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36B1 -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36B1
KR101068936B1 KR1020040051079A KR20040051079A KR101068936B1 KR 101068936 B1 KR101068936 B1 KR 101068936B1 KR 1020040051079 A KR1020040051079 A KR 1020040051079A KR 20040051079 A KR20040051079 A KR 20040051079A KR 101068936 B1 KR101068936 B1 KR 10106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ster
slave
bu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062A (ko
Inventor
루이 몽탈보
디디에르 도엥
로렝 블롱드
엠마뉴엘 졸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5000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I2C 버스를 통해 디바이스에서의 셀에 어드레싱하는 방법이 제안되며, 여기서 공통적인 어드레싱 구성은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에 의해 보충된다.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는 어드레스 및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규정하여, 뒤이어 디바이스 어드레싱이 이루어져서, 이를 통해 버스에 연결된 디바이스 내부에 셀의 직교 및 확장가능 어드레싱을 허용한다. 본 방법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기록하기 위한 기존의 I2C 표준과 완전히 호환된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 사이의 연결의 설정 및 종료 뿐 아니라 바이트 수신의 응답은 표준에 따른다.

Description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METHOD AND DATA STRUCTURE FOR RANDOM ACCESS VIA A BUS CONNECTION}
도 1은 I2C 버스 표준에 따라 기록 액세스를 위한 I2C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어드레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I2C 버스 표준에 따라 판독 액세스를 위한 I2C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어드레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판독 동작을 위한 I2C 디바이스의 어드레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록 동작을 위한 I2C 디바이스의 어드레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의 일반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한 어드레스 및 데이터 길이의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EPROM: 전기 소거 및 프로그래밍 판독 전용 메모리
SDA: 직렬 데이터 라인 SCL: 클록 라인
버스 연결은, 적어도 일부분이 하나 초과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배선 또는 라인을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이다. 버스 연결은 직렬 또는 병렬일 수 있고, 즉 정보는 단일 데이터 라인 또는 다수의 병렬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버스 연결은 특정 시간 기간에 송신된 정보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클록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연결은 예를 들어 핸드세이크(handshake), 칩 선택 등을 위해 다수의 전용 라인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직렬 버스 연결인 I2C 버스와 같은 다수의 표준화된 버스 연결이 알려져 있다.
I2C 버스는 내부-IC 통신에 사용된 쌍방향 2-배선 버스이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동시에 최대 1024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 중에서 하나의 단일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최대 개수의 제한은 I2C 버스 표준에 의해 한정된 어드레스 필드의 크기(10 비트)의 결과이다. 개별적인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I2C 버스 표준에 규정되고, 디바이스를 명백하게 식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EEPROM(Electric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은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기기 및 디바이스에 저장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여기서 저장된 정보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조차 유지되어야 한다. 다수의 EEPROM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쉽게 이용가능하다. I2C 버스 표준을 따르는 EEPROM 내용으로의 액세스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부 EEPROM 제조자는, 마스터 디바이스가 EEPROM의 하나의 메모리 페이지(128 바이트)까지 무작위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전용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서 내장된 EEPROM 메모리의 크기는 크게 증가하고, I2C 버스를 통한 이 메모리 내용의 무작위 액세스는 표준에 규정된 어드레스 공간의 한계로 인해 처리하는데 어렵다.
