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66B1 - 콘크리트 침목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침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66B1
KR101079566B1 KR1020087016118A KR20087016118A KR101079566B1 KR 101079566 B1 KR101079566 B1 KR 101079566B1 KR 1020087016118 A KR1020087016118 A KR 1020087016118A KR 20087016118 A KR20087016118 A KR 20087016118A KR 101079566 B1 KR101079566 B1 KR 101079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monoblock
concrete
portions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900A (ko
Inventor
한스-울리히 딧체
후베르투스 회네
요제프 프리트헬름 헤스
Original Assignee
파우아에 게엠베하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440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7956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아에 게엠베하,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파우아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01B3/3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with pre-tensioned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01B1/004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embedded in fresh concrete or aspha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Magnetic Heads (AREA)
  • Road Repair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궤도용, 보강부(12)를 포함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에 관한 것이고, 보강부의 일부가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 또는 베이스 면 하부에서 연장된다. 소정 범위에서 콘크리트 침목의 고정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강부(12)는 강철 매트의 휜 부분의 N-각 기둥의 강철 망의 일부이고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종방향 바들을 위한 지지부이다.
보강부, 강철 망, N-각 기둥, 노출 부분, 지지부, 클립

Description

콘크리트 침목 {CONCRETE SLEEPER}
본 발명은,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부 부분이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 또는 베이스 면 아래에 노출되도록 놓이고 종방향 바 또는 횡방향 바를 구비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슬래브 궤도(slab track)용, 2 개의 레일 고정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이다.
DE-A-100 04 346에는, 보강부가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U-형 클립들을 포함하고, 바닥 아래에서 연장하는 상기 보강부의 자유 단부들이 종방향 및 횡방향 바들을 수용하기 위해 후크형으로 형성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이 공지된다.
DE-C-197 41 059에 따른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은 침목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하는 클립들로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한다. 클립의 형태는 개방된 직사각형에 상응한다. 연속적인, 즉 단절되지 않는 클립의 부분은 침목의 바닥 아래에서 연장된다. 베이스 콘크리트 내로 콘크리트 침목의 위치적으로 정확한 주조를 위해, 콘크리트 침목이 지지 푸트 상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 푸트의 폭은 침목 아래에 연장하는 보강부의 부분의 연장부보다 약간 더 작다. 지지부의 외부에서 연장하는 부분의 각각의 측면 레그는 침목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용 철재와 결합될 수 있다.
바이- 또는 2블록-콘크리트 침목은 DE-A-199 63 664에 공지되어 있다. 블록들은 레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캐리어 내로 삽입 가능한, 격자 캐리어(lattice girder)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각각 하나의 레일 고정부를 구비하는 2개의 콘크리트 개별 블록들을 포함하는 슬래브 궤도의 구조는 DE-U-200 11 481에 공지되어 있다. 개별 블록들의 보강부는 폐쇄된 루프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는 부분적으로 블록 바닥 아래에서 연장한다. 루프 내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 보강부가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 내부에서 루프가 용접된 보강 바들과 결합된다.
콘크리트 2블록 침목은 DE-C-198 16 407에도 공지된다. 보강부는, 삼각형 프리즘의 각들을 형성하는 3 개의 종방향 바들, 및 상기 바들을 결합시키는 2 개의 구불한 곡선부를 각각 포함하는 소위 격자 캐리어들로 이루어진다. 보강부의 구조에 의해, 목표 저항 모멘트에 따라 상이한 격자 캐리어가 사용되어야 하고, 이로써, 다양한 보강부가 상응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EP-A-0 905 319에 따른 슬래브 궤도에서 침목들은 바닥 아래에서 연장되는 클립 및 고정용 철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및 고정용 철재에 의해 침목이 슬래브 궤도의 베이스 콘크리트 내로 결합된다.
또한, 상응하는 클립들이 DE-U-297 03 508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 또는 베이스 면을 지나 돌출하고, 상기 바닥 또는 베이스 면에는 슬래브 궤도의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시작하는 클립들이 할당 배치되고, 상기 클립들은 바닥 또는 베이스 면과 결합된다.
DE-C-197 41 059에는 서로 이격된, 상응하는 클립들 또는 고정용 철재들이 종방향 바들과 결합되고, 상기 종방향 바들은 슬래브 궤도의 지지 층 상에서 연장하는 베이스 콘크리트 내에 주조된다.
