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254B1 -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 Google Patents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254B1
KR100723254B1 KR1020010046762A KR20010046762A KR100723254B1 KR 100723254 B1 KR100723254 B1 KR 100723254B1 KR 1020010046762 A KR1020010046762 A KR 1020010046762A KR 20010046762 A KR20010046762 A KR 20010046762A KR 100723254 B1 KR100723254 B1 KR 10072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crane
slab
frame
t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33A (ko
Inventor
임호진
강문기
조윤환
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2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통스(TONGS)를 갖는 크레인(CRANE)에서 통스조가 과다하게 밀착됨으로 인한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슬라브 운반을 위하여 통키를 통기블록에 체결시키어 통스 크레인을 작업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1)는,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춘 제 1 조정부 (60); 및,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춘 제 2조정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스 크레인의 통스조가 밀착됨으로서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 크레인의 작업대기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서,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원활한 공정투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연주공정, 슬라브, 크레인, 통스 크레인, 통키, 통스조 복귀장치

Description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도 1은 일반적인 슬라브운반을 위한 통스를 갖는 크레인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그 전체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b)는 통스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조의 위치불량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1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b)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의 작 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크레인 12.... 크레인 본체
20.... 통스 프레임 30.... 통스부
34.... 통스조 40.... 통키부
42.... 통키 프레임 44.... 통키
46.... 통키블록 50.... 통스 복귀장치
60.... 제 1 조정부 62.... 리프팅 프레임
64.... 고정플레이트 66.... 에어실린더
68.... 작동링크 69,80a.... 가이드롤
70.... 제 2 조정부 72.... 이동블록
72a.... 스토퍼 74.... 가이드바아
76.... 서포트 80.... 수직대
S,S'....센서
본 발명은 중량물 특히, 제철공장에서 제조되는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통스 (TONGS)를 갖는 통스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권상작업시 통스조가 슬라브의 적치불량으로 과다하게 밀착됨으로 인하여, 통키가 통키블록에서 이탈되면서 발생하는 크레인의 작업중단을 방지토록 통키의 통키블록 체결을 통스조의 위치불량시 신속하게 복귀시키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연주공장에서 연속 생산되는 슬라브는 대략 두께 230mm, 폭 850~2000mm, 길이 5500 ~ 12000mm 까지의 규격으로 수요가의 요구에 맞도록 그 길이를 절단하여 생산하는데, 이후 양질의 슬라브(S)는 후공정 즉, 압연 및 코일링공정으로 투입토록 되는데, 이와 같은 고중량물인 슬라브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슬라브의 이동을 위한 통스(TONGS)를 갖는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브의 이동을 위한 통스조를 갖는 통스 크레인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 즉, 제철공장의 슬라브 적치장소에 설치된 무인자동화 크레인(10)은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된 슬라브 (S)를 앞에서 설명한 압연 및 코일링의 후 처리라인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롤러테이블(R) 및 열연장입 슬라브베드에 투입 및 적치되는 경우 장입베드에서 적치된 슬라브(S)들을 상기 온라인 롤러테이블(R)로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설비인데, 이후 롤러테이블상의 슬라브(S)는 열간압연을 위한 가열로로 이송된다.