일반적으로 I2C 버스의 물리적 층은 병렬 방식으로 모든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2개의 배선으로 구성된다. 직렬 데이터 라인(SDA)은 직렬 방식으로 송신될 데이터를 전달하고, 직렬 클록(SCL)은 클록 신호를 제공하고, 데이터 속도를 결정한다. 각 클록 주기는 하나의 1 비트가 전달되게 한다. 연결의 START 및 STOP 상태는 양쪽 라인상에서 미리 결정된 논리 레벨에 의해 확립된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버스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고, 현재 연결을 위한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을 종료하는 디바이스이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마스터에 의해 어드레싱된 디바이스이다. 각 디바이스는 고유 어드레스에 의해 인식되고, 송신기 또는 수신기 중 어느 하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송신기는 데이터를 버스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이다. 수신기는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이다. 다음 설명에서, I2C 버스 상의 논리 레벨은 각각 '하이(high)' 및 '로우(low)' 또는 '1' 및 '0'으로 언급된다. I2C 버스 신호의 절대 레벨은 응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I2C 버스의 쌍방향 특성으로 인해, 디바이스의 입력 및 출력 포트는 3-상태 포트이어야 한다. 3-상태 포트는 송신을 위해 저 임피던스에서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능동적으로 감당할 수 있거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버스에 대한 고 임피던스를 나타낼 수 있다. 대기 상태 또는 미사용 상태에서, 클록 및 데이터 라인은 적절한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미리 결정된 레벨로 풀링(pulled)되고, 버스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는 버스에 대한 고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START 상태는 데이터 라인(SDA)의 하이-로우 전이에 의해 확립되는 한편, 클록 라인(SCL)은 하이 상태가 된다. START 상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의의 명령보다 항상 우선해야 한다. STOP 상태는 데이터 라인(SDA)의 로우-하이 전이에 의해 확립되는 한편, 클록 라인(SCL)은 하이 상태가 된다. STOP 상태는 버스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을 종료한다. 성공적인 데이터 전송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응답 신호(ACK)로 표시된다. 이를 행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방향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인 송신 디바이스는 8 비트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SDA 라인을 연결 해제(release)하고, 즉 디바이스 포트는 고 임피던스를 감당한다.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수신기는 능동적으로 8 비트 데이터 수신을 응답하기 위해 SDA 배선을 로우로 풀링한다. 임의의 추가 에러 정정은 디바 이스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I2C 버스 프로토콜의 부분이 아니다. 수신 디바이스는 클록 SCL 신호의 상승 에지 상에서 SDA 라인을 샘플링한다. SDA 신호는 클록(SCL)의 로우-하이 전이 동안 안정하게 되어야 하고, SDA 라인 상의 데이터는 SCL 라인이 로우일 때만 변해야 한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START 전이를 확립함으로써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7 비트 어드레싱을 위한 표준에 따라 I2C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어드레싱 구성이 제공된다. 또한 이용가능한 10 비트 어드레싱은 더 복잡하지만, 본질적으로 유사하며, 그러므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을 것이다. START 상태가 확립된 후에, 마스터는 SDA 라인 상의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어드레스는 8 비트로 구성되고; I2C 버스 표준에 규정된 바와 같이, 7 최상위 비트는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구성하고, 8번째 비트 또는 최하위 비트(LSB)는 판독 또는 기록 비트
Figure 112004029168295-pat00001
인데, 이것은 판독 동작에 대해서 '1'로 설정되고, 기록 동작에 대해서 '0'으로 설정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SDA 라인 상에 송신된 어드레스와 자체적으로 할당된 어드레스 사이의 매치를 식별하면,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9번째 비트 주기 동안 SDA 배선 상에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기록 동작의 데이터 전송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따른다. 도면에서,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로의 송신은 음영 배경(shaded background)으로 표시되고,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로의 송신은 백색 배경으로 표시된다. 마스터 디바이스 는 START 상태(S)를 생성하고, 이후에 '0'으로 설정된
Figure 112004029168295-pat00002
비트를 갖는 슬레이브 어드레스, 즉 데이터의 'n' 바이트를 송신하고, 마지막으로 STOP 상태(P)를 생성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데이터의 각 수신된 바이트 이후에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응답 신호(A)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판독 동작을 위한 데이터 전송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후속한다.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는 START 상태(S)를 생성한다. 그 다음에, 마스터 디바이스는 '1'로 설정된
Figure 112004029168295-pat00003
비트를 갖는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송신하고, 그 SDA 포트를 수신을 위한 고 임피던스 상태에 놓는다. 어드레싱된 슬레이브는 이제 'n' 바이트 데이터를 송신한다. 마스터가 송신기인 동안,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데이터의 각 수신된 바이트 이후의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응답 신호(A)를 생성한다. 슬레이브가 송신기인 동안, 마스터는 데이터의 각 수신된 바이트 이후의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응답 신호(A)를 생성한다. 마스터가 STOP 상태(P)를 생성할 때 전송은 종료된다.
