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722B1 -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722B1
KR101066722B1 KR1020080118799A KR20080118799A KR101066722B1 KR 101066722 B1 KR101066722 B1 KR 101066722B1 KR 1020080118799 A KR1020080118799 A KR 1020080118799A KR 20080118799 A KR20080118799 A KR 20080118799A KR 101066722 B1 KR101066722 B1 KR 10106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lifting
finished material
furna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269A (ko
Inventor
성덕만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7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낙하 충격을 방지하고, 동시에 여러개의 소재가 가열로내에 장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장입 컨베이어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를 접촉방식으로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장입 컨베이어의 출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본체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반제품 소재를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하측에 배치된 롤러 테이블상에 안착시키도록 유도하는 승강대와, 롤러 테이블상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가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지를 감지하여 승강대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낙하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및 이송설비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WORKPIECE MOVING DEVICE FOR BILLETS IN INDUCTION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이송구조를 개선하여 낙하 충격을 방지하고, 동시에 여러개의 소재가 가열로내에 장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 의해 제조된 슬라브나 불룸, 빌렛등의 반제품을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에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등의 과정을 거쳐 압연함으로써, 최종제품을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연속주조설비를 통해 제조된 반제품을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하는 이송설비로는 체인 컨베이어와 롤러 테이블로 구분된다.
제강공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연속주조설비와 가열로가 근접되지 않고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고, 또 연속 주조설비를 통해 제조된 반제품이 바로 가열로 내로 장입되지 않고 실외 야적장에 장시간 야적된 후에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야적장이나 연속주조설비로부터 이송된 반제품 소재는 가열로로 장입되기 전에 이송설비인 장입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횡방향 이송되고, 장입 테이블을 거쳐 하부에 배치된 롤러 테이블로 하나씩 낙하된 후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이송과정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 반제품 소재의 이송과정에서 장입 테이블로부터 롤러 테이블에 낙하되는 중에 반제품 소재나 롤러 테이블에 충격이 가해져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가 하나씩 장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2개 또는 그 이상이 장입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조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열로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이송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이나 이송설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제품 소재의 장입시 여러개가 동시에 장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입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장입 컨베이어의 출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반제품 소재를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하측에 배치된 롤러 테이블상에 안착시키도록 유도하는 승강대와,
상기 롤러 테이블상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가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지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대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양측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반제품 소재와 접촉되어 회전 동작되는 감지레버와, 상기 감지레버의 타단부에 상,하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레버의 회 전 동작을 감지하는 제 1,2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롤러 테이블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 테이블상에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의 하부와 로드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체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대에 축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승강대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휠을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낙하 충격을 방지하고, 동시에 여러개의 소재가 가열로내에 장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의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낙하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및 이송설비의 변형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장입 컨베이어(1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를 접촉방식으로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장입 컨베이어(10)의 출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100)와, 프레임 본체(100)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반제품 소재(B)를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하측에 배치된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시키도록 유도하는 승강대(150)와,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B)가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지를 감지하여 승강대(150)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감지수단은 프레임 본체(100)의 양측에 배치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반제품 소재(B)와 접촉되어 그 접촉력에 의해 상기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는 감지레버(310)와, 감지레버(310)의 타단부에 상,하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감지레버(31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 1,2감지센서(410,420)로 구성된 것이다.
감지레버(310)는 중간부위가 프레임 본체(100)의 양측 부위에 축 결합된 회전축(320)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일단부가 장입 컨베이어(10)의 출측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2감지센서(410,420)는 감지레버(310)의 타단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감지레버(310)의 타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공지의 접촉식 센서로 된 것이다.
복귀수단은 롤러 테이블(30)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롤러 테이블(30)상에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430)와, 감지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승강대(150)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50)를 구비한 것이다.
그 감지부(430)는 롤러 테이블(30)상에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의 온도, 길이, 두께등을 계측하는 공지의 계측기를 채용할 수 있다.
승강수단은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승강대(150)의 하부와 연결되는 로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체 실린더(200)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실린더(200)는 공지의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실린더(200)의 동작은 상기한 제어부(450)를 통해 승강동작을 제어하거나, 작업자의 신호를 외부에서 입력받아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2감지센서(410,420)와 감지레버(310)의 접촉에 따라 유체 실린더(200)측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공급할 수 있으며, 로드가 승강대(150) 및 반제품 소재(B)로부터 전해지는 자중에 의해 하강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승강수단은 프레임 본체(100)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승강대(150)에 축(155a) 결합되며 가이드레일(11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승강대(15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휠(155) 을 더 구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0"은 장입 컨베이어(10)의 출측에 배치되어 반제품 소재(B)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장입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는, 장입 컨베이어(10)를 통해 횡방향으로 반제품 소재(B)가 이송되면, 장입 테이블상에 안착되면서 순차적으로 밀려 롤러 테이블(30)측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가 감지레버(310)와 접촉됨과 아울러 승강대(150)의 단부에 안착됨에 따라, 감지레버(310)의 일단부가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감지레버(310)의 타단부가 하부에 위치한 제 1감지센서(410)와 접촉된다.
제 1감지센서(410)는 감지레버(310)의 타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 실린더(200)내에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승강대(150)와 반제품 소재(B)의 자중에 의해 유체 실린더(200)의 로드가 하강동작된다.
유체 실린더(200)의 로드가 하강되면, 승강대(150)가 연동되어 서서히 하강동작하게 되고, 이어서 롤러 테이블(30)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함에 따라 승강대(150)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B)가 다수개의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된다.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B)는 롤러 테이블(30)의 회전 동작 에 의해 가열로 내부로 장입된다.
이후에, 감지부(430)가 롤러 테이블(30)에 반제품 소재(B)의 유무를 감지하여 롤러 테이블(30)상에 반제품 소재(B)가 없을 경우에, 다시 유체 실린더(200) 내에 유체를 공급하여 로드를 상승시킴에 따라, 승강대(15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장입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를 롤러 테이블(30)상에 낙하 충격없이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반제품 소재(B)를 1본씩 장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프레임 본체와 승강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a,4b는 본 발명 감지레버와 제 1,2감지센서의 연동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대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대가 하강동작되어 반제품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에 안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입 컨베이어 30 : 롤러 테이블
100 : 프레임 본체 110 : 가이드레일
150 : 승강대 155 : 가이드휠
200 : 유체 실린더 310 : 감지레버
320 : 회전축 410,420 : 제 1,2감지센서
430 : 감지부 450 : 제어부

