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85B1 -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85B1
KR101079985B1 KR1020067023590A KR20067023590A KR101079985B1 KR 101079985 B1 KR101079985 B1 KR 101079985B1 KR 1020067023590 A KR1020067023590 A KR 1020067023590A KR 20067023590 A KR20067023590 A KR 20067023590A KR 101079985 B1 KR101079985 B1 KR 10107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ushion
inflator
housing
airba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102A (ko
Inventor
로버트 이. 루이스
트루디 씨. 루이스
그레고리 제이. 랭
래리 디. 로즈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3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에어백 모듈(10)은 팽창기(42)와, 쿠션(40)과, 상기 팽창기(42)와 상기 쿠션(40)을 함유한 하우징(46)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외부 벽과 차량에 부착되게 설계된 브라켓을 갖는다. 전개 중에, 쿠션은 브라켓을 통해 하우징 밖으로 방출된다. 팽창기는 하우징 내에서 유지되고 그리고 팽창가스는 하우징을 통해 쿠션에 전달된다. 상기 팽창기는 팽창기 둘레를 싸고 있는 플랩에 의해 유지되어 팽창기의 수직방향 확산기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산기는 하우징 내에 있는 직물 벽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해 연장 형성되고 그리고, 외부 벽의 보유부분은 팽창기의 반대측 둘레를 감싸고 있다. 에어백 모듈은 계기 패널에 장착되어 경성 모듈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앞좌석 탑승객 측 충격 보호물을 제공한다.
팽창기, 확산기, 모듈 하우징, 가요성 재료, 브라켓, 파스너, 오리피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모듈용으로 사용되는 하우징을 가요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에어백 모듈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새로운 차량용으로 안전한 팽창성 구속기구 또는 에어백을 설치하는 것을 법적으로 의무화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 탑승석에 계기 패널과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에어백은 탑승인 가까이에서 팽창하여 충격으로부터 무릅을 보호하도록 무릅 전방에 또는 다른 전략적으로 중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보조 충격 보호물을 제공한다.
사고 발생 시에, 차량 내에 있는 감지 시스템은 충격상태를 감지하여 팽창기의 점화장치를 기동시킨다. 팽창기에서 나온 팽창가스는 에어백 쿠션을 충전하여, 차량 실내면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인을 보호하도록 즉시 팽창이 이루어진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동안에는, 에어백이 일반적으로 부당한 간섭으로부터 에어백을 보호하기 위해 덮개 뒤에 수용되어 차량에 보다 매력있는 실내 면을 제공한다.
탑승객 측에 정면 충돌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계기 패널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에어백은 계기 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팽창기는 패널 내부 에 설치되고, 팽창가스가 쿠션을 상방향으로 팽창하게 상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치된다. 접힘 쿠션과 팽창기는 하우징 내부에 포장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쿠션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고 그리고 전개(deployment) 동안에 팽창기와 쿠션을 계속 간직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판금속과 같은 것으로 형성된다.
불행하게도, 상기 하우징은 에어백 모듈의 가격을 상당히 비싸게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다른 모듈 성분과 분리하여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단계를 분리하여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팽창기와 쿠션은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노동력이 드는 공정으로 삽입되고 부착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에어백 모듈에 중량을 더하여서, 차량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어 연료소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에어백 하우징 기술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은 현재의 기술을 기반으로, 특히 당기술분야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에어백 모듈에 의해 아직도 완전하게 해결되어져 있지 않은 문제와 필요를 기반으로 하여 개량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개선한 에어백 모듈과 관련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고 그리고 본원에 넓은 범위로 기술된 실시예로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은 기본적으로 쿠션, 팽창기, 그리고 일반적으로 쿠션과 팽창기를 함유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우징의 일 부분은 적어도 쿠션의 일 부분과 단일체(single piece)로서 형성되고, 그리고 직물(fabric)과 같은 가요성 재료(flexible material)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기는 가속도계와 같은 충돌 센서에 부가로 결합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되어서, 전자제어장치가 충돌 센서에 의해 탐지된 충돌 신호에 응답하여 팽창기에 활성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은 쿠션이 배치된 계기 패널과 방풍유리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쿠션과 일체로 형성된 외부 벽, 하우징과 쿠션을 계기 패널에 부착하는데 사용된 제1 및 제2브라켓, 그리고 팽창기를 유지하는데 사용된 제1 및 제2플랩(flap)을 구비한다. 외부 벽은 쿠션의 유입구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착 협폭통로(throat)를 갖는다. 부착 협폭통로와 유입구는 브라켓 사이에서 접혀져서 플리트(pleat)를 형성한다. 각각의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중간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를 가지어서, 상기 쿠션이 전개 중에 브라켓을 통해 하우징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리벳과 같은 것에 의해 함께 부착되어 플리트를 지속적으로 간직하여, 쿠션의 유입구와 하우징의 외부 벽의 부착 협폭통로를 유지시킨다.
팽창기는 축선을 가진 메인 몸체와 축에 대해 대체로 수직적인 방향으로 연장된 확산기를 갖는다. 제1플랩은 설부를 가지고 그리고 제2플랩은 슬릿을 갖고, 상기 설부는 상기 슬릿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팽창기는 상기 2개 플랩 사이에 위치한다. 각각의 플랩은 오리피스를 갖고, 그리고 각각의 플랩은 확산기 근방에 오리피스가 위치하도록 팽창기의 메인 몸체 주위 통로를 약 3/4 감싸고 있다. 상기 오리피스는 확산기가 제1 및 제2플랩의 단부를 보유하여 플랩과 팽창기가 제위치를 유지하도록 확산기 위로 삽입된다. 팽창기는 메인 몸체와 확산기 사이에 오목부(recess)를 갖는다. 상기 오리피스는 안으로 활주하여 오목부와 결합하고,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확산기의 외형상이 확산기와 무관한 활주동작으로부터 오리피스를 지켜준다. 상기 플랩은 팽창기 보유부분과 쿠션 보유부분으로 하우징을 분할하는 장벽의 역할을 한다.
상기 쿠션은 정돈식 접힘(orderly foldig)과 "무질서(chaos)" 또는 지정된 방식이 없는 형태로 압축하여 접혀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 내부에 포장된다. 만일, 압축 접힘방식을 사용하면, 상기 쿠션은 브라켓을 통해 플랩에 대하여 놓여지도록 하우징 안으로 간단히 압축된다. 상기 브라켓은 하우징이 계기 패널 안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식으로 계기 패널에 부착된다. 팽창기는 쿠션 팽창의 세기 및/또는 타이밍을 판단하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복합 기폭제를 함유한 적절한 팽창기이다. 팽창기는 팽창기의 양쪽 단부에 도달하게 하우징을 통해 지나가는 와이어에 의해 ECU와 결합한다.
충돌 또는 충돌가능성이 탐지되면, 팽창기가 사용되어 팽창가스를 생성한다. 상기 팽창가스는 확산기에 의해 쿠션 보유부분으로 방출된다. 팽창가스는 쿠션을 하우징 밖으로 밀어서 부착 협폭통로와 유입구를 통해 지나가 쿠션을 팽창시킨다. 외부 벽은 팽창가스가 사용 중에 한정 유량으로 쿠션과 하우징을 빠져나갈수 있게 하는 1개 이상의 통기구(vent)를 갖는다. 상기 통기구는 팽창된 쿠션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계기 패널 안으로 가스를 방출하여 부풀어오른 것을 오므라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기는 탑승인과 팽창가스의 접촉 없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쿠션의 일부분과 단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외부 벽을 갖는다. 외부 벽은 부착 협폭통로를 갖고 그리고 쿠션은 부착 협폭통로와 분리하여 있는 유입구를 갖는다. 상기 부착 협폭통로와 상기 유입구는 이전 실시예의 것과 같이 2개 브라켓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 유입구는 보강 피스에 의해 보강된다.
