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254B1 -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254B1
KR100723254B1 KR1020010046762A KR20010046762A KR100723254B1 KR 100723254 B1 KR100723254 B1 KR 100723254B1 KR 1020010046762 A KR1020010046762 A KR 1020010046762A KR 20010046762 A KR20010046762 A KR 20010046762A KR 100723254 B1 KR100723254 B1 KR 10072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crane
slab
frame
t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2633A (en
Inventor
임호진
강문기
조윤환
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254B1/en
Publication of KR2003001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2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통스(TONGS)를 갖는 크레인(CRANE)에서 통스조가 과다하게 밀착됨으로 인한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슬라브 운반을 위하여 통키를 통기블록에 체결시키어 통스 크레인을 작업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한다.If the tong key block of the tong key due to excessively close tong tank in the crane having tons for transporting the slabs occurs, the tong crane is returned to the working position by tightening the tong key to the ventilation block for slab transportation. A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for a tongs crane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장치(1)는,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춘 제 1 조정부 (60); 및,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춘 제 2조정부(70);로 구성되어 있다.The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is fixed on a lifting bar 62a which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rolls R 'of the slab feed roller table R, and the guide roll 32 of the barrel portion 30. A first adjusting portion 60 having a lifting frame 62 in contact with it; And a stopper 72a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lock 72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tongs frame 20 through the frame 20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block 72. And a second adjustment unit 70 having a support 76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74 connected to the through bar 42 of the 4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스 크레인의 통스조가 밀착됨으로서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 크레인의 작업대기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서,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원활한 공정투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ng key block deviation of the tongki occurs because the tongs of the tongs cran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s, it is quickly returned to the working state of the crane, thereby enabling smooth process injection of the slab through the tongs of the crane and thus productivity. Provides excellent effects to improve.

연주공정, 슬라브, 크레인, 통스 크레인, 통키, 통스조 복귀장치 Playing process, slabs, cranes, tongs cranes, tongki, tongsjo return device

Description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Tongs crane automatic return device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도 1은 일반적인 슬라브운반을 위한 통스를 갖는 크레인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그 전체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1 is a view showing a crane having a tong for a general slab transportation,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b)는 통스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tongs portion

도 2는 종래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조의 위치불량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ition defective state of the tub in the conventional tub cra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inventor's tongs crane

도 5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1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adjustment unit in the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tongs crane;

도 6은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adjustment unit in the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tongs crane,

(a)는 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configuration

(b)는 분해 사시도(b)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7은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의 작 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adjustment unit in the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ngs cra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크레인 12.... 크레인 본체10 .... crane 12 .... crane body