Claims (5)

  1. 장입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장입 컨베이어(10)의 출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10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반제품 소재(B)를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하측에 배치된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시키도록 유도하는 승강대(150)와,
    상기 롤러 테이블(30)상에 안착된 반제품 소재(B)가 가열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지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대(150)를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양측에 배치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반제품 소재(B)와 접촉되어 회전 동작되는 감지레버(310)와,
    상기 감지레버(310)의 타단부에 상,하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레버(31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는 제 1,2감지센서(410,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롤러 테이블(30)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 테이블(30)상에 이송되는 반제품 소재(B)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430)와,
    상기 감지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대(150)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150)의 하부와 로드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체 실린더(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승강대(150)에 축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승강대(15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휠(15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KR1020080118799A 2008-11-27 2008-11-27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KR1010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799A KR101066722B1 (ko) 2008-11-27 2008-11-27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799A KR101066722B1 (ko) 2008-11-27 2008-11-27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69A KR20100060269A (ko) 2010-06-07
KR101066722B1 true KR101066722B1 (ko) 2011-09-21

Family

ID=4236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799A KR101066722B1 (ko) 2008-11-27 2008-11-27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29B1 (ko) * 2015-05-28 2018-06-26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 통전 방식의 지그 장치 및 자동차용 판재 성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1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KR19990011612A (ko) * 1997-07-24 1999-02-18 이해규 종동륜측 주행 어프로우치를 단축한 차량이송용 스태커형 승강기
JP2001302196A (ja) 2000-04-13 2001-10-31 Nippon Yusoki Co Ltd 昇降式移送装置
KR20040074513A (ko) * 2003-02-19 2004-08-25 주식회사 포스코 측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재 이송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1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KR19990011612A (ko) * 1997-07-24 1999-02-18 이해규 종동륜측 주행 어프로우치를 단축한 차량이송용 스태커형 승강기
JP2001302196A (ja) 2000-04-13 2001-10-31 Nippon Yusoki Co Ltd 昇降式移送装置
KR20040074513A (ko) * 2003-02-19 2004-08-25 주식회사 포스코 측방향 이동이 가능한 소재 이송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69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CN106956898A (zh) 用于复合板六面探伤的三步式检测装置及方法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KR101066722B1 (ko) 가열로의 소재 이송장치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113003196B (zh) 一种轧制车轮自动分类筛选输送装置
KR102202313B1 (ko) 소재 분리 이송 기능을 갖는 자동 적재 공정장치
CN201081551Y (zh) 一种垂直升降装卸料车
CN209651240U (zh) 一种移动分载机
KR20130003271U (ko) 다방향 물류이송장치
KR101159773B1 (ko) 수송물 이송장치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S5919017A (ja) 鋼片移載装置
CN206720650U (zh) 一种自动化升降装置
KR200250308Y1 (ko) 빌렛 자동유도 이송장치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2390215B1 (ko) 포장용상자를 담는 박스의 운반과 포장용상자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KR101435055B1 (ko) 바 상향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505402B1 (ko) 압연재 장입장치
CN209651411U (zh) 一种收胚作业线
KR101277241B1 (ko) 제철원료의 슬라이딩 분배장치
KR100723254B1 (ko)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US4568278A (en)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heating furnaces, especially continuous bogie hearth furnaces and rotating hearth furnaces
CN210794520U (zh) 一种rfid机种检知混合备料仓储线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