팽창기는 이전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전 실시예의 플랩 위치에서, 외부 벽은 팽창기를 보유하도록 협력 동작하는 제1 및 제2보유부분을 갖는다. 또한, 외부 벽의 반대편 내부 사이에서 벽이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을 쿠션 보유부분과 팽창기 보유부분으로 분할한다. 상기 벽은 팽창기의 확산기가 그를 통해 연장된 오리피스를 갖는다. 제1 및 제2보유부분은 팽창기의 메인 몸체의 반대편 주위를 감싸서 메인 몸체가 벽과 대항하여 유지되게 한다. 제1 및 제2보유부분은, 서로 겹쳐지고 그리고 제1 및 제2보유부분을 변형하여 서로 정렬되어서 팽창기 보유부분에 상기 팽창기의 삽입을 허용하는 슬릿을 갖는다.
또한, 상기 쿠션은 정돈식 접힘으로 하우징 안에 삽입되고 이어서, 압축 접힘 또는 그와 같은 작업에 의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브라켓은, 하우징을 계기 패널 쪽으로 연장 형성하는 방식으로 계기 패널에 부착된다. 팽창기는 제1 및 제2보유부분의 슬릿을 통하거나 또는 슬릿으로 분할된 외부 벽에 형성된 관통 홀을 지나가는 와이어에 의해 ECU에 결합된다.
에어백 모듈은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을 탐지한 신호에 반응하여 전개된다. 팽창기는 확산기를 통해 쿠션 보유부분으로 방출되는 팽창가스를 생성한다. 팽창가스는 브라켓을 통해 하우징 밖으로 쿠션을 밀어내어 쿠션을 팽창시킨다. 상기 하우징은, 통기동작이 오리피스와 제1 및 제2보유부분의 슬릿을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통기구를 갖지는 않는다. 통기구는 선택적으로 팽창 쿠션을 경직되게 하거나 또는 가스 배기를 촉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 및 그 상관 방법을 사용하여, 에어백 모듈이 경성 하우징을 없애어서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을 소비하는 방식으로 생산한다. 본 발명의 방식으로 생산된 에어백 모듈은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팽창을 제공하면서, 용이하게 차량의 계기 패널에 팽창가스의 배출동작을 허용하여, 탑승인과의 팽창가스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 모듈은 제작을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룰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그외 다른 특징과 잇점들이 이하에 기술되는 설명과 첨부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을 나타낸다.
도1은 팽창 구조로 있는 쿠션을 가진, 차량의 계기 패널 내부에 탑승석 전방 충격 에어백으로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의 측부 입면도이다.
도2는 조밀한 구조로 이루어진 쿠션을 가진, 도1의 에어백 모듈의 확대된 측부 입면도이다.
도3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쿠션 유입구를 제거하고 도시한, 도1의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조밀한 구조로 이루어진 쿠션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 는 에어백 모듈의 단면을 측부 입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조밀한 구조로 이루어진 쿠션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의 단면을 측부 입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유사 부분을 유사 도면번호로 가리킨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도면을 참고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구조로 폭 넓게 변경하여 설계 및 배치될 수 있는 것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를 참고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기술되는 이하에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는 것이다.
본원에서, "~에 연결", "~에 결합", 및 "~와 소통" 표현은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및 상호작용 열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부재 사이에 상호작용 형태를 언급한 것이다. "~에 부착" 표현은 부착된 물체 사이에 상대적 병진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제약하는 기계적인 결합 형태를 언급한 것이다. "~에 피봇식으로 부착" 및 "~에 활주식으로 부착" 표현은 다른 상관동작을 제약하면서, 상관 회전 또는 상관 병진운동을 허용하는 기계적 결합형태를 언급한 것이다.
"직접 부착된" 표현은 부착 아이템이 직접 접촉상태로 있거나 또는 단일 파스너, 접착제, 화학 본드, 또는 기타 다른 부착 메카니즘으로만 분리되는 부착 형태를 언급한 것이다. "접하다" 표현은 상기 아이템이 함께 부착되지 않을 지라도,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상태에 있는 아이템을 언급한 것이다. "파지(grip)" 표현은 1개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을 강력하게 유지하는,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상태에 있는 아이템을 언급한 것이다. "일체적으로 형성된" 표현은 복합 피스의 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예를 들어, 단일체로서, 일체적으로 제작된 몸체를 언급한 것이다. 복수 부품은 만일 이들이 단일 작업편(workpiece)으로 형성된다면 서로 연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서로에 대해 상호 "결합된" 아이템은 서로 연관하여 단일체로서 형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10)의 측부 입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에어백 모듈(10)은 탑승인 측 전방 충격 보호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당분야의 기술인은, 본 발명이 무릅 볼스터, 오버헤드 에어백, 팽창 커튼, 측부 에어백, 팽창성 구조 보강제 및 그와 같은 종류의 것에 다른 타입의 에어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12)은 점유인(22)이 앉아 있는 시트(20)를 갖는다. 점유인(22)은 머리(24), 몸통(26), 및 무릅(28)이 있다. 안전벨트(30)는 주로 점유인(22)을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12)은 또한 점유인(22) 옆에 전방 도어(32), 점유인(22)의 전방에 있는 방풍유리(34), 그리고 일반적으로 방풍유리(24) 밑에 위치한 계기 패널(36)을 갖는다. 에어백 모듈(36)은 기구 패널 내부에 챙겨 넣어지고 그리고 계기 패널(36)의 장착 오목부(38)에 놓여진다. 장식성 트림 패널(도시 않음)과 같은 것이 장착 오목부(38)위에 배치되어서, 점유인(22)으로부터 에어백 모듈(10)을 가리워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0)은 완전 팽창 형태로 설명되는 쿠션(40)을 갖는다. 에어백 모듈(10)은 또한 계기 패널(36) 내에 위치한 팽창기(42)를 구비하여 쿠션(40)에 팽창가스를 제공한다. 팽창기(42)는 압축가스, 발광탄, 및 혼합 팽창기를 구비하는 공지된 타입의 것이다. 쿠션(4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구조와, 배치에 앞서 계기 패널(36) 내에 쿠션(40)이 정돈 수용된 조밀한 구조를 갖는다.
에어백 모듈(10)은 콤팩트한 구조의 쿠션(40)과 팽창기(42)를 함유하도록 계기 패널(36)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46)을 구비한다. 쿠션(40)은 팽창기(42)에서 나온 팽창가스가 쿠션(40)에 도달하도록 하우징(46)을 통해 전달되는 방식으로 하우징(46)에 부착된다. 쿠션(40)은 선택적으로 쿠션에 형성된 통기구(도시 않음)를 가지어서, 탑승인 칸으로 팽창가스를 방출한다. 그러나, 도1의 실시예에서는 통기동작이, 후술되는 방식으로 하우징(46)에 의해 대신 실시된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46)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본원에서, "가요성 재료"는 지속 형태를 유지할 만큼의 경성이 아닌 임의 재료를 말한다. 따라서, 직물, 박판 플라스틱, 및 그와 같은 종류의 것이 "가요성 재료"이다. 판금속, 보다 두꺼운 플라스틱 형상물, 및 그와 같은 종류의 것들이 일반적으로 지속 형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경성인 것으로서, 가요성 재료가 아니다. "대체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표현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요소의 외부 노출면의 대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상기 구성요소는 여전히 경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지만, 이들은 성분의 외부 노출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전자제어장치(48) 또는 ECU(48)는 차량(12)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ECU(48)는 도시한 바와 같은 구역에 위치할 필요가 없는, 차량(12) 내의 다양한 지역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ECU(48)는 2개 세트의 와이어(50, 52)에 의해 팽창기(42)에 연결된다. 가속도계(54)와 같은 충돌 센서는 와이어(56)에 의해 ECU(48)에 결합된다. 가속도계(54)는 신호를 ECU(48)로 전송하여 충돌이 발생하거나 또는 충돌이 발생할 쯤을 가리킨다. 다음, ECU(48)는 활성 신호를 팽창기(420로 전송하여 팽창기(42)를 기동한다. 다음, 상기 팽창기(42)는 팽창가스를 방출하여 쿠션(40)을 팽창시킨다.
