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20B1 -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20B1
KR101070620B1 KR1020060119753A KR20060119753A KR101070620B1 KR 101070620 B1 KR101070620 B1 KR 101070620B1 KR 1020060119753 A KR1020060119753 A KR 1020060119753A KR 20060119753 A KR20060119753 A KR 20060119753A KR 101070620 B1 KR101070620 B1 KR 10107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egulating blade
bracket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324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20B1/ko
Priority to US11/839,770 priority patent/US7894755B2/en
Priority to CNA2007101958520A priority patent/CN101192031A/zh
Publication of KR2008004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17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la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Abstract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현상유니트는 현상프레임과;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와; 현상부재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부재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와;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현상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와 도 2b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a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b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 각각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3a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b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a와 도 5b각각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의 장착 전과 후의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 각각은 도 3a의 현상유니트가 도 7의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순서를 보인 도면으로, 도 8a는 장착 전 도면이고, 도 8b는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부재 상에 레버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8c는 장착 완료 후 도 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21 : 현상프레임 115 : 지지프레임
120, 220, 323 : 현상부재 130, 230, 325 : 규제블레이드
130a, 230a : 벤딩부 140, 240, 330 : 위치 가변부
141, 241, 331 : 브라켓 143, 245, 335 : 위치 조정부재
145, 249, 339 : 탄성부재 211 : 지지부
246, 336 : 캠부재 247, 337 : 레버부재
300 : 하우징 301 : 메인프레임
305 : 가이드부재 310 : 감광매체
340 : 전사유니트 350 : 광주사유니트
360 : 정착유니트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고 현상에 기여하는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장착 유무에 따라 규제 블레이드의 설치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유니트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현상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현상유니트는 현상부재(10)와 블레이드(2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부재(10)는 감광드럼(30)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시켜 상기 감광드럼(30)으로 공급한다. 상기 블레이드(20)는 현상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을 박층으로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현상부재(10)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는 블레이드(20)에 의해 박층화된 후, 감광드럼(30)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킨다.
상기 블레이드(20)는 상기 현상부재(1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벤딩(bend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 벤딩부(21)를 가지며, 탄성력을 갖는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일정한 접촉 선압으로 상기 현상부재(10)에 접촉되어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상기 현상부재(10)는 통상 도전성 고무롤러로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계열의 합성고무에 이씨오(Epichiorohydrin Copolymer; ECO)를 배합한 재질 또는 실리콘 계열의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현상유니트는 폴리에스터 레진(Polyester Resin)에 왁스(Wax), 착색제, 대전제어제(Charge Control Agent) 등을 내첨하고 실리카 및 금속산화물 등을 외첨하여 구성된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니트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전 단계 에 있어서, 그 내부에 상기 현상제가 적재된 상태로 유통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0)와 현상부재(10) 사이에 위치된 벤딩부(21)에 현상제가 위치하며, 상기 현상부재(10)는 정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벤딩부(21)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선압에 의하여 현상제를 이루는 물질 중 외첨제 일부가 분리 되며, 상기 벤딩부(21)와 이에 접촉되는 현상부재(10) 상에 각각 고착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유니트를 통하여 화상 형성시, 수직백선(Streak)과, 수평백선(Migration)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직백선은 상기 벤딩부(21)에 고착된 외첨제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화상 형성시 기록재의 진행방향으로 기록재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백선은 상기 현상부재(10)에 고착된 외첨제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부재(10)의 회전주기로 기록재의 진행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기록재 상에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현상유니트는 블레이드(20)가 현상 프레임 내에 고정된 방식이므로, 장착시부터 현상부재(10)에 큰 선압으로 접촉됨으로써, 현상부재가 회전 구동되지 않는 유통 과정에서 블레이드(20)에 접촉되는 현상부재(10)의 표면 변형과, 블레이드의 벤딩부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제 외첨제의 고착에 의한 화상결함을 방지하고, 현상부재와 규제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프레임과; 상기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와; 상기 현상부재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부재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와; 상기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켜,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현상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왕복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레임을 가지는 하우징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기록재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유니트의 장착을 가이드하며, 상기 현상유니트의 장착에 연동되어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a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b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는 현상프레임(110)과, 이 현상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0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120)와, 상기 현상부재(120)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130) 및 상기 현상부재(120)에 대한 상기 규 제블레이드(130)의 접촉 위치(P1, P2)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기 감광매체(10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일 구성을 이룬다. 한편, 현상유니트는 제품의 출시 및 유통단계에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취급된다.
