 이러한 클록 고조파(harmonics)를 방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FPGA(120)는 키보드 레지스터(121)의 비트 6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스위치는 키보드 제어 라인(145)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제어 라인(145) 상의 전압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범용 출력 핀을 포함한다. 음의 로직을 갖는 키보드가 검출되는 경우, 레지스터 비트 6은 로직 제로가 되고, 이것은 예컨대 대략 3.3V의 양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스위치(130)를 설정한다. 이러한 출력은 키보드 제어 라인(145)으로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키보드 센스 라인 KS1-KS4로 풀업 전압을 제공한다. 양의 로직을 갖는 키보드가 검출된 경우에는, 레지스터 비트 6은 로직 원이 되고, 스위치(130)는 키보드 제어 라인(145)으로 0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라인은 R5-R8를 통하여 KS1-KS4 라인에 대하여 접지로의 저항 경로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검출하는 경우에, 즉, 비트 7이 1의 로직 값을 갖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비트 6을 1로 설정하며, 이는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가 키보드 제어 라인(145)으로부터 공급되지 않는 방식으로 스위치(130)를 동작시킨다.
실례에 있어서, 키보드 동작 전압은 3.3볼트의 전압 소스이고, 스위치(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채널 MOS 풀업 트랜지스터(510) 및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를 포함한 표준 CMOS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양의 로직이 검출된 경우, 풀업 레지스터(510)는 일반적으로 닫힌 스위치로서 동작하고, 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본질적으로 저항으로 작용하는 도전성 상태에 계속 있게 된다. 풀업 트랜지스터(510)의 드레인 전극은 키보드 동작 전압을 위한 소스로서 작용하고, 위 드레인 전극은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음의 로직 키보드가 존재하는 경우 P-MOS 디바이스는 "온"되고 N-MOS 디바이스는 오프되기 때문에, 스위치(130)의 출력은 대략 3.3V의 전압 소스이다. 이러한 전압 소스는 이어서 키보드 제어 라인(145)을 구동하고 키보드 풀업 저항 R5-R8을 통해 양의 풀업 전압을 제공한다.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는 비트 6의 상태에 의해 제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개방된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비트 6이 0의 로직 값을 갖는 경우,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는 비도전성 상태이다. 그 반면에, 비트 6이 1의 로직 값을 갖는 경우,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는 도전성 상태에 있으며, 이는 풀업 트랜지스터(510)에 의해 나타나는 저항에 비교하여 매우 낮은 저항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30)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의 드레인 전극은 풀업 트랜지스터(510)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는 접지와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비트 6과 연결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 6의 상태가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의 상태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는 비도전성(오프) 상태이고 동작 전압 소스는 키보드 제어 라인(145)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라고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비트 6을 로직 원으로 설정하는데, 이는 제어 전압을 N-MOS 풀다운 트랜지스터(520)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여,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가 도전 성 상태에 놓이게 한다. 결과적으로,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의 드레인 전극에서의 전압은 낮고, 이는 키보드 제어 라인(145)을 접지하는 것과 같다. 스위치(130)는 물론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다른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보드 제어 라인(145)은 키보드 동작 소스 전압을 저항 R5-R8 각각 통하여 키보드 센스 라인 KS1-KS4에 연결한다. R5-R8 저항값은, 키보드 제어 라인(145)에서의 전류가 스위치(130)를 구현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제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예시적으로, 각각의 R5-R8의 저항은 100㏀이다. R5-R8 각각의 출력은 키보드 센스 라인 KS1-KS4 중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지점에 연결된다. 그 지점에서의 전압은 보호 저항 R1-R4의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서 FPGA(120)에서의 수신기(131-135)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되고, 저항 R9-R12의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170)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R1-R4 각각의 저항은 1㏀이고 R9-R12 각각의 저항은 100㏀이다.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저항값에 있어서 R1-R4은 R9-R12보다 커야한다. 