DE-C-102 30 741에는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V형으로 각진 격자 캐리어로 이루어진 2블록- 또는 다 블록 콘크리트 침목이 공지된다.
WO-A-03/104562에 따른, 자갈 도상용으로, 회전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침목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를 형성하는 와이어들이 네트의 교차점에서마다 서로 용접되지 않고 가장자리에서만 용접되는,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완전히 연장하는 역학적 보강 매트를 보강부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식의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을, 콘크리트 침목의 외부에서 연장하는 보강부의 변형 없이, 제조 장소와 사용 장소 사이에서 침목이 확실하게 취급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침목의 고정력이 주어지도록, 보강부가 설계되어야 한다. 경제적인 제조도 가능해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강부가 강철 망(steel wire fabric)의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들을 휘어서 제조한, N-각(N>3) 기둥이고, 노출 보강 부분이 연속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강철 매트(constructional steel mat)의 횡방향 바들의 부분들을 둘러싸고, 보강부 부분이 보강 부분과 용접된 강철 매트의 적어도 2 개의 종방향 바들을 포함하며, 횡방향 바들의 부분들과 바닥 사이에 밀어 넣거나 또는 상기 횡방향 바들의 부분들 아래에 걸 수 있는 다른 종방향 바들을 위한 지지부인 것을 통해 달성된다.
종래 기술과는 달리, 강철 망이라고도 하는, 콘크리트 강철 매트의 하나 또는 다수의 휜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인장 콘크리트 침목용 보강부가 제공된다. 강철 매트 또는 망은 일반적으로 서로 용접되는 교차형 바들로 구성된다. 보강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적어도 2 개의 종방향 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바들은 횡방향 바들의 부분들과 용접되고, 상기 횡방향 바들은 외부, 즉 침목 바닥 아래에서 연장한다. 상응하는 횡방향 바들의 부분들은 이 경우 기본적으로 연속적으로, 즉 중단 없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횡방향 바들의 부분이 단절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2 개의 종방향 바들이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연장한다.
횡방향 바들은 바람직하게 사다리꼴로 휘어지고, 짧은 횡방향 레그의 단부들은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연장한다. 휜 횡방향 바의 더 긴 베이스 레그는 밀어 넣어지거나 상기 횡방향 바 아래에 걸리는 다른 종방향 바들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추가로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걸 수 있는 종방향 바들에 의해, 슬래브 궤도 내 침목의 고정 가능성이 변화되는 동일한 보강부를 포함하는 표준 콘크리트 침목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원하는 보강 정도로 설계할 수 있다. 바닥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보강부의 노출 부분의 레그가 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우, 종방향 바들이 필요한 범위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강철 매트의 하나의 부분 또는 다수의 부분들을 휘어서 제조한 보강부에 의해, 제조 비용이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횡방향 바들을 결합시키는 종방향 바들은, 노출되는 보강 부분의 허용되지 않은 변형이 커질 위험 없이, 콘크리트 침목을 제조 장소로부터 콘크리트 침목이 주조되는 장소로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2 개의 레일 고정부들을 수용하는, 적어도 170cm, 바람직하게는, 220cm 및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종방향 침목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좀 더 짧은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에도 적합한데, 즉 레일 고정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되며, 선로 내에서 상응하는 종방향 침목들과 결합되는 더 짧은 모노 블록 콘크리트 침목에도 적합하다. 레일 고정부를 수용하는 더 짧은 침목들은 일반적으로 80cm 내지 140cm의 길이를 가진다.
특히, 횡단면이 U형인 N-각 기둥은, 내부로 꺾인 종방향 측면 레그 가장자리들을 구비하고, 특히 횡방향 레그는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면 또는 바닥 아래에서 연장하는 부분이다.
