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98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98B1
KR101062198B1 KR1020040024565A KR20040024565A KR101062198B1 KR 101062198 B1 KR101062198 B1 KR 101062198B1 KR 1020040024565 A KR1020040024565 A KR 1020040024565A KR 20040024565 A KR20040024565 A KR 20040024565A KR 101062198 B1 KR101062198 B1 KR 10106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ation
video
still image
group
gra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303A (ko
Inventor
이호섭
성화석
김영선
민종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98B1/ko
Priority to CNB2005100515314A priority patent/CN100385913C/zh
Priority to EP05007573A priority patent/EP1585091A3/en
Priority to US11/100,458 priority patent/US7956874B2/en
Priority to JP2005111212A priority patent/JP4245582B2/ja
Publication of KR2005009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동영상검출부와,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동영상계조군 중 인접한 계조의 차이가 기준계조차보다 큰 경우, 인접한 계조 사이에 속하는 계조 중 계조의 차에 따라 복수 개의 계조를 포함하는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과, 동영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영상신호를 동영상계조군과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하는 계조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영상의 의사윤곽을 저감시키고 플리커, 화소의 노이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의사윤곽, 플리커(flick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1은 동영상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한 PDP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
도2는 가중된 각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 가능한 계조가 나열된 <표1>을 도시한 것,
도3은 동영상을 표현하는 사용계조를 정리한 <표2>를 도시한 것,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5는 적정개수의 중간계조를 랜덤하게 사용계조 사이에 위치시킨 계조를 나열한 <표3>을 도시한 것,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영상검출부 20 : 동영상 계조테이블
30 : 정지영상 계조테이블 40 : 계조변환부
41 : 계조설정부 42 : 계조선택부
50 : 패널구동부 101 : 역감마보정부
102 :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 103 : 디더회로
104 : 움직임검출부 105 : 선택부
106 : 패널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서로 다른 계조군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 중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계조를 나타내는 PDP(Plasma Display Panel), DMD(Digital Mirror Device)와 같은 장치에서는 움직이는 물체의 화상에서 의사윤곽(false contour)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의사윤곽이란 움직임 영역에서 주위와의 계조차이가 시각적으로 누적되어 등고선과 같은 잔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도1은 동영상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한 PDP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는 역감마보정부(101),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102), 디더회로(103), 움직임검출부(104), 선택부(105) 및 패널제어부(106)를 갖는다.
역감마보정부(101)는 입력 영상신호를 다음과 같은 식(1)에 의해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R. G, B 각각의 휘도레벨 정보를 갖는 것이다. 입출력 휘도레벨이 정수로 표현된다고 할 때, 소수점 이하의 휘도정보는 오차 가 된다.
Y=X2.2 식(1)
(여기서 X는 입력 영상신호를, Y는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102)는 이러한 오차를 주변화소의 휘도에 반영되도록 한다. 즉, 발생된 오차를 가중하여 주변화소의 휘도에 더하고, 주변화소의 오차를 역감마보정부(101)로부터 입력된 휘도정보에 반영시킨다.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102)의 보다 중요한 기능은 역감마보정부(101)의 출력을 동영상의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한 적당한 계조로 표현하는 것이다.
도2는 가중된 각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 가능한 계조 중 일부가 나열된 <표1>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표1>을 참조하여 계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프레임이 8개의 서브필드(sf1~sf8)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서브필드에 순차적으로 (1, 2, 4, 8,····128)개의 유지펄스가 가중되어 있다. 각 계조는 각 서브필드의 발광상태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며, 이것은 발광상태를 1로 비발광상태를 0으로 나타낸 코드워드로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계조[3]의 코드워드는 (11000000)으로 나타내지는데, 계조는 코드워드의 선택에 의해 1프레임동안 발광하는 총 유지펄스의 수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1>의 우측 열의 '사용계조'는 동영상신호의 의사윤곽을 저감하기 위해 선택된 계조이다. 그리고 '디더계조'는 '사용계조'와 함께 정지영상의 표시를 위한 계조로 사용되는 계조이다. '디더값'은 디더계조가 갖는 고유값으로 인접한 사용계조와의 계조차와 같다. 이와 같이 <표1>에 나타난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 가능한 계조의 범위는 [0~255] 계조이지만, 특정 코드워드의 계조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정리하면,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102)는 역감마보정부(101)의 출력을 정지영상의 표시를 위한 일련의 계조군('사용계조'+'디더계조')으로 제한하고, 발생되는 모든 오차를 주변화소로 확산시킨다.
