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34B1 - 보안라벨 - Google Patents

보안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34B1
KR101072634B1 KR1020090056148A KR20090056148A KR101072634B1 KR 101072634 B1 KR101072634 B1 KR 101072634B1 KR 1020090056148 A KR1020090056148 A KR 1020090056148A KR 20090056148 A KR20090056148 A KR 20090056148A KR 101072634 B1 KR101072634 B1 KR 10107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curity label
colored
labe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895A (ko
Inventor
남의조
Original Assignee
남의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의조 filed Critical 남의조
Priority to KR102009005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7Multi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 G09F2003/0277Tamper resi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또는 서류에 게재된 고유번호가 수취인에게 전달되기 전에 타인에 의하여 미리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치 않게 라벨이 박리되었으나 고유번호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도 판별할 수 있는 보안라벨에 관한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모양을 형성하는 표시부층와; 상기 베이스필름층 및 상기 표시부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잉크층과; 상기 잉크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리무벌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안라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안라벨{A SECURITY LABEL}
본 발명은 제품의 보안이나 보호를 위한 보안라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품 또는 서류에 게재된 고유번호가 수취인에게 전달되기 전에 타인에 의하여 미리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치 않게 라벨이 박리되었으나 고유번호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도 판별할 수 있는 보안라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권, 여권, 신분증명서, 공증 등과 같은 증명수단 및 귀중문서 등에는 각 서류에 대한 시리얼 넘버 또는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추가적인 보안특성을 부가하거나 또는 기존의 특성에 대한 위조행위의 적발과 방지를 향상시켜 각 물품의 보안특성을 개선하였다.
상기 시리얼넘버 또는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라벨에 의하여 가려져서 보호되는데, 이러한 라벨은 상품 또는 문서의 진정성 표시를 제공하고, 또한 무단 사용의 표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벨에 임의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부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라벨들은 타인의 무단사용 여부는 인지할 수 있으나, 라벨을 박리할 때 라벨이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종이표면부분을 파손시켜 실제 사용자 가 고유번호를 인지할 때 어려움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타인이 라벨을 박리하고 다시 붙여 놓는 경우에는 이를 쉽게 적발하기가 어렵고, 라벨이 박리된 경우 무조건 고유번호가 유출되었다고 판단하여야 하므로, 호기심 또는 의도치 않게 라벨이 박리되었을 뿐 고유번호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련 제품을 폐기하여야 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인이 라벨을 박리하였다가 다시 붙이는 경우를 용이하게 적발할 수 있고, 또한 라벨 박리 시 고유번호가 인쇄되어 있는 종이표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안라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보안라벨이 박리만 되고 고유번호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를 선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보안라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모양을 형성하는 표시부층와; 상기 베이스필름층 및 상기 표시부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잉크층과; 상기 잉크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리무벌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안라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색층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알루미늄층으로 형성되거나, 유색 잉크가 도포된 잉크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무벌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베이스필름층 및 유색층, 잉크층과의 상호 결합력보다는 약하고, 상기 표시부층과 상기 유색층과의 결합력보다는 강하고, 상기 접착제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벨을 박리하는 경우 피착물인 종이류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 고유번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고유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라벨을 박리하고, 잔사를 제거하여야 고유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3자가 라벨을 박리하고 이 라벨을 다시 붙여놓을 경우, 라벨표면이 파손되어 무단사용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을 피사체에 부착 후, 떼어낸 경우 남는 잔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라벨은 베이스필름층(10)과, 표시부층(20)과, 유색층(30)과, 잉크층(40)과, 접착제층(50)과, 이형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필름층(1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재가 이용되나, 페이퍼 또는 합성지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층(20)은 상기 베이스필름층(10)의 배면측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층(20)은 문형이나 그림 등의 모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형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층(20)을 이루는 이형잉크는 상기 유색층(30)과의 결합력이 약한 성질을 가지므로, 도 2 (b)에서 같이 보안라벨 박리 시 유색층(30)과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층(20)은 씰링인쇄, 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기법 등에 의하여 인쇄되며 모양이 인쇄된 후에는 열풍건조공정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표시부층(20)으로 다수의 "VOID" 문자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하고 상기 보안라벨을 피착물(70)에 접착한 후 다시 라벨을 박리하는 경우 상기 문자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 박리한 라벨이라는 것을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필름층(10) 및 상기 표시부층(20)의 배면 측 부위에는 유색층(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색층(30)은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형성되며, 라벨표면의 색상을 결정한다. 그리고 본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색층(30)을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형성하였으나, 라벨표면의 다른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색상의 유색잉크를 도포하여 유색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색층(30)의 배면측에는 잉크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층(40)은 어두운 색채를 가지는 잉크를 도포시킨 코팅층으로 상기 유색층(30)과의 결합력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잉크층(40)의 색상은 검정, 밤색 및 남색 등과 같은 투시율이 낮은 색으로 선택되어 제3자가 불빛에 라벨을 비추어 보아도 투시가 되어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층(40)의 배면에는 리무벌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층(50)이 형성된다. 상기 리무벌접착제(50)는 피 부착물의 표면에 파손을 주지 아니하고 재 부착을 할 수 있는 접착제이다.
상기 접착제는 비닐아세테이트(VAM, Vinyl Acetate Monomer)계, 아크릴 (Aclyl)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계, 시아노 아크 릴 에이트(Cyano Acrylate)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계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 원료를 주 성분으로 하여 각종 첨가제를 부가함으로써 접착력과 반복탈착할 수 있는 성질이 양호하도록 제조된다.
상기 리무벌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베이스필름층(10) 및 유색층(30), 잉크층(40)과의 상호 결합력보다는 약하고, 상기 표시부층(20)과 상기 유색층(30)과의 결합력보다는 강하다.
이에 따라 라벨 박리 시, 상기 표시부층(20)의 하면은 상기 유색층(30)과 박리되고, 상기 피착물(70)과 상기 접착제층(50) 사이 면이 박리되어 일정 모양(void)의 잔사가 피착물의 표면에 잔류한다.
즉, 보안라벨이 박리되면 상기 피착물(70)의 표면 상에 잔류되어 있는 유색층(30)에 의하여 소정의 모양이 피착물(70) 상에 표시되어, 본 보안라벨이 이미 박리된 적이 있다는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층(50)의 배면에는 이형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형지(60)는 상기 접착제층(5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보안라벨을 사용하는 경우, 생산자는 접착제층의 배면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이 보안라벨을 피착물(70)인 제품에 형성된 고유번호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그 후, 제품에 형성된 고유번호를 사용자가 파악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보안라벨을 상기 피착물로부터 박리한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층(20)과 상기 유색층(30) 사이가 박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표시부층(2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유색층(30), 잉크층(40) 및 접착제층(50) 등이 피착물로부터 박리된다. 이 때 상기 접착제층(50)은 리무벌 접착제로 형성되므로 상기 피착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피착물 표면의 파손이 방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표시부층(20) 하측의 유색층(30) 및 상기 유색층(30)의 배면에 형성된 잉크층(40), 접착제층(50)은 피착물(70)의 표면에 남아 있게 되어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보안라벨이 이미 사용된 것이라는 것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품 상에 게재되어 있는 고유번호는 상기 피착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유색층(30), 잉크층(40) 및 접착제층(50) 등으로 인하여 잘 보이지 아니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제품의 고유번호를 파악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색층(30), 잉크층(40) 및 접착제층(50)을 손가락 또는 기타도구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제품의 고유번호를 파악한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가 리무벌 접착제이므로 상기 유색층(30), 잉크층(40) 및 접착제층(50)을 제거하는 경우 피착물을 파손시키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손쉽게 고유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라벨의 경우, 보안라벨이 박리되면 상 기 유색층(30)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색층(30)에 의하여 소정 모양이 표현되므로 타인이 보안라벨을 박리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차로 고유번호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은, 배송자 또는 어린이가 실수로 상기 보안라벨을 박리시켰으나 상기 유색층을 피착물에서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유색층, 잉크층 및 접착제층이 피착물에 그대로 남아 있어 고유번호가 가려진 상태로 보존되므로 상기 고유번호가 유출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의도치 않게 상기 보안라벨이 박리만 되고 고유번호는 유출되지 아니한 경우를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라벨을 피사체에 부착 후, 떼어낸 경우 남는 잔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베이스필름 20 : 표시부
30 : 유색층 40 : 잉크층
50 : 접착제층 70 : 피착물