필요에 의해서는, 팽창기(42)를 충격 강도에 기본한 가변식 팽창가스 량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적응식(adaptive)" 팽창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기(42)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2개 기폭제(도시 않음)를 구비한다. 각각의 기폭제는 다량의 팽창가스를 제공하고 그리고, 각각은 저 팽창가스 출력용으로만 작동되거나 또는, 양쪽이 고 팽창가스 출력을 제공하도록 활성으로 된다. 각각의 세트의 와이어(50, 52)는 1개 기폭제에 결합된다. ECU(48)는 충격 강도 또는 임박 충격동작(impending collision)을 판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와이어(50) 세트가 활성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도2는 하우징(46) 내부에 콤팩트한 구조로 있는 쿠션(40)을 가진, 격리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10)을 측단면으로 하여 입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에어백 모듈(10)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58), 측면방향(60), 및 가로방향 을 갖는다. 도2에서는 상술된 쿠션(40), 팽창기(42), 및 하우징(46)에 대한 설명을 보다 상세하게 한다.
하우징(46)은 외부 벽(64)을 구비하고, 외부 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쿠션(40)의 일부분과 단일체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벽(64)은 쿠션(40)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재료는 나일론 위브(nylon weave)와 같은 표준 에어백-등급 직물이다. 또한, 하우징(46)은 계기 패널(36)의 장착 오목부(38)에 외부 벽(64)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제1브라켓(66)과 제2브라켓(68)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브라켓(66, 68)은 라이센스 평판 홀더의 형태와 같이 중간에서 개방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도2에서는 브라켓(66, 68)을 장길이 치수방향을 따라서 도시하였으며, 브라켓의 형태는 도3과 관련하여 보다 명료하게 설명될 것이다. 외부 벽(64)은 브라켓(66, 68)사이에서 포획된 부착 협폭통로(70)를 갖는다.
하우징(46)은 또한 대체적으로 쿠션(40)과 팽창기(42)를 분리하는 장벽을 구비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장벽은 제1플랩(72)과 제2플랩(74)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플랩은 외부 벽(64)과 단일체로 형성되고 외부 벽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 및 제2플랩(72, 74)은 팽창기(42) 둘레를 싸고 있어서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팽창기(42)를 보유한다.
외부 벽(64)에는 제한 유량율로 외부 벽(64)을 통한 팽창가스의 통과를 허락하는 1개 이상의 통기구(76)가 설치된다. 따라서, 통기구를 쿠션(40)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졌다. 상기 통기구(76)는 팽창가스가 직접 계기 패널(36)로 통기하게 하여, 차량 탑승인과 팽창가스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피해진 것이다. 도2의 실시예에 서, 상기 통기구(76)는 단순한 개구이다. 그러나, 변경 실시예에서는, 찢김 막(membranes) 또는 그와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 임계압력차에 이를 때까지 통기동작을 지연한다. 다르게는, 발광제 또는 다른 장치가 외부 벽(64)에 부착되고, ECU(48)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ECU(48)에 의해 선택된 시간에서 팽창 중에 통기동작 오리피스를 생성할 수 있어서, 충격 강도에 대한 통기동작을 맞출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72, 74)은 외부 벽(64) 내의 공간을 쿠션 보유부분(78)과 팽창기 보유부분(79)으로 분할 한다. 일반적으로, 팽창기(42)는 팽창기 보유부분(79) 내에 위치하고 그리고 조밀한 구조의 쿠션(40)은 쿠션 보유부분(78) 내에 위치한다. 팽창기 보유부분(79)은 팽창기(42)를 함유하지만, 반드시 팽창기를 완전하게 에워싸지는 않는다. 팽창기(42)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이 양호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팽창기(42)를 "함유한다"는 표현은 하우징(46)에 의해 한정된 포위체 내에 팽창기(42)의 대부분이 위치하여 있다는 사실을 언급한 것이다. 본원에서, "장벽(barrier)" 표현은 일반적으로 쿠션과 팽창기를 분할하는 임의 구성체를 넓은 의미로 언급한 것이다. 도2에서, 플랩(72, 74)은 장벽을 형성하지만, 도4와 도5와 관련하여 도시 및 기술한 바와 같이 장벽은 다른 구조를 변환시키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2의 설명으로 다시 돌아와서, 상기 쿠션(40)은 유입구(80)를 가지고, 상기 유입구는 팽창가스가 부착 협폭통로(70)를 통해 흐르고 그리고 유입구(80)를 통해 흘러서 쿠션(40)을 팽창하도록 외부 벽(64)의 부착 협폭통로(7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부착 협폭통로(70)와 유입구(80)는 서로 상관적으로 단일체로 형성되고 그 리고 제1 및 제2브라켓(66, 68) 사이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플리트(82)를 형성하도록 함께 협력동작한다.
복수의 파스너(84)가 제1 및 제2브라켓(66, 68)에 있는 홀을 관통하여(도2에 도시 않음) 연장 형성되고 그리고 플리트(82)에 있는 대응 홀을 관통하여(도2에 도시 않음) 연장 형성된다. 파스너(84)는 리벳, 너트, 볼트, 또는 그와 같은 종류의 것을 취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파스너(84)는 PIM 파스너 이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파스너(84)는 제1브라켓(66)의 상부면의 대응 형태(도시 않음)와 짝을 이루는 스플라인 형태(도시 않음)의 헤드(86)를 갖는다. 상기 헤드(86)가 제1브라켓(66)과의 결합으로 눌려져 있으면, 스플라인과 대응 특징부(features)가 파스너(84)와 제1브라켓(66)간에 상대적인 병진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억지끼움(interference fit)이 된다.
또한, 각각의 파스너(84)는, 제1 및 제2브라켓(66, 68)을 통해 연장된 나사 스터드(88)를 갖는다. 나사 스터드(88)는 도1의 장착 오목부(38)에 정렬 개구(도시 않음)를 통해 삽입되며, 그리고 너트(도시 않음)가 각각의 나사 스터드(88)와의 나사 결합으로 장착 오목부(38)에 강력하게 부착된 브라켓(66, 68)을 유지한다. 차량(12)에 설치하기에 앞서, 제1 및 제2브라켓(66, 68)은 리벳(90)과 같은 복수의 추가 파스너에 의해 함께 유지되고, 상기 파스너는 브라켓(66, 68)의 둘레 주위에 분포되고 그리고 플리트(82)와 브라켓(66, 68)에 형성된 홀(도시 않음)을 통해 연장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기(42)는 길이방향(58)을 따라서 일반적으로 연장되 는 메인 몸체(92)를 갖는다. 팽창기(42)는 또한 일반적으로 가로방향(62)을 따라서 메인 몸체(92)에서 연장 형성된 확산기(92)를 갖는다. 메인 몸체(92)에서 방출된 또는 그 안에 생성된 팽창가스는 확산기(94)를 통해 흐르고, 상기 확산기는 길이방향과 측면방향(58, 60)으로 한정된 평면 내에서 확산기(94)에서 외부 반경방향으로 가스가 흐르게 천공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기(27)는 적응식 팽창기이고, 따라서 각각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기폭제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팽창기(42)내에는 발광탄 재료, 용기, 내부 확산기, 및 기타 다른 성분들이 주어진다. 상기 구성요소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성분들을 도2의 팽창기(42)에서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제1플랩(72)은 제1플랩(72)의 나머지 부분보다 어느 정도 협폭인 크기의 설부(96)를 갖는다. 제2플랩(74)은 길이방향 (58)을 따라서 방향져 있는 슬릿(98)을 갖는다. 제1플랩(72)은 제1플랩(72)이 슬릿(98)에 도달할 때까지 제2플랩(174) 외측을 지나간다. 다음, 설부(96)가 설부(96)의 대부분이 제2플랩(74) 내측을 지나가도록 슬릿(98)을 통해 지나간다. 각각의 플랩(72, 74)은 팽창기(42)의 메인 몸체(92) 주위 통로의 약 3/4을 싸게 된다. 본원에 사용된 "싸다(wrap)" 표현은 완전한 포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리고, 물체와 그 둘레를 에워싸게 되는 덮개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양호하게는, 상기 "싸다" 표현은 물체의 적어도 일부 부채꼴 모양 부분을 에워싸는 덮개를 언급한다.