상기 현상유니트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된 경우, 상기 현상부재(120)는 상기 감광매체(도 2b의 100)에 접촉하여 회전되거나 비접촉된다.
상기 현상프레임(110)은 상기 현상부재(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부재(120)를 지지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와 위치 가변부(140)의 설치 기준이 된다.
상기 현상부재(120)는 유통 과정 및 인쇄 휴지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지만, 화상형성시에는 회전 구동된다.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는 일정 선압을 가지고 상기 현상부재(1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부재(120) 상에 공급 형성된 현상제층을 규제한다.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는 화상형성시 현상부재(120)와의 접촉되는 부분이 일정 선압을 유지하도록,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0.07 내지 0.2 [mm]을 가진다. 또한 규제블레이드(130)는 상기 현상부재(120) 쪽 단부에 소정 곡률로 벤딩(bending) 형성된 벤딩부(130a)를 가진다. 상기 벤딩부(130a)의 벤딩 반경은 0.05 내지 0.5 [mm]가 가능하다. 상기 위치 가변부(140)는 상기 현상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 상부재(120)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의 접촉위치를 가변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가변부(140)는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를 지지하는 브라켓(141)과,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41)은 현상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110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를 결합 지지하는 지지부(141a)와, 이 지지부(141a)에 대하여 굴곡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탄성부재(145)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가압부(141b) 및, 상기 위치 조정부재(143)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조정부(141c)를 가진다.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는 상기 지지부(141a)에 용접되거나 접착제로 부착된다.
상기 위치 가변부(140)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현상유니트의 장착 유무에 따라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의 상기 현상부재(120)에 대한 접촉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조정부재(143)는 상기 현상프레임(110)이 메인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규제블레이드(130)가 상기 현상부재(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141)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정부재(143)는 상기 조정부(141c)와 상기 현상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에서 이송되는 것으로, 그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시 상기 위치 조정부재(143)가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경사진 상부(143a)가 상기 조정부(141c)에 접촉되어 상기 브라켓(141)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위치 조정부재(143)의 조정에 의하여, 상기 현상부재(120)와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의 접촉되는 부분의 중심이 미장착시 P2에서 장착시 P1으로 Δm 만큼 이동된다.
상기 위치 가변부(140)는 상기 규제블레이드(130)가 상기 현상부재(12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상기 브라켓(141)의 가압부(141b)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5)는 상기 현상프레임(110) 상에 이격 형성된 지지프레임(115)과 상기 가압부(141b)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5)가 상기 가압부(141b)를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현상부재(120)와 상기 규제블레이드(130)의 접촉되는 부분의 중심이 미장착시 P2를 유지하고, 장착시 P1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가변부(140)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현상유니트의 장착유무에 따라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를 가변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상기 위치 가변부(140)를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를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a와 도 2b를 상호 비교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현상유니트는 제품의 출시 및 유통단계에서는 화상형성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취급되는 바, 도 2a는 이 경우의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현상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의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현상부재(120), 현상프레임(110) 및 지지프레임(115)은 위치가 고정된 반면, 규제블레이드(130)와 일체화된 브라켓(141)은 현상프레임(110)에 마련된 가이드슬릿(110a)을 통해 도면의 위아래로 수직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 2a에서는 상기 브라켓(141)이 현상프레임(110)상에 안착되며, 상기 위치조정부재(150)에 대해서는 이격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5)과 가압부(141b)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145)에 의해 상기 브라켓(141)은 도면의 아랫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규제블레이드(130)는 벤딩부(130a) 이외의 다른 위치가 상기 현상부재(120)에 접촉된다. 도 2a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도 현상부재(120)와 규제블레이드(130) 사이의 접촉부분인 P2 에 현상제의 외첨제 등이 끼여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끼여든 외첨제는 규제블레이드(130)와 현상부재(120) 사이에서 일정한 압력을 받으며 규제블레이드(130)의 P2 부분에 고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현상부재(120)와 규제블레이드(130)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살펴볼 때, P2는 벤딩되지 않은 면이므로 현상부재(120)와 규제블레이드(130)의 상호 접촉면적이 도 2b에 비하여 넓다. 