그러나, 표준에 규정된 I2C 프로토콜은 순차적인 판독 및 기록 동작에 한정되고, 랜덤 액세스는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EEPROM과 같은 메모리는 어드레싱할 때, 메모리는 메모리가 선택되었음을 식별할 필요가 있고, 메모리 셀이 판독 또는 기록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현재 표준에서 조합된 판독/기록 동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여기서 기록 동작 동안 EEPROM은 판독될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후속적인 판독 동작에서, 메모리 셀이 판독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버스 마스터가 제 1 START 상태를 송출하고, 기록을 위한 슬레이브에 어드레 싱하고, 셀 어드레스를 전송하고, 그 다음에 제 2 START 상태를 송출하고, 마지막으로 판독을 위해 디바이스에 재 어드레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각 단일 바이트는 개별적으로 어드레싱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론값에 비해 I2C 버스의 실제 전송 속도를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어드레싱 동작의 약간의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수 개의 디바이스가 버스에 연결되면, 버스 중재는 추가적으로 고속 전송의 필요성과 충돌될 수 있다. 중재는, 하나 초과하는 마스터가 동시에 버스를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 하나의 마스터만이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여, 메시지가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절차이다. 일부 EEPROM 제조자는, EEPROM으로의 랜덤 엑세스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록 동작과 판독 동작의 독점적인 조합을 이용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128 바이트와 같은 작은 어드레스 공간에 한정된다.
마이크로칩 테크널러지 인코포레이티드사의 애플리케이션 노트 AN736은 환경 감시에 사용되는 I2C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기재한다. 네트워크_프로토콜은, 기록 또는 판독될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나타내는 단일 데이터 길이 바이트와, 판독 또는 기록될 슬레이브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단일 어드레스 오프셋 바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슬레이브 디바이스 내부의 셀을 어드레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방법은 진정한 랜덤 액세스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액세스 구성은 I2C 프로토콜의 어드레스 공간 한계를 극복하고, 마스터 디바이스로 하여금 예를 들어 EEPROM과 같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내부 어드레스 공간에서 셀을 무작위로 액세스하도록 한다. I2C 버스 구조에서 판독 및 기록 동작을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I2C 표준에 규정된 동일한 방식으로 START 및 STOP 상태, 응답 비트(ACK) 생성, 데이터 입력 프로토콜,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싱을 이용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을 아직 사용하지 않은 디바이스를 위한 본 방법의 기록 동작의 호환을 허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판독 동작은 표준과 충분히 호환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판독 및 기록 동작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에 의해 보충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는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구성하기 위해 다음에 오는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와, 어드레싱된 메모리 셀에 연관된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규정한다.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의 특성은 본 발명의 방법을 직교 및 확장 가능(scalable)하게 만든다. 직교 액세스는, 판독 및 기록 동작이 유사한 구조 및 길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확장성(scalability)은, 메모리의 어드레스 공간이, 어드레싱을 위해 1 바이트를 사용할 때 예를 들어 256셀과 같은 약간 작은 크기로부터, 어드레싱을 위해 8바이트를 사용할 때 예를 들어 16Ei-셀과 같은 더 많은 수의 셀로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Ei'(exabinary, 판독: exbi)는 2의 인자에 대한 SI 단위로부터 60의 멱수(power)로 도출된 2진 배수에 대한 접두사이다. 확장성은 유리하게도 어드레싱될 어드레스 공간 및 메모리 셀에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버스 트래픽 을 최소로 감소시키는 한편, 최대 융통성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대용량 메모리에서 단일 셀을 유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파라미터의 더 큰 세트로부터의 소수의 파라미터가 변화되어야 할 때, 또는 고유 일련 번호가 디바이스의 그 밖에 다른 부분은 동일한 메모리 내용의 일부일 필요가 있을 때 종종 필요하다.