20.... 통스 프레임 30.... 통스부20 .... Tons Frame 30 .... Tonsbu

34.... 통스조 40.... 통키부34 .... Tongsjo 40 .... Tongkibu

42.... 통키 프레임 44.... 통키42 .... Tonky Frame 44 .... Tonky

46.... 통키블록 50.... 통스 복귀장치46 .... Tonky Block 50 .... Tonks Reverter

60.... 제 1 조정부 62.... 리프팅 프레임60 .... 1st adjustment part 62 .... lifting frame

64.... 고정플레이트 66.... 에어실린더64 .. Fixed plate 66 .... Air cylinder

68.... 작동링크 69,80a.... 가이드롤68 .... Operating link 69,80a .... Guide roll

70.... 제 2 조정부 72.... 이동블록70 .... 2nd control part 72 .... moving block

72a.... 스토퍼 74.... 가이드바아72a .... stopper 74 .... guide bar

76.... 서포트 80.... 수직대76 ... Support 80 Vertical

S,S'....센서
S, S '... sensor

본 발명은 중량물 특히, 제철공장에서 제조되는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통스 (TONGS)를 갖는 통스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권상작업시 통스조가 슬라브의 적치불량으로 과다하게 밀착됨으로 인하여, 통키가 통키블록에서 이탈되면서 발생하는 크레인의 작업중단을 방지토록 통키의 통키블록 체결을 통스조의 위치불량시 신속하게 복귀시키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s crane having a tongs (TONGS) for transporting a heavy material, in particular, a slab manufactured in an iron making plant. By being in close contact, the tong key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for quickly returning the tong key block fastening of the tong key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rane caused when the tong key is released from the tong key block.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연주공장에서 연속 생산되는 슬라브는 대략 두께 230mm, 폭 850~2000mm, 길이 5500 ~ 12000mm 까지의 규격으로 수요가의 요구에 맞도록 그 길이를 절단하여 생산하는데, 이후 양질의 슬라브(S)는 후공정 즉, 압연 및 코일링공정으로 투입토록 되는데, 이와 같은 고중량물인 슬라브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슬라브의 이동을 위한 통스(TONGS)를 갖는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브의 이동을 위한 통스조를 갖는 통스 크레인을 도시하고 있다.In general, slabs produced continuously in the refining plant of the steel mill are cut to length to meet the demand of the customer with the standard thickness of 230mm, width 850 ~ 2000mm, and length of 5500 ~ 12000mm. S) is to be put into the post-process, that is, rolling and coiling process, in order to move such a heavy slab is used a crane having a tongs (TONGS) for the movement of the slab, in Figures 1 and 2 A tongs crane having a tongs for movement of the same slab is shown.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 즉, 제철공장의 슬라브 적치장소에 설치된 무인자동화 크레인(10)은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기에서 주조된 슬라브 (S)를 앞에서 설명한 압연 및 코일링의 후 처리라인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롤러테이블(R) 및 열연장입 슬라브베드에 투입 및 적치되는 경우 장입베드에서 적치된 슬라브(S)들을 상기 온라인 롤러테이블(R)로 슬라브를 이동시키는 설비인데, 이후 롤러테이블상의 슬라브(S)는 열간압연을 위한 가열로로 이송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crane 10, that is, the unmanned automatic crane 10 installed in the slab storage place of the steel mill is rolling and coiling the slab (S) cast in the continuous casting machine of the steel mill described above When the slab (S) loaded in the loading bed and loaded on the roller table (R) and the hot-loading slab bed for operating the post-processing line of the slab (S) is a facility for moving the slab to the online roller table (R), after The slab S on the roller table is transferred to a heating furnace for hot rolling.

즉,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이동하는 크레인본체(12)에 작동와이어(W)로서 상하 이동토록 연결된 통스 프레임(20)에 통스부(30)가 장착되고 있는 데, 상기 통스부(30)는 통스 프레임(20)의 저부에 링크 작동하는 한쌍의 통스조 (34)를 갖추고,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저부 중앙에는 상기 통스조(34)의 회전 중심축에 설치된 통키 프레임(42)상의 통키블록(46)에 지지되는 통키(44)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tongs section 30 is attached to the tongs frame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rane main body 12 to move rails up and down as the operation wire W. 30 has a pair of tongs jaws linking to the bottom of the tongs frame 20, and a tong key frame 4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ongs frame 20 o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tongs sock 34 A tong key 44 supported by the tong key block 46 is provided.

따라서, 도 1b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부(30)의 통스조 (34)들이 약간 벌어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통소조(34)의 하측으로 설치된 가이드롤 (32)들이 슬라브(S)에 접촉하는 상태에 따라 통스조(34)들은 상기 슬라브(S)를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벌어져 통스조(34)들의 하단 고정단(34b)사이에서 밀착되어 슬라브(S)의 권상 및 운반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B and 2, the guide rolls 32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ngs 34 are lowered while the tongs 34 of the tongs 30 are slightly open. According to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trough tub (34) is opened in a state capable of fixing the slab (S)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lower fixing end (34b) of the trough tub (34) to raise and transport the slab (S) The work is done.

그러나,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 통스(34)를 통한 슬라브(S)의 운반작업에 있어서는, 연주기에서 주조된 슬라브(S)는 여러 설비를 통하여 이송되므로 롤러테이블(R)에 최종적으로 안착된 슬라브(S)의 위치가 조금 이라도 불량하거나, 적치된 상태에서 열연공정의 장입을 위하여 장입베드에 적치 대기되는 슬라브(S)의 위치가 불량할 경우에는, 상기 통스조(34)들이 편심되게 슬라브(S)의 한 쪽으로 안착하게 되면서, 실제 슬라브(S)는 권상 되지 않고 크레인 통스조(34)들만이 서로 과도하게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2, in the conveying operation of the slab S through the conventional crane tongs 34 as described above, the slab S cast in the player is conveyed through various facilities so that the roller table ( When the position of the slab S finally seated on R) is a little bad, or when the position of the slab S waiting to be placed on the charging bed for charging the hot rolling process in the state of loading is poor, As the 34 are eccentrically seated on one side of the slab S, the actual slab S is not hoisted and only the crane tongs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과도하게 통스조(34)들이 밀착되면, 통키(44)가 통키프레임(42)상의 통키블록(46)에서 이탈되게 되고, 결국 크레인의 정상적인 슬라브 권상작업을 위하여는 통키(44)의 통키블록(45) 체결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이와 같은 통키(44)를 통키블록(46)에 체결하는 장치 즉, 크레인(10)의 통스(34)들이 과다하게 밀착된 것을 벌려서 작업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가 없었다.Therefore, in this case, if the tongs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ongki (44) is separated from the tongki block 46 on the tongki frame 42, and eventually the tongki (for the normal slab hoisting operation of the crane) Since the fastening of the tong key block 45 of the 44 must be preceded first, in the related art, an apparatus for fastening such a tong key 44 to the tong key block 46, that is, the tongs 34 of the crane 10 are excessively in close contact. There was no device for spreading it back to the working position.