따라서, 상호 작용 압력이 분산되므로, 상기한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 이외의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 비하여 압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유니트의 장착 전 상태에서 현상부재(120)와 규제블레이드(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작용 압력이 낮으므로, 현상부재(120)의 표면에 고착되는 현상제의 외첨제 량이 종래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현상부재(120)의 표면 일부에 현상제 고착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평백선(Migration) 을 줄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현상유니트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현상유니트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그 장착하는 힘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분과 상기 위치조정부재(143)가 접촉하면서 위치조정부재(143)가 도 2a 위치에서 도 2b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41)의 조정부(141c)가 도면의 윗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규제블레이드(130)가 현상부재(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Δm 만큼 이동하면서, 벤딩부(130a)의 접촉 위치 P1가 현상부재(120)의 표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미장착시 현상제가 고착된 규제블레이드의 부분 P2는 장착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벤딩부 P1가 현상부재(120)에 접촉되므로 수직백선(Streak)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규제블레이드(120)의 변위 Δm은 0.5 내지 5 [mm] 범위의 값을 가진다. 변위 Δm이 5 [mm]를 벗어나 지나치게 커지면 현상유니트 장착과 연동된 위치조정부재(143)의 움직임을 구성하기 어렵고, 변위 만큼의 거리확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규제블레이드(130) 자체가 유동 됨으로써 현상제 누출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변위 Δm이 0.5 [mm] 이내인 경우는 P2에 고착된 외첨제를 회피할 수 없어서 수직백선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 각각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3a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b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각각은 현상유니트의 장착 전과 후의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는 현상프레임(210)과, 이 현상프레임(210)에 설치되며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미도시)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220)와, 상기 현상부재(220)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230) 및 상기 현상부재(220)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의 접촉 위치(P3, P4)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현상유니트의 장착 유무에 따라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와 현상부재(220) 사이의 접촉 위치(P3, P4)를 가변시키는 점과,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와 실질상 동일하며, 상기 위치 가변부(240)를 구성을 달리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구성 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 가변부(240)는 장착시 현상부재(220)과 접촉되는 벤딩부(230a)를 가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230)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가변부(240)는 상기 현상프레임(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241)과, 상기 브라켓(241)을 이동시켜 상기 현상부재(220)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2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가변부(240)는 상기 규제블레이드(230)가 상기 현상부재(220)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상기 브라켓(241)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재(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프레임(2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지지부(211)와 상기 브라켓(241)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동작 위치 각각에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245)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규제블레이드(2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위치 조정부재(245)는 현상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기 전인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3a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규제블레이드(230)가 위치되도록 하고, 현상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는 도 3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블레이드(230)가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241)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조정부재(245)는 캠부재(246)와, 레버부재(247)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재(246)는 상기 현상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편심된 외부 곡면을 가진다. 상기 레버부재(247)는 상기 캠부재(246)의 적어도 일 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캠부재(246)의 회전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 캠부재(246)는 상기 레버부재(247)의 작동 상태에 따라 조절되면서, 상기 브라켓(241)을 도면의 위아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레버부재(247)는 미장착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캠부재(246)는 상기 브라켓(241)이 도면의 아래방향에 위치되어, 규제블레이드(230)의 접점위치 P4 부분이 상기 현상부재(220)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미장착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247)의 단부를 도면의 아 랫방향으로 수직에 가깝게 배치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 상기 레버부재(247)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간섭되어 자동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상태로 절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후에는 상기 레버부재(247)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41)을 가압하는 캠부재(246)의 높이 규제가 완화되면서, 상기 탄성부재(249)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241)이 도 3a에 도시된 구성에 비하여 도면의 윗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접점위치 P4 보다 Δm 만큼 변위된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의 접점위치 P3 가 상기 현상부재(220)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착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247)를 수직에 가깝게 배치한 이유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후에 후술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가이드부재에 규제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규제블레이드(230)의 변위 Δm의 범위는 제1실시예 따른 현상유니트의 경우와 같다.