또한, 음의 동작 로직을 갖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서 어떠한 키도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수신기(131-134)는 로직 원을 나타내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음의 동작 로직을 사용하고 도 1에 도시된 제어기(110)와 사용될 수 있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를 도시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는 광원(220), 광원(220)에 대하여 스위치로서 작용하는 트랜지스터(210)를 통하여 광원 제어 라인(150)에 연결된 광 방사 다이오드(LED; D1)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트 랜지스터(210)의 컬렉터가 R15를 통해서 광원(220)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210)의 베이스는 광원 제어 라인(150)에서 저항 R14에 연결된다. R14의 저항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광원 제어 전압을 광원 제어 라인(150)에 인가하는 경우, 트랜지스터(210)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이 트랜지스터(210)를 켤 정도로 충분히 높아서, 광원(220)이 켜도록 선택된다. 예시적으로, R14 및 R15의 저항값은 각각 10㏀ 및 125Ω이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는 예시적으로 스위치(S1-S8)에 의해 표시되는 8개의 키를 포함한다. 키의 개수는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8개의 키는 네 개의 쌍, 즉 S1 및 S5, S2 및 S6, S3 및 S7과 S4 및 S8을 형성한다. 각각의 쌍은 키보드 센스 라인(KS1-KS4) 중 하나를 공유한다. S1 및 S5는 KS1을 공유하고, S2 및 S6는 KS2을 공유하고, S3 및 S7는 KS3을 공유하고, S4 및 S8는 KS4을 공유한다. 키의 터미널 중 하나는 키보드 센스 라인에 연결되는 반면, 다른 터미널은 접지에 연결된다.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이기 때문에, 어떠한 키보드 동작 전압도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에서 이용가능하지 않고 어떠한 식별 전압도 인가되지 않는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로부터 광원 제어 라인(150)으로 어떠한 전압도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기(110)의 FPGA의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121)의 비트 7은 로직 제로로 설정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인지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115)는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의 비트 6을 로직 제로로 설정하고, 이는 P-MOS 트랜지스터(510)가 도전성이고 N-MOS 풀 다운 트랜지스터(520)가 비도전성 상태의 조건에 있도록 스위치(130)를 유지한다. 스위치(130)의 출력은 대략 3.3V의 전압을 키보드 제어 라인(145)으로 제공하고, 키보드 풀업 저항 R5-R8을 통해서 키보드(200)로 키보드 동작 전압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키보드 동작 전압은 키보드 풀 업 저항 R5-R8을 위한 소스 전압이다.
동작 중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주기적으로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121)를 판독한다. 어떠한 키도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즉, 휴지 상태(rest state)인 경우, 수신기(입력 버퍼)(131-135)는,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의 크기, 예시적으로 3.3볼트와 대략 동일하고 비트 1-4를 로직 원으로 설정하는 전압을 수신한다. 키가 활성화된 경우, 즉, 키보드 버튼이 눌린 경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압은 낮다. 이러한 예에서, 수신된 전압은, 그 값이 단지 100Ω인 R9-R12 중 대응하는 하나에 걸쳐서 인가된 전압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수신된 전압은 0볼트에 가깝고, 비트 1-4중에 대응하는 하나를 로직 제로로 설정한다.
예컨대, S1 또는 S5가 활성화되면, KS1이 로우(low)가 되고 비트 1이 로직 제로로 설정된다. 비트 1이 0의 로직 값을 가지는 것으로 탐지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보드(200) 스캔을 시작한다. 스캔 루틴 동안에, KD는 로우가 되어 8개의 어느 버튼에서든지 키가 프레스 되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일단 키가 프레스 되면, 스캔 프로세스는,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하이(high)로 설정하면서 두 버튼(S1 또는 S5) 중 어떤 하나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계속하여 비트 1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KS1의 상태를 센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 세서(115)는 비트 5를 로직 원으로 설정해서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하이로 설정함으로써, 결국 키보드 드라이브 전압을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에 인가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하이로 설정하고, 비트 1이 로직 제로의 값을 가지면, 즉 KS1이 로우(low)로 남아 있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S1)가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트 1이 로직 원으로 변경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S5)가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한다.