제1플랩(72)은 말단부 근방에 위치한 오리피스(100)를 갖고 그리고 제2플랩(74)은 말단부 근방에 위치한 오리피스(100)를 갖는다. 확산기(94)는 오리피 스(100, 100)를 통해 돌출되어 하우징(46)의 쿠션 보유부분(78)에 도달한다. 따라서, 확산기(94)에 의해 방출된 팽창가스는 플랩(72, 74)을 통해 쿠션 보유부분(78)을 지나간다. 또한, 확산기(94)와의 오리피스(100)의 결합이 플랩(72)을 팽창기(42)의 메인 몸체(92) 주위에서 유지되게 한다.
팽창기(42)는 확산기(94)와 메인 몸체(92)와의 사이에 오목부(103)를 갖는다. 오목부(103)는 확산기(94)의 횡단면 보다 작은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다. 오리피스(100)는 확산기(94)와 관련하여 약간의 억지끼움을 제공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확산기(94)는 어느 정도의 힘으로 오리피스(100)를 통해 눌려져서 오리피스(100)가 우발적으로 추가 조립단계의 실행으로 확산기(94) 위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벽(64)은 외부 벽(64)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위치한 길이방향 엣지(104)를 갖는다. 상기 길이방향 엣지(104)는 상관 커넥터(도시 않음)에 의해 팽창기(42)에 와이어(50, 52)(도1에 도시)를 부착할 수 있게 노출된 팽창기(42)의 각 단부의 일부분을 남기고 배치된다.
도2는 조립이 완료된 후에 에어백 모듈(10)을 나타낸 도면이다. 팽창기(42)는 팽창기 보유부분(79)에 설치되어 나타내었고 그리고 쿠션(40)은 쿠션 보유부분(78) 내에 채워 넣어진 조밀한 구조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40)은 무질서 접힘 또는 압축 접힘으로 조밀하게 된다. 쿠션(40)이 정돈식 접힘으로 설치되는것 보다는, 간단하게 쿠션 보유부분(78)에 압축하여 설치된다. 그 결과로 쿠션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작위적인 접힘으로 제공된다.
도2에 도시된 쿠션(40)은 단지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즉, 도2에 도시된 것에 비해 실제 쿠션(40)은 더 많이 접혀지며 더 긴밀하게 압축된다. 상기 쿠션(40)은 조립 및 차량운행 중에 강력하게 조밀한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긴밀하게 밀집되어 있다. 긴밀한 밀집상태의 쿠션(40)은 에어백 모듈(10)이 차량(12)에 설치될 때에 외부 벽(64)이 브라켓(66, 68)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직된 상태로 현수 설치된다.
도3은 도1과 도2의 에어백 모듈(10)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쿠션(40)의 대부분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절결되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42)는 메인 몸체(92)와 평행하게 있는 축선(105)을 갖는다. 또한, 상기 축선(105)은 메인 몸체(92)의 축선이다. 메인 몸체(92)는 제1단부(106)와 상기 제1단부의 반대편에 제2단부(107)를 갖는다. 제1 및 제2단부(106, 107)의 각각은 대응 기폭제에 전기적 커넥터(도시 않음)가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3에서, 제1 및 제2브라켓(66, 68)의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브라켓(66, 68)은 그 둘레에 분포 배치된 홀(108)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착 특징부를 갖는다. 브라켓(66, 68)의 각 코너에 위치한 홀(108)은 대응 파스너(84)의 나사 스터드(88)를 수용한다. 나머지 홀(108)은 리벳(90)을 수용한다. 플리트(82)는 홀(108)과 정렬 배치된 홀(109)을 가지어서, 파스너(84)가 홀(108, 109)을 관통하여 지나가 브라켓(66, 68) 사이에 강력하게 플리트(82)를 유지시키게 한다.
상기 파스너(84)의 사용은 단지 예를 들어 기재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는 브라켓이 일체형 스터드, 나사 홀, 착탈식 형상체, 및 그와 같은 류의 부착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부착 특징부" 표현은 파스너(84)와 함께 협력동작할 수 있는 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브라켓이 상기 부착 형태에 의해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에 가까운 표현이다.
에어백 모듈(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 및 조립되는 것이다. 팽창기(42), 파스너(84), 및 리벳(90)은 공지된 제작기술을 사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재고 성분에서 선택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브라켓(66, 68)은 압착되고 그리고 상기 홀(108)은 압착공정의 한 과정으로 형성된다. 쿠션(40), 외부 벽(64), 및 플랩(72, 74)은 직물을 1개 이상의 피스로 레이저 절단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 협폭통로(70)와 유입구(80)는 동일한 금속 피스로 형성되고, 그리고 외부 벽(64)의 적어도 일부 피스는 플랩(72, 74)으로 동일한 재료의 피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재료의 나머지 피스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어 함께 부착되어 쿠션(40)과 외부 벽(64)의 전체적인 3차원 구조를 형성한다.
일 방법의 조립에 따라서, 쿠션(40)의 유입구(80)와 하우징(46)의 외부 벽(64)의 부착 협폭통로(70)가 먼저 함께 접혀져서 플리트(82)를 형성한다. 다음, 제1 및 제2브라켓(66, 68)이 배치되어 유입구(80)와 부착 협폭통로(70)와 맞닿게 되고 그리고 파스너(84)가 플리트(82)의 홀(109)과 브라켓(66, 68)의 홀(108)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 파스너(84)의 헤드(86)가 제1브라켓(66)의 인접면에 대항하여 압축되어 제위치에 놓여져서, 헤드(86)와 제1브라켓(66) 사이에 추가적인 상대적인 운동을 구속한다.
다음, 리벳(90)이 공지된 리벳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너트(도시 않음)는 선택적으로 리벳(90)을 설치하기에 앞서 나사 스터드(88)의 각각에 나사 결합되어 리벳(90)이 설치되는 동안에 적절한 간격으로 브라켓(66, 68)을 유지하게 한다.
다음, 팽창기(42)가 하우징(46)에 설치된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팽창기(42)가 제1 및 제2플랩(72) 사이에 삽입되고 그리고 제1플랩(72)의 설부(96)는 제2플랩(74)의 슬릿(98)을 통해 삽입된다. 오리피스(100)가 확산기(94)와 정렬을 이루게 플랩(72, 74)이 메인 몸체(92) 둘레를 감싼다. 다음, 상기 오리피스(100)는 오목부(103)와 이들이 결합하게 확산기(94) 위에서 압축된다.
팽창기(42)가 설치되어진 후에, 쿠션(40)이 조밀하게 설치된다. 만일 상기 조밀 방법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접혀진다면, 하우징(46) 내에 있는 쿠션(40)의 조밀한 설치가 동시적으로 브라켓(66, 68)을 통해 하우징(46) 쪽으로 쿠션(40)을 압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먼저, 정돈식 접힘으로 쿠션(40)을 접고, 다음 조밀하게 된 쿠션(40)을 브라켓(66, 68)을 통해 하우징(46)안에 삽입하는 것이다.
