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680B1 - 자동차 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차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680B1
KR101074680B1 KR1020090066135A KR20090066135A KR101074680B1 KR 101074680 B1 KR101074680 B1 KR 101074680B1 KR 1020090066135 A KR1020090066135 A KR 1020090066135A KR 20090066135 A KR20090066135 A KR 20090066135A KR 101074680 B1 KR101074680 B1 KR 10107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door
housing cover
umb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665A (ko
Inventor
박판석
Original Assignee
박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판석 filed Critical 박판석
Publication of KR2010004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우천시 미닫이 도어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 또는 하차하면서 우산을 접고, 펼치는 동안 비에 젖는 것은 물론 실내로 유입되어 시트 등이 빗물에 젖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우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우천시 도어가 미닫이로 개폐됨과 동시에 차량의 본체 상측에 장착된 하우징 내부로부터 한 쌍의 롤러가 롤러샤프트에 의하여 축설되어지고, 상기 롤러샤프트에는 차단막이 권치되어지되, 상기 차단막의 단부를 하우징커버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커버에 의하여 차단막이 전개되며, 상기 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이 권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승, 하차를 위해 우산을 접고, 편 후에도 빗물에 노출됨이 없이 여유롭게 승, 하차하여 차량과의 부딪침은 물론, 옷과 머리카락 등이 젖는 불쾌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승, 하차시 열어둔 도어로 인해 빗물이 유입되어 이미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또는, 차량 내부가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자동차, 와이어벨트, 이송장치, 제어부, 차단막

Description

자동차 우산{Umbrella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우천시 탑승 또는 하차하면서 우산을 접고, 펼치는 동안 비에 젖는 것은 물론 실내로 유입되어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내부를 오염시키거나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옷과 머리 등이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탑승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은 차량의 도어를 열고난 후에 우산을 접고 차량의 내부로 들어가 승차하게 되며, 또한 하차시에도 차량에서 내리고자하는 사용자들은 먼저 도어를 열고난 후에 우산을 펴고 차량에서 하차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우산을 펴고 접는 과정에서 탑승자의 동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우산을 펴고 접은 후에도 바로 승, 하차의 동작을 빠르게 취할 수 없어 빗물에 노출된 옷과 머리 등이 젖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에 타거나 내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몸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 또는 노인의 경우에는 행동이 신속하지 못하여 많은 양의 빗물에 신체 가 노출되어 머리와 몸 등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 하차를 위해 열어둔 도어로 인해 빗물이 유입되어 이미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차량 내부의 시트 등이 젖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천시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승, 하차를 위해 우산을 접고, 편 후에도 빗물에 노출됨이 없이 여유롭게 승, 하차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승, 하차시 열어둔 도어로 인해 빗물이 유입되어 이미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또는, 차량 내부가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가 미닫이로 개폐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자동차 우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차체 상부에는 한쌍의 도르레가 와이어벨트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와이어벨트의 벨트상에는 상기 도르레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상단이송구와 하단이송구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단이송구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이송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져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하우징커버 사이에 개재되어져 상기 하우징커버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대가 상기 상단이송구와 하단이송구로부터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결합되어지는 지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커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가 개폐됨에 따라 펼쳐지고 접히는 차단막과;
상기 하단이송구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가 개폐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차체의 상부와 대응되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우산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한 쌍의 롤러가 롤러샤프트에 의하여 축설되어지고 상기 롤러샤프트에는 차단막이 권치되어지되, 상기 차단막의 단부를 하우징커버와 고정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커버에 의하여 차단막이 전개되고 상기 롤러의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이 권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측으로 복원스프링의 끝단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전자석에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전자석 상부면에 부착된 상단전원접지봉과 전원스위치에 연결된 하단전원접지봉이 설치되며, 회전링과 와셔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고 하부로 철판이 형성된 고정핀과;
일측으로 하단전원접지봉을 상단전원접지봉에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로와 상기 관통로와 부동케 결합된 복원스프링 내부를 이동하는 작동핀으로 결합되어져 상기 작동핀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상, 하 구동되어지면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차단막을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승, 하차를 위해 우산을 접고, 편 후에도 빗물에 노출됨이 없이 여유롭게 승, 하차함으로써 차량과의 부딪침은 물론, 옷과 머리카락 등이 젖는 불쾌감을 없에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 하차시 열어둔 도어로 인해 빗물이 유입되어 이미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옷을 적시거나 또는, 차량 내부가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우산이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1a, 1b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우산을 자동차의 도어와 차체의 지붕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한 것이다.