즉,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이동하는 크레인본체(12)에 작동와이어(W)로서 상하 이동토록 연결된 통스 프레임(20)에 통스부(30)가 장착되고 있는 데, 상기 통스부(30)는 통스 프레임(20)의 저부에 링크 작동하는 한쌍의 통스조 (34)를 갖추고,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저부 중앙에는 상기 통스조(34)의 회전 중심축에 설치된 통키 프레임(42)상의 통키블록(46)에 지지되는 통키(4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b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부(30)의 통스조 (34)들이 약간 벌어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통소조(34)의 하측으로 설치된 가이드롤 (32)들이 슬라브(S)에 접촉하는 상태에 따라 통스조(34)들은 상기 슬라브(S)를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벌어져 통스조(34)들의 하단 고정단(34b)사이에서 밀착되어 슬라브(S)의 권상 및 운반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 통스(34)를 통한 슬라브(S)의 운반작업에 있어서는, 연주기에서 주조된 슬라브(S)는 여러 설비를 통하여 이송되므로 롤러테이블(R)에 최종적으로 안착된 슬라브(S)의 위치가 조금 이라도 불량하거나, 적치된 상태에서 열연공정의 장입을 위하여 장입베드에 적치 대기되는 슬라브(S)의 위치가 불량할 경우에는, 상기 통스조(34)들이 편심되게 슬라브(S)의 한 쪽으로 안착하게 되면서, 실제 슬라브(S)는 권상 되지 않고 크레인 통스조(34)들만이 서로 과도하게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과도하게 통스조(34)들이 밀착되면, 통키(44)가 통키프레임(42)상의 통키블록(46)에서 이탈되게 되고, 결국 크레인의 정상적인 슬라브 권상작업을 위하여는 통키(44)의 통키블록(45) 체결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이와 같은 통키(44)를 통키블록(46)에 체결하는 장치 즉, 크레인(10)의 통스(34)들이 과다하게 밀착된 것을 벌려서 작업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크레인의 정상적인 슬라브 운반이 수행되는 것이 중단되므로, 부득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 및 받침대등의 별도의 치구들을 이용하여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 체결되는 정상적인 작업이 가능한위치 즉, 과도하게 밀착된 통스부(30)의 통스조(34)들을 적당하게 벌어진 상태로 복귀시켜 통키(44)의 통키블록 (46) 체결작업을 수행한 것이다.
결국, 작업자가 치구를 이용하여 통키의 체결작업 즉, 통키의 복귀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으로 작업하는 도중에 통스조(34) 자체가 파손되는 설비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현장에서 주변설비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으며, 특히 슬라브의 원활한 열연공정 투입이 지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통스 크레인의 통스조들의 위치불량으로 인한 통키의 복귀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면 안전사고와 설비손상등을 방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의 통스조가 과도하게 밀착되는 통스조의 위치불량이 발생되어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작동적으로 이를 신 속하게 본래의 체결위치로 복귀시키어 통스 크레인에 의한 슬라브의 라인투입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토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브가 이송되는 롤러테일블측의 제 1 조정부를 통하여 1차적으로 통스조의 과도한 밀착을 해소하여 통키 체결을 조정하고, 상기 롤러테이블상에 슬라브가 있을 때에는 통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제 2 조정부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통스조의 과도한 밀착을 해소하여 통키 체결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원활한 통키 복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통스 프레임의 하측에 링크 작동토록 연결되어 슬라브를 운반시키는 통스조들을 갖춘 통스부 및, 상기 통스부사이에 설치된 통키부를 구비하는 슬라브 운반용 통스 크레인에 있어서,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롤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의 가이드롤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을 갖춘 제 1 조정부; 및,
상기 통스 프레임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로서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통키부의 통스바에 연결된 가이드바아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를 갖춘 제 2조정부;로 구 성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통키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통키 복귀장치에서 제 1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통키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통키 북귀장치에서 제 2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종래 통스 크레인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먼저,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5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50)는 크게 제 1 조정부 (60) 및 제 2 조정부(70)로서 구성되고, 이들 구성요소(60)(7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브(S)의 운반을 위한 통스부(30)를 갖는 통스 크레인(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 즉, 레일 이동하는 크레인 본체(12)에 모터와 구동풀리로서 작동토록 설치된 작동와이어(W)가 다음에 설명하는 통스 프레임(20)의 풀리(P)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하측으로 통스부(30) 및 통키부(40)가 각각 설치되는데, 먼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부(30)는 프레임(20)의 저부에 연결판(36)상에 피봇된 연결링크(36a)에 전,후측으로 한쌍의 통스조(34)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저부에 연결링크(48)로서 통키프레임(42)이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통키 프레임(42)의 양측에는 상기 통스조(34)가 회전 중심축이 되도록 고정되는 핀부(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키 프레임(42)에는 프레임(20)의 저부에 장착되 통키(44)가 안착 지지되는 통키블록(46)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5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50)의 상기 제 1 조정부(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조정부(60)는 슬라브(S)를 열연공정에 투입하기 위한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추고 있다.