다음 설명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기재된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종래 기술 부분에 설명되었으므로, 다시 언급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 동작을 위한 데이터 전송 구성을 도시한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START 상태(S)를 생성하고, '1'로 설정된
Figure 112004029168295-pat00004
비트로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그 이후, 마스터는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를 송신한다.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는,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구성하는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m)와, 각 메모리 셀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이터 바이트의 수(n)를 규정한다. 그 다음에, 마스터 디바이스는 'm' 어드레스 바이트의 통고된 수를 송신함으로써 전송을 계속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요청된 'n' 데이터 바이트를 송신함으로써 응답한다. 마스터 디바이스가 STOP 상태(P)를 생성할 때 전송은 종료된다. 표준 I2C 버스 연결에서와 같이, 응답 신호(A)는 데이터의 바이트가 수신 된 이후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인 수신기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동작을 위한 데이터 전송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START 상태(S)를 생성하고, '0'으로 설정된
Figure 112004029168295-pat00005
비트로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그 이후, 마스터는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를 송신하는데,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에서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구성하는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m')와, 각 메모리 셀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이터 바이트의 수('n')를 규정한다. 그 다음에, 마스터는 기록될 메모리 위치를 규정하는 통고된 'm' 어드레스 바이트와, 규정된 메모리 위치에 기록될 'n' 데이터 바이트를 송신한다. 전송은 마스터가 STOP 상태(P)를 생성할 때 종료된다. 기록 동작 동안, 응답 신호(A)는 I2C 표준에 규정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각 바이트가 수신된 후 9번째 클록 펄스 동안 슬레이브에 의해 송신된다.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어드레스-데이터 주기가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5는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의 포맷은 판독 및 기록 동작 모두 동일하다. '데이터 전송 모드' 바이트의 비트(7 내지 0)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참조번호(R2 내지 R0)로 지정된 비트(7-5)는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됨.
참조번호(A2, A1, A0)로 지정된 비트(4-2)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사 이의 판독/기록 전송에 사용된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를 표시한다. 도 6의 표 1은 각 A2, A1, A0 설정을 위한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를 도시한다.
참조번호(D1, D0)로 지정된 비트(1-0)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사이의 판독/기록 전송에 사용될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표시한다. 도 6의 표 2는 각 D1, D0 설정을 위한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I2C 버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유형의 버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호 연결 배선의 수에 상관없이, 단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디바이스간의 본 발명의 임의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정한 랜덤 액세스를 허용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내부의 셀을 어드레싱하는 방법 등에 효과적이다.

Claims (4)

  1. 데이터 신호를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과, 클록 신호를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라인을 갖는 버스 연결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에서의 셀 액세스(accessing) 방법으로서, 버스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되고, 제 1 디바이스는 버스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시작 상태(S)를 확립하여, 다음 통신을 위한 마스터가 되고, 마스터는 제 2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 2 디바이스는 다음 통신을 위한 슬레이브가 되고, 마스터는 판독 또는 기록 송신 모드(
    Figure 112011003037133-pat00006
    )를 선택하고, 마스터는 성공적인 통신 이후에 버스 연결을 종료하는 중지 상태(P)를 확립하는, 셀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는 상기 슬레이브에 어드레싱한 후에 데이터 모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모드 신호는 셀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 및 송신되거나 수신될 데이터 바이트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는 상기 데이터 모드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데이터 모드 신호의 상기 셀 어드레스 바이트의 수 만큼의 바이트를 가진 셀 어드레스 신호(ADD())를 송신하고, 상기 셀 어드레스 신호(ADD())를 송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모드 신호의 상기 데이터 바이트의 수 만큼의 바이트를 가진 데이터(DATA())를 상기 슬레이브로 송신하거나 상기 슬레이브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액세스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수신 디바이스의 각각은 미리 결정된 수신된 비트 수 뒤에 응답 신호(A)를 송출하는, 셀 액세스 방법.