디더회로(103)는 입력된 계조가 디더계조인 경우에 해당 디더값을, 움직임검출부(104)는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이미지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선택부(105)에 출력한다.
선택부(105)는 움직임검출부(104)로부터 영상신호가 정지영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 디더회로(103)로부터 입력된 계조를 그대로 후단의 패널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반면 동영상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 선택부(105)는 디더회로(103)로부터 입력된 계조를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계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44]인 경우 계조제한 및 오차확산부(102)는 디더계조 [47]로 변환하고 [3] 만큼의 오차를 주변화소에 확산시킨다. 움직임검출부(104)로부터 동영상으로 검출된 경우 선택부(105)는 디더계조에 디더값을 가감하여 인접 사용계조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짝수 프레임에서는 디더값의 덧셈을 하여 [47]+[16]=[63] 사용계조로 변환하고, 홀수 프레임에서는 디더값의 뺄셈을 하여 [47]-[16]=[32] 사용계조로 변환한다. 결국, 시간적으로 평균 [47]계조를 갖도 록 하여 원래 영상에 가까운 영상을 얻게 된다.
도3은 동영상을 표현하는 사용계조를 정리한 <표2>를 도시한 것이다.
<표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영상을 표시하는 사용계조는 몇 개 되지 않으나, 시각적으로 세밀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의사윤곽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정지영상에 사용되는 계조는 보다 세밀한 계조까지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계조군 중 인접하는 계조간의 계조차가 매우 큰 경우, 디더계조와 인접 사용계조와의 계조차도 커지게 되어 플리커(flicker)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선택부(105)가 계조군을 변동시킬 가능성은 디더계조와 인접 사용계조의 차이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디더계조와 인접 사용계조와의 큰 계조차는 오차확산부에서 큰 오차를 확산시켜 주변화소에 노이즈가 발생한 것과 같은 부자연스런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디더링 기법은 시계열적인 프레임에 대하여 번갈아 상/하 인접계조로 변환하게 되어 플리커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를 의사윤곽을 저감시키고 플리커를 방지하는 계조군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동영상검출부와; 상기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계조군 중 인접한 계조의 차이가 기준계조차보다 큰 경우, 상기 인접한 계조 사이에 속하는 계조 중 상기 계조의 차에 따라 복수 개의 계조를 포함하는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하는 계조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조변환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하는 계조설정부와; 상기 동영상검출부의 검출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로 검출된 경우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디더링 기법에 따라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가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계조를 출력하는 계조선택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조선택부는 화소 각각이 갖는 소정의 화소 디더값을 저장하는 디더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은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각 계조별 소정 계조 디더값을 갖고; 상기 계조선택부의 상기 디더링 기법은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 디더값과 상기 화소 디더값의 대소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에 인접한 두개의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이 화소 노이즈성 플리커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을 시분할하는 복수의 서브필드 각각에서 화소별 발광여부를 나타내는 이진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서브필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한 서브필드 코드워드와 상기 화소를 발광시키는 유지펄스를 입력받고, 상기 프레임 당 입력되는 상기 유지펄스의 수에 비례하는 계조로 상기 화소의 휘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은 상기 서브필드 코드워드 중 각각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을 표현하기 위한 서브필드 코드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계조변환부에서 변환된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테이블의 서브필드 코드워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서브필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른,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계조군 중 인접한 계조의 차이가 기준계조차보다 큰 경우,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상기 인접한 계조 사이에 속하고 상기 계조의 차에 따른 복수 개의 계조를 포함하는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각 화소의 휘도레벨을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으로 검출된 경우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을 디더링 기법에 따라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에 따른 소정의 화소 디더값을 저장하는 디더테이블과,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에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각 계조별 소정 계조 디더값을 더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더링 기법은 상기 계조 디더값과 상기 화소 디더값의 대소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에 인접한 두개의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이 화소 노이즈성 플리커를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영상검출부(10), 동영상 계조테이블(20), 정지영상 계조테이블(30), 계조변환부(40) 및 패널구동부(50)를 갖는다.
동영상검출부(10)는 입력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검출기법으로는 일정크기의 블록단위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움직임 평가기법(motion estimation), 화소의 영상값의 변화를 추정하는 움직임 산출기법(motion detection) 등이 사용된다.
동영상 계조테이블(20)은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라 다르며, 시분할 방식에 따라 영상을 처리하는 PDP, DMD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브필드 코드워드와 같은 이진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의사윤곽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사용계조 중 인접계조 코드워드 상호간의 비트천이가 적은 것이 바람직한데, <표2>의 코드워드는 전술한 비트천이가 1비트로 제한된 것을 볼 수 있다.