다음, 에어백 모듈(10)을 완전하게 조립하여 차량(12)에 설치할 준비를 한다.(도1 참고) 와이어(50, 52)는 단부(106, 107) 각각에 각 쌍의 와이어(50, 52)에 결합된 부착 커넥터(도시 않음)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단부(106, 107)에 결합된다. 와이어(50, 52)가 부착되어졌으면, 하우징(46)을 계기 패널(36)의 장착 오목부(38)에 삽입하고 그리고 나사 스터드(88)가 도2의 내용과 같이 너트(도시 않 음)를 통해서 장착 오목부(38)안에 삽입한다. 다음, 브라켓(66, 68)이 장착 오목부(38)에 부착되고 그리고 하우징(46)이 일반적으로 계기 패널(36) 내부에 현수 설치된다. 다음, 장식 트림 패널(도시 않음)과 같은 것들이 계기 패널(36)에 부착되어 전개 시까지 에어백 모듈(10)과 장착 오목부(38)가 가려진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110)의 단면의 측부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10)은 쿠션(140)과, 이전 실시예의 것과 같은 팽창기(42), 및 쿠션(140)과 팽창기(42)를 함유한 하우징(146)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46)의 적어도 일 부분은 직물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46)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외부 벽(164)을 갖는다. 외부 벽(164)은 이전 실시예와 같은 제1 및 제2브라켓(66, 68) 사이에서 포획된 부착 협폭통로(170)를 갖는다. 이전 실시예의 플랩(72, 74)을 대신하여, 외부 벽(164)은 제1보유부분(172)과 제2보유부분(174)을 구비하고, 상기 보유부분은 팽창기(42) 둘레를 감싸도록 협력동작하여, 후술되는 방식으로 팽창기(42)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6)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벽(176)을 형성하는 장벽을 구비하여, 쿠션 보유부분(178)과 팽창기 보유부분(179)으로 하우징(146)을 분할한다. 벽(176)은 외부 벽(164)의 일측에서 외부 벽(164)의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벽(164)은 외부 벽(164)을 만드는 직물과 같은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쿠션(140)은 쿠션(140)으로 들어오는 팽창가스가 통과하는 유입구(180)를 갖는다. 보강 피스(182)가 유입구(1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되어져, 쿠션(140)이 팽창하는 동안에 유입구(180)상에 작용하는 압력을 어느 정도 완화시킨다. 유 입구(180)와 보강 피스(182)는 하우징(146)의 외부 벽(164)의 부착 협폭통로(170)와 함께 브라켓(66, 68) 사이에 개재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벽(176)은 유입구(180), 보강 피스(182) 및 부착 협폭통로(170)와 함께 브라켓(66, 68)사이에 개재된 부착 협폭통로(183)를 갖는다. 부착 협폭통로(183)는 도4에서 볼 수 있는 2개 측만을 따라서가 아니고, 브라켓(66, 68)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하는 것이다. 브라켓(66, 68)은 이전 실시예의 것과 같이 파스너(84)와 리벳(90)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도4의 실시예에서, 제1보유부분(172)은 외부 벽(164)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확산기(94)와 반대측에 있는 팽창기(42)의 측부 주위로 연장 형성된다. 제2보유부분(174)은 스티칭(196)에 의해 제1보유부분(172)의 실내에 부착되어 팽창기(42)를 유지하는 가요성 재료의 제2층을 제공한다.
각각의 보유부분(172, 174)은 길이방향(58)을 따라서 일반적으로 연장된 슬릿(198)을 갖는다. 보유부분(172, 174)의 재료는 슬릿(198)을 개방하도록 변형되어 슬릿(198)이 서로에 대해 정렬 배치된 슬릿(198)을 팽창기 보유부분(179)에 팽창기(42)가 삽입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전해지게 한다. 팽창기가 제위치에 있게되면, 보유부분(172, 174)이 도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연적으로 약간 변형된 상태로 회복되며, 슬릿(198)은 서로 정렬 배치되지 않고 그리고 팽창기(42)는 팽창기 보유부분(179)을 빠져나갈 수가 없다.
상기 벽(176)은 이전 실시예의 오리피스(6)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확산기(94)를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제1오리피스를 갖는다. 확산기(94)에서 압출 된 팽창가스가 쿠션 보유부분(178)안으로 직접 압출될 수 있도록, 확산기(94)는 쿠션 보유부분(178)에 도달할 때까지 벽(176)의 제1오리피스(100)를 통해 연장 형성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오리피스(100)는 확산기(94)에서 제거하기 곤란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에어백 모듈(110)은 이전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 조립 및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팽창기(42), 파스너(84), 및 리벳(90)이 공지된 방식을 통해 다시 형성되거나 또는 활용가능한 재고 성분에서 선택하여 형성된다. 브라켓(66, 68)은 압착되고, 그리고 쿠션(140), 외부 벽(164)(보유부분(172, 174)을 함유) 및 벽(176)이 직물 피스로부터 레이저 절단된다. 다양한 직물 피스가 함께 재봉되어 쿠션(140), 외부 벽(164), 및 벽(176)의 전체 3차원 형태를 형성한다.
다음, 유입구(180), 보강 피스(182), 부착 협폭통로(183), 및 부착 협폭통로(170)가 도시된 방식으로 브라켓(66, 68) 사이에 개재된다. 파스너(84)는 브라켓(66, 68)의 홀(108)을 통하고 그리고, 유입구(180), 보강 피스(182) 및, 부착 협폭통로(183, 170)의 대응 홀(도시 않음)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 리벳(90)이 브라켓(66, 68)의 홀을 통하고 그리고, 유입구(180), 보강 피스(182), 및 부착 협폭통로(183, 170)의 대응 홀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 제1 및 제2보유부분(172, 174)이 변형되어 슬릿(198)과 상호 정렬 배치되고, 그리고 팽창기(42)가 슬릿(198)을 통해 삽입된다. 확산기(94)는 제1오리피스(100)가 팽창기(42)의 오목부(103)와 결합하도록 제1오리피스(100)를 통해 삽입된다. 다음, 보유부분(172, 174)이 편향된 상태가 거의 없이 회복되게 하여 슬 릿(198)이 서로 정렬상태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팽창기 보유부분(179) 내에서 팽창기(42)를 유지시킨다.
다음, 상기 쿠션(140)은 조밀하게 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140)은 정돈식 접힘형태로 조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쿠션(140)은 선택적으로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축식 접힘으로 조밀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쿠션(140)은 소망하는 접힘형태를 제공하는 폴딩 머신으로 접혀지고 그리고 다음 조밀하게된 쿠션(140)이 브라켓(66, 68)을 통해 하우징(146) 안에 삽입된다.
