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991B1 - 다중 주파수 발진기 - Google Patents

다중 주파수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991B1
KR101072991B1 KR1020050080939A KR20050080939A KR101072991B1 KR 101072991 B1 KR101072991 B1 KR 101072991B1 KR 1020050080939 A KR1020050080939 A KR 1020050080939A KR 20050080939 A KR20050080939 A KR 20050080939A KR 101072991 B1 KR101072991 B1 KR 10107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scillator
circuit
present
re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137A (ko
Inventor
임대호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9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2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5/00Simultaneous generation by a free-running oscillator of oscillation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08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ment with a variable capacitance, e.g. capacitance diod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적회로 설계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주파수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항 및 캐패시터에 의한 면적을 줄일 수 있고 RC 트리밍이 불필요한 다중 주파수 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 블럭과, 상기 발진기 블럭에 접속된 RC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RC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캐패시터와,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수의 저항과 캐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중 주파수 발진기가 제공된다.
다중 주파수, 발진기, RC 회로, 병렬, 직렬, 스위치

Description

다중 주파수 발진기{MULTI-FREQUENCY OSCILLA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발진기 블럭
SEL<1:n>: 선택신호
본 발명은 집적회로 설계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주파수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내에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할 때 발진기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집적회로가 하나의 주파수의 신호가 아닌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필요 로 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를 위해 다수의 발진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중 주파수 발진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는, 선택신호 SEL<1:n>에 응답하여 n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 블럭(10)과,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RC 회로를 구비한다.
RC 회로는 각각 서로 다른 RC값을 가지는 n가지의 RC 조합으로 구성되며, 그의 선택은 선택신호 SEL<1:n>에 의해 제어 받는 각각의 스위치(SW1, SW2, …, SWn)에 의해 이루어진다.
선택신호 SEL<1>에 의해 턴온되는 스위치(SW1)에는 그 일측이 접지전압단에 접속된 캐패시터 C1과 그 일측이 전원전압단(VDD)에 접속된 저항 R1이 연결되며, 다른 RC 조합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선택신호 SEL<1>에 의해 스위치 SW1이 턴온되어 R1C1을 사용하여 발진을 하여 주파수 신호 freq1이 출력단(out)으로 출력되고, 선택신호 SEL<2>에 의해 스위치 SW2가 턴온되어 R2C2를 사용하여 발진을 하여 주파수 신호 freq2이 출력단(out)으로 출력되고, 선택신호 SEL<n>에 의해 스위치 SWn이 턴온되어 RnCn을 사용하여 발진을 하여 주파수 신호 freqn이 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종래의 다중 주파수 발진기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n개의 저항(C1이 가장 작고 Cn이 가장 큼)과 n개의 캐패시터(C1이 가장 작고 Cn이 가장 큼)를 필요로 하는데, 저항과 캐패시터가 큰 면적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원하는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얻지 못하는 경우 RC값을 각각 재설정(RC trimming)해 줘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항 및 캐패시터에 의한 면적을 줄일 수 있고 RC 트리밍이 불필요한 다중 주파수 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 블럭과, 상기 발진기 블럭에 접속된 RC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RC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캐패시터와,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수의 저항과 캐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중 주파수 발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발진기는, 선택신호 SEL<1:n>에 응답하여 n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 블럭(20)과,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RC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발진기 블럭(20)은 변경하지 않고, RC 회로만을 변경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RC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n개의 저항(R11, R22, …, Rnn)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n개의 캐패시터(C11, C22, …, Cnn)와, 선택신호 SEL<1:n>에 대응하는 수의 개수만큼의 저항과 캐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SWR1, SWR2, …, SWRn, SWC2, SWC3, …, SWCn)를 구비한다. 즉, 선택신호 SEL<1:n>에서 n=3인 선택되면, SEL<1:3>에 대응하는 수의 개수인 3개의 저항(R11, R22, R33)과 3개의 캐패시터(C11, C22, C33)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R11 + R22 + … + Rnn이 상기 도 1의 Rn값과 동일하다고 보면 되고, C11 + C22 + … + Cnn 역시 상기 도 1의 Cn값과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예컨대, 발진 주파수 freq3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 스위치 SWR3, SWC2, SWC3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R11 + R22 + R33(상기 도 1의 R3와 동일한 저항값)의 R 성분과, C11 + C22 + C33(상기 도 1의 C3와 동일한 캐패시터값)의 C 성분이 선택되어 발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req1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 스위치 SWR1이 턴온되고 이에 따라 R11(상기 도 1의 R1과 동일한 저항값)의 R 성분과, C11(상기 도 1의 C1과 동일 캐패시터값)의 C 성분이 선택되고, 이 때의 발진 주파수는 [R11/(R11 + R22 + … Rnn)]*C11이 된다.
또한, freq3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 스위치 SWR3, SWC2, SWC3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R11 + R22 + R33(상기 도 1의 R3와 동일한 저항값)의 R 성분과, C11 + C22 + C33(상기 도 1의 C3와 동일한 캐패시터값)의 C 성분이 선택되고, 이 때의 발진 주파수는 [(R11 + R22 + R33)/(R11 + R22 + … Rnn)]*(C11 + C22 + C33)가 된다.
이와 같이 다중 주파수를 구현하는 경우, 상기 도 1의 종래기술에 비해 R1 + R22 + … + Rn-1의 저항 면적과 C1 + C22 + … + Cn-1의 캐패시터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적회로의 면적 증가에 대한 부담이 없기 때문에 선택신호 SEL의 비트수(n)를 늘리고 RC 회로의 값을 좀더 세분화하더라도 별도의 RC 트리밍 없이도 원하는 발진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 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RC값을 구현하기 위하여 저항과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RC를 LC 또는 L로 대체하거나 이들을 혼합 적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집적회로의 면적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RC 트리밍 없이도 정확한 발진 주파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발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진기 블럭과,
    상기 발진기 블럭에 접속된 RC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RC 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저항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캐패시터와,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수의 개수만큼의 저항과 캐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중 주파수 발진기.
KR1020050080939A 2005-08-31 2005-08-31 다중 주파수 발진기 KR10107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939A KR101072991B1 (ko) 2005-08-31 2005-08-31 다중 주파수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939A KR101072991B1 (ko) 2005-08-31 2005-08-31 다중 주파수 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137A KR20070025137A (ko) 2007-03-08
KR101072991B1 true KR101072991B1 (ko) 2011-10-12