즉, 상기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바아(62a)에는 그 양측에 수직하게 롤러테이블(R)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64)에 하방 장착된 에어실린더(66)에 일단이 연결된 작동링크(68)가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작동링크(68)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64)의 저부에 중앙부분이 피봇(68a)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타단이 상기 리프링바아(62a)의 저부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는 회전이 가능하게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결국 상기 리프팅바아(62a)는 상기 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일체로 고정플레이트(64) 사이에서 상하 이동토록 되며, 동시에 상기 고정플레이트(64)상에 고정된 리프팅프레임(62)도 일체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측면에 즉, 상기 리프팅바아(62)를 향하는 그 측면에는 상,하측으로 가이드롤(69)들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리프팅바아(62a)는 상기 고정플레이트(64)사이에서 가이드롤(69)에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고정플레이트중 일측의 고정플레이트(64)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의 모서리면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팅바아 (62)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센서작동편(63)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S1)(S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다음, 도 3,도 6 및 도 7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50)에서 상기 제 2 조정부(70) 즉, 통스부(30)에 설치되어 통스조의 복귀를 조정하는 제 2 조정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 2 조정부(70)는 상기 통스 프레임 (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 (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기 제 2 조정부(70)의 이동블록(72)은,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설치된 모터(78a)와 기어박스(78b)를 개재하여 구동토록 배치된 스크류바아(78c)가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 홈(78d)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블록(72)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에 수직 설치된 수직대(80)상의 가이드롤(80a)이 지지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76)는 상기 이동블록(72)이 중앙에 통과하는 개구(7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6b)는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상부에 핀(76c) 고정되어 상기 이동블록(72)의 상승시 하측의 스토퍼 (72a)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아(74)는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롤(75)들에 의하여 서포트(76)에 의하여 일체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트(76)에 설치된 센서바아(82)에 의하여 그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다수의 센서(S1')(S2')(S3')(S4')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스 크레인(1)의 통스부(30)의 통스조 (34)들이 과도하게 밀착되면서 그 간격이 좁혀져 통스조(34)들에 의한 슬라브(S)의 운반이 어려울 경우, 즉, 통키부(40)의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서 이탈되었을 때에는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8a)를 구동시키어 기어박스 (78b)를 통하여 회전하는 스핀들(78c)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스핀들(78c)에 체결된 스트류홈(78d)이 형성된 이동블록(72)을 이동시키어 스 하측 스토퍼(72a)로서 가이드바아(74)를 이동시킴으로서, 통키 프레임(42)을 이동시키어 통스조(34)들의 간격을 슬라브(S)의 최소폭 보다 좁게 기준점을 설정한다.
다음,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가 롤러테이블(R)에 진입하거나 크레인에 의하여 장입베드(미도시)에 슬라브(S)가 장입되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50)의 조작패널(PLC) 및 크레인(10)의 조작판넬(PLC)를 조작하여 초기 지정된 위치로 통스부(30)를 이동시키고, 크레인 호이스트(미도시)가 하강하여 크레인 통스부(30)에 설치된 가이드롤(32)이 슬라브(S)에 안착하여 로드셀에 의해 통스조(34)의 무게가 무부하가 될때 호이스트를 정지한후 호이스트의 초기(home)위치까지 크레인 통스조(34)로서 슬라브(S)를 권상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슬라브(S)가 정상적으로 권상 되었는가를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이동하는 서포트(72)의 센서바아(82)가 이동하여 감지센서(S4')를 접촉 작동시키지 않으면, 슬라브의 권상에 이상이 없는것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를 이송하여 작업진행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정상적으로 권상하지 못하게 되어 크레인 통스조(34)만이 권상될 경우에는, 통키(44)가 통키블록 (46)에서 이탈되면서 통키 프레임(42)과 통스 프레임(20)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결국, 통키 프레임(42)에 하단부가 브라켓트(b)로서 볼트 결합된 가이드바아 (74)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서포트(76)가 일체로 하강하여 이동블록(72)의 스토퍼 (72a)에 밀착되어 정지하게 되면서 그 양측의 센서바아(82)는 최하단의 센서(S4')에 접촉하면서 이를 작동시키어 상기 센서가 연결된 PLC를 통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다음, 통주조(34)의 복귀를 위해 롤러테이블(R)에 설치된 제 1 조정부(6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위해 롤러테이블(R)에 슬라브(S)가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여 슬라브(S)가 없으면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은 롤러테이블(R)의 초기위치로 이동하고, 제 1 조정부(60)의 에어실린더(66)를 작동시키어 고정플레이트(64)상에 설치된 센서(S1)가 리프팅바아(62a)상에 설치된 센서바아(S2)로서 작동되면, 크레인(1)은 호이스트에 의해 크레인 통스조(34)가 하강하여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리프팅 프레임(62)에 안착되어 로드셀에 의해 통스조 (34)의 무게가 무부하가 될 때 상기 센서(S4')의 작동이 수행되어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 체결되면서 호이스트는 정지한후 홈 위치까지 크레인 통스조(34)들은 권상시킨다.
