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382B1 - 건강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382B1
KR101068382B1 KR1020090024985A KR20090024985A KR101068382B1 KR 101068382 B1 KR101068382 B1 KR 101068382B1 KR 1020090024985 A KR1020090024985 A KR 1020090024985A KR 20090024985 A KR20090024985 A KR 20090024985A KR 101068382 B1 KR101068382 B1 KR 10106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weight
licorice
extra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797A (ko
Inventor
김휴석
Original Assignee
김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휴석 filed Critical 김휴석
Priority to KR102009002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3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는 원재료준비단계; 상기 원재료준비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원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원재료추출단계; 상기 원재료추출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 및, 상기 저온,숙성단계를 거친 농축액을 100~120cc씩 나누어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한 후 추출, 교반, 숙성 과정을 거쳐 농축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미생물의 함유량이 감소되어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혼합하여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함으로써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의 생산 및 판매를 촉진하고 이에 따른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생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검은콩의 효능은 물론이고, 이와 혼합되는 각종 약재성분을 혼합하여농축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소비자의 건강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검은콩, 교반, 추출

Description

건강음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health drink}
본 발명은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물과 혼합하여 추출, 교반, 숙성과정을 거쳐 각종 영양이 풍부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가 취식하는 경우 소비자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은콩은 흑대두(黑大豆)라고도 하며,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하여 일컫는 것이다.
예컨대, 흑태, 서리태, 서목태등이 검은콩에 속하며, 흑태는 검은콩 가운데서도 크기가 가장 크며, 콩밥이나 콩자반등에 사용되고, 상기 서리태는 겉은 검은빛을 띠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불리며, 콩떡이나 콩자반, 콩밥등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서목태는 다른 검은콩보다 크기가 작아 마취 쥐눈처럼 보여진다고 하여 쥐눈이콩이라고도 불리으며, 한방에서 약재로 주로 쓰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뛰어나며 특 히, 상술한 검은 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면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가량 높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다양한 건강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검은콩의 효능은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모든 약의 독을 풀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모발을 성장시키는 (cysteine)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고, 꾸준히 복용하는 경우에는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검은콩은 그냥 섭취하는 것보다도 볶아서 먹는 것이 건강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은콩 껍질의 황산화작용을 하는 물질이나 여성호르몬을 돕는 이소플라본 성분이 볶는 과정을 거치면 더 높아지는 것에 따른 것이다.
위와 같이,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복용 방법 또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각종 효능이 풍부한 검은콩은 그냥 섭취하기에는 소비자가 맛과 향으로 인하여 취식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장기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질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검은콩의 취식거부감으로 인하여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을가공한 식품 및 영양식품 또한 소비자가 손쉽게 선택하여 취식하기 어려운 문제로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의 효능을 소비자가 손쉽게 얻기 힘들어 이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은콩은 물론이고, 각종 영양분이 풍부한 약재들을 검은콩과 혼합하여 추출, 교반, 숙성과정을 통하여 농축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한 건강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거부감없이 취식할 수 있는 건감음료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검은콩이 함유된 제품을 섭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검은콩은 물론이고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건강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는 원재료준비단계; 상기 원재료준비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원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원재료추출단계; 상기 원재료추출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 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 및, 상기 저온,숙성단계를 거친 농축액을 100~120cc씩 나누어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재료준비단계에서 상기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물의 혼합비율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 감초 4~8중량%, 당귀 1~4중량%, 백작약 1~4중량%, 천궁 1~4중량%, 숙지황 1~4중량%, 지구자 2~5중량%, 물 80~86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재료추출단계에서, 상기 원재료혼합물이 투입되는 교반기의 온도는 35~5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재료추출단계 및 저온,숙성단계에서 상기 농축액은 70~85brix%를 이루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첫째,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한 후 추출, 교반, 숙성 과정을 거쳐 고농축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미생물의 함유량이 감소되어 자장성을 높일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각종 영양이 풍부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혼합하여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가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함으로써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의 생산 및 판매를 촉 진하고 이에 따른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생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검은콩의 효능은 물론이고, 이와 혼합되는 각종 약재성분을 혼합하여농축된 건강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소비자의 건강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건강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설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인은 소비자가 취식거부감 없이 검은콩은 물론이고,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가 혼합된 건강음료를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고, 섭취하는 경우에는 각종 효능을 통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검은콩은 물론이고 각종 약재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는 원재료준비단계(100); 상기 원재료준비단계(100)를 통하여 형성된 원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 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원재료추출단계(200); 상기 원재료추출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300); 및, 상기 저온,숙성단계(200)를 거친 농축액을 100~120cc씩 나누어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원재료준비단계(100)
상기 단계는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는 것이다.