대안으로, 내부로 꺾인 가장자리들을 가지는 측면 레그들은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면 또는 바닥 아래에서 연장하고 하나 또는 다수의 클립 또는 와이어에 의해 결합된다. 이로써,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시, 측면 레그들이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레그를 결합하는 와이어 또는 클립(들)은 다른 종방향 바들을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보강부용 N-각 기둥이, 특히 사다리꼴일 수 있고, 이 경우, 특히 단면으로 보면 등변 사다리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N-각 기둥들의 더 짧은 베이스 레그는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콘크리트 침목 내에서 연장한다. 이와 달리, 더 긴 베이스 레그는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의 하부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은, 보강부가 2 개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사다리꼴인, 각각 하나의 N-각 기둥을 형성하는 바디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각각의 긴 베이스 부분은 콘크리트 침목의 아래에서 연장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평행하게 연장하는 N-각 기둥들은 단면도로 볼 때 등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추가로,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에 의해 변하지 않는 명확한 기하학적 배치가 달성되도록, N-각 기둥인 사다리꼴 바디들은 콘크리트 침목 외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클립 또는 와이어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각 기둥들의 측면 레그들 또는 베이스 레그들을 결합시키는 클립은 매트 형태로 종방향 가장자리가 꺾이도록 형성되고, 상기 종방향 가장자리는 슬래브 궤도 내에서 원하는 보강 정도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종방향 바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가 콘크리트 침목의 내부에서 꺾어진 U형 부분들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재그 형태로 휜 격자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U형 부분들은 콘크리트 침목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보강부는 콘크리트 침목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부분적으로 V형으로 휜 2 개의 격자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부들은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서 연장하는 U형 부분을 가지며 콘크리트 침목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C형 클립들에 의해 결합되고, 콘크리트 침목 하부에서 연장하는 상기 클립의 횡방향 레그는 종방향 바들을 위한 지지부이다.
N-각 기둥들이,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특히 4 개의 각들을 가지면, 보강부가 중공 실린더 바디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바닥 아래에서 연장하는 부분이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 면에 대해 오목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 상에 높이 및 위치 정확하게 배치되며 레일 및 전술한 방식의 모노 블록 인장 침목들로 이루어진 트랙부로 구성된 슬래브 궤도에 관한 것이며, 또한 지지층 위로, 침목의 바닥 위에 지정된 높이에까지 제공되는 콘크리트 주조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자체는 바람직하게 일반 콘크리트 침목의 절반 높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 장점 및 특징들은 관련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해서- 포함하는 청구항에 뿐만 아니라 도면을 참고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설명에도 제시된다.
도 1은 보강부를 포함하는 침목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침목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침목의 보강부의 분해도,
도 4는 침목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콘크리트 침목의 보강부,
도 7은 보강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침목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콘크리트 침목의 보강부,
도 10은 보강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침목의 제 4 실시예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콘크리트 침목의 분해도,
도 13은 보강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침목의 제 5 실시예의 측면도,
도 14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침목의 제 6 실시예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콘크리트 침목의 횡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콘크리트 침목의 평면도,
도 17은 강철 매트의 평면도,
도 18은 도 16에 따른, 휜 상태에서의 강철 매트의 단면도,
도 19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5 및 도 19에는 특히 전철기의 영역에 설치되는 슬래브 궤도용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들이 도시된다. 특히, 상기 침목들은 종방향 침목들이다. 콘크리트 침목들은 베이스 콘크리트 내로 주조되고, 상기 베이스 콘크리트는 특히 유압과 관련한 지지층 상에 층으로서 제공된다. 우선, 조립 지지층을 나타내는 유압 관련 지지층 상에, 콘크리트 침목 및 상기 콘크리트 침목 상에 고정되는 레일(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된 트랙부가 정확한 위치 및 높이로 배치된다.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은, 2 개의 레일 고정부들이 그 위에 장착되 는, 최소 길이 170cm, 특히 220cm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종방향 침목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레일 고정부용으로 설계된, 더 짧은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에도 적용된다. 상응하는 더 짧은 침목들은 일반적으로 80cm 내지 140cm의 길이를 가지고, 선로 내에서 종방향 침목과 결합된다.
모노 블록 인장 침목들이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보강부로서는, 강철 망(steel wire fabric)이라고도 하는 바람직하게 강철 매트(steel mat)의 하나의 부분 -경우에 따라 다수의 부분들-이 소정 형태의 기둥으로 휘어진다. 이 경우, 보강부의 하나의 부분은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 하부에서 연장하고, 이로써 노출 부분이 다른 종방향 바를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이로써, 간단한 조치에 의해, 슬래브 궤도 내에 침목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즉, 사용하려는 콘크리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멘트가 조절됨으로써 취급, 즉 콘크리트 층 내로 주조하기 전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이로써 콘크리트 침목 외부에서 연장하는 보강부의 부분이 손상, 특히 변형될 위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7에는 상응하는 강철 매트(150)가 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강철 매트(150)는 종방향 바들(152, 154, 156, 158) 및 상기 종방향 바들과 용접된 횡방향 바들(이들 중 2 개가 160 및 162로 표시됨)이 교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 바들(152, 154, 156, 158 또는 160, 162)이 서로 직각을 형성하게 배치되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강철 매트 또는 강철 망 및 이들의 형태가 참조된다. 강 또는 바의 직경과 관련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강철 매트(150)는 라인들(164, 166, 168, 170)을 따라, 도 18의 단면도에 도시되듯 이 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휘어진다. 상응하는 보강부(172)는 4각 기둥의 형태를 가진다. 사다리꼴의 커버부를 형성하는 보강부(172)는 공지된 방식으로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을 제조하는 주형 내로 제공된다.