이하, 도 6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 각각은 도 3a의 현상유니트가 도 7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순서를 보인 도면으로, 도 8a는 장착 전 도면이고, 도 8b는 메인프레임의 가이드부재 상에 레버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8c는 장착 완료 후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00)과, 이 하우징(300) 내부에 마련된 감광매체(310), 현상유니트(320), 감광매체(310)에 현상된 화상을 기록재(M)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니트(340) 및 기록재(M)에 전사된 미정착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360)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매체(310)는 대전기(311)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유니트(350)에서 주사된 광빔에 감응하여 그 표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유니트(320)는 상기 하우징(3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310)에 현상제(T)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유니트(320)는 현상프레임(321)과, 이 현상프레임(321)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310)에 현상제(T)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323)와, 상기 현상부재(323)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325)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325)의 접촉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가변부(330)는 규제블레이드(325)를 지지하는 브라켓(331)과, 규제블레이드(325)의 접촉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335) 및, 상기 규제블레이드(325)가 상기 현상부재(323)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상기 브라켓(331)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33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정부(335)는 상기 현상프레임(321)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331)을 왕복 이동시키는 캠부재(336)와, 상기 캠부재(336)를 조절하는 레버부재(337)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니트(3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니트의 구성 및 동작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현상유니트(320)는 감광매체(310)와 더불어 일체형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T)가 모두 소모시 교환 사용된다. 이때, 상기 현상유니트(320)가 상기 하우징(300) 내의 정위치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마련된 가이드부재(30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05)는 상기 현상유니트(320)의 장착을 가이드하며, 상기 현상유니트(320)의 장착에 연동되어 상기 규제블레이드(325)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레버부재(337)의 위치를 규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재(305)는 상기 하우징(300)의 메인프레임(301) 내벽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현상유니트(320)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레버부재(337)가 회동되면서, 상기 규제블레이드(325)가 상승하여, 그 접촉 부분이 변경되도록 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305)는 상기 현상유니트(320)가 진입하는 진입부(305a)와, 진입된 현상유니트(320)를 하우징(300)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05b) 및 현상유니트(320)가 안착되는 안착부(305c)로 구분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서, 현상유니트(320)가 하우징(300) 내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현상유니트(320)가 상기 진입부(305a)에 진입할 때, 상기 레버부재(337)는 세워진 상태로 상기 진입부(305a)에 최초 접촉된다. 이어서, 상기 현상유니트(320)가 상기 진입부(305a)를 통하여 진입시, 상기 레버부재(337)와 상기 진입부(305a) 사이에 작용하는 접촉력에 의하여, 레버부재(337)가 회전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37)가 회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305b)를 따라 상기 현상유니트(320)가 진행한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37)가 상기 안착부(305c)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현상유니트(3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여기서, 도 8a의 레버부재(337) 위치가 도 5a의 규제블레이드(325) 위치에 대응되고, 도 8c의 레버부재(337) 위치가 도 5b의 규제블레이드(325) 위치에 대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337)가 회전하면서, 상기 규제블레이드(325)의 상기 현상부재(323)에 대한 접촉위치가 P4에서 벤딩부(230a) 위치인 P3로 변경된다.
한편, 현상유니트(320)의 장착 전에는 P4 위치가 접촉 위치로서, 이 부분에 현상제의 외첨제가 고착된다. 그리고, 장착 후는 상기 접촉 위치 P4 보다 Δm 만큼 변위된 P3 위치가 접촉되므로, 수직백선(Streak)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부재(323)와 규제블레이드(325)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살 펴볼 때, P4는 벤딩되지 않은 면이므로 현상부재(323)와 규제블레이드(325)의 상호 접촉면적이 장착시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넓다. 따라서, 상호 작용 압력이 분산되므로, 상기한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 이외의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 비하여 압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유니트(320)의 장착 전 상태에서 현상부재(323)와 규제블레이드(32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작용 압력이 낮으므로, 현상부재(323)의 표면에 고착되는 현상제의 외첨제 량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므로, 현상부재(323)의 표면 일부에 현상제 고착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평백선(Migration)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니트의 장착과 미장착 상태에 따라서 규제블레이드 접촉면이 변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규제블레이드의 접촉면과 현상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현상제 외첨제 고착문제로 인하여 초래되는 화상상 수직백선(Streak)이나 수평백선(Migration)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 단순화된 구성으로 규제블레이드 접촉면을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상제의 외첨제가 고착된 규제블레이드 면을 청소하거나 회피하기 위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현상유니트의 장착과 연동되어 자동적으로 외첨제의 고착면이 접촉면에서 회피 됨 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품질 향상에 따른 소비자 만족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상부재 상에 인가되는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압력에 있어서, 인쇄 중에 필요한 압력보다 적은 압력이 인쇄하지 않은 미사용 시점에 적용됨으로써, 외첨제의 고착 정도 자체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제블레이드의 압력에 의한 현상부재의 눌림량 자체도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1.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에 있어서,
    현상프레임과;
    상기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부재와;
    상기 현상부재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부재 상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며, 상기 현상부재 쪽 단부에 벤딩 형성된 벤딩부를 가지는 규제블레이드와;
    상기 현상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규제블레이드는,
    상기 위치 가변부에 의하여 접촉위치가 조정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 상기 벤딩부가 상기 현상부재에 접촉되고, 미장착시 상기 벤딩부 이외의 다른 면이 상기 현상부재에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켜,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 유무에 따라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현상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왕복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의 벤딩 반경이 0.05 내지 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니트.