먼저, 상술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하고, 이러한 각종 약재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교반기에 넣어 혼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물의 혼합비율이 총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 감초 4~8중량%, 당귀 1~4중량%, 백작약 1~4중량%, 천궁 1~4중량%, 숙지황 1~4중량%, 지구자 2~5중량%, 물 80~86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게 된다.
상기 검은콩은 안토시아닌 성분을 통하여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황산화작용으로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한, 검은콩은 콜라겐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 들어있어 피부에 탄력을 주고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검은콩은 장기간에 걸쳐 다량 복용하는 경우에는 신장에 무리를 줄 수도 있어 신장기능이 좋지않은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에는 그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복용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위와 같이 각종 효능이 풍부한 검은콩은 상기 단계에서, 총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검은콩의 영양이 건강음료의 제조시에 함유되게 하면서도 소비자가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에도 과다 복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초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성 물질의 해독에 좋고, 허약한 비위기능을 도우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감초는 상술한 검은콩과 혼합하여 섭취하는 경우에 감초의 혼합으로 인하여 검은콩의 약효과 반감되거나 없어질 수도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총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이 4~6중량% 첨가되며, 상기 감초는 총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4~8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는 것이 상술한 검은콩과 혼합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면서도 감초의 효능을 제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감초는 혈압이 높은 사람이 장기적으로 섭취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총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소비자가 섭취하는 경우에도 감초의 효능은 얻으면서도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당귀는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1~4중량%를 이루도록 혼합된다. 이러한 당귀는 주로 피와 관련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피를 만드는 보혈작용, 혈액을 순환하는 활혈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장의 움직임을 개선하여 변비치료는 물론이고, 머리를 검게 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 단계에서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당귀가 1~4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은 당귀의 효능을 얻으면서도 검은콩 및 감초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비율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백작약은 본초강목 또는 동의보감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작약(芍藥) 함박꽃뿌리로 불리는 것으로서 성질은 평하거나 약간 찬 편이며 맛은 쓰고 시며 약간 독이 있는 약재로, 혈비를 제거하고 혈맥을 순조롭게 통하게 하며 속을 완화시키고 나쁜 피를 흩어지게 하고 옹종(癰腫)을 삭히며 복통을 그치게 하고 어혈과 고름을 없어지게 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백작약은 주로 여성의 모든 병과 산전산후의 제반 증세와 월경을 통하게 하는 데도 쓰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 치루, 등창, 물러서 상처가 난 데 또는 눈에 충혈이 되고 군살이 돋은 데 쓰며 눈을 밝게하는 데도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백작약의 서식형태는 산과 들에서 주로 서식하는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바짝 말려서 쓰며, 산골에 자생하는 것을 쓰는 것이 더욱 좋으며 약으로 쓸 때는 반드시 꽃이 붉은 색이며 이파리가 홑잎으로 된 산중에서 서식하는 것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특히, 복통과 이질을 치료하는 데는 반드시 볶아서 쓰고, 뒤가 묵직한 데는 볶지 말고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백작약이 1~4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여 그 효능을 얻으면서도 다른 약재의 혼합비율을 저해하지 않아 소비자가 섭취시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며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천궁은 활혈(피를 순환하는 기능)거어약류에서 대표적인 약이다. 기와 혈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며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없애는 동시에 지통의 효과가 있으며, 기와 혈의 순환 장애로 인한 월경통이나 일정하지 않은 생리, 복통, 옆구리에 통증, 타박상, 두통 등의 증상에 응용되는 것으로 모든 풍병, 기병, 혈병들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숙지황은 지황(地黃)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각종 출혈을 낮게 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고 열을 내리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어혈을 없애는 효가 있는 것이다.