도 19에는, 도 18에 상응하는 보강부를 가지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74)이 단면도로 도시된다. 추가로, 인장 와이어가 도시된다. 다른 종방향 바들(182, 184)을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하기 위해, 사다리꼴의 긴 베이스 레그(176)를 포함하는 보강부(172)의 부분(178)은 콘크리트 침목(174)의 바닥 아래에서 연장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종방향 바들이 2개 도시되어 있고 이 개수는 이와 상이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종방향 바들이 제공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종방향 바들(182, 184)은 도 19에 도시되듯이,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걸어질 수 있다.
보강부(172)의 선택된 형태에 의해, 간단하게 슬래브 궤도 내에 침목(174)의 고정력, 특히 사용하려는 콘크리트에 대한 고정력이 설계될 수 있다. 추가 종방향 바들(182, 184)은 취급에 대한 침목(176)의 저항 모멘트도 증가시키므로, 운송시 보강부(172)의 노출 부분(178)의 손상, 특히 변형의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용 보강부의 다른 형태 및 실시예가 제시되고, 여기에서 각각의 보강부는 전술했듯이, 항상 강철 매트의 휜 부분이다. 물론, 본 발명은 보강부가 상응하게 휘어져서 서로 결합된 강철 매트의 다수의 부분들로 이루어지는 것도 허용한다. 이를 위해 특히 록킹 와이어(roedel wire)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는 2 개의 레일 고정부들(11, 13)을 가진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이 도시된다. 인장 침목(10)은 내부로 꺾인 측면 레그 종방향 가장자리들(14, 16)을 가지는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로 휜 강철 망으로 이루어진 보강부(12)를 포함한다.
보강부(12)는 콘크리트 침목(10) 내부에서 연장하는 종방향 바들(18, 20), 및 상기 종방향 바들을 결합시키는 횡방향 바들(22, 24)로 구성된다. 이 경우, 특히 종방향 바들(18, 20)과 횡방향 바들(22, 24)은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침목(10)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바들(18, 20)은 예컨대 16mm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침목(10)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바들(22, 24)은 6mm의 직경을 가진다. 이 경우, 횡방향 바들(22, 24)이 반드시 침목(10)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연장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종방향 축에 대해 예컨대 45°내지 90°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될 것이다.
보강부(12)를 형성하는 휜 강철 매트 또는 강철 망은 콘크리트 침목(10) 아래에서 개방되어, 단면도로 볼 때 폐쇄된 직사각형이 아니다. 오히려 U형이며, 여기에서 상기 보강부의 측면 레그들(26, 28)은 내부로 꺾이거나 휘어진다(가장자리 부분들 14, 16). 가장자리 부분들(14, 16)은 측면 레그들(26, 28)과 함께 V형 또는 후크형을 형성한다.
측면 레그들(26, 28)은 클립의 기능을 하는 강철 매트의 다른 부분(30)에 의해 결합되며, 부분(30)은 횡방향 바들(37)과 용접되는 적어도 2 개의 종방향 바들(32, 33)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바들은 강철 매트의 부분의 구성부가 된다. 추가로 다른 종방향 바들(34, 35)이 밀어 넣어진다. 부분(30)은 보강부의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클립 기능을 하는 부분(30)은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주조시, 보강부(12)의 채널형으로 휜 부분의 측면 레그들(26, 28)이 변형되지 않게 보장한다.
다른 종방향 바들(34, 35)이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걸려짐으로써, 완성된 침목의 고정력이 소정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또한 콘크리트 침목(10)의 저항 모멘트도 변화된다.
종방향 바들(34, 35)은, 횡방향 바들(37)과 고정 용접된 종방향 바들(32, 33)과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것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는 지지부로서 사용되고 침목 바닥 하부에서 연장하는 부분에 대해 2 개의 추가 종방향 바들(34, 35)이 제공되지만, 이 개수는 이와 상이할 수 있다.