따라서, 크레인의 정상적인 슬라브 운반이 수행되는 것이 중단되므로, 부득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 및 받침대등의 별도의 치구들을 이용하여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 체결되는 정상적인 작업이 가능한위치 즉, 과도하게 밀착된 통스부(30)의 통스조(34)들을 적당하게 벌어진 상태로 복귀시켜 통키(44)의 통키블록 (46) 체결작업을 수행한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normal slab transportation of the crane is stopped, it is inevitable that the worker can use the separate jig, such as the wire and the pedestal manually, to allow the normal operation of the key key 44 to the key key block 46. By returning the tongs (34) of the tongs section 30 in close contact with an appropriately opened state to perform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tongkey block 46 of the tongs (44).

결국, 작업자가 치구를 이용하여 통키의 체결작업 즉, 통키의 복귀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으로 작업하는 도중에 통스조(34) 자체가 파손되는 설비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현장에서 주변설비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으며, 특히 슬라브의 원활한 열연공정 투입이 지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worker performs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tong key using the jig, that is, the returning operation of the tong key, the damage of the equipment in which the tong tub 34 itself is broken frequently occurs while the worker is working with excessive force.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workers colliding with the surrounding equipment in the field, and in particular, the smooth hot rolling process of the slab is delay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productivity.

따라서, 통스 크레인의 통스조들의 위치불량으로 인한 통키의 복귀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면 안전사고와 설비손상등을 방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perform the quick return operation of the tong key due to the poor position of the tongs of the tongs crane automatically and without the operator's manual work because it prevents safety accidents and equipment dam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의 통스조가 과도하게 밀착되는 통스조의 위치불량이 발생되어 통키의 통키블록 이탈이 발생되면, 작동적으로 이를 신 속하게 본래의 체결위치로 복귀시키어 통스 크레인에 의한 슬라브의 라인투입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토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when the tong tank of the crane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slab excessively close position of the tong tank occurs, when the tongki block departure occu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of a tongs crane which allows the slewing of the slab by the tongs crane to be smoothly returned to the original fastening position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브가 이송되는 롤러테일블측의 제 1 조정부를 통하여 1차적으로 통스조의 과도한 밀착을 해소하여 통키 체결을 조정하고, 상기 롤러테이블상에 슬라브가 있을 때에는 통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제 2 조정부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통스조의 과도한 밀착을 해소하여 통키 체결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원활한 통키 복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through the first adjustment portion on the roller tail side to which the slab is conveyed to eliminate the excessive closeness of the tub to adjust the tong key fastening, when there is a slab on the roller table when the slab frame It is to provide a tong crane automatic return device for the tongs crane to perform a more smooth tong key return operation by additionally eliminating the excessive close contact of the tub through the second adjustment unit installed in the tong ke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통스 프레임의 하측에 링크 작동토록 연결되어 슬라브를 운반시키는 통스조들을 갖춘 통스부 및, 상기 통스부사이에 설치된 통키부를 구비하는 슬라브 운반용 통스 크레인에 있어서,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의 롤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의 가이드롤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을 갖춘 제 1 조정부; 및,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lab carrying tongs having a tongs part having a tubs for connecting the link opera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tongs frame for transporting the slab, and a tong key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ongs parts. A crane comprising: a first adjusting portion having a lifting frame fixed on a lifting bar installed between the rolls of a slab conveying roller table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guide roll of the tubular portion in contact; And,

상기 통스 프레임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로서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통키부의 통스바에 연결된 가이드바아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를 갖춘 제 2조정부;로 구 성된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A stopper fixed to a lower portion of a moving block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tongs frame, and having a support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lock to move up and down along a guide bar connected to the tongs bar of the tong key through the frame; By adjusting the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consisting of.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통키 복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통키 복귀장치에서 제 1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통키 복귀장치에서 제 2 조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통키 북귀장치에서 제 2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인데, 종래 통스 크레인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ng key return devic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adjustment unit in the tong key return device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adjustment unit in the tong key return devic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in the tong key book return device,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ong crane i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먼저, 도 3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5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50)는 크게 제 1 조정부 (60) 및 제 2 조정부(70)로서 구성되고, 이들 구성요소(60)(7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FIG.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ongey automatic return device 50 of the tongs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referred to as the first adjustment unit 60 and the second adjustment unit 70. The components 60 and 70 ar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브(S)의 운반을 위한 통스부(30)를 갖는 통스 크레인(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 즉, 레일 이동하는 크레인 본체(12)에 모터와 구동풀리로서 작동토록 설치된 작동와이어(W)가 다음에 설명하는 통스 프레임(20)의 풀리(P)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tongs crane 10 having a tongs part 30 for carrying the slab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rane 10, that is, the rail moving An operating wire W installed to be operated as a motor and a driving pulley in the crane body 12 is fastened between the pulleys P of the tongs frame 20 to be described below to allow movement of the tongs frame 20. It is.