비트 1이 로직 제로에서 로직 원으로 변경하는 것이, 키(S5)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표시한다는 이유는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에 인가된 키보드 드라이브 전압은 키(S5)를 닫는 것을 통해 키보드 센스 라인(KS1)에 연결되어서 키보드 센스 라인(KS1)이 하이 상태가 된다. 그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비트 5를 0으로 해서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로우로 하여,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키의 활성화가 스캐닝 프로세스에 의해 확정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가 닫힌 것이 "키 바운스(key bounce)"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반복하기 전에, 예컨대 5 밀리 초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지연된다. 상술한 프로세스로,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8개 키들 중 어느 것으로부터의 활성을 탐지할 수 있다.
도 3은 양의 동작 로직을 사용하고 도 1에 도시된 제어기(110)에 사용될 수 있는 프런트 키보드 어레이(300)를 도시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와 유사하게,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는 광원(320)(도식적으로 LED D')을 포함하는데, 광원 제어 라인(150)에 트랜지스터(310)를 통해 연결된다. 트랜지스터(310)의 컬렉터는 광원(320)에 R15'를 통해 연결되고, 트랜지스터(310)의 베이스는 저항(R14')에 연결되어 광원 제어 라인(150)까지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광원 제어 전압을 광원 제어 라인(150)에 적용시에, 트랜지스터(310)의 베이스의 전압이 트랜지스터(310)를 켤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아서 광원이 켜지도록 R14'의 저항값이 선택된다. 실례에 있어서, R14' 및 R15'의 저항값은 각각 10㏀ 및 125Ω이다.
유사하게,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 스위치(S1' 내지 S8')로 표현되는 8개의 키를 포함한다. 8개의 키는 4개의 쌍을 이루고, 각각은 키보드 센스 라인을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S1' 및 S5'는 KS1을, S2' 및 S6'은 KS2를, S3' 및 S7'은 KS3를, S4' 및 S8'은 KS4를 공유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임으로,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예컨대, 5볼트)가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에서는 이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각 키의 한 종단은 동작 전압 소스에 연결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의 차이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는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예컨대, 5볼트)를 접합(330)에서 저항(R6)(실례에 있어 18㏀)을 통해 광원 제어 라인(150)에 연결해서 식별 전압을 광원 제어 라인(150)에 인가한다.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 R6 및 R14의 크기는 수신기(136)에 의해 수신된 전압이 제1 임계치를 넘어서,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의 비트 7이 로직 원(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임)을 설정하도록 선택되는데 이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의 유형이 양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컨대,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 R6 및 R14'는 각각 5볼트, 18㏀ 및 10㏀의 크기를 가지며 수신기(136)에 의해 수신된 전압은 약 2.2볼트로 이것은 로직 원을 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비트 7을 탐지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임을 판정하고 비트 6을 로직 원으로 설정하고, 키보드 제어 라인(145)으로부터 