다음, 에어백 모듈(110)이 이전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량에 설치된다. 먼저, 도1의 와이어(50, 52)와 같은 전기배선이 외부 벽(164)에 형성되고 팽창기(42)의 단부에 결합된 다른 홀(도시 않음)을 통하거나 또는 슬릿(198)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 하우징(146)을 계기 패널(36)과 같은 계기 패널의 장착 오목부에 배치한다. 브라켓(66, 68)은 나사 스터드(88)와 너트(도시 않음)의 나사식 결합으로 장착 오목부에 부착된다. 장식 트림 패널 또는 그와 같은 종류의 것을 부착하여, 전개 시까지 에어백 모듈(110)과 장착 오목부가 가려진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에어백 모듈(210)의 단면의 측부 입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210)은 차량 전방석의 탑승인용 충격 보호물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쿠션(240)을 갖는다. 또한, 에어백 모듈(210)은 이전에 2개 실시예의 것과 같이 팽창기(42)와, 에어백 모듈(210)과 팽창기(42)를 함유한 하우징(246)을 구비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210)은 전개 시까지 쿠션(240)이 제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46) 둘레를 싸고 있는 덮개(248)도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46)은 조밀한 구조의 쿠션(240)을 함유한 외부 벽(264)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246)은 이전 실시예의 것과 같은 제1브라켓(66)과 제2브라켓(68)도 갖는다. 외부 벽(264)은 브라켓(66, 68)사이에 있는 부착 협폭통로(270)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246)은 제1보강 패널(272)과 제2보강 패널(273)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패널은 외부 벽(264)으로부터 팽창기(42)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덮개(248)에 부착된다. 더우기, 하우징(246)은 제1장벽 패널(274)과 제2장벽 패널(275)을 구비하고, 상기 장벽 패널은 보강 패널(272, 273)로부터 팽창기(42)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그리고 외부 벽(264)의 대응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장벽 패널(274, 275)은 협력동작하여 장벽(276)을 형성한다. 장벽(276)은 하우징(246)을 쿠션 보유부분(278)과 팽창기 보유부분(279)으로 분할 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쿠션 보유부분(278)이 외부 벽(264)에 의해 한정되고 그리고 팽창기 보유부분(279)이 보강 패널(272, 273)과 장벽(276)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240)은 유입구(280)를 갖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팽창가스가 쿠션(240)에 흘러들어가 쿠션(240)을 팽창시킨다. 유입구(280)는 부착 협폭통로(270)와 단일체로서 형성된다. 유입구(280)와 부착 협폭통로(270)가 접혀져서 플리트(281)를 형성한다. 또한, 쿠션(240)은 유입구(280)에 부착된 보강 피스(282)도 구비하여, 쿠션(240)이 팽창하는 중에 유입구(280)상에 작용하는 압력의 일부를 완화시킨다. 보강 피스(282)의 일부분은 유입구(280)와 부착 협폭통로(270)사이에서 플리트(281)에 접혀진다.
에어백 모듈(210)도 이전 2개 실시예의 파스너(84)와 어느 정도 유사하게 이루어진 파스너(284)를 구비한다. 또한, 파스너(284)도 PIM 파스너 이지만 에어백 모듈(210)의 구조에 더 적합하게 신장된 것이다. 각각의 파스너(284)는 이전 실시예의 것과 같이 헤드(86)와 나사 스터드(88)를 갖는다. 그런데, 파스너(284) 각각은 또한 나사 스터드(88)에서 헤드(86)를 분리하는 샤프트(290)도 구비한다. 샤프트(290)는 도5에서는 나사부 없이 도시되었지만, 나사부를 가질 수도 있고, 나사부가 없을 수도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헤드(86)는 제1브라켓(66)과 압축 결합하여 헤드(86)와 제1브라켓(66) 사이에 상관 동작을 방지한다.
파스너(284)가 플리트(281)에 홀(도시 않음)과, 보강 패널(272, 273)과, 장벽(276) 및 덮개(248)의 인접부를 통해 삽입되어, 플리트(281), 보강 패널(272, 273), 장벽(276) 및 덮개(248)의 인접부가 브라켓(66, 68)사이에서 모두 포획된다. 필요에 의해서는 리벳과 같은 중개 파스너(도시 않음)가 파스너(284)사이를 이격지게 하고 그리고 브라켓(66, 68)의 공간에 추가 부착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하우징(246)의 다양한 부분이 스티칭(296)에 의해 함께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및 제2보강 패널(272, 273)과, 제1 및 제2장벽 패널(274, 275)과, 덮개(248)의 인접부가 파스너가 삽입되는 대응 홀의 근접부에 위치한 스티칭(296)에 의해 함께 부착된다. 추가적으로, 플리트(281)는(예를 들면, 부착 협폭통로(270), 유입구(280), 및 보강 피스(282)) 파스너(284)가 삽입되는 대응 홀에 인접하여 위치한 스티칭(296)에 의해 함께 부착된다. 상기 스티칭(296)은 최종 조립에 앞서 함께 에어백 모듈(210)의 다양한 파트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장벽 패널(274, 275), 쿠션(240), 및 보강 피스(282)는 이전 실시예의 오리피스(100)와 유사한 크기의 오리피스(100)를 갖는다. 따라서, 확산기(94)가 오리피스(100)를 통해 삽입되어, 확산기(94)는 하우징(246)의 쿠션 보유부분(278) 내에 배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00)는 이들이 우발적으로 확산기(94)위로 뒤로 물러나지 않도록 팽창기(42)의 오목부(103)와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248)는 전개 발생 시까지 쿠션(240)이 제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46) 둘레를 감싸고 있다. 덮개(248)는 제1단부(304)와 제2단부(306)를 갖는다. 제1단부(304)는 제1보강패널(272)에 인접하여 있고, 그리고 상기 덮개(248)의 인접부는 제1보강패널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파스너(84)는 제1단부(304)에 있는 홀(도시 않음)과 인접부를 통해 연장 형성된다. 덮개(248)가 하우징(246) 둘레를 감싸게 되면, 제2단부(306)가 제1단부(304)에 인접하여 있고 그리고 제1단부(304)를 통해 연장 형성된 파스너(84)도 제2단부(306)에 형성된 정렬배치 홀(aligned holes)(도시 않음)을 통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148)는 파스너(284)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덮개(248)는 쿠션(240)의 중앙부분 위에 위치한 복수의 천공부(308)를 갖는다. 상기 천공부(308)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또는 다른 소망 통로로 이어진 대체로 직선 라인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팽창기(42)가 팽창가스를 생성하기 시작하면, 상기 팽창가스가 확산기(94)를 통해 팽창기(42)를 빠져나가 쿠션(240)을 팽창시키기 시작한다. 쿠션(240)은 덮개(248)를 밀어내도록 압력을 가하여, 덮개(248)가 상기 천공부(308)를 따라서 파괴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248)가 2개 조각으로 갈라져서, 하우징(246)의 어느 일 측으로 제1브라켓(66)을 통해 쿠션(240)이 팽창할 수 있도록 철수된다.
에어백 모듈(2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 및 조립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팽창기(42)와 파스너(284)가 공지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되거나 또는, 활용가능한 재고 성분에서 선택된다. 브라켓(66, 68)은 압착되고, 그리고 쿠션(240), 외부 벽(264), 보강 패널(272, 273), 장벽 패널(274, 275), 및 덮개(248)는 직물 피스에서 레이저 절단된다. 다양한 직물 피스가 쿠션(240), 외부 벽(264), 및 장벽(276)으로 이루어진 전체 3차원 형태를 형성하도록 함께 재봉된다. 보강 패널(272, 273)과 덮개(248)가 또한 필요에 의해서 함께 재봉될 수도 있다.
다음, 보강 패널(272, 273), 덮개(248), 및 장벽 패널(274, 275)이 스티칭(296)으로 어느 일측 상에서 함께 재봉되어, 팽창기 보유부분(279)을 형성하는 형태의 포켓을 제공한다. 팽창기 보유부분(279)은 어느 일 단부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장벽(276), 덮개(248), 및 보강 패널(272, 273)이 절곡되어 가로방향(62)을따라서 팽창기 보유부분(279)을 넓혀져서 팽창기(42)가 길이방향(58)을 따라 팽창기 보유부분(279)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확산기(94)는 오리피스(100)에 도달할 때까지 장벽(276)을 따라 활주한다.
확산기(94)가 오리피스(100)에 도달하면, 상기 오리피스(100)는 확산기(100) 둘레를 활주하고 그리고 장벽(276)은 도5에 도시된 형태로 팽창기 보유부분(279)이 건네지도록 가로방향(62)을 따라서, 메인 몸체(9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오리피스(100)가 상술된 바와 같이 오목부(103)와 결합하여, 오리피스(100)로 부터 확산기(94)가 물러나지 않게 하며, 그리고 팽창기(42)는 어느 일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없게 된다.