그리고,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하측으로 통스부(30) 및 통키부(40)가 각각 설치되는데, 먼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부(30)는 프레임(20)의 저부에 연결판(36)상에 피봇된 연결링크(36a)에 전,후측으로 한쌍의 통스조(34)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tongs 30 and a tongki 40 are respectively provided below the tongs frame 20. As shown in FIG. 2, the tongs 3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20. A pair of tubs 34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36a pivoted on the connecting plate 36 in the front and rear in a link manner.

또한,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의 저부에 연결링크(48)로서 통키프레임(42)이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통키 프레임(42)의 양측에는 상기 통스조(34)가 회전 중심축이 되도록 고정되는 핀부(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키 프레임(42)에는 프레임(20)의 저부에 장착되 통키(44)가 안착 지지되는 통키블록(46)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b, the tongki frame 42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20 as a link link 48, the tong jaw 34 on both sides of such a tongki frame 42 A pin portion 42a is formed to fix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The tong key frame 42 is provided with a tong block 46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20 to which the tong 44 is seated and supported.

다음, 도 3 내지 도 5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50)의 상기 제 1 조정부(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조정부(60)는 슬라브(S)를 열연공정에 투입하기 위한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추고 있다.Next, FIGS. 3 to 5 show the first adjusting part 60 of the tongki automatic return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ongs crane, which is the first adjusting par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xed on the lifting bar (62a)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roll (R ') of the slab feed roller table (R) for feeding into the hot rolling process, the guide roll 32 of the barrel portion 30 is in contact A lifting frame 62 is provided.

즉, 상기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바아(62a)에는 그 양측에 수직하게 롤러테이블(R)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64)에 하방 장착된 에어실린더(66)에 일단이 연결된 작동링크(68)가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작동링크(68)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64)의 저부에 중앙부분이 피봇(68a)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타단이 상기 리프링바아(62a)의 저부에 연결되어 있다.That is, an operation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air cylinder 66 mounted downwardly on a fixing plate 64 disposed between the roller tables R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bar 62a of the first adjustment unit 60. 68 is connected, the operation link 68 is pivotal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xing plate 64, the central portion (68a),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ifting bar (62a) It is.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는 회전이 가능하게 힌지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결국 상기 리프팅바아(62a)는 상기 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일체로 고정플레이트(64) 사이에서 상하 이동토록 되며, 동시에 상기 고정플레이트(64)상에 고정된 리프팅프레임(62)도 일체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are connected in a hinged manner so as to be rotatable, and eventually the lifting bar 62a is integrally fix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66. Up and down between the 64,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frame 62 fixed on the fixing plate 64 is also moved up and down integrally.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측면에 즉, 상기 리프팅바아(62)를 향하는 그 측면에는 상,하측으로 가이드롤(69)들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리프팅바아(62a)는 상기 고정플레이트(64)사이에서 가이드롤(69)에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64, that is, the side toward the lifting bar 62, the guide rolls 69 are mounted up and down, so that the lifting bar 62a is the fixing plate 64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stab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roll 69.

또한,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고정플레이트중 일측의 고정플레이트(64)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의 모서리면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팅바아 (62)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센서작동편(63)에 의하여 작동되는 센서(S1)(S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fixed plate 64 of one side of the fixed plate on both sides is mounted on the edge surface of the lifting bar 62, the sensor operation to move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lifting bar 62 Sensors S1 and S2 operated by the piece 63 are mounted, respectively.

다음, 도 3,도 6 및 도 7 에서는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50)에서 상기 제 2 조정부(70) 즉, 통스부(30)에 설치되어 통스조의 복귀를 조정하는 제 2 조정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 2 조정부(70)는 상기 통스 프레임 (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 (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추고 있다.Next, in FIG. 3, FIG. 6, and FIG. 7, the 2nd adjustment part installed in the said 2nd adjustment part 70, ie, the tongs part 30 in the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50 of this invention's tongs crane, adjusts the return of a tongs tank. 70, the second adjustment unit 70 is a stopper 72a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72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tongs frame 20. Both sides of the 72 are provided with the support 76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74 connected to the through bar 42 of the tongki part 40 via the frame 20.

그리고,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기 제 2 조정부(70)의 이동블록(72)은,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설치된 모터(78a)와 기어박스(78b)를 개재하여 구동토록 배치된 스크류바아(78c)가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 홈(78d)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블록(72)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에 수직 설치된 수직대(80)상의 가이드롤(80a)이 지지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어 있다.6 and 7, the moving block 72 of the second adjustment unit 7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otor 78a and a gear box 78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rough frame 20. The screw bar 78c disposed to be driven through the ()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78d formed therein, an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ovable block 72, the vertical bar 8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ame 20 is disposed. The guide roll 80a is supported and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hen the motor is driven.

또한, 상기 서포트(76)는 상기 이동블록(72)이 중앙에 통과하는 개구(7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6b)는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상부에 핀(76c) 고정되어 상기 이동블록(72)의 상승시 하측의 스토퍼 (72a)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76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opening 76a through which the moving block 72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wing portions 76b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76 are guide bars 74. The pin (76c)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72 to rise by the lower stopper (72a) to rise.