따라서, 상기 통스조(34)의 권상이 이루어지면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 프레임(72)는 미리 전진한 에어실린더(66)가 후진 즉, 작동링크(68)를 상승시키는 작동으로 센서중 상측의 센서(S1)가 센서작동편(63)로서 작동되어 슬라브 적치배드에 있는 슬라브(S)의 위치 이상유무를 전송하게되고, 결국 작업자는 이상유무를 확인한후 운전모드를 전환하여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의 운반작업을 수행하며, 하측의 센서(S2)가 센서작동편(63)으로서 작동되면, 리프팅프레임(62)은 롤러테이블(R)의 롤(R')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게 한다.
그런데, 통스조(34)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롤러테이블(R)에 설치된 제 1 조정부(60)의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슬라브(S)가 있으면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 프레임(72)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도 6 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인 장치(50)의 제 2 조정부(70)를 가동시킨다.
즉, 크레인(1) 측에 설치된 제 2 조정부(70)만을 단독으로 가동시키어 통키의 통키 프레임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모터(78a)를 구동시키어 기어박스 (78b)를 통하여 스핀들(78c)를 회전시키면, 스핀들(78c)이 체결되는 스트류홈(78d)이 형성된 이동블록(72)은 상승 또는 하강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이동블록(72)이 상승하면 하측의 스토퍼(72a)가 밀착된 서포트 (76)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서포트(76)가 상승하면 이와 핀 연결된 가이드바아 (74)가 상승하여 결국 상기 가이드바아(74)의 하단부가 볼트로서 브라켓트(b) 연결된 통키 프레임(42)이 일체로 상승하고, 상기 통키프레임(42)의 힌지(42a)에 링크방식으로 연결된 통스조(34)들이 일체로 상승하게 되면서, 통스조(34)들의 간격은 벌어지고 통키(44)는 통키블록(46)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76)의 양측으로 돌출토록 형성된 센서바아(82)로서 상측의 센서(S1')가 접촉하여 작동되면, 이 신호로서 모터(78a)는 정지한후, 다시 모터(78a)는 역구동하여 이동블록(72)이 하강하면 일체로 서포트(76)와 가이드바아 (74)가 하강하여 하측의 센서(S4')가 센서바아(82)로서 작동되면 구동모터(78a)는 다시 정지하고, 베드에 적치된 슬라브(S)의 위치 이상유무가 파악된다,
다음, 작업자는 이상유무를 확인후 운전모드로 전환한후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를 이동시키어 슬라브의 운반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바아(82)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여러개의 센서(S2')(S3')(S4')들은 순차로 설치하면, 결국 상기 이동블록(72)에 의하여 하측의 스토퍼(72a)가 상승 및 하강하여 일체로 이동하는 서포트(76)의 이동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통스조(34)들의 간격을 적당하게 벌려서 통스조(34)의 과다한 밀착으로 통키가 통키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조정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통스조 복귀장치(50)에 의하면 통스조(34)들이 과도하게 밀착되면 이를 신속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초기 작업위치로 복귀시키어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위한 통키의 복귀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슬라브(S)의 원활한 권상 및 라인투입으로 라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 의하면,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의 통스가 과도하게 밀착되는 통키의 위치불량이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이를 신속하게 초기 작업위치로 변경시키어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열연공정 투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1차적으로 롤러테이블측에 슬라브가 없을 때에는 제 1 조정부로서 통스조의 복귀를 수행하고, 슬라브가 롤러테이블상에 있을 때에는 통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제 2 조정부로서 통스의 위치조정을 수행함으로서, 통키의 통키블록 체결작업인 통키 복귀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슬라브의 대기상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통스 프레임(20)의 하측에 링크 작동토록 연결되어 슬라브를 운반시키는 통스조(34)들을 갖춘 통스부(30) 및, 상기 통스부(30)사이에 설치된 통키부(40)를 구비하는 슬라브 운반용 통스 크레인(10)에 있어서,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춘 제 1 조정부(60); 및,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춘 제 2조정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바아(62)에는 그 양측에 수직하게 롤러테이블(R)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64)에 하방 장착된 에어실린더 (66)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저부에 