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361B1 -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 Google Patents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361B1
KR101073361B1 KR1020090039301A KR20090039301A KR101073361B1 KR 101073361 B1 KR101073361 B1 KR 101073361B1 KR 1020090039301 A KR1020090039301 A KR 1020090039301A KR 20090039301 A KR20090039301 A KR 20090039301A KR 101073361 B1 KR101073361 B1 KR 10107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ad
lead frame
tie bar
chip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470A (ko
Inventor
장영주
Original Assignee
세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36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제1 칩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의 제1 다이패드(10)와; 제2 칩이 탑재되고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격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사각형상인 제2 다이패드(20)와;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제2 다이패드(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갭(30)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 및 제2 다이패드(20)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리드(40)들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를 지지하는 제1 타이바(5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지지하는 제2 타이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 분리형. 다이패드

Description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 Lead Frame With Separation Type Die Pad }
본 발명은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제1 칩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의 제1 다이패드와, 제2 칩이 탑재되고 제1 다이패드와 격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사각형상인 제2 다이패드와, 제1 다이패드와 제2 다이패드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다이패드와 제2 다이패드를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갭과, 복수의 외부리드(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의 패드에 두개의 칩이 탑재되는 리드프레임의 평면도와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하나의 패드에 두개의 칩이 탑재되는 리드프레임은 칩이 탑재되는 다이패드(2)와 다이패드(2)의 주위에 배치된 외부리드(3)와 다이패드를 일정시점까지 고정해주는 타이바(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드에 두개의 칩을 탑재하는 경우 종래 기술은 넓은 다이패드(2)에 에폭시 접착제(5, 6)를 별도 영역에 도포한 후 그 위에 두개의 칩1(7)과 칩2(8)를 별도로 위치시킴으로써 탑재가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의 경우 칩 1과 칩 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최소한 에폭시 접착제(5, 6)중 하나의 접착제를 절연성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했다. 예를들어 본 출원인의 경우 하나의 에폭시 접착제(5)는 절연성 에폭시를 사용하였고 다른 하나의 에폭시 접착제(6)는 전도성 접착제(예를들어, Ag 에폭시)를 사용하여 칩을 다이패드에 접착시켰다. 즉, 종래기술은 두개의 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칩을 절연성 접착제로 접착시켜야 하는 제점이 있었고, 생산공정에서 절연성 에폭시 접착제의 두께가 불균일하거나 도포가 요구되는 부분 중 일부에 미도포되는 경우 품질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이패드를 분리형성한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칩을 부착하는 경우 모두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 개선된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은,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제1 칩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의 제1 다이패드(10)와;
제2 칩이 탑재되고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격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사각형상인 제2 다이패드(20)와;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제2 다이패드(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갭(30)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 및 제2 다이패드(20)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리드(40)들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를 지지하는 제1 타이바(5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지지하는 제2 타이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다이패드를 분리형성한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칩을 부착하는 경우 모두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 개선된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드라는 용어는 패들(Paddle)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이 복수개 형성된 리드프레임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은 제1 다이패드(10)와 제2 다이패드(20)와 분리갭(30)과 제1 타이바(50)와 제2 타이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은 도전성 박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이 또는 칩이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리드프레음은 한쌍의 칩이 단일 패키지에 캡슐봉입되는 경우 효과를 발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패드(10)는 제1 칩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이며, 제2 다이패드(20)는 제2 칩이 탑재되고 제1 다이패드(10)와 격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제1 다이패드(10)와 같이 사각형상이다.
분리갭(30)은 제1 다이패드(10)와 제2 다이패드(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서로 분리시킨다. 외부리드(40)들은 제1 다이패드(10) 및 제2 다이패드(20) 주위에 배치되며 복수개로 형성된다.
제1 타이바(50)는 제1 다이패드(10)를 지지한다. 제2 타이바(60)는 제2 다이패드(20)를 지지한다. 제1 타이바(50)는 제1 다이패드(10)와 수직을 이루면서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2 타이바(60)도 제2 다이패드(20) 대비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는 정사각형 형상임이 칩 탑재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1 타이바(50)는 제1 다이패드(10)의 좌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좌측타이바(51)와 제1 다이패드(10)의 하측으로부터 연결되는 하측타이바(5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타이바(60)는 제2 다이패드(20)의 우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우측타이바(66)와 제2 다이패드(20)의 상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상측타이바(6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타이바(66)는 제2 다이패드(20)의 우측으로부터 이웃하는 제1a 다이패드(10a)까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가 분리갭(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둘중 하나의 부착을 위해 반드시 절연성 에폭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둘다 Ag 에폭시 등의 도전성 에폭시를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이패드가 분리되어 있는 관계로 리드프레임의 열팽창율이나 접착제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생기는 열응력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의 패드에 두개의 칩이 탑재되는 리드프레임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의 패드에 두개의 칩이 탑재되는 리드프레임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이 복수개 형성된 리드프레임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다이패드
20 : 제2 다이패드
30 : 분리갭
40 : 외부리드
50 : 제1 타이바
60 : 제2 타이바
51, 56, 61, 66 : 타이바