FPGA(120) 내의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를 디커플링한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과 관련하여 기술한 유사한 스캐닝 프로세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 내의 신호는 인버터(U1)에 의해 반전되고(invert), AND 게이트(U3 내지 U6중 하나)가 키들(S5' 내지 S8')의 각 출력 종단에 더해진다. AND 게이트는 키들(S5' 내지 S8') 중 하나의 출력 및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 내의 반전된 신호로부터 해당 키보드 센스 라인에 연결된 출력을 생성한다. 키보드 버튼들이 프레스 되지 않을 때에, 저항(R301, R302, R303 및 R304)은 로직 제로 레벨을 U3 내지 U6에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동작 중에, 휴지 및 활성 상태 동안에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 내의 키보드 센스 라인의 라인 상태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200)의 상태의 반전이다. 키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수신기는 0볼트의 전압을 수신하는데, 즉, 해당 키보드 센스 라인이 로우이고, 비트 1-4를 로직 제로로 설정한다. 키가 활성화되는 때에, 해당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압은 동작 전압 소스의 대략 동일한 크기(실례에 있어서, 5볼트임)이고, FPGA(120) 내의 키보드 제어 레지스터(121)의 비트 1-4중 해당되는 하나를 로직 원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S1'가 활성화되면, 동작 전압 소스는 키보드 센스 라인(KS1)에 연결되고, 비트 1을 로직 원으로 설정한다. 키(S5')를 활성화하는 것은 동작 전원 소 스를 키보드 센스 라인(KS1)에도 연결을 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보통 전압을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에 인가하지 않으므로, 반전된 신호는 로직 일이다. 그와 같이, AND 게이트(U3)는 로직 원을 키보드 센스 라인(KS1)에 만드는데, 이는 약 1-5볼트이고, 다시 비트 1을 1의 로직 값으로 설정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가 비트 1이 1의 로직 값을 가지는 것을 탐지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보드(300)의 스캔을 시작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하이로 설정하고 비트 1은 로직 원의 값을 보유하면(즉, KS1은 하이로 남아있음),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S1')가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한다. 아니면, 비트 1이 로직 제로로 변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S5')가 활성화되었다고 판정한다. 비트 1의 상태 변화가 키(S5')가 활성화된 것을 표시하는 이유는 키(S5')의 활성으로부터의 입력이 하이(로직 원)임에도, KD 내의 반전된 신호는 로직 제로이고, AND 게이트(U3)의 출력을 로직 제로로 되게 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KD)을 로우로 설정한다. 상술한 프로세스로, 마이크로프로세서(115)는 8개 키 중 어떠한 것으로부터의 활성도 다시 탐지할 수 있다.
실례에 있어, LED들(D1 및 D1')은 약 2.5볼트에 20 밀리암페어(mA)의 순 전압을 가지는 LED이다. 다른 순방향 전압을 가지는 LED도 사용할 수 있지만, 직렬 저항(R15 또는 R15')의 저항값이 다시 계산되어야 한다. 트랜지스터(210 및 310)는 20mA에서 약 100의 베타 값을 가지고 베이스에서 이미터로 0.7볼트의 순전압 (Vbe-on)을 가지는, 실례에 있어서는 일반 표면-실장 트랜지스터(surface-mounted transistor)이다. 20mA에서 유사한 베타 및 약 0.7V의 Vbe -on을 가지는 임의의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
R15 및 R15'에 대한 실례의 값들은 상술한 예시적 특성을 가지는 각 LED(D1 및 D1')에 대한 5볼트 소스에 기반해 계산된다. LED(D1 및 D1')의 전류 등급이 달라지면, R15 및 R15'의 저항값도 변해야 한다. 예컨대, 전류가 20mA에서 25mA로 증가하면, R15 및 R15'의 저항값은 125Ω에서 100Ω으로 줄어야 한다.
R14 및 R14'의 저항값은 LED(D1 및 D1')의 예시적인 특성들에 기반해 정해진다. LED들의 베타가 증가하면, R14 및 R14'의 저항값도 증가할 수 있다.