이때, 자동차 우산(10)은 차량에 접착식, 나사 고정식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자동차의 도어와 차체의 지붕 사이의 공간부 내측으로 하우징(1)을 삽입한 후, 하우징 커버(2)만 외부로 돌출되어 나올 수 있도록 설치 가능하다.
도 2a,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우산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2a, 2b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자동차 우산(10)은 한쌍의 도르레(11)가 와이어벨트(12)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와이어벨트(12)의 라인상에는 와이어벨트(12)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단이송구(13)에는 고정공(13a)이 형성된 이송장치(3)를 수용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결합되어져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커버(2)와;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커버(2) 사이에 개재되어져 상기 하우징커버(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대(15)가 상기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로부터 하우징커버(2)의 내측에 엇갈리게 결합되어지는 지지부(4)와;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커버(2)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2)가 개폐됨에 따라 펼쳐지고 접히는 차단막(32)과; 상기 하단이송구(13)에 형성된 고정공(13a)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2)가 개폐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차체의 상부와 대응되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한 쌍의 롤러(21)가 롤러샤프트(31)에 의하여 축설되어지고, 상기 롤러샤프트(31)에는 차단막(32)이 권치되어지되, 상기 차단막(32)의 단부를 하우징커버(2)와 고정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커버(2)에 의하여 차단막(32)이 전개되고, 상기 롤러(21)의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6)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32)이 권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롤러(21) 내부에 구성된 판스프링(6)의 경우 일단은 롤러샤프트(31)에 고정되고, 타단은 롤러(21)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롤러샤프트(31)에 권치된 차단막(32)이 풀려지면 롤러샤프트(31)의 회전에 의해 조밀하게 감겨진 후, 감겨진 판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롤러샤프트(31)를 회전시켜 차단막(32)을 권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 몸체 내부의 구성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5b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하단이송구(13)에 형성된 고정공(13a)과 결합하여 하우징커버(2)가 하우징(1)으로부터 개폐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5)는 상측으로 고정핀(51)과 몸체 일측으로 작동핀(52)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핀(51)에는 전자석(59)에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59) 상부면에 부착된 상단전원접지봉(57)과 전원스위치(63)에 연결된 하단전원접지봉(58)이 설치되며, 상기 하단전원접지봉(58)을 상단전원접지봉(57)에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작동핀(52)의 관통로(53)에 복원스프링(54)이 움직이지 않도록 접착되고, 회전링(55) 내부로 고정핀(51)이 끼워지되, 고정핀(51)의 상단턱(51b)으로 인해 회전링(55)은 고정핀(51)으로부터 이탈방지되며, 코일스프링(60)과 회전링(55) 사이에 와셔(56)가 결합되고, 고정핀(51)의 하단부에는 철판(61)이 결합되며, 고정핀(51)의 중간부에 형성된 천공부(51a)에는 복원스프링(54)의 끝단을 끼워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전자석(59) 상부면에 부착된 하단전원접지봉(58)은 좌,우로의 이동 이 자유로우면서 전자석(59)과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5)는 자동차 우산(10)의 하우징(1)이 설치된 자동차의 차체 상부와 대응되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되, 작동핀(52)이 형성된 일측은 차량의 차체와 접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평상시 비가 내리지 않는 날의 경우 전원스위치(63)를 오프하여 제어부(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우천시에는 전원스위치(63)를 온하여 제어부(5)에 전원이 공급되게 유지한다.