중앙부분이 피봇된 작동링크(68)의 타단이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고정플레이트 (64) 사이에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측면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를 지지하는 가이드롤(69)들이 장착되고, 상기 일측 고정플레이트(64)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의 모서리면에 장착된 센서작동편(63)의 이동에 따라 감지되는 센서 (S1)(S2)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정부(70)의 이동블록(72)은,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설치된 모터(78a)와 기어박스(78b)를 개재하여 구동토록 배치된 스크류바아(78c)가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홈(78d)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블록(72)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에 수직 설치된 수직대(80)상의 가이드롤(80a)이 지지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76)는 상기 이동블록(72)이 중앙에 통과하는 개구(7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6b)는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상부에 핀(76c) 고정되어 상기 이동블록(72)의 상승시 하측의 스토퍼(72a)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센서바아(82)에 의하여 그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다수의 센서(S1')(S2')(S3')(S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KR1020010046762A 2001-08-02 2001-08-02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KR10072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ko) 2001-08-02 2001-08-02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ko) 2001-08-02 2001-08-02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3A KR20030012633A (ko) 2003-02-12
KR100723254B1 true KR100723254B1 (ko) 2007-05-29

Family

ID=2771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ko) 2001-08-02 2001-08-02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411B1 (ko) * 2012-04-30 2018-10-31 주식회사 포스코 픽업 크레인의 통키 잠금 구조물
KR101599215B1 (ko) 2015-06-04 2016-03-14 포스마텍 주식회사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ko) * 1987-08-06 1989-02-15
KR200223754Y1 (ko) *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ko) * 1987-08-06 1989-02-15
KR200223754Y1 (ko) *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3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8448A (en) Continuous stack advancer for blank destacking
US2522031A (en) Continuous pouring machine for traveling mold conveyers
US383313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US4360304A (en) Extendable crane trolley and method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US2622816A (en) Coil cradle
CN110316663B (zh) 一种集装箱端墙自动上总装台装置
KR100723254B1 (ko)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US3821978A (en) Automatic foundry system
EP25112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and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US2317000A (en) Tiltable lumber hoist
KR100186914B1 (ko) 적층된 판소재의 자동이송 및 투입장치
KR100685019B1 (ko) 열연정정코일라인에서 강판불량부 처리 및 샘플채취장치
JPS5919017A (ja) 鋼片移載装置
US4215854A (en) Melt processing apparatus with tiltable melt receptacle
CN109513991B (zh) 机床翻转装置的连杆机构及机床
KR20120020372A (ko) 철근 이송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H0232069B2 (ja) Yotonpansochi
KR100507666B1 (ko) 패드 내장형 슬래브 이동 테이블장치
US4704064A (en) Paper roll elevator lift
CN110654833A (zh) 一种卷材翻转机
JPH01118328A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0331472Y1 (ko)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
JPH05278821A (ja) 物品の組立ラインに於ける搬送システム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