한편, 상기 가이드바아(74)는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롤(75)들에 의하여 서포트(76)에 의하여 일체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트(76)에 설치된 센서바아(82)에 의하여 그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다수의 센서(S1')(S2')(S3')(S4')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bar 74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tegrally by the support 76 by the guide rolls 75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rrel frame 20, the one side of the guide bar 74 By the sensor bar 82 installed in the support 76, a plurality of sensors S1 ', S2', S3 'and S4' which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re arrang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스 크레인(1)의 통스부(30)의 통스조 (34)들이 과도하게 밀착되면서 그 간격이 좁혀져 통스조(34)들에 의한 슬라브(S)의 운반이 어려울 경우, 즉, 통키부(40)의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서 이탈되었을 때에는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8a)를 구동시키어 기어박스 (78b)를 통하여 회전하는 스핀들(78c)을 구동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2, while the tubs 34 of the tubs 30 of the tongs crane 1 are excessiv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acing is narrowed to transport the slabs S by the tubs 34. In this difficult case, that is, when the tong 44 of the tongki 40 is disengaged from the tongki block 46,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motor 78a is driven to drive the gearbox 78b. The rotating spindle 78c is driven.                     

이때, 상기 스핀들(78c)에 체결된 스트류홈(78d)이 형성된 이동블록(72)을 이동시키어 스 하측 스토퍼(72a)로서 가이드바아(74)를 이동시킴으로서, 통키 프레임(42)을 이동시키어 통스조(34)들의 간격을 슬라브(S)의 최소폭 보다 좁게 기준점을 설정한다.At this time, by moving the moving block 72 formed with the strand groove 78d fastened to the spindle 78c to move the guide bar 74 as the lower stopper 72a, thereby moving the tong key frame 42 The reference point is set so that the spacing of the pairs 34 is narrower than the minimum width of the slab S.

다음,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가 롤러테이블(R)에 진입하거나 크레인에 의하여 장입베드(미도시)에 슬라브(S)가 장입되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50)의 조작패널(PLC) 및 크레인(10)의 조작판넬(PLC)를 조작하여 초기 지정된 위치로 통스부(30)를 이동시키고, 크레인 호이스트(미도시)가 하강하여 크레인 통스부(30)에 설치된 가이드롤(32)이 슬라브(S)에 안착하여 로드셀에 의해 통스조(34)의 무게가 무부하가 될때 호이스트를 정지한후 호이스트의 초기(home)위치까지 크레인 통스조(34)로서 슬라브(S)를 권상한다. Next, as shown in Figures 4 and 5, when the slab (S) enters the roller table (R) or the slab (S) is charged to the charging bed (not shown) by the cran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ration panel PLC of 50 and the operation panel PLC of the crane 10 are operated to move the barrel section 30 to an initially designated position, and the crane hoist (not shown) descends to lift the crane barrel section 30. When the guide roll 32 installed in the) is seated on the slab (S) and the weight of the tongs (34) is no load by the load cell, the hoist is stopped and then the crane tongs (34) to the home position of the hoist. The slab (S) is wound up.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슬라브(S)가 정상적으로 권상 되었는가를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이동하는 서포트(72)의 센서바아(82)가 이동하여 감지센서(S4')를 접촉 작동시키지 않으면, 슬라브의 권상에 이상이 없는것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를 이송하여 작업진행을 수행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if the slab (S) is confirmed whether the hoisting normally, the sensor bar 82 of the support 72 moving along the guide bar 74 is moved to detect the sensor If (S4 ') is not in contact, the slab is judged to have no abnormality and the slab is transported to the designated position to carry out the work.

그러나,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정상적으로 권상하지 못하게 되어 크레인 통스조(34)만이 권상될 경우에는, 통키(44)가 통키블록 (46)에서 이탈되면서 통키 프레임(42)과 통스 프레임(20)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 slab S is not normally hoisted and only the crane tongs 34 are hoisted, the tong key 44 is released from the tong key block 46 and the tong key frame. The space between the 42 and the trough frame 20 becomes wider.                     

결국, 통키 프레임(42)에 하단부가 브라켓트(b)로서 볼트 결합된 가이드바아 (74)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서포트(76)가 일체로 하강하여 이동블록(72)의 스토퍼 (72a)에 밀착되어 정지하게 되면서 그 양측의 센서바아(82)는 최하단의 센서(S4')에 접촉하면서 이를 작동시키어 상기 센서가 연결된 PLC를 통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As a result, the guide bar 74 bolted to the tongki frame 42 as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b is lowered, and the support 76 is lowered integrally to closely contact the stopper 72a of the movable block 72. As it stops, the sensor bars 82 on both sides of the sensor bar 82 are in contact with the sensor S4 'at the lowermost level to operate the sensor bar 82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through the PLC to which the sensor is connected.