보강부의 부분은, 도 3에 도시되듯이, 보강부(12)의 U형 부분 내로 문제없이 걸리거나 또는 보강부의 상기 U형 부분과 고정되는, 꺾인 종방향 가장자리들(36, 38)을 포함한다. 특히, 꺾인 종방향 가장자리(36, 38)는,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들(14, 16)로 이행하는 측면 레그들(26, 28)의 내부 에지들 내로 연장하는, 강철 매트의 종방향 바들(40, 42)의 둘레로 휘어진다.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침목(44)이 도 1 내지 도 3에 상응하게 내부로 꺾인 종방향 측면 가장가리들(48, 50)을 가진, 단면이 U형인 보강부(46)를 포함하지만, 상기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가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44) 내에서 연장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과 상이하다. 이로써 콘크리트 침목(44) 외부에서 연장하는 보강부(46)의 횡방향 레그(52)가 소정 범위에서 제공되는 종방향 바들(54, 56)을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횡방향 레그(52)로부터, 횡방향 바(52)와 용접되는 종방향 바들(55, 57)이 시작한다.
도 2 및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되듯이, 보강부들(12, 46)은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44)의 인장 와이어들(53, 58, 60, 62)을 둘러싸고, 이로써 간단한 위치 설정과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보강부가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종방향으로 볼 때, 콘크리트 침목 내부에서 보강부의 정면을 통과하지 않게 연장한다. 보강부의 정면은 콘크리트 침목 내의 균열 형성을 감소 또는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격자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보강부들(12, 46)이 폐쇄 또는 개방된 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그리고 이경우, 폐쇄되지 않은 측면이 콘크리트 침목(10) 하부, 즉 침목의 바닥(64) 아래에서 연장되어, 강철 매트의 클립 기능을 가진 부분(30) 또는 와이어와 같은 다른 결합 부재에 의해 폐쇄되면,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콘크리트 침목(66)이 개방된 사다리꼴인 보강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종방향 바들(70, 72) 및 상기 종방향 바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바들(74, 76)을 포함하는 휜 강철 망인 보강부(68)는, 단면도로 볼 때 사다리꼴이고, 긴 베이스 레그(78)가 콘크리트 침목(66) 아래, 즉 바닥(80) 아래에서 연장한다. 짧은 베이스 레그(82)는 특히 도 8에 도시되듯이, 콘크리트 내로 삽입되고 단절된다. 베이스 레그(78)는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 침목(66)의 고정력 및 저항 모멘트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종방향 바들(84, 86)을 위한 지지부 및 고정부로서 사용된다. 이와 무관하게, 도 9에서처럼 사다리꼴의 에지 지점에 제공되는 종방향 바들(85, 87)이 횡방향 바들(74, 76)에 용접된다. 따라서, 종방향 바들(85, 87)은 강철 매트의 구성부가 된다.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는 각각의 보강부가 콘크리트 침목들(10, 44, 66)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면,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콘크리트 침목(88) 내에 2 개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단면이 사다리꼴일 수 있는 보강부들(90, 92)이 제공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긴 베이스 레그(94, 96)는 콘크리트 침목(88)의 아래, 즉 상기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99) 아래에서 연장한다. 이 경우 베이스 레그(94, 96)는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특히 단절되어 있고, 즉 폐쇄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침목(88)의 주조시 보강부들(90, 92)이 외부로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들이 콘크리트 침목(88)의 아래에서 클립(98), 와이어 또는 유사한 작용을 하는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무관하게, 바닥(99) 아래에서 연장하는 보강부(90, 92)의 베이스 레그들(94, 96)은 상기에서 설명되었듯이, 다른 종방향 바들(100, 102)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한다.
보강부들(12, 46, 68, 90, 92)은 본 발명에 따른, 휜 강선부 또는 강철 매트의 부분들이고, 전술된 특히 상이한 치수의 종방향 및 횡방향 바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도 1 내지 도 19에 22, 24, 74, 76으로 표시된 횡방향 바들이, 각각의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을 규정한다.