프런트 패널 키보드(300)에서, Vbe -on 및 R6으로부터 R14'를 통과하는 전류의 조합은 광원 제어 라인(150)에서의 식별 전압을 결정한다. 예컨대, R14' 및 R6에 대한 실례의 저항값은 각각 10㏀ 및 18㏀으로, 광원 제어 라인(150)의 식별 전압은 약 2.2볼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를 따라서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는 단계,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의 키 활성 신호의 탐지하는 단계 및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캐닝해서 어떤 키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의 예시적인 방법이다. 텔레비전 장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키 활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단계(410)에서, 제어기는 광원 제어 전압을 인가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 내의 광원을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서 켠 다. 단계(410)의 기능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켜는 것이다. 이처럼, 단계(410)는 선택적이다. 단계(420)에서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의해 제1 제어 라인에 인가되는 식별 전압을 탐지한다. 제1 및 광원 제어 라인들은 다른 제어 라인들 또는 동일한 제어 라인일 수 있고, 광원 제어 및 식별 전압은 로직 원을 나타내는 전압일 수 있다. 결정 단계(425)에서, 탐지된 식별 전압이 제1 임계치를 초과하면 즉, 식별 전압이 탐지되면,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으로 판정하고 키보드 제어 라인을 통해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스텝(440)). 그렇지 않으면, 탐지된 제2 전압이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즉, 식별 전압이 탐지되지 않으면, 제어기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음으로 판정하고 키보드 제어 라인을 통해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한다(스텝(430)). 이어서, 제어기는 단계(450)에서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키 활성 신호를 탐지하고,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캔해서 어떤 키가 스텝(460)에서 활성화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은 현재 선호되는 몇 개의 실시예에 관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다수의 대체 모드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행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26)

  1. 텔레비전 장치로서,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는 프런트 패널 키보드 -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동작 로직의 유형을 이용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의 신호로부터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동작 로직의 유형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가 그 자신의 동작 전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음(negative)인 경우,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탐지된 동작 로직의 유형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가 그 자신의 동작 전압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양(positive)인 경우,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텔레비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광원(light)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어기에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광원 제어 전압을 상기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 상기 광원에 인가해서 상기 광원을 활성화하는 텔레비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제어 라인의 키보드 식별 전압을 탐지해서 상기 동작 로직의 유형을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식별 전압이 제1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동작 로직의 유형을 양으로 판정하고, 상기 키보드 식별 전압이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동작 로직의 유형을 음으로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라인은 상기 광원 제어 라인인 텔레비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제어 라인은 상기 광원을 온(on) 및 오프(off)시키기 위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 내의 광원 스위치에 연결되는 텔레비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키보드 센스 라인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키 활성 신호를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을 통해, 상기 활성화된 키에 할당된 기능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장치를 동작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송신하는 텔레비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캔하여 상기 제1 및 제2 키 중 어떤 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키보드 드라이브 신호를 키보드 드라이브 라인을 통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캔하고, 상기 키 활성 신호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 활성 신호가 여전히 존재한다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키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식별 전압을 상기 광원 스위치와 상기 제어기 사이의 상기 광원 제어 라인 내의 접합부에 연결하는 도전체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이 양이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상기 키보드 드라이브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는 상기 제2 키 및 상기 반전된 키보드 드라이브 신호로부터 상기 키 활성 신호를 생성하는 AND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15.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서,
    제1 키 및 제2 키 - 상기 제1 및 제2 키는, 상기 텔레비전 장치의 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 및 제2 키 중 하나가 활성화되었음을 탐지할 수 있게 해주는 키보드 센스 라인을 공유함 - 와,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키 드라이브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 드라이브 신호를 송신해서 키 신호가 상기 제1 키로부터 오는지 혹은 상기 제2 키로부터 오는지를 탐지함 - 와,
    상기 제2 키 및 상기 반전된 키 드라이브 신호로부터 키 활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와,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 내의 스위치에 연결된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 광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광원 - 상기 스위치는 상기 광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원을 활성화하도록 닫힘 -
    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저항기를 통해 상기 광원 제어 라인에 연결된 식별 전압 소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광원 제어 라인 상의 상기 식별 전압 소스로부터의 식별 전압을 탐지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양으로 판정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
  18. 키보드 센스 라인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키를 구비한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키 활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키 활성 신호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입력 드라이버와,
    키보드 동작 전압을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에 인가하기 위한 제1 출력 드라이버와,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 내의 광원을 켜기 위한 광원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식별 전압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인가되는지를 탐지하는 양방향 드라이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출력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에 인가하고, 상기 식별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에 인가하지 않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드라이버는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에 연결된 입력 및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을 구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열린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P-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풀 업(pull-up) 트랜지스터 및 N-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풀 다운(pull-down)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풀 업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 소스를 위한 입력으로서 역할하고, 상기 풀 업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풀 업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출력에 연결되고, 상기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풀 업 및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은 저항기를 통해서 상기 키보드 센스 라인에 인가되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100㏀의 저항값을 가지는, 텔레비전 장치 내의 제어기.