보강 피스(282)를 가진 쿠션(240)과 외부 벽(264)은 이전 단계에서 이미 형성되어져 있다. 필요에 따라, 부착 협폭통로(270)와 유입구(280)가 함께 접혀져서 플리트(281)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 협폭통로(270)와 유입구(296)는 단일체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플리트(281)는 스티칭(296)에 의해 재봉되어, 추가 조립단계를 취하는 동안 플리트(281)를 함께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 제1브라켓(66), 덮개(248), 보강 패널(272, 273), 및 장벽(276)을, 도5에 도시한 배열로 플리트(281)와 함께 모두 정렬 배치한다. 파스너(284)는 제1브라켓(66), 플리트(281), 장벽(276), 보강 패널(272, 273) 및 덮개(248)에 형성된 대응 홀을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48)는 개방상태로 남겨져 덮개(248)의 제2단부(306)가 대응 파스너(284)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헐거운 상태로 남는다. 제2브라켓(68)은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
다음, 상기 쿠션(240)은 조밀하게 되어 외부 벽(264) 내에 공간 안에 포장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2개 단계는 압축 접힘에 의해 또는 분리하여 정돈식 접힘 후에 외부 벽(264) 안으로의 쿠션(240) 삽입하여 동시적으로 실시된다. 예를 들어, 도5는 정돈식 조밀 방식으로 접혀진 쿠션(240)을 나타낸다.
쿠션(240)이 외부 벽(264)에 삽입되어졌으면, 덮개(248)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2브라켓(68)과 파스너(284)의 나사 스터드(88)에서 조금 떨어져서, 에어백 모듈(210)의 나머지 부분 둘레를 감싸게 된다. 다음, 덮개(248)의 제1단 부(304)의 홀(도시 않음)을 통해 연장 형성된 파스너(284)의 나사 스터드(88)가 제2단부(306)의 대응 홀(도시 않음)을 통해 삽입되어서, 덮개(248)가 에어백 모듈(210)의 나머지 부분 둘레를 상당히 긴밀하게 감싸고 유지한다. 다음, 나사 스터드(88)가 제2브라켓(68)의 홀(도시 않음)을 통해 삽입되어 조립을 완성한다. 다른 방법에 의해서는, 제2브라켓(68)이 에어백 모듈(210)의 나머지 성분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에어백 모듈(210)을 차량의 계기 패널(도시 않음)의 장착 오목부에 설치한다. 나사 스터드(88)가 팽창기(42) 근처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부착 협폭통로(270) 근처에서 연장되지 않음으로, 나사 스터드(88)가, 계기 패널의 실외 근방에 부착 립(lip)보다는, 후방 패널(도시 않음)에 고정되거나 또는 계기 패널 내부에 다른 오목한 구성부에 고정할 수 있다. 도1의 와이어(50, 52)와 같은 와이어는 팽창기(42)에 결합된다. 덮개(248)는 쿠션(240)이 제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어 설치가 편리하다.
에어백 모듈(210)의 조작은 이전 실시예의 에어백 모듈(10, 110)의 것과 유사하다. 팽창기(42)는 적응식 팽창기이고, 따라서 복합 기폭제(도시 않음)를 함유한다. 상기 팽창기는 1개 이상의 활성 신호를 수신하여, 확산기(94)에 의해 팽창기(42)를 빠져나가는 팽창가스를 생성하는 지령을 한다. 따라서, 팽창가스가 직접 쿠션 보유부분(278)과 쿠션(240)으로 흘러간다. 쿠션(240)은 팽창을 개시하여 덮개(248)의 내부면에 대한 압력을 가한다. 덮개(248)는 인장력을 받게 되고 천공부(308)를 따라 찢겨진다. 다음, 2개 부분의 덮개(248)가 개방되어 쿠션(240)의 팽창을 허용하여서 충격 보호물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원의 실시예는 본원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기에, 상술된 실시예의 내용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술된 실시예를 변경 및 개조한 모든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47)

  1. 탑승인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조밀한 구조에서 팽창하는 쿠션(40)과; 팽창 시까지 상기 조밀한 구조의 쿠션을 유지시키는 형태의 하우징(46)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차량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 협폭통로(70)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은, 팽창가스가 부착 협폭통로를 통해 하우징에서 쿠션을 배출하고 그리고 쿠션이 팽창하도록 쿠션 안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하우징에 부착된, 충격으로부터 탑승인을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부착 협폭통로(70)와 쿠션의 유입구(80)에 부착된 제1브라켓(66)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차량에 브라켓의 부착을 수월하게 하는 1개 이상의 부착 특징부(84, 108)를 가지며, 상기 부착 협폭통로(70)는 쿠션(40)의 적어도 일부분과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제2브라켓(68)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부착 협폭통로의 인접부분(82)이 제1 및 제2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협폭통로(70)는 제1브라켓(66)에 부착된 플리트(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6) 내에 함유된 팽창기(4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팽창기는 활성 신호 수신에 반응하여 팽창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협폭통로(70)는 외부 벽의 일 부분이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은 장벽(72, 74)을 포함하고, 상기 장벽은, 조밀한 구조의 쿠션을 함유한 쿠션 보유부분과 팽창기(42)를 함유한 팽창기 보유부분을 제공하도록, 조밀한 구조의 쿠션(40)과 팽창기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확산기가 쿠션 보유부분 내에 위치되도록 장벽(72, 74)의 제1오리피스(100)를 통해 연장 형성된 확산기(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94)는 팽창기의 축선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팽창기의 중심 근방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은 외부 벽에서부터 연장된 제1 및 제2플랩(72, 74)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100)는 제1플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랩(72, 74)은 반대측 방향을 따라 팽창기 둘레를 감싸고 있고, 상기 확산기(94)는 제2플랩에 형성된 제2오리피스(100)를 통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은 외부 벽(64)의 반대측 사이로 연장형성된 직물 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벽은 팽창기가 장벽과 보유부분과의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팽창기 둘레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보유부분(172, 1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협폭통로(70)는 에어백 모듈이 계기 패널 내부에 현수 설치되게 차량의 계기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쿠션이 팽창하는 중에 계기 패널에 가스를 통기시키는 위치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통기구(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67023590A 2004-04-12 2006-11-10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 KR101079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22,501 US7195273B2 (en) 2004-04-12 2004-04-12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US10/822,501 2004-04-12
PCT/US2005/011669 WO2005100104A1 (en) 2004-04-12 2005-04-07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102A KR20060133102A (ko) 2006-12-22
KR101079985B1 true KR101079985B1 (ko) 2011-11-04

Family

ID=3496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590A KR101079985B1 (ko) 2004-04-12 2006-11-10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195273B2 (ko)
EP (1) EP1742821B1 (ko)
JP (1) JP5144255B2 (ko)
KR (1) KR101079985B1 (ko)
CN (1) CN100590003C (ko)
AT (1) ATE396088T1 (ko)
AU (1) AU2005233129B2 (ko)
BR (1) BRPI0509725B1 (ko)
DE (1) DE602005007008D1 (ko)
MX (1) MXPA06011723A (ko)
RU (1) RU2374098C2 (ko)
WO (1) WO20051001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448A (ko) * 2018-08-27 2021-03-17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무릎 에어백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6217A1 (de) * 2002-04-05 2003-10-23 Takata Petri Ag Airbageinheit
DE202004010785U1 (de) * 2004-07-09 2004-11-25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DE102004040235A1 (de) * 2004-08-13 2006-03-02 Takata-Petri Ag Beifahrerairbagmodul
JP4666690B2 (ja) * 2005-03-31 2011-04-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るため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US7530599B2 (en) 2005-07-05 2009-05-12 Autoliv Asp, Inc.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US7543844B2 (en) * 2005-07-05 2009-06-09 Autoliv Asp, Inc. Flexible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DE102005049218A1 (de) * 2005-10-10 2007-04-19 Takata-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eines Kraftfahrzeugs
EP1993884A2 (en) 2006-01-19 2008-11-26 Zodiac Automotive US, Inc. Flexible airbag case
JP2007276600A (ja) * 2006-04-05 2007-10-25 Takata Corp 車両シート、車両、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EP2029400B1 (en) 2006-06-16 2011-05-18 Autoliv Development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housing
DE102006057503A1 (de) * 2006-12-06 2008-06-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irbaganordnung
US7770914B2 (en) * 2007-07-31 2010-08-10 Autoliv Asp, Inc. Passenger airbag mounting apparatus
KR100980929B1 (ko) 2007-11-15 2010-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DE102008019730A1 (de) * 2008-03-04 2009-09-10 Takata-Petri Ag Airbagabdeckung zur Aufnahme eines Gassackpaketes für ein Airbagmodul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950688B2 (en) * 2008-09-17 2011-05-31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EP2221223B1 (de) * 2009-02-24 2011-11-02 Delphi Technologies, Inc. Luftsackmodul