정지영상 계조테이블(30)은 정지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다만, 정지영상계조군은 동영상계조군 중 상호 인접한 계조간의 계조차이에 따라 수 개의 중간계조레벨을 갖는 디더계조를 포함한다.
예컨대, <표1>에서 표시가능한 모든 계조범위 [0~255] 계조가 정지영상계조군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영상을 가장 세밀하게 표시할 수 있지만, 디더링을 위한 이미지의 처리 블록의 사이즈나 후술할 디더값 등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중간계조 상호간 혹은 사용계조와의 계조차이가 소정의 계조차이를 유지하도록 중간계조를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밖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덤한 방법으로 시스템 설계시 불규칙하게 적정개수의 중간계조를 사용계조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계조변환부(40)는 동영상검출부(10)의 검출결과에 영상신호를 동영상계조군과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패널구동부(50)로 출력한다. 패널구동부(50)는 각 화소단위로 입력되는 계조대로 패널의 해당 화소를 발광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영상계조군의 디더계조 즉, 중간계조와 동영상계조군의 사용계조와의 계조차이가 작기 때문에, 사용되는 계조군이 변동되더라도 플리커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기존 상/하한 사용계조 [255]와 [127]의 중간 디더계조 [191]은 계조차 즉, 디더값이 [64]이며, [64] 계조에 해당하는 계조변동이 플리커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약 [3] 계조차를 갖는 복수의 중간계조를 정지영상계조군에 위치시키는 경우, 계조군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최소 [3]계조부터 최대 [64]계조까지의 계조변화가 생겨 플리커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계조변환부(40)는 구체적으로 계조설정부(41)와 계조선택부(42)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계조설정부(41)는 영상신호를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PDP의 경우 전술한 역감마보정부, 오차확산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오차확산부는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가 조밀하게 형성되므로 오차를 크게 확산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조선택부(42)는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입력받고 동영상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출력계조를 결정한다. 즉, 동영상검출부(10)로부터 정지영상신호로 검출된 경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그대로 출력하고, 동영상신호로 검출된 경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는데 디더링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디더링 기법은 각 중간계조가 갖는 디더값과 각 화소가 갖는 화소 디더값을 비교하여 대소에 따라 인접한 동영상계조군의 계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5의 <표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더계조의 디더값은 상기 인접 계조로부터 점증하는 순서(1, 2, 3, ····)대로 설정될 수 있다. 화소 디더값은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 영역 내에서의 발광패턴으로 정해진다. 즉, 어떤 계조를 영역 내에서 평균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발광시킬 화소를 선택하고 계조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가하여 화소의 디더값을 구한다. 다시, 모든 계조 디더값에 대응하는 화소 디더값을 얻기 위하여 계조의 크기에 따라 모든 화소가 선택되어지도록 반복하여 각 화소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디더링 방식은 프레임 단위로 상/하위 인접 사용계조를 교호적으로 선택하게 되어 발생하는 종전 노이즈성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시된 제어 블록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갖는 동영상 계조테이블(20)과 전술한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30)을 마련한다(S1). 이러한 계조테이블은 소정의 메모리에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레임을 시분할하여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코드워드 또는 각 서브필드에 가중된 유지펄스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입력된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고(S2), 검출결과에 따라 입력 영상신호를 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시킨다.