  4. 삭제
KR1020040051079A 2003-07-03 2004-07-01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KR101068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291646.2 2003-07-03
EP03291646A EP1494125A1 (en) 2003-07-03 2003-07-03 Method and data structure for random access via a bus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062A KR20050004062A (ko) 2005-01-12
KR101068936B1 true KR101068936B1 (ko) 2011-09-30

Family

ID=334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079A KR101068936B1 (ko) 2003-07-03 2004-07-01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02509B2 (ko)
EP (1) EP1494125A1 (ko)
JP (1) JP4657637B2 (ko)
KR (1) KR101068936B1 (ko)
CN (1) CN100440187C (ko)
DE (1) DE602004008545T2 (ko)
TW (1) TWI366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619B2 (en) * 2003-03-28 2006-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request data transfer regardless of size and alignment
JP4791696B2 (ja) * 2004-03-02 2011-10-1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データ転送メモリ及びモジュール
ATE459052T1 (de) * 2005-04-29 2010-03-15 Nxp Bv Einrichtungsidentifikationscodierung integrierter slave-schaltungseinrichtungen
US20060294275A1 (en) * 2005-06-23 2006-12-28 Emil Lambrache Fast two wire interface and protocol for transferring data
US7526526B2 (en) * 2005-10-06 2009-04-28 Aviom,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20070136500A1 (en) * 2005-12-12 2007-06-14 Innolux Display Corp. Controlling system using inter integrated circuit bus having single clock line
US20070250652A1 (en) * 2006-04-24 2007-10-25 Atmel Corporation High speed dual-wire communications device requiring no passive pullup components
KR100778114B1 (ko) * 2006-09-1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에러를 개선하기 위한 통신방법 및 그 통신방법이적용된 전자장치
CN101399654B (zh) * 2007-09-25 201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串行通信方法和装置
US20090119420A1 (en) * 2007-11-06 2009-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eable expanders in systems management
CN101763331B (zh) * 2010-01-18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i2c总线控制的系统及方法
CN102378048B (zh) * 2010-08-13 2015-03-11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视机顶盒及其自动待机方法
WO2012170921A2 (en) * 2011-06-10 2012-12-13 Intersil Americas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one-wire protocol slave in a two-wire protocol bus environment
CN103530249B (zh) * 2012-07-06 2016-08-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内部整合电路总线传输系统及其传输方法
CN102902647B (zh) * 2012-09-25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设置在i2c从机印刷电路板的asic芯片和印刷电路板
US8989328B2 (en) * 2013-03-14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rial communication
JP2014087625A (ja) * 2013-09-30 2014-05-15 Sophia Co Ltd 遊技機
US10534739B2 (en) * 2014-10-31 2020-0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Indicating a privilege level
US10860541B2 (en) 2016-04-11 2020-12-08 Johnson Controls Fire Protection LP Fire detection system with distributed file system
US20170293478A1 (en) * 2016-04-11 2017-10-12 Tyco Fire & Security Gmbh Fire de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firmware updating
FR3065304A1 (fr) * 2017-04-12 2018-10-19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rocede d'adressage d'une memoire non-volatile sur un bus i²c et dispositif de memoire correspondant
CN110223620B (zh) 2018-03-01 2022-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驱动控制方法、组件及显示装置
CN112416841A (zh) * 2020-11-10 2021-02-26 光华临港工程应用技术研发(上海)有限公司 基于i2c总线的多机通信的实现方法及多机通信系统
CN112463662B (zh) * 2020-12-16 2024-04-05 福州创实讯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态控制i2c设备的方法与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0589A1 (fr) * 1991-08-19 1993-02-26 France Telecom Procede d'emission et de reception de programmes personnalises.