US20100230935A1 (en) * 2009-03-11 2010-09-16 Rose Larry D Vehicle airbag module
US7980585B2 (en) * 2009-06-30 2011-07-19 Autoliv Asp, Inc. Airbag mounting assemblies with double-locking wrappers
DE102009031120B4 (de) * 2009-06-30 2017-07-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08513B4 (de) * 2010-02-18 2020-01-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und Halter
US20110204607A1 (en) * 2010-02-22 2011-08-25 Conrad Dumbrique Preformed flexible housing for airbag module
KR101144544B1 (ko) * 2010-07-02 2012-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DE102010040119B4 (de) * 2010-09-01 2015-03-05 TAKATA Aktiengesellschaft Gassack für ein Personen-Schutzsystem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685062B2 (ja) * 2010-11-25 2015-03-1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8469392B2 (en) * 2011-06-07 2013-06-25 Autoliv Asp, Inc. Cover apparatuses and airbag modules with cover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routing of wire harness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airbag modules
DE102012003351A1 (de) * 2012-02-21 2013-08-22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sowie Baugruppe mit einer Instrumententafel und einem Gassack-Modul
US8622422B1 (en) * 2012-09-11 2014-01-07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assembly with heat shield
CN103083125B (zh) * 2013-01-21 2015-04-0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可充放气体的安全防护气囊系统
WO2015024543A1 (de) * 2013-08-20 2015-02-26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sowie baugruppe mit einer instrumententafel und einem gassack-modul
WO2015024544A1 (de) * 2013-08-20 2015-02-26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sowie baugruppe mit einer instrumententafel und einem gassack-modul
US20150115580A1 (en) * 2013-10-29 2015-04-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ombination passenger air bag and knee air bag
KR102253492B1 (ko) * 2014-12-01 2021-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구조
DE102015006128A1 (de) * 2015-05-09 2016-11-10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sowie Baugruppe
US9517745B1 (en) 2015-06-30 2016-12-13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to housing retaining feature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DE102015212416B4 (de) * 2015-07-02 2017-03-16 Takata AG Gehäuse für ein Airbag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häuses
EP3284638A1 (en) * 2016-08-16 2018-02-21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unit for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KR102595294B1 (ko) * 2018-08-13 2023-10-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799571B2 (ja) * 2018-09-25 2020-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11377059B2 (en) 2020-03-23 2022-07-05 Autoliv Asp, Inc. Subtotal enclosures for airbag assembli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090A (en) 1992-10-30 1994-08-30 Alliedsignal Inc.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means for retaining an air bag deployment door to a housing
US5794967A (en) 1996-08-02 1998-08-18 Alliedsignal Inc.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means for retaining an air bag deployment door to a housing
US20030209888A1 (en) 2002-05-13 2003-11-13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933A (en) * 1989-10-10 1992-12-22 Ford Motor Company Air bag diverter
US5121941A (en) * 1991-02-19 1992-06-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5242192A (en) 1992-02-24 1993-09-07 Morton International, Inc. Fabric cover/chute for airbag modules
US5303951A (en) * 1992-10-30 1994-04-19 Allied-Signal Inc. Air bag assembly with housing and fastenerless deployment door
DE4442202C2 (de) * 1994-11-17 1998-10-15 Petri Ag Beifahrer-Airbag-Modul
US5564739A (en) * 1995-12-07 1996-10-15 Takata, Inc. Side impact airbag module with soft cover
GB2309942B (en) 1996-02-07 2000-01-19 Airbags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US5632506A (en) * 1996-06-14 1997-05-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DE29612556U1 (de) * 1996-07-19 1996-11-14 Trw Repa Gmbh Gassack-Modul
DE19705829C1 (de) * 1997-02-15 1998-05-20 Mst Automotive Gmbh Flexibler Airbag-Behälter
US5833266A (en) * 1997-05-30 1998-11-10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ssembly
DE19801125A1 (de) * 1998-01-14 1999-07-15 Breed Automotive Tech Airbagmodul
DE29801104U1 (de) * 1998-01-23 1998-05-20 Trw Repa Gmbh Gasgenerator
US6299204B1 (en) * 1998-08-18 2001-10-09 Milliken & Company Vehicle restraint system comprising an airbag having an integrated mouth
JP2000016213A (ja) * 1998-06-29 2000-01-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6543803B1 (en) * 1999-07-16 2003-04-08 Ts Tech Co., Ltd. Air bag apparatus
JP2001071852A (ja) * 1999-09-07 2001-03-2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2003118530A (ja) * 2001-10-17 2003-04-23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2090A (en) 1992-10-30 1994-08-30 Alliedsignal Inc.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means for retaining an air bag deployment door to a housing
US5794967A (en) 1996-08-02 1998-08-18 Alliedsignal Inc.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means for retaining an air bag deployment door to a housing
US20030209888A1 (en) 2002-05-13 2003-11-13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448A (ko) * 2018-08-27 2021-03-17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무릎 에어백 조립체
KR102584407B1 (ko) 2018-08-27 2023-10-04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무릎 에어백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33129A1 (en) 2005-10-27
ATE396088T1 (de) 2008-06-15
EP1742821A1 (en) 2007-01-17
JP5144255B2 (ja) 2013-02-13
RU2006139260A (ru) 2008-05-27
DE602005007008D1 (de) 2008-07-03
BRPI0509725A (pt) 2007-09-25
RU2374098C2 (ru) 2009-11-27
KR20060133102A (ko) 2006-12-22
MXPA06011723A (es) 2007-03-21
US20050225059A1 (en) 2005-10-13
CN1942346A (zh) 2007-04-04
AU2005233129B2 (en) 2011-01-20
BRPI0509725B1 (pt) 2016-10-11
EP1742821B1 (en) 2008-05-21
JP2007532404A (ja) 2007-11-15
WO2005100104A1 (en) 2005-10-27
US7195273B2 (en) 2007-03-27
CN100590003C (zh)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985B1 (ko) 에어백 모듈용 가요성 하우징
KR100965960B1 (ko) 에어백 시스템용 능동통기장치 및 방법
US6588793B2 (en) Thin airbag module design for overhead applications
JP3717124B2 (ja) エアーバッグ
KR100707890B1 (ko) 에어백장치
JP5786951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EP1401687B1 (en) A modular airbag inflator system
JP201812281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20020149187A1 (en) Soft-surface inflatable knee bolster airbag
US20100019473A1 (en) Airbag system
US6709009B1 (en) Passenger side module with two airbags
KR20000069039A (ko) 자동차의 측면충돌용 에어백장치
JP2006224776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2457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7549673B2 (en) Air bag apparatus
US20050212269A1 (en) Thin airbag module
JP302820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84312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GB2405840A (en) Seat-belt airbag
KR20060033823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