Claims (3)

  1.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제1 칩이 탑재되는 사각형상의 제1 다이패드(10)와;
    제2 칩이 탑재되고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격리된 상태로 인접하여 구비되며 사각형상인 제2 다이패드(20)와;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제2 다이패드(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갭(30)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 및 제2 다이패드(20)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리드(40)들과;
    상기 제1 다이패드(10)를 지지하는 제1 타이바(5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를 지지하는 제2 타이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다이패드(10)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는 정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1 타이바(50)는 상기 제1 다이패드(10)의 좌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좌측타이바(51)와 상기 제1 다이패드(10)의 하측으로부터 연결되는 하측타이바(56)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타이바(60)는 상기 제2 다이패드(20)의 우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우측타이바(66)와 상기 제2 다이패드(20)의 상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상측타이바(61)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타이바(66)는 상기 제2 다이패드(20)의 우측으로 이웃하는 제1a 다이패드(10a)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090039301A 2009-05-06 2009-05-06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KR10107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01A KR101073361B1 (ko) 2009-05-06 2009-05-06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01A KR101073361B1 (ko) 2009-05-06 2009-05-06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70A KR20100120470A (ko) 2010-11-16
KR101073361B1 true KR101073361B1 (ko) 2011-10-13

Family

ID=4340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01A KR101073361B1 (ko) 2009-05-06 2009-05-06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3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06B1 (ko) * 1998-02-27 2007-06-2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리드 프레임 장치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06B1 (ko) * 1998-02-27 2007-06-2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리드 프레임 장치와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494939 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470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3899A (en) Semiconductor lead frame having connection bar and guide rings
JP4149439B2 (ja) 半導体装置
JP5634033B2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6348726B1 (en) Multi row leadless leadframe package
US7141867B2 (en) Quad flat non-leaded package
US7405467B2 (en) Power module package structure
JP2009135444A5 (ko)
JP2008182175A (ja) モールド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US8581117B2 (en) Conductive substrate for formation of LED package structures thereon
US8093707B2 (en) Leadframe packages having enhanced ground-bond reliability
JPH08236685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のリードフレーム構造
TW200625585A (en) A wire-bonding type lead frame package
KR101486790B1 (ko) 강성보강부를 갖는 마이크로 리드프레임
JP2010186831A (ja) 半導体装置
US7875968B2 (en) Leadframe, semiconductor package and support lead for bonding with groundwires
KR101073361B1 (ko) 분리형 다이패드를 갖는 리드프레임
US7002239B1 (en) Leadless leadframe packaging panel featuring peripheral dummy leads
CN205488205U (zh) 片式支架、片式器件阵列以及片式器件
CN101308832B (zh) 用于无引线封装的引线框、其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CN112635424A (zh) 一种用于芯片封装的引线框架
KR100632256B1 (ko) 더미리드들을 포함하는 리드 온 칩형 리드 프레임
KR101001207B1 (ko) 리드프레임을 이용한 칩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2378A (ko) 반도체 패키지
KR100726774B1 (ko) 다열 리드형 리드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열 리드형반도체 패키지
KR100550322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