이로 인해 우천시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 경우 차체에 의해 눌려있던 작동핀(52)이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내측으로 밀고있던 하단전원접지봉(58)이 압축스프링(62)의 탄성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단전원접지봉(57)과 접하게 되면 제어부(5) 내부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석(59)에 자력이 발생하게되고, 자력에 의해 고정핀(51) 하부에 형성된 철판(61)이 전자석(59)에 부착되면서 고정핀(51)은 복원스프링(54)을 억누르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열려 있던 도어가 닫힐 때에도 돌출되어 있던 제어부(5)의 작동핀(52)이 차량의 차체에 의해 눌려지면서 내측으로는 하단전원접지봉(58)을 밀어 접해있던 상단전원접지봉(57)과 떨어져 제어부(5)로의 전원이 차단되며, 전자석(51)은 자력이 소멸되어 철판(61)과 분리되면서 복원스프링(54)에 의해 고정핀(51)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우산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우산의 측단면도이다.
도 6a, 6b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우천시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차량에 승, 하차하기 위해 도어를 열 경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부(5)에 형성된 고정핀(51)이 하단이송구(13)에 형성된 고정공(13a)에 진입하여 결합하게 되고,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하단이송구(13)가 결합된 와이어벨트(12)는 한 쌍의 도르레(11)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를 각각 좌, 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하우징커버(2)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지지대(15)가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로부터 하우징커버(2)의 내측에 엊갈리게 결합되어진 지지부(4)는 상, 하단이송구(14,13)의 이동으로 절첩된 지지대(15)가 평행하게 펴지면서 하우징커버(2)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되고, 하우징(1) 내부의 롤러샤프트(31)에 권치되어진 차단막(32)은 상기 차단막(32)의 단부가 고정 결합된 하우징커버(2)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권치되어진 차단막(32)이 자연스럽게 펼쳐지게 되며, 상기 지지부(4)는 펼쳐진 차단막(32)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는 하우징(1)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레일(43)과 하단레일(41) 위를 이동하게 되며, 상부 걸림턱(44)과 하부 걸림턱(42)에 의해 하우징(1) 내에서 이탈됨이 없이 좌, 우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하우징커버(2)와 지지부(4)와 상, 하단이송구(14,13)가 결합된 와이어벨트(12)가 쳐지거나 끊어짐없이 도르레(11)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절첩된 지지대(15)가 평행하게 펴진 후에도 하우징커버(2) 및 지 지대(4)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을 상, 하단이송구(14,13)가 견뎌낼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차량에 승, 하차 후, 도어를 닫을 경우에도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제어부(5)에 형성된 고정핀(51)이 하단이송구(13)를 도어를 열때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도르레(11)를 회전시키고, 도르레(11)의 회전에 의해 상단이송구(14)는 하단이송구(13)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평행하게 펴진 지지대(15)를 절첩하여 하우징커버(2)를 닫게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1) 내부의 롤러샤프트(31)에 권치되어지는 차단막(32)은 상기 차단막(32)의 단부가 고정 결합된 하우징커버(2)가 후방으로 퇴출되는 동시에 롤러(21) 내부의 판스프링(6)에 의해 롤러샤프트(31)가 회전되면서 차단막(32)은 권치되며, 도어가 챠량의 차체에 완벽하게 닫힌 후에는 제어부(5)에 형성된 작동핀(52)이 눌려지면서 고정핀(51)은 하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우산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우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 몸체 내부의 구성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우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우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하우징커버
3 : 이송장치 4 : 지지부
5 : 제어부 6 : 판스프링
10 : 자동차우산 11 : 도르레
12 : 와이어벨트 13 : 하단이송구
13a : 고정공 14 : 상단이송구
15 : 지지대 21 : 롤러
31 : 롤러샤프트 32 : 차단막
41 : 하단레일 42 : 하부 걸림턱
43 : 상단레일 44 : 상부 걸림턱
51 : 고정핀 51a: 천공부
51b : 상단턱 52 : 작동핀
53: 관통로 54 : 복원스프링
55: 회전링 56 : 와셔
57 :상단전원접지봉 58: 하단전원접지봉
59 : 전자석 60 : 코일스프링
61 : 철판 62 : 압축스프링
63 : 전원스위치

Claims (3)

  1. 도어가 미닫이로 개방되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자동차우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차체 상부에는 한쌍의 도르레(11)가 와이어벨트(12)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와이어벨트(12)의 벨트상에는 상기 도르레(11)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단이송구(13)에는 고정공(13a)이 형성된 이송장치(3)를 수용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결합되어져 전방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우징커버(2)와;
