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291B1 -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 Google Patents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291B1
KR101071291B1 KR1020080084841A KR20080084841A KR101071291B1 KR 101071291 B1 KR101071291 B1 KR 101071291B1 KR 1020080084841 A KR1020080084841 A KR 1020080084841A KR 20080084841 A KR20080084841 A KR 20080084841A KR 101071291 B1 KR101071291 B1 KR 10107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pulse width
converter
signal
fixe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637A (ko
Inventor
즈항 킹유
진 시아오이
펭 유리
예 즈히홍
즈하오 킹린
Original Assignee
라이트온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온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라이트온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응되는 제어기(3)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3)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을 감지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감지된 출력 전압(Vo)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 및, 펄스폭 변조 신호 및 고정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여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를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로직 합성 유닛(33)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84841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 제어기

Description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CONTROLLER FOR USE IN A RESONANT DIRECT CURRENT/ DIRECT CURRENT CONVERTER}
본 발명은 제어기(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파수 변조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브리지(half bridge)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resonant direct current converter: 11)는, 통상적으로 주파수 변조(modulation) 제어기(controller: 12)에 의하여 제어되고, 이러한 주파수 변조 제어기(12)는 상기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11)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고, 이러한 운전 조건이 변화하고 있는 경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을 요구되는 레벨로 유지시킨다. 상기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11)는 두 개의 스위치(미도시),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위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나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출력 전압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11)는 최적의 운전 지점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변화 범위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른 변화에 의하여 야기되는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계 허용범위를 크게 가져가야 하는 결과를 낳는다. 게다가 상기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11)에 내재된 변화 가능한 주파수 특성이 제어의 복잡성을 또한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도록 적응되는 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는 다른 출력 부하 또는 입력 조건 하에서 최적의 운전 주파수, 즉, 공진 주파수에서 운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도록 적응되는 제어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는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ing unit),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fixed frequency signal generating unit) 및 로직 합성 유닛(logic synthesizing unit)을 포함한다.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기 위하여, 또한 이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출력 전압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커플링(coupling)되도록 적응된다.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은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로직 합성 유닛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스위치를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스위치의 제어가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및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되고, 구조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는 모든 부하 조건들에서 상기 최적 운전 조건에서 확실하게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switching)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트레스(stress)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은 아래의 첨부의 도면을 참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제어기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3)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에 사용되도록 적응된다. 상기 제어기(3)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적응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이 요구를 만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는 대칭형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이고, 이것은 제1 및 제2 스위치(21, 2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기(3)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제1 및 제2 스위치(21, 22) 모두를 제어하도록 적응된다. 더욱이,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는 커패시터(capacitor: 23), 공진 인덕터(inductor: 24), 변압기(transformer: 25) 및 두 개의 동기 정류기(synchronous rectifier: 26, 27)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동기 정류기(26, 27)는 상기 변압기(25)의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는 공지의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술은 명세서의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3)는 비대칭형 LLC, 풀(full) 브리지 LLC, 대칭형 하프 브리지 LC, 비대칭형 LC, 및 풀 브리지 LC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와 같은 다른 형태의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제어기(3)는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 및 로직 합성 유닛(33)을 포함한다.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을 감지하기 위하여, 또한 이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출력 전압(Vo)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적응된다.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예시적인 파형이 도 4(I)에 도시되어 있다. 도 4(I) 내지 도 4(V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과 관련된 다수의 신호들을 각각 도시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은 도 4(II)에 도시된 예시적인 파형과 같은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은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으로부터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을 위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로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를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을 위한 동기 신호로 사용한다.