상기 지황(地黃)은 가공하는 방법에 따라 그 명칭이나 효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뿌지를 쪄서 말린 숙지황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천궁 및 숙지황은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각각 1~4중량%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 그 효능을 얻으면서도 다른 약재혼합물의 혼합비율을 저해 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구자는 갈매나무과의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과병을 가진 열매 또는 씨를 말하는 것으로 그 효능은 열병으로 인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하며, 헛개나무의 줄기 껍질을 지구목피라 하여 사용하는데 혈액순환을 돕고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2~5중량%를 이루도록 혼합되는 것이 상술한 지구자의 효능을 얻으면서도 다른 약재혼합물의 혼합비율을 저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물의 혼합비율을 혼합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 감초 4~8중량%, 당귀 1~4중량%, 백작약 1~4중량%, 천궁 1~4중량%, 숙지황 1~4중량%, 지구자 2~5중량%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약재 효능은 얻을 수 있으면서도 다른 약재의 혼합비율을 저해하지 않도록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정제수를 통하여 수돗물에 비해 암모니아나 황산염등 해로운 물질이 제거되게 되어 상술한 각종 약재혼합물과 물을 혼합하는 경우에도 더욱 높은 약재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물은 원재료혼합물 총 100중량%에 대하여 물 80~86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함으로써 후술할 원재료추출단계(200) 및, 저온,숙성단계(300)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재료혼합물을 이루는 상기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물의 혼합비율이 총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 감초 4~8중량%, 당귀 1~4중량%, 백작약 1~4중량%, 천궁 1~4중량%, 숙지황 1~4중량%, 지구자 2~5중량%, 물 80~86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함으로써 각종 약재의 효능을 소비자에게 최대한 제공하면서도 이와 혼합되는 각종 약재의 효능 또한 최대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원재료추출단계(200)
상기 단계는 상기 원재료준비단계(100)를 통하여 형성된 원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에서 원재료혼합물을 물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은 각종 영양이 풍부한 원재료혼합물의 영양소를 흡수가 빠른 영양소로 뽑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과정에서 추출기의 온도를 90~110℃의 온도를 이루도록 하고, 5~10시간 추출하는 것은 원재료혼합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추출과정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온도이자, 검은콩 및 각종약재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온도 및 시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추출기를 통한 원재료혼합물을 추출한 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 함으로써 원재료혼합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술한 교반 과정을 통하여 원재료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추출한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의 유효성분이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원재료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000L의 혼합물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추출 및 교반과정을 거쳐 추출된 농축액 600~700L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교반기의 온도는 35~50℃를 이루도록 하여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교반기의 온도설정은 교반기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 교반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원재료혼합물의 수분을 원활하게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즉, 다시 말하면 상기 교반과정을 통하여 교반된 원재료혼합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의 유효성분이 남을 수 있도록 원활하게 수분증발 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 저온,숙성단계(300)
상기 단계는 상기 원재료추출단계(2000를 통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에서와 같이 추출된 농축액을 2~5℃의 온도로 유지하여 20~25시간 동안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킴으로써 농축된 원재료혼합물을 이루는 각종 약재의 쓴 맛과 향을 좀더 줄이고, 각종 약재 혼합물간의 혼합상태가 더욱 좋아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특히, 상기 저온,숙성 과정은 2~3일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온,숙성과정에서의 온도가 2~5℃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과정에서 저온,숙성과정의 온도가 2~5℃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그 이상이나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면 숙성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단계는 상기 원재료추출단계(200)를 거친 농축액을 재 여과하는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농축액에 남아있는 불순물을 재차 제거하여 소비자가 더욱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추출 및 교반된 원재료혼합물의 농축액을 상술한 저온,숙성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원재료혼합물 농축액의 쓴 맛과 향을 줄이고, 혼합상태를 높일 수 있어 원재료혼합물의 농축액을 소비자가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고, 그 효능 또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술한 과정을 거친 농축액은 50~65brix%를 이루도록 제조됨으로써 수분활성도가 낮아져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됨으로써 제조된 농축액의 저장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진공포장단계(400)
상기 단계는 상술한 저온,숙성단계(300)를 거친 농축액을 100~120cc씩 나누 어 진공 포장하는 것이다.
이는 포장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의 유입으로 인한 농축액의 변질을 막으면서도 소비자가 원활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참고하여 기술한다.