Family

ID=3809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939A KR101072991B1 (ko) 2005-08-31 2005-08-31 다중 주파수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33B1 (ko) 2008-10-09 201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제어 발진기
CN105654127A (zh) * 2015-12-30 2016-06-08 成都数联铭品科技有限公司 基于端到端的图片文字序列连续识别方法
CN109709999B (zh) * 2018-12-27 2020-12-01 普冉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控制输出频率温度系数的实现方法及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137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9218B2 (ja) スイッチング容量生成回路、電圧制御発振器、及びlcバンドパスフィルター
US8963618B2 (en) Radio frequency switch with improved switching time
KR101072991B1 (ko) 다중 주파수 발진기
US8901973B2 (en) Multi-band frequency multiplier
US9755575B1 (en) Variable frequency RC oscillator
KR20080077051A (ko) 발진 회로
US6369622B1 (en) Clock doubler circuit with RC-CR phase shifter network
US20180109227A1 (en) Amplifier with adjustable gain
KR940023056A (ko) 동조전압 발생회로
US20090224843A1 (en) Programmable Crystal Oscillator
EP0938186B1 (en) Switching of a capacitor on a mutually exclusive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integrated amplifiers
JP3116318B2 (ja) 直列共振で運転される共振器を有するフイルタ回路
KR100634952B1 (ko) 스위칭 회로 및 그것을 갖는 전압 제어 발진 장치
JP2008067191A (ja) 周波数選択型発振器回路
JP2006114711A (ja) 保護回路及びこれを搭載した半導体集積回路
Kumar et al. Design of tunable versatile filter using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JP2008072553A (ja) 電圧制御水晶発振器
JPH01126822A (ja) プログラマブル入力回路
KR20220003718A (ko) 전류 발생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오실레이터
KR100930789B1 (ko)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 레벨을 가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JP2000059142A (ja) 出力切換回路
JP2003209452A (ja) 減衰器
JP2008263312A (ja) 水晶発振回路
JPH03195109A (ja) 差動増幅回路
JP2004328533A (ja) 周波数切替水晶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