JPH05204848A (ja) * 1991-11-29 1993-08-13 Sony Corp シリアル通信方式
JP3168552B2 (ja) * 1993-12-17 2001-05-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メモリ・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5732404A (en) * 1996-03-29 1998-03-24 Unisys Corporation Flexible expansion of virtual memory addressing
US5897663A (en) * 1996-12-24 1999-04-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Host I2 C controller for selectively executing current address reads to I2 C EEPROMs
KR100224965B1 (ko) * 1997-07-10 1999-10-15 윤종용 다층 구조의 아이2씨 버스를 이용한 진단/제어 시스템
US6209074B1 (en) * 1998-04-28 2001-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ress re-mapping for memory module using presence detect data
US6449289B1 (en) * 1998-10-09 2002-09-10 Adaptec, Inc. Multi-processor bus protocol system
JP4222720B2 (ja) * 2000-12-22 2009-02-12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方式
GB2422697A (en) * 2003-04-30 2006-08-02 Agilent Technologies Inc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master and slave devices
US7187307B1 (en) * 2003-06-12 2007-03-06 Silicon Image, Inc. Method and system for encapsulation of multiple levels of communication protocol functionality within line cod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 I2CTM Network Protocol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XP-002257930, published by Microchip Technology Inc., year 2000, pp.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25767A (ja) 2005-01-27
TWI366752B (en) 2012-06-21
DE602004008545T2 (de) 2007-12-27
EP1494125A1 (en) 2005-01-05
CN100440187C (zh) 2008-12-03
US7302509B2 (en) 2007-11-27
US20050005049A1 (en) 2005-01-06
KR20050004062A (ko) 2005-01-12
DE602004008545D1 (de) 2007-10-11
TW200510989A (en) 2005-03-16
JP4657637B2 (ja) 2011-03-23
CN1577308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936B1 (ko) 버스 연결을 통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8892798B2 (en) Identification, by a master circuit, of two slave circuits connected to a same bus
US20080270654A1 (en) Bus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Identical Slave Circuits Connected to the Bus and Method Therefore
EP3086236A1 (en) Bus communications with multi-device messaging
US20070250652A1 (en) High speed dual-wire communications device requiring no passive pullup components
US20090100198A1 (en) Addressing multiple devices on a shared bus
US20150046627A1 (en) Communication on an i2c bus
KR100605657B1 (ko)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와, 하나 이상의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
US1084841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network and master participant
CN108694140B (zh) 用于寻址i2c总线上的非易失性存储器的方法和对应的存储器设备
TW200928768A (en) Enhanced single-node protocol for data, address and control operations
EP1498823B1 (en) Method and data structure for random acces via a bus connection
JP2002521942A (ja) メモリ装置およびメモリ装置の作動方法
CN102449958A (zh) 半导体集成电路装置
No ISISLAVEADDRESS lR/W jA| DATA (n-1) JA|--| DATA (O)| A IP|
EP1525722B1 (en) Packet signal processing architecture
KR100911336B1 (ko) 플렉스레이와 캔 통신 사이의 메시지 변환장치 및 캔아이디와 플렉스레이 슬롯의 매칭방법
JP2661305B2 (ja) 集積回路
KR100298361B1 (ko) 비동기전송모드계층과 다중물리계층간의 비동기전송모드셀핸드쉐이킹방법
CN116303146A (zh) 一种具有自识别串口硬件的电路模块
KR100427764B1 (ko) 서로 다른 데이터 버스를 가지는 디바이스들의 정합 장치
JPH098832A (ja) 多重伝送方法
KR20020073785A (ko) 데이터 밴드위스를 확장시킨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
JP2003218972A (ja) 光伝送装置及び光データリンク制御方法
JP2001257678A (ja) Atmレイヤデバイスと複数の物理レイヤデバイスをマルチ接続したatm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