[실시예 1]
검은콩 5kg, 감초 5kg, 당귀 1kg, 백작약 1kg, 천궁 1kg, 숙지황 1kg, 지구자 1kg를 깨끗이 세척하여 혼합하고, 이에 물 85L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다시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약 60L의 원재료혼합물 농축액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농축액을 여과한 후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켜 혼합된 약재의 맛과 향에서 쓴맛을 감소시키고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섭취가 용이한 농축액 60L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상기 농축액 60L를 교반하여 얻는 과정을 통하여 전체혼합물의 수분이 40%가량 증발되어 60brix%를 이루는 약 60L의 농축액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각종 약재의 쓴 맛과 향이 개선되어 섭취가 용이하고, 수분활성도가 낮아져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검은콩이 함유된 건간음료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강음료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원재료준비단계 200: 원재료추출단계
300: 저온,숙성단계 400: 진공포장단계

Claims (4)

  1.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를 깨끗이 세척한 후에 교반기에 넣고 물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는 원재료준비단계(100);
    상기 원재료준비단계(100)를 통하여 형성된 원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90~110℃의 온도로 5~10시간 추출하여 원재료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재료추출물을 교반기에 넣어 10~15시간 교반하여 원재료추출물의 총 100중량%에 대하여 60~70중량%가 남을 수 있도록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원재료추출단계(200);
    상기 원재료추출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농축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농축액을 20~25시간 동안 2~5℃의 온도로 유지, 보관하여 저온,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300); 및,
    상기 저온,숙성단계(300)를 거친 농축액을 100~120cc씩 나누어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준비단계(100)에서
    상기 검은콩,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지구자, 물의 혼합비율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검은콩 4~8중량%, 감초 4~8중량%, 당귀 1~4중량%, 백작약 1~4중량%, 천궁 1~4중량%, 숙지황 1~4중량%, 지구자 2~5중량%, 물 80~86중량%를 이루도록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추출단계(200)에서,
    상기 원재료혼합물이 투입되는 교반기의 온도는 35~5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추출단계(200)에서 상기 농축액은 50~65brix%를 이루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20090024985A 2009-03-24 2009-03-24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06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85A KR101068382B1 (ko) 2009-03-24 2009-03-24 건강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85A KR101068382B1 (ko) 2009-03-24 2009-03-24 건강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97A KR20100106797A (ko) 2010-10-04
KR101068382B1 true KR101068382B1 (ko) 2011-09-28

Family

ID=4312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85A KR101068382B1 (ko) 2009-03-24 2009-03-24 건강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123B1 (ko) * 2020-07-24 2021-03-09 전동철 천연 식품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52018A (ko) 2019-10-31 2021-05-10 정남수 검은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검은콩 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270A (ko) * 2015-09-10 2017-03-21 (주)자로커피 검은 콩의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 추출 방법
KR101642115B1 (ko) * 2015-12-31 2016-07-22 주영철 항산화기능을 높인 서리태콩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86A (ko) * 1997-04-01 1997-07-22 김도명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함유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10086168A (ko) * 1999-02-03 2001-09-08 다리오 보나꼬르시 지질 함유 대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약제 및 화장조성물
KR20030044988A (ko) * 2003-05-22 2003-06-09 김영희 야채성분이 함유된 조미료 원액의 제조방법
KR100778044B1 (ko) 2006-09-26 2007-11-29 최형찬 쥐눈이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486A (ko) * 1997-04-01 1997-07-22 김도명 호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함유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10086168A (ko) * 1999-02-03 2001-09-08 다리오 보나꼬르시 지질 함유 대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약제 및 화장조성물
KR20030044988A (ko) * 2003-05-22 2003-06-09 김영희 야채성분이 함유된 조미료 원액의 제조방법
KR100778044B1 (ko) 2006-09-26 2007-11-29 최형찬 쥐눈이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018A (ko) 2019-10-31 2021-05-10 정남수 검은콩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검은콩 음료
KR102226123B1 (ko) * 2020-07-24 2021-03-09 전동철 천연 식품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97A (ko)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8618A (zh) 一种上树咳清热利尿酸菜汤料及其生产方法
CN103445115B (zh) 一种具有改善营养性贫血作用的葛根保健营养粉
CN102578648A (zh) 一种果汁饮料
JP2009013146A (ja) 糖尿病治療組成物
CN103636790B (zh) 红枣枸杞花生仁牛奶及其制备方法
CN105795378A (zh) 一种保健海鳗的加工方法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CN105360837A (zh) 一种醋蛋归元液及其制备方法
KR20130109687A (ko)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068382B1 (ko) 건강음료 제조방법
CN106719419A (zh) 一种高产肉兔的养殖方法
KR100414953B1 (ko) 사상체질에 따른 한방 보약김치 제조방법
CN108065157A (zh) 一种红枣枸杞复合饮料的制备方法
KR101338560B1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CN104256503B (zh) 一种蜗牛酱油及其制作方法
CN105768053A (zh) 一种榄角辣椒酱的制作方法
CN103349147A (zh) 一种孕妇保健水果糖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CN103340391B (zh) 一种风味果蔬营养酱的制备方法及此方法制备的风味果蔬营养酱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4673572A (zh) 具有美容养颜功效的抗衰老葡萄酒及制备方法
KR20210090871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2470454B1 (ko) 돌외잎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9025A (ko) 발모촉진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발모촉진용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