도 13의 실시예에 상응하게, 보강부(105)의 형성을 위해, 강철 망이 종방향- 및 횡방향 바들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지나 휠 수 있다. 이것은 도 13에 도시된다. 콘크리트 침목(104)은 콘크리트 침목(104)의 종방향 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바들(106, 108)만을 포함하고, 콘크리트 침목(104) 아래에서 연장하는 부분(110)은 종방향 바들(112)의 지지부 또는 고정부를 형성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116)의 보강부(114)는 콘크리트 침목(116)의 외부 측면들(118, 11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V형 격자부들(134, 136)로 구성되거나, 또는 V형태를 만드는 레그들(124, 126)로 이루어진 격자부의 부분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레그들(124, 126)은 부분적으로 콘크리트 침목(116) 아래에서 연장한다. 콘크리트 침목(116)의 내부에서 연장하는 단부들(피크부)은 서로를 향해 휘어있고, 이로써 측면도로 보면 U형을 가진다(도 15). 휜 부분들(128, 130)은 콘크리트 침목(116)의 지지면(132)을 따라 연장한다. 이 경우 각각의 외부 측면들(118, 119)을 따라 상응하는 격자부(134, 136)가 연장할 수 있다.
상응하는 격자부(134, 136)는, 그 단면이 C형인, 콘크리트 침목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립(138)에 의해 결합되고, 콘크리트 침목(116) 아래에서 연장하는 상기 클립의 횡방향 레그들(140)로부터, 용접된 종방향 바들(142, 143)이 본 발명에 따라 시작한다. 상응하는 종방향 바들은 콘크리트 침목(116) 내 에서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방향 바들이 밀려 넣어질 수도 있다.
격자부(134, 136)가 콘크리트 침목(116) 내에서 연장하는 서로의 방향으로 휜 부분들(128, 130), 및 격자부들(134, 136)을 결합시키는 C형의 횡방향 바들을 클립(138)으로서 포함하면서, 거의 지그재그형을 이루고, 종방향 외부 측면들(118, 119)을 따라 연장하게 형성됨으로써, N-각 기둥이 보강부(114)로서 얻어진다.

Claims (15)

  1. 보강부(12, 46, 68, 90, 92, 114, 172)를 구비하는, 슬래브 궤도용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 116, 174)으로서,
    상기 보강부(12, 46, 68, 90, 92, 114, 172)는,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보강부의 부분(30, 178)이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의 바닥(64, 80, 99, 180) 또는 베이스 면 아래에 노출되게 놓이며, 종방향 바들 및 횡방향 바들(18, 20, 22, 24, 32, 33, 34, 35, 40, 42, 54, 55, 56, 57, 70, 72, 74, 76, 84, 85, 86, 87, 100, 102,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 160, 162, 182, 184)을 포함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 116, 174)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2, 46, 68, 90, 92, 114, 172)는 강철 망(150)의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들을 휘어서 제조한, 사다리꼴의 4-각 기둥이고, 노출된 상기 보강부의 부분(30, 178)은 상기 사다리꼴의 긴 베이스 부분이며, 강철 매트의 상기 횡방향 바들(22, 24, 74, 76, 160, 162)의 연속하는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되는 보강부의 부분은 상기 보강부의 부분들과 용접되는 상기 강철 매트의 적어도 2 개의 상기 종방향 바들(18, 20, 32, 33, 40, 42, 55, 57, 70, 72, 85, 87, 106, 108, 112, 142, 143, 152, 154, 156, 158)을 포함하며, 상기 노출되는 보강부의 부분이 상기 횡방향 바들의 연속 부분들과 상기 바닥 사이에 밀어 넣어지거나 상기 연속 부분들 아래에 걸어질 수 있는 다른 종방향 바들(34, 35, 54, 56, 84, 86, 100, 102, 182, 184)을 위한 지지부이고,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내에서 연장하는 사다리꼴의 짧은 베이스 부분의 길이가 단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각 기둥이 등변 사다리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 개의 격자 바디들(90, 9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사다리꼴 바디들(90, 92)이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88)의 외부에서 클립 또는 와이어(98)에 의해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172) 또는 상기 휜 강철 망(150)이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10, 44, 66, 88)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바들(152, 154, 156, 158) 및 상기 종방향 바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바들(160, 1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6.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부(105)가, 종방향 바들과 횡방향 바들의 교차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지나 휘어지는, 강철 망의 하나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이 2 개의 레일 고정부(11, 13)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바디들(90, 92)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블록 인장 콘크리트 침목.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7016118A 2005-12-01 2006-11-28 콘크리트 침목 KR101079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7647A DE102005057647A1 (de) 2005-12-01 2005-12-01 Betonschwelle
DE102005057647.8 200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900A KR20080075900A (ko) 2008-08-19
KR101079566B1 true KR101079566B1 (ko) 2011-11-04

Family