  23.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 상기 텔레비전 장치는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키 활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함 - 으로서,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의해 제1 제어 라인에 인가되는 식별 전압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양으로 판정하고, 키보드 동작 전압을 키보드 제어 라인을 통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하지 않는 단계와,
    상기 식별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음으로 판정하고, 키보드 동작 전압을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로부터 상기 키 활성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를 스캔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어떤 키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광원 제어 전압을 상기 프런트 패널 키보드 내의 광원에 광원 제어 라인을 통해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제어 라인은 상기 제1 제어 라인으로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은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열린 위치에 있으면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있으면 상기 키보드 동작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텔레비전 장치의 프런트 패널 키보드의 동작 로직의 유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KR1020057014912A 2003-02-14 2004-02-12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내의 장치 KR10108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860303P 2003-02-14 2003-02-14
US60/448,603 2003-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337A KR20050101337A (ko) 2005-10-21
KR101082133B1 true KR101082133B1 (ko) 2011-11-09

Family

ID=3290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912A KR101082133B1 (ko) 2003-02-14 2004-02-12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내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9680B2 (ko)
EP (1) EP1597908B1 (ko)
JP (1) JP4532467B2 (ko)
KR (1) KR101082133B1 (ko)
CN (1) CN1751504B (ko)
MX (1) MXPA05008594A (ko)
WO (1) WO20040755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5275A1 (en) * 2004-12-01 2006-06-01 Jiaxi Kan Multiple rate optical transponder
TW200906071A (en) * 2007-07-24 2009-02-0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Key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etecting if a plurality of keys are triggered
CN102543030A (zh) * 2010-12-22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字视频界面驱动模组
CN103279221A (zh) * 2013-05-21 2013-09-04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徽标组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设备
JP2016086239A (ja) * 2014-10-23 2016-05-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キーボード
CN106331875A (zh) * 2016-09-05 2017-01-1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多面板按键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716A (en) 1977-04-22 1978-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DE2756327C2 (de) * 1977-12-17 1979-11-15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7800 Freiburg Schaltung sanordnung für eine Eingabetastatur
JPS5548273U (ko) * 1978-09-27 1980-03-29
DE3032337C3 (de) * 1979-08-28 1994-08-11 Canon Kk Elektronische Einrichtung mit einer Wähleinrichtung zum Wählen eines beliebigen aus mehreren Empfangskanälen
US4279035A (en) * 1979-12-27 1981-07-14 Zenith Radio Corporation Channel number entry system
US4318087A (en) * 1980-09-08 1982-03-02 Rca Corporation Switch closure sensing circuit
DE3273873D1 (en) * 1981-04-03 1986-11-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apacitive keyboard with anti-parasite structure
GB8305011D0 (en) * 1983-02-23 1983-03-30 Microwriter Ltd Computer apparatus and remote keyboards
US4626830A (en) * 1984-06-18 1986-12-02 Motorola, Inc. Membrane keyboard with identifying connectors
JPS63182730A (ja) * 1987-01-26 1988-07-28 Hitachi Ltd 入力装置制御方式
US6014092A (en) * 1987-10-14 2000-01-11 Universal Electronics Inc. Key mover