다음, 통주조(34)의 복귀를 위해 롤러테이블(R)에 설치된 제 1 조정부(6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위해 롤러테이블(R)에 슬라브(S)가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여 슬라브(S)가 없으면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0)은 롤러테이블(R)의 초기위치로 이동하고, 제 1 조정부(60)의 에어실린더(66)를 작동시키어 고정플레이트(64)상에 설치된 센서(S1)가 리프팅바아(62a)상에 설치된 센서바아(S2)로서 작동되면, 크레인(1)은 호이스트에 의해 크레인 통스조(34)가 하강하여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리프팅 프레임(62)에 안착되어 로드셀에 의해 통스조 (34)의 무게가 무부하가 될 때 상기 센서(S4')의 작동이 수행되어 통키(44)가 통키블록(46)에 체결되면서 호이스트는 정지한후 홈 위치까지 크레인 통스조(34)들은 권상시킨다.Next, in ord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irst adjusting unit 60 installed on the roller table R is used for the return of the tub casting 34,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lab S is present in the roller table R and the slab S is used. 4 and 5, the crane 10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oller table R, and operates the air cylinder 66 of the first adjusting unit 60 to fix the plate 64. When the sensor S1 provided on the) is operated as the sensor bar S2 provided on the lifting bar 62a, the crane 1 is lowered by the hoist hoist 34 so that the crane tongs 34 are lowered to guide the tongs 30. When the roll 32 is seated on the lifting frame 62 and the weight of the tongs 34 is no load by the load cell, the operation of the sensor S4 'is performed so that the tong 44 is attached to the tongkey block 46. While the hoist stops, the crane tongs 34 are hoisted up to the home position while being engaged.

따라서, 상기 통스조(34)의 권상이 이루어지면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 프레임(72)는 미리 전진한 에어실린더(66)가 후진 즉, 작동링크(68)를 상승시키는 작동으로 센서중 상측의 센서(S1)가 센서작동편(63)로서 작동되어 슬라브 적치배드에 있는 슬라브(S)의 위치 이상유무를 전송하게되고, 결국 작업자는 이상유무를 확인한후 운전모드를 전환하여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의 운반작업을 수행하며, 하측의 센서(S2)가 센서작동편(63)으로서 작동되면, 리프팅프레임(62)은 롤러테이블(R)의 롤(R')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게 한다. Accordingly, when the tongs 34 are hoisted, the lifting frame 72 of the first adjustment unit 60 is operated by the air cylinder 66, which is advanced in advance, to move backward, that is, to raise the operation link 68. The upper sensor (S1) is operated as the sensor operating piece 63 to transm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sition of the slab (S) in the slab loading bed, and finally the operator checks the abnormality and then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designated position When the slab is transported and the lower sensor S2 is operated as the sensor operating piece 63, the lifting frame 62 makes it sense that it is positioned under the roll R 'of the roller table R. .

그런데, 통스조(34)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롤러테이블(R)에 설치된 제 1 조정부(60)의 이용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슬라브(S)가 있으면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 프레임(72)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도 6 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인 장치(50)의 제 2 조정부(70)를 가동시킨다.By the way,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irst adjustment part 60 provided in the roller table R is used in order to return the tongs 34, if there is a slab S, the lifting frame 72 of the 1st adjustment part 60 may be carried out. Cannot be used, the second adjusting unit 70 of the apparatu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operated.

즉, 크레인(1) 측에 설치된 제 2 조정부(70)만을 단독으로 가동시키어 통키의 통키 프레임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모터(78a)를 구동시키어 기어박스 (78b)를 통하여 스핀들(78c)를 회전시키면, 스핀들(78c)이 체결되는 스트류홈(78d)이 형성된 이동블록(72)은 상승 또는 하강작동하게 된다.That is, only the second adjusting unit 70 installed on the crane 1 side is operated alone to perform the tong key frame fastening operation of the tong key. The motor 78a is driven to drive the spindle 78c through the gearbox 78b. When it rotates, the moving block 72 in which the strand groove 78d in which the spindle 78c is fastened is made to move up or down.

그런데, 상기 이동블록(72)이 상승하면 하측의 스토퍼(72a)가 밀착된 서포트 (76)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서포트(76)가 상승하면 이와 핀 연결된 가이드바아 (74)가 상승하여 결국 상기 가이드바아(74)의 하단부가 볼트로서 브라켓트(b) 연결된 통키 프레임(42)이 일체로 상승하고, 상기 통키프레임(42)의 힌지(42a)에 링크방식으로 연결된 통스조(34)들이 일체로 상승하게 되면서, 통스조(34)들의 간격은 벌어지고 통키(44)는 통키블록(46)에 체결된다.However, when the movable block 72 is raised, the support stop 76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topper 72a is raised. When the support 76 is raised, the guide bar 74 connected with the pin is raised to eventually raise the support 76.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74 is bolted to the tongki frame 42 connected to the bracket (b) integrally, the tongs (34) connected to the hinge (42a) of the tongki frame 42 by the linkage integrally As it rises, the interval between the tubs 34 is widened and the tong 44 is fastened to the tong key block 46.