ID=3774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118A KR101079566B1 (ko) 2005-12-01 2006-11-28 콘크리트 침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57713B1 (ko)
KR (1) KR101079566B1 (ko)
CN (1) CN101316964B (ko)
AT (1) ATE460534T1 (ko)
DE (2) DE102005057647A1 (ko)
DK (1) DK1957713T3 (ko)
ES (1) ES2342005T3 (ko)
TW (1) TW200728559A (ko)
WO (1) WO2007062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7551A (zh) * 2018-12-18 2019-03-1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轨枕块与道床之间的组合框架型连接加强结构及施工方法
RU2716373C1 (ru) * 2019-08-19 2020-03-1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етЭлТранс" Способ укрепления торцевых частей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шпал путем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армирования каркасами
CN110886153A (zh) * 2019-12-11 2020-03-1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混凝土长轨枕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4562A1 (de) 2002-06-01 2003-12-18 RWP Gesellschaft für Baustellenautomatisierung mbH Betonfertigteil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0083B2 (en) * 1988-01-28 1992-10-22 Rocla Pty Limited Sleeper construction
CN2175254Y (zh) * 1993-04-23 1994-08-24 徐蕴贤 双块式钢纤维混凝土轨枕
DE19741059C1 (de) * 1997-09-18 1999-05-06 Wayss & Freyt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sten Fahrbahn für schienengebundenen Verkehr, sowie eine Feste Fahrbah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004346C2 (de) * 1999-01-27 2001-11-29 Betonwerk Rethwisch Gmbh Troglose Feste Fahrbahn, Verfahren und Schwellen dafür
DE19963664A1 (de) * 1999-12-29 2001-07-26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Betonschwelle für feste Schienenfahrbahn
DE20011481U1 (de) * 2000-06-30 2000-09-21 Zueblin Ag Konstruktion einer festen Fahrbahn aus zwei Einzelblöcken und die Einzelblöcke vernetzenden Bewehrungen
DE10230741C1 (de) * 2002-07-09 2003-09-18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Zwei- oder Mehrblockschw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4562A1 (de) 2002-06-01 2003-12-18 RWP Gesellschaft für Baustellenautomatisierung mbH Betonfertigteil und 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60534T1 (de) 2010-03-15
EP1957713A1 (de) 2008-08-20
WO2007062799A1 (de) 2007-06-07
KR20080075900A (ko) 2008-08-19
ES2342005T3 (es) 2010-06-30
CN101316964A (zh) 2008-12-03
DE102005057647A1 (de) 2007-06-06
DK1957713T3 (da) 2010-06-28
TW200728559A (en) 2007-08-01
DE502006006415D1 (de) 2010-04-22
EP1957713B1 (de) 2010-03-10
CN101316964B (zh)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743B1 (ko) 콘크리트 침목
KR101840763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JP4967039B2 (ja) 連続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用支持スペーサーの設置方法
KR101079566B1 (ko) 콘크리트 침목
EP2348157A2 (en) Self supporting paver system
JP2012136854A (ja) 道床縦抵抗力強化形ラダーマクラギとその軌道
JP4323226B2 (ja) 合成リブ床版
KR101188632B1 (ko) 경량구조체, 이를 적용한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BE1011014B3 (nl) Balkbodem,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n voor het daarmee vervaardigen van een balk.
RU2372436C1 (ru) Анкер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анкер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и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20060038665A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JP7058004B2 (ja) タイバー保持具
KR200410830Y1 (ko) 연약지반용 방석침목
KR20036021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US6216412B1 (en) Method for the reinforcement of reinforced concrete and reinforcement for use thereof
JPH1010266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4661Y1 (ko) 교량용 슬라브거푸집 지지체
KR100566179B1 (ko) Pc 침목 및 이를 이용한 pc 침목의 배치구조
KR200273443Y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직결체결구용 블럭구조체
JP3984911B2 (ja) 床構造材
JP5852517B2 (ja) レール線形切替えシステム及びレール線形切替え方法
JP3868336B2 (ja) 成形床板支持部材、及び、段差付き床形成方法
CN114197770A (zh) 一种建筑结构
JP3014610U (ja) 鉄筋間隔保持具
JP4490297B2 (ja) 床スラブ形成用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