  10.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을 가지는 하우징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 성하는 것으로, 제1항에 따른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에서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와;
    상기 기록재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규제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현상부재에 대한 상기 규제블레이드의 접촉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재와;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현상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규제블레이드가 상기 현상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을 왕복 이동시키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현상유니트의 장착을 가이드하며, 상기 현상유니트의 장착에 연동되어 상기 규제 블레이드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060119753A 2006-11-30 2006-11-30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07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53A KR101070620B1 (ko) 2006-11-30 2006-11-30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839,770 US7894755B2 (en) 2006-11-30 2007-08-16 Developing unit with toner regula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A2007101958520A CN101192031A (zh) 2006-11-30 2007-11-30 显影单元和使用该显影单元的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53A KR101070620B1 (ko) 2006-11-30 2006-11-30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24A KR20080049324A (ko) 2008-06-04
KR101070620B1 true KR101070620B1 (ko) 2011-10-07

Family

ID=3947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53A KR101070620B1 (ko) 2006-11-30 2006-11-30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94755B2 (ko)
KR (1) KR101070620B1 (ko)
CN (1) CN1011920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263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JP5287163B2 (ja) * 2008-11-18 2013-09-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792989B2 (ja) * 2011-04-25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20405B2 (en) * 2012-01-12 2015-04-28 Lexmark International, Inc. Bias member for the doctor blade of the developer unit in an imaging Device
JP6132101B2 (ja) * 2013-10-07 2017-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545428B2 (en) * 2017-05-29 2020-01-28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fixing regulating blade and develop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358A (ja) * 1982-07-30 1984-02-06 Toshiba Corp 現像装置
GB2128109B (en) * 1982-10-15 1986-10-29 Ricoh Kk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images
US4760422A (en) * 1985-01-16 1988-07-2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using single component toner
JPS63213873A (ja) * 1987-03-03 1988-09-06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US5068691B1 (en) * 1989-06-01 1995-01-24 Fujitsu Ltd Developing device with a controllable pressure release for the developing roller
JP2578381B2 (ja) * 1990-08-21 1997-02-05 富士通株式会社 一成分現像装置
EP0547238B1 (en) * 1991-07-06 1997-05-28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using a one-pack developing agent
JP3127344B2 (ja) * 1993-05-20 2001-01-2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6342238A (ja) 1993-06-01 1994-12-13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19353A (ja) 1994-05-20 1995-12-08 Fujitsu Ltd クリーナユニット及び像形成装置
JP3110640B2 (ja) * 1995-01-20 2000-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3507571B2 (ja) * 1995-03-06 2004-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JP3788820B2 (ja) 1996-03-04 2006-06-2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H1195634A (ja) 1997-09-24 1999-04-09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84720B2 (ja) 1998-09-28 2009-06-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4372108B2 (ja) * 2006-02-02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23987A (ko) * 2006-09-12 2008-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층규제장치, 이를 채용한 현상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층규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24A (ko) 2008-06-04
US20080131173A1 (en) 2008-06-05
CN101192031A (zh) 2008-06-04
US7894755B2 (en)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620B1 (ko) 현상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930006609B1 (ko) 현상장치
KR101357679B1 (ko)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9360825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RU2011154107A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US6809752B2 (en) Optical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94781B1 (ko) 현상제층규제장치 및 이를 채용한 현상유닛
US20170285555A1 (en) Lubricant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20060165433A1 (en) A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522222A (ja)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部材帯電方法及び画像エンジン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201464A (ja) 画像形成装置
JP3234133B2 (ja) 現像装置
CN100405229C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方法
JPH0546016A (ja) 層規制装置
KR100256612B1 (ko) 현상롤러의토너층규제장치
KR200233152Y1 (ko) 화상형성장치의전사롤러고정장치
US6366753B1 (en) Charger wire tensioning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ing
JPH0442847Y2 (ko)
KR2003455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닙 유지장치
KR100238328B1 (ko) 인쇄기의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JP2002258635A (ja) 画像形成装置
KR20000010292A (ko) 인쇄기용 감광벨트 텐션 조정장치
JP20061234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2851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