그리고, 상기 서포터(76)의 양측으로 돌출토록 형성된 센서바아(82)로서 상측의 센서(S1')가 접촉하여 작동되면, 이 신호로서 모터(78a)는 정지한후, 다시 모터(78a)는 역구동하여 이동블록(72)이 하강하면 일체로 서포트(76)와 가이드바아 (74)가 하강하여 하측의 센서(S4')가 센서바아(82)로서 작동되면 구동모터(78a)는 다시 정지하고, 베드에 적치된 슬라브(S)의 위치 이상유무가 파악된다, Then, when the upper sensor S1 'is operated by contact with the sensor bar 82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supporter 76, the motor 78a stops with this signal, and then the motor 78a is stopped again. When the moving block 72 descends by driving backward, the support 76 and the guide bar 74 are lowered together, and when the lower sensor S4 'is operated as the sensor bar 82, the driving motor 78a is stopped again. And the position abnormality of the slab (S) deposited on the bed is grasped,

다음, 작업자는 이상유무를 확인후 운전모드로 전환한후 지정된 위치로 슬라브를 이동시키어 슬라브의 운반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Next, the operator switches to the operation mode after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then moves the slab to the designated position to repeat the transport of the slab.

이때,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바아(82)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여러개의 센서(S2')(S3')(S4')들은 순차로 설치하면, 결국 상기 이동블록(72)에 의하여 하측의 스토퍼(72a)가 상승 및 하강하여 일체로 이동하는 서포트(76)의 이동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a, if the plurality of sensors (S2 ') (S3') (S4 ')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path that the sensor bar 82 is moved, eventually the moving block 72 As a result, the lower stopper 72a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adjust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support 76 which is integrally moved.

이에 따라서,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통스조(34)들의 간격을 적당하게 벌려서 통스조(34)의 과다한 밀착으로 통키가 통키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조정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통스조 복귀장치(50)에 의하면 통스조(34)들이 과도하게 밀착되면 이를 신속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초기 작업위치로 복귀시키어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위한 통키의 복귀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슬라브(S)의 원활한 권상 및 라인투입으로 라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According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perator by manually wide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tubs 34 by hand, and adjusting the tong key is released from the tong key block due to excessive contact of the tubs 34, the tongs tub return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when the tongs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quickly returned to the initial working position without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to perform the return operation of the tong key for the slab hoisting operation, smooth hoisting and line input To improve line productivity.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에 의하면, 슬라브의 운반을 위한 크레인의 통스가 과도하게 밀착되는 통키의 위치불량이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이를 신속하게 초기 작업위치로 변경시키어 크레인의 통스를 통한 슬라브의 열연공정 투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ng key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ng key position defect occurs in which the tongs of the crane for transporting the sla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s crane, the tongs of the crane ar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initial working position. It is effective to more smoothly perform the hot rolling process of the slab through.

더욱이, 1차적으로 롤러테이블측에 슬라브가 없을 때에는 제 1 조정부로서 통스조의 복귀를 수행하고, 슬라브가 롤러테이블상에 있을 때에는 통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제 2 조정부로서 통스의 위치조정을 수행함으로서, 통키의 통키블록 체결작업인 통키 복귀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슬라브의 대기상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more, when there is no slab on the roller table side first, the tox tub is returned as the first adjusting unit, and when the slab is on the roller table, the tongs position is adjusted as the second adjusting unit provided on the tong frame. It is to provide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tandby state of the slab more smoothly to return the tong key block of the tong key block.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would like to know that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is can easily know.

Claims (5)