JPH0348180A (ja) 1989-04-27 1991-03-01 Casio Comput Co Ltd スイッチ状態高速検出装置
US5036261A (en) 1989-08-11 1991-07-3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tandby/run power supply and control circuit
JPH03176714A (ja) * 1989-12-06 1991-07-31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JPH04211820A (ja) * 1991-02-12 1992-08-03 Sanyo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識別方式
JP3105015B2 (ja) * 1991-03-25 2000-10-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Catv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
AU6018494A (en) * 1993-05-21 1994-12-20 Arthur D. Little Enterprises, Inc. User-configurable control device
JPH082126A (ja) * 1994-06-17 1996-01-09 Sony Corp 昇華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H0973352A (ja) * 1995-09-06 1997-03-18 Nec Corp キーボードインタフェース回路
CA2188707C (en) * 1995-11-13 2000-08-01 Aaron Hal Dinwiddie System providing freeze of closed captioning data
CN1058825C (zh) * 1997-02-20 2000-11-22 明碁电脑股份有限公司 显示器画面功能调整方法及装置
US5872561A (en) 1997-03-31 1999-02-16 Allen-Bradley Company, Llc Fast scanning switch matrix
KR100276257B1 (ko) * 1997-04-07 2000-12-1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1999024963A1 (en) * 1997-11-12 1999-05-20 Think Outside Collapsible keyboard
US6011328A (en) * 1998-04-08 2000-01-04 Terry L. Smith Electric power lockout apparatus
TW501060B (en) * 2000-07-12 2002-09-01 Winbond Electronics Corp Multiple selection architecture for the keyboard containing manufacturer identification code and matrix, and the selection method
KR100444630B1 (ko) * 2002-01-28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보드 제어기를 내장한 마이크로 컴퓨터
US7532251B2 (en) * 2003-04-25 2009-05-12 Thomson Licensing Variable intensity illumination device with detection and control circuit for a front panel of a televis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1504A (zh) 2006-03-22
EP1597908B1 (en) 2012-01-04
WO2004075529A3 (en) 2005-02-10
EP1597908A2 (en) 2005-11-23
JP2006518079A (ja) 2006-08-03
MXPA05008594A (es) 2006-03-13
WO2004075529A2 (en) 2004-09-02
CN1751504B (zh) 2010-05-26
KR20050101337A (ko) 2005-10-21
US20060087597A1 (en) 2006-04-27
JP4532467B2 (ja) 2010-08-25
US7679680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8439B2 (ja) データ通信バスを有する回路
US4837627A (en) Programmable operating-parameter control appat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EP0788059B1 (en) Driver circuit device
US5493538A (en) Minimum pulse width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circuit
JPH11261400A (ja) 電力消費抑止回路
EP0716379A2 (en) Interface volt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675395A (en) Remote receiver that coordinates command signals from differing sources including radio frequency and infrared sources
KR101082133B1 (ko) 부착된 키보드 유형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tv 수신기내의 장치
JPS60123901A (ja) マイクロコンピユータを備えた回路装置
US6674304B1 (en) Output buff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US5598110A (en) Detector circuit for use with tri-state logic devices
JPS61145931A (ja) プログラム可能な出力極性素子
US6414523B1 (en) Pull-up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versal serial bus output driver
US5502513A (en) Three wire television remote control operable with key closures or data pulses
US6310503B1 (en) Delay circuit having a constant delay time
JPH07154234A (ja) 信号入出力切替装置
US5812120A (en) BNC/D-sub signal auto-selection circuit
US5945865A (en) Full-swing high voltage data latch
KR930005929Y1 (ko) 자동모드 절환회로
US6498510B2 (en) Adaptive threshold logic circuit
US6940304B2 (en) Adaptive threshold logic circuit
JP3865408B2 (ja) バス導線及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回路を具えている回路
KR960006102Y1 (ko) Crt 보호회로
KR0172374B1 (ko) 고전압 구동포트를 갖는 데이타 전송회로
US200902190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