상기 로직 합성 유닛(33)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제1 및 제2 스위치들(21, 22)을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아래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는 제1 고정 주파수 신호로 언급된다. 상기 로직 합성 유닛(33)은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로부터 도 4(II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 고정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의 위상과 역이 되는 위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상기 제1 스위치(21)를 구동하기 위한, 도 4(IV)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구동신호로 언급되는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로직 합성 유닛(33)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다중 합성(multiplication synthesis)을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로직 합성 유닛(33)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제2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다중 합성(multiplication synthesis)을 더 수행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상기 제2 스위치(22)를 구동하기 위한, 도 4(V)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의 전압 레벨에 대하여 역으로 변화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가진다.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고정된 주기를 가진다는 것이 여기에서 특별히 언급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의 전압 레벨이 너무 낮다는 것을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고정된 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낮은 신호 레벨의 시간 경과(time duration)가 감소되게 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들(21, 22)의 켜지는 시간 경과가 증가되면 이에 따라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상기 출력 전압(Vo)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이와는 반대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의 전압 레벨이 너무 크다는 것을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고정된 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낮은 신호 레벨의 시간 경과(time duration)가 증가되게 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들(21, 22)의 켜지는 시간 경과가 감소되면, 이에 따라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결과로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상기 출력 전압(Vo)은 정상(定常) 레벨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단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공진 전류를 더 감지하여, 상기 출력 전압(Vo) 및 이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공진 전류에 따라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적응된다. 상기 공진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이 도 4(Vi)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진 전류와 상기 출력 전압(Vo) 사이의 변조 에러들이 비교되어,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이중 루프 제어(double loop control)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를 가진다는 것이 특별히 언급되어야만 한다. 특히,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의 1/10 보다 크지 않다. 게다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들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제1 및 제2 스위치들(21, 22)을 구동하도록 적응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동기 정류기들(26, 27)을 구동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제어를 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주파수 신호 및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결합하기 때문에, 모든 부하 조건 하에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최적 운전 지점(즉, 실질적으로 고정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지점)에서 확실하게 운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제1 및 제2 스위치들(21, 22)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에 있는 상기 공진 유도자(24) 및 상기 변압기(25)와 같은 자성 요소(magnetic components)에 대한 최적 설계가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상승 에지(edg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동기 신호로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에 의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한 사이클의 펄스폭이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각 듀티 사이클에서 높은 신호 레벨에서 일정하게 확실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도 4(V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진 전류에 대한 일정한 활성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상승 에지(edg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동기 신호로 사용되지만, 또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하강 에지(falling edge)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동기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측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3)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들(21, 22)의 제어가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및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되고, 구조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는 모든 부하 조건들에서 최적 운전 조건에서 확실하게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3)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들(21, 22)의 스위칭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위치들(21, 22)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파수 변조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하프 브리지 LLC 공진형 직류 변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위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제어기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I) 내지 도 4(V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과 관련된 다수의 신호들을 각각 도시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에 사용되도록 적응되는 제어기(3)로서,