Claims (5)

  1.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층과;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모양을 형성하는 표시부층와; 상기 베이스필름층 및 상기 표시부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유색층과; 상기 유색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색상을 가지는 잉크층과; 상기 잉크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며, 리무벌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보안라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알루미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라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은 유색 잉크가 도포된 잉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라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무벌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베이스필름층 및 유색층, 잉크층과의 상호 결합력보다는 약하고, 상기 표시부층과 상기 유색층과의 결합력보다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라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보안라벨.
KR1020090056148A 2009-06-23 2009-06-23 보안라벨 KR10107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48A KR101072634B1 (ko) 2009-06-23 2009-06-23 보안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48A KR101072634B1 (ko) 2009-06-23 2009-06-23 보안라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95A KR20100137895A (ko) 2010-12-31
KR101072634B1 true KR101072634B1 (ko) 2011-10-11

Family

ID=4351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48A KR101072634B1 (ko) 2009-06-23 2009-06-23 보안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16B1 (ko) * 2020-01-29 2020-08-26 (주)모닝터치 보안봉투
KR20210112969A (ko) 2020-03-07 2021-09-15 장성환 보안라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031B (zh) * 2018-12-24 2024-03-26 北京品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标贴
KR20240000412U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신전 보안 라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16B1 (ko) * 2020-01-29 2020-08-26 (주)모닝터치 보안봉투
KR20210112969A (ko) 2020-03-07 2021-09-15 장성환 보안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9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634B1 (ko) 보안라벨
US20190009491A1 (en) Easily peelable laminate label, production method thereof, usage method thereof, adherend with easily peelable laminate label, and opening determination method
JP2003160772A (ja) 不正な処理を示す機密保持用接着テープ
CN202736387U (zh) 一种纹理防伪标签
JP2009109703A (ja) 開封識別機能付き2層隠蔽ラベル
JP2016006459A (ja) 改ざん防止ラベル及び改ざん防止ラベルの再利用有無の判定方法
KR100840407B1 (ko) 개봉 확인용 테이프
JP2007178558A (ja) 剥がし検知機能付き粘着シート
JP7108402B2 (ja) 粘着フィルム
CN201224715Y (zh) 防伪胶带
JP3907258B2 (ja) 両面接着シート
JP2004331696A (ja) 剥離表示機能付き粘着シート
JP2012008304A (ja) ラベル
JP4044356B2 (ja) 開封確認用シール
JP2002040946A (ja) 再貼付不正使用防止ラベル
JPH08137396A (ja) 偽造防止用シール
CN113728371A (zh) 密封膜
JP4137930B2 (ja) 積層粘着体の貼着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39312A (ja) 封印体及び封印シート
KR101826860B1 (ko) 접착 시트 및 상기 접착 시트의 불량 확인 방법
KR100986978B1 (ko) 외력감지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N212161123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防伪标签
CN217847334U (zh) 一种防伪标签
CN210378104U (zh) 一种具有唯一标识的防伪标志
JP4915853B2 (ja) 隠蔽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