영상신호를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즉, 먼저 영상신호의 각 화소의 휘도레벨을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하고(S3), 영상신호가 정지영상신호인 것으로 검출되면(S4)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출력한다(S5). 반면,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 것으로 검출되면(S4), 디더링 기법에 따라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6). 여기서 사용되는 디더링 기법은 전술한 디더링 기법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동영상의 의사윤곽을 저감시키고 플리커, 화소의 노이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동영상검출부와;
    상기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계조군 중 인접한 계조의 차이가 기준계조차보다 큰 경우, 상기 인접한 계조 사이에 속하는 계조 중 상기 계조의 차에 따라 복수 개의 계조를 포함하는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하는 계조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변환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하는 계조설정부와;
    상기 동영상검출부의 검출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로 검출된 경우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를 디더링 기법에 따라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가 아닌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계조를 출력하는 계조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선택부는 화소 각각이 갖는 소정의 화소 디더값을 저장하는 디더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은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각 계조별 소정 계조 디더값을 갖고;
    상기 계조선택부의 상기 디더링 기법은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 디더값과 상기 화소 디더값의 대소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계조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에 인접한 두개의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을 시분할하는 복수의 서브필드 각각에서 화소별 발광여부를 나타내는 이진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서브필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한 서브필드 코드워드와 상기 화소를 발광시키는 유지펄스를 입력받고, 상기 프레임 당 입력되는 상기 유지펄스의 수에 비례하는 계조로 상기 화소의 휘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은 상기 서브필드 코드워드 중 각각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을 표현하기 위한 서브필드 코드워드를 저장하고,
    상기 계조변환부에서 변환된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계조테이블의 서브필드 코드워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서브필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영상 계조테이블과, 상기 동영상계조군 중 인접한 계조의 차이가 기준계조차보다 큰 경우,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상기 인접한 계조 사이에 속하고 상기 계조의 차에 따른 복수 개의 계조를 포함하는 정지영상계조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신호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동영상계조군과 상기 정지영상계조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각 화소의 휘도레벨을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동영상으로 검출된 경우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을 디더링 기법에 따라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화소에 따른 소정의 화소 디더값을 저장하는 디더테이블과, 상기 정지영상 계조테이블에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각 계조별 소정 계조 디더값을 더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더링 기법은 상기 계조 디더값과 상기 화소 디더값의 대소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정지영상계조군의 계조에 인접한 두개의 상기 동영상계조군의 계조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24565A 2004-04-09 2004-04-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565A KR101062198B1 (ko) 2004-04-09 2004-04-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B2005100515314A CN100385913C (zh) 2004-04-09 2005-03-04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05007573A EP1585091A3 (en) 2004-04-09 2005-04-06 Display apparatus with gradation level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00,458 US7956874B2 (en) 2004-04-09 2005-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11212A JP4245582B2 (ja) 2004-04-09 2005-04-07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565A KR101062198B1 (ko) 2004-04-09 2004-04-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303A KR20050099303A (ko) 2005-10-13
KR101062198B1 true KR101062198B1 (ko) 2011-09-05

Family

ID=3491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565A KR101062198B1 (ko) 2004-04-09 2004-04-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6874B2 (ko)
EP (1) EP1585091A3 (ko)
JP (1) JP4245582B2 (ko)
KR (1) KR101062198B1 (ko)
CN (1) CN1003859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041B2 (ja) * 2003-06-12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階調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画偽輪郭低減方法
KR100571201B1 (ko) 2004-05-21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프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647706B1 (ko) * 2005-10-10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836432B1 (ko) 2007-02-05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36423B1 (ko) 2007-02-05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36425B1 (ko) 2007-02-05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40102B1 (ko) 2007-02-23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90037675A (ko) * 2007-10-12 2009-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신호처리방법
US8019884B2 (en) * 2007-12-27 2011-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xy content for submitting web service data in the user's security context
US20100006567A1 (en) * 2008-07-14 2010-01-14 Cole Lorin R Cooking package
KR20120046770A (ko) * 2009-09-11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55615A (ja) * 2010-01-28 2011-08-11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098888A1 (ja) * 2011-01-20 2012-07-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12098885A1 (ja) * 2011-01-20 2012-07-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12098884A1 (ja) * 2011-01-20 2012-07-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862304B2 (ja) * 2012-01-04 2016-02-16 株式会社リコー 投影表示装置、投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7927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20140092572A (ko) 2013-01-16 2014-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85249B1 (ko) * 2014-01-20 2020-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66779B1 (ko) * 2014-04-02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225634B (zh) * 2015-10-12 2017-11-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显示器的驱动系统及驱动方法
KR102552713B1 (ko) * 2018-01-30 2023-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의 잔상 제거를 위한 lcd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920007B (zh) * 2018-07-20 2021-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报点阈值设置方法和系统
KR20210065447A (ko) 2019-11-27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100A (ja) * 1999-01-22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3069922A (ja) * 1999-04-12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4741B2 (ja) * 1995-04-17 2002-12-09 富士通株式会社 中間調表示方法及び中間調表示装置
JPH118769A (ja) 1997-04-24 1999-01-12 Konica Corp 濃度調整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US6310588B1 (en) * 1997-07-24 2001-10-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evaluation apparatus
JP3045284B2 (ja) * 1997-10-16 2000-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表示方法および装置
EP0978816B1 (en) * 1998-08-07 2002-02-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pictures, especially for false contour effect compensation
JP3255358B2 (ja) * 1998-11-19 2002-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階調