통스 프레임(20)의 하측에 링크 작동토록 연결되어 슬라브를 운반시키는 통스조(34)들을 갖춘 통스부(30) 및, 상기 통스부(30)사이에 설치된 통키부(40)를 구비하는 슬라브 운반용 통스 크레인(10)에 있어서, For slab transport having a tub section 30 having tub tubs 34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ub frame 20 so as to operate the slab, and having a tub key 40 disposed between the tub sections 30. In the tongs crane 10, 슬라브 이송용 롤러테이블(R)의 롤(R') 사이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리프팅바아(62a)상에 고정되어 상기 통스부(30)의 가이드롤(32)이 접촉하는 리프팅 프레임(62)을 갖춘 제 1 조정부(60); 및,The lifting frame 62 is fixed on the lifting bar 62a which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rolls R 'of the slab feed roller table R, and the guide rolls 32 of the tub 30 contact each other. Equipped first adjusting unit 60; And,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상,하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72)의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72a)로서 상기 이동블록(72)의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을 통하여 통키부(40)의 통스바(42)에 연결된 가이드바아(74)를 따라 상하 이동토록 지지된 서포트(76)를 갖춘 제 2조정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A stopper 72a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lock 72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center of the tongs frame 20, and a tong key portion 40 through the frame 20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block 72. A second adjustment unit 70 having a support 76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74 connected to the barrel bar 42 of the tank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정부(60)의 리프팅바아(62)에는 그 양측에 수직하게 롤러테이블(R)사이에 배치된 고정플레이트(64)에 하방 장착된 에어실린더 (66)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저부에 중앙부분이 피봇된 작동링크(68)의 타단이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고정플레이트 (64) 사이에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2. The lifting bar 62 of the first adjusting part 60 has one end to an air cylinder 66 mounted downwardly on a fixing plate 64 disposed between the roller tables R perpendicular to both sides thereof.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68 pivot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plate 64 is connected to the bottom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fixed plates 6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66. Tonky automatic return device of tongs crane,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4)의 측면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를 지지하는 가이드롤(69)들이 장착되고, 상기 일측 고정플레이트(64)에는 상기 리프팅바아(62)의 모서리면에 장착된 센서작동편(63)의 이동에 따라 감지되는 센서 (S1)(S2)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The side of the fixing plate 64, the guide rolls 69 for supporting the lifting bar 62 is mounted, the one side of the fixed plate 64, the edge surface of the lifting bar 62 Tonks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S1) (S2) de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nsor operation piece 63 mounted on th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정부(70)의 이동블록(72)은, 상기 통스 프레임(20)의 중앙에 설치된 모터(78a)와 기어박스(78b)를 개재하여 구동토록 배치된 스크류바아(78c)가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홈(78d)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블록(72)의 전후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에 수직 설치된 수직대(80)상의 가이드롤(80a)이 지지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하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The screw bar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block 72 of the second adjusting unit 70 is disposed to be driven through a motor 78a and a gearbox 78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ngs frame 20. 78c is inserted into a screw groove 78d formed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block 72 are supported with a guide roll 80a on a vertical stand 8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ame 20 so as to support the motor. Tonky automatic return device for tongs cra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during operation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76)는 상기 이동블록(72)이 중앙에 통과하는 개구(76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76b)는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상부에 핀(76c) 고정되어 상기 이동블록(72)의 상승시 하측의 스토퍼(72a)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The wing 76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support 76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opening 76a through which the movable block 72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wings 76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76. The pin (76c)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bar (74) is configured to rise by the lower stopper (72a) when the moving block 72, 상기 가이드바아(74)의 일측에는 상기 서포트(76)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된 센서바아(82)에 의하여 그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다수의 센서(S1')(S2')(S3')(S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On one side of the guide bar 74, a plurality of sensors S1 ', S2', S3 'and S4' op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by the sensor bars 82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76. Ton key automatic return device of the Tongs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s arranged
KR1020010046762A 2001-08-02 2001-08-02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KR100723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en) 2001-08-02 2001-08-02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en) 2001-08-02 2001-08-02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3A KR20030012633A (en) 2003-02-12
KR100723254B1 true KR100723254B1 (en) 2007-05-29

Family

ID=2771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762A KR100723254B1 (en) 2001-08-02 2001-08-02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2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411B1 (en) * 2012-04-30 2018-10-31 주식회사 포스코 Tong key Locking Structure For Pick-up Crane
KR101599215B1 (en) 2015-06-04 2016-03-14 포스마텍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lab tong of non-impa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en) * 1987-08-06 1989-02-15
KR200223754Y1 (en) *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Sensing device of tong key operation error for tongs cr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en) * 1987-08-06 1989-02-15
KR200223754Y1 (en) * 2000-12-15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Sensing device of tong key operation error for tongs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33A (en)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3862A (en) Interfingering endless elevator and conveyor apparatus
US3998448A (en) Continuous stack advancer for blank destacking
US2522031A (en) Continuous pouring machine for traveling mold conveyers
US383313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US4360304A (en) Extendable crane trolley and method
KR100963790B1 (en) Strip moving roller table
US2622816A (en) Coil cradle
KR100723254B1 (en) Apparatus for returning tong-key of tongs crane
US3821978A (en) Automatic foundry system
EP25112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and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US2317000A (en) Tiltable lumber hoist
KR100186914B1 (en) An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inputing apparatus of loaded board
KR200181433Y1 (en) Roll exchange device for horizontal type anealing furnace
JPS5919017A (en) Billet transferring device
US4215854A (en) Melt processing apparatus with tiltable melt receptacle
CN109513991B (en) Connecting rod mechanism of machine tool turnover device and machine tool
KR20120020372A (en) Transfer device for an iron reinforcing rod and operating method of it
JPH0232069B2 (en) YOTONPANSOCHI
KR100507666B1 (en) Apparatus for slab moving table having pad
US4704064A (en) Paper roll elevator lift
JPH01118328A (en) Work transfer device
KR200331472Y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slab drop during transportation
JPH05278821A (en) Carrying system in assembly line of article
KR200260908Y1 (en) Slab taking out device
JP2596109Y2 (en) Product loading bucket trans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