    상기 하우징(1)과 하우징커버(2) 사이에 개재되어져 상기 하우징커버(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대(15)가 상기 상단이송구(14)와 하단이송구(13)로부터 하우징커버(2)의 내부에 결합되어지는 지지부(4)와;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커버(2)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2)가 개폐됨에 따라 펼쳐지고 접히는 차단막(32)과;
    상기 하단이송구(13)에 형성된 고정공(13a)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커버(2)가 개폐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차체의 상부와 대응되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한 쌍의 롤러(11)가 롤러샤프트(31)에 의하여 축설되어지고 상기 롤러샤프트(31)에는 차단막(32)이 권치되어지되, 상기 차단막(32)의 단부를 하우징커버(2)와 고정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커버(2)에 의하여 차단막(32)이 전개되고 상기 롤러(21)의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6)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32)이 권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는 상측으로 복원스프링(54)의 끝단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천공부(51a)가 형성되고, 전자석(59)에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전자석(59) 상부면에 부착된 상단전원접지봉(57)과 전원스위치(63)에 연결된 하단전원접지봉(58)이 설치되며, 회전링(55)과 와셔(56) 사이에 코일스프링(60)이 결합되고 하부로 철판(61)이 형성된 고정핀(51)과;
    일측으로 하단전원접지봉(58)을 상단전원접지봉(57)에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로(53)와 상기 관통로(53)와 부동케 결합된 복원스프링(54) 내부를 이동하는 작동핀(52)으로 결합되어져 상기 작동핀(52)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핀(51)이 상, 하 구동되어지면서 상기 이송장치(3)에 의해 상기 차단막(32)을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우산.
KR1020090066135A 2008-10-14 2009-07-21 자동차 우산 KR101074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0445 2008-10-14
KR1020080100445 200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65A KR20100041665A (ko) 2010-04-22
KR101074680B1 true KR101074680B1 (ko) 2011-10-21

Family

ID=422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135A KR101074680B1 (ko) 2008-10-14 2009-07-21 자동차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71A (ko) * 2015-09-18 2017-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폴딩도어 링크 루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2101A1 (en) 2002-11-04 2004-05-26 TIEN, Tseng Ping Extendable rain shield over vehicle entrance
JP3115578U (ja) 2005-08-08 2005-11-10 川口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雨よけ装置
JP3148141U (ja) 2008-01-08 2009-02-05 丸山 秀樹 自動開閉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2101A1 (en) 2002-11-04 2004-05-26 TIEN, Tseng Ping Extendable rain shield over vehicle entrance
JP3115578U (ja) 2005-08-08 2005-11-10 川口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雨よけ装置
JP3148141U (ja) 2008-01-08 2009-02-05 丸山 秀樹 自動開閉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171A (ko) * 2015-09-18 2017-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폴딩도어 링크 루프 시스템
KR102315858B1 (ko) * 2015-09-18 202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폴딩도어 링크 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65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2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ifting a cover
KR101074680B1 (ko) 자동차 우산
KR101182357B1 (ko) 차량용 빗물 차단막
KR200448498Y1 (ko) 우산
US7090282B2 (en) Shading assembly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JP2009234554A (ja) 自動車乗り降り時の雨濡れを防止する拡縮式雨除け傘
KR100595843B1 (ko) 차량용 비 차단장치
EP0798200A2 (en) Seat cover for motorcycles
JP2006076411A (ja) 車輛用雨除け装置
JP2006151361A (ja) 雨除け装置
JP7236967B2 (ja) 内装カバー
KR20140016027A (ko) 빗물 흐름 방지 우산
KR0141044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20170142546A (ko) 자동차 우산
JP6497946B2 (ja) 折戸装置
KR20060028214A (ko)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102554837B1 (ko) 휠체어용 탈부착식 커버장치
JP2002325611A (ja) 雨 傘
JP2003135117A (ja) 雨 傘
JP2003024116A (ja) 雨 傘
JPH078313A (ja) 傘カバー
KR200178137Y1 (ko) 차량의 우산 수납장치
KR20140114654A (ko) 차량 도어용 차우막
JP2007143700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