    상기 제어기(3)는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출력 전압(Vo)을 감지하기 위하여, 또한 이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출력 전압(Vo)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적응되는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 및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스위치를 구동하도록 적응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로직 합성 유닛(3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은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으로부터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 발생 유닛(32)은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동기 신호로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상승 에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은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공진 전류를 더 감지하도록 적응되고, 이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공진 전류 및 상기 출력 전압(Vo)에 따라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의 상기 주파수는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의 1/10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합성 유닛(33)은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 및 상기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다중 합성(multiplication synthesis)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는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2)의 상기 출력 전압(Vo)의 전압 레벨에 대하여 역으로 변화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KR1020080084841A 2008-01-31 2008-08-29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KR101071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03735A TWI346440B (en) 2008-01-31 2008-01-31 Controller for use in resonant direct current/direct current converter
TW097103735 2008-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637A KR20090084637A (ko) 2009-08-05
KR101071291B1 true KR101071291B1 (ko) 2011-10-07

Family

ID=4063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841A KR101071291B1 (ko) 2008-01-31 2008-08-29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44715B2 (ko)
EP (1) EP2086099A2 (ko)
JP (1) JP4767294B2 (ko)
KR (1) KR101071291B1 (ko)
TW (1) TWI346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2207B (zh) * 2009-08-05 2013-04-01 Silitek Electronic Guangzhou 直流/直流轉換裝置與跳頻控制模組及跳頻控制方法
CN102136801B (zh) * 2010-01-21 2014-02-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谐振转换器以及其间歇模式控制方法
WO2013166579A1 (en) * 2012-05-10 2013-11-14 Arda Power Inc. Dc-dc converter circuit using an llc circuit in the region of voltage gain above unity
US9318968B2 (en) 2010-02-18 2016-04-19 University of Toronto Governing Council DC-DC converter circuit for high input-to-output voltage conversion
US9059636B2 (en) 2010-02-18 2015-06-16 Peter Waldemar Lehn DC-DC converter circuit using LLC circuit in the region of voltage gain above unity
CN102281002B (zh) * 2010-06-09 2014-05-14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谐振式电力转换电路
TWI404318B (zh) * 2010-06-09 2013-08-0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諧振式電力轉換電路
TWI411204B (zh) * 2010-09-01 2013-10-0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諧振變換裝置與諧振變換器的控制模組及其方法
CN102570804B (zh) * 2010-12-28 2015-02-2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直流电源转换模组、其控制方法、连接器及能量采集系统
KR101964224B1 (ko) * 2012-02-03 2019-04-01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공진형 dc-dc 컨버터의 제어장치
US8902089B2 (en) * 2012-05-02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igital modulation
WO2014012159A1 (en) * 2012-07-19 2014-01-23 Frost Damien Multi-mode control of a full bridge resonant converter
US9325249B2 (en) 2013-03-13 2016-04-26 Apple Inc. Single stage boost-asymmetric LLC
JP6341386B2 (ja) * 2013-05-30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0504837B (zh) * 2018-05-16 2020-10-3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转换电路及电源转换电路控制方法
CN109873562B (zh) * 2019-02-11 2020-06-26 安徽工业大学 一种llc谐振变换器结构及其控制方法
KR20220082524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전기연구원 공진형 컨버터, 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13098284A (zh) * 2021-04-15 2021-07-09 上海奉天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适应宽输出范围变增益llc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8760A (ja) * 1990-06-25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共振型dc―dcコンバータの出力制御方法
US5687067A (en) * 1995-05-30 1997-11-1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noise controller for pulse width modulated converters
US6304473B1 (en) * 2000-06-02 2001-10-16 Iwatt Operating a power converter at optimal efficiency
US6882552B2 (en) * 2000-06-02 2005-04-19 Iwatt, Inc. Power converter driven by power pulse and sense pulse
DE10322870B4 (de) * 2003-05-21 2009-10-0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chaltwandlers und Ansteuerschaltung zur Ansteuerung eines Schalters in einem Schaltwandler
US7471530B2 (en) * 2006-10-04 2008-12-30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audio frequencies in a switching power supply
US20090034298A1 (en) * 2007-07-30 2009-02-05 Champion Microelectronic Corpo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Resonant Type DC/DC Converter With Low Power Loss At Light Load And Stand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4715B2 (en) 2011-05-17
TWI346440B (en) 2011-08-01
JP4767294B2 (ja) 2011-09-07
JP2009183138A (ja) 2009-08-13
EP2086099A2 (en) 2009-08-05
TW200934080A (en) 2009-08-01
US20090196080A1 (en) 2009-08-06
KR20090084637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291B1 (ko) 공진형 직류/직류 변환기에 사용되는 제어기
US5923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KR100889528B1 (ko) 소프트 스타트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176179B1 (ko) 전압 변환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582321B2 (en) Resonant converters and burst mode control method thereof
US5859771A (en) Half/full bridge converter
JP569947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78720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938560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1919625B1 (ko) 전류제어 모드 dc-dc 컨버터
WO2011162410A1 (en) Multi-phase converter
JP3568870B2 (ja) コンバータ
JP6882798B2 (ja) 電源供給装置及び負荷に電源を供給する方法
JP2020127268A (ja) 共振型コンバータ制御回路とその制御方法及び共振型コンバータ
KR100726440B1 (ko) 듀얼 ih회로 제어 장치
KR100784313B1 (ko) Ih회로 제어 장치
JP4535813B2 (ja) 圧電トランスを用いた電源装置
JP4425029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102512265B1 (ko) 전원 공급 장치
JP3269460B2 (ja) 圧電トランス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US10904975B1 (en) Dimming for open-loop resonate converters
JP25125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61871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484654B2 (ja) コンバータ及びコンバータ制御方法
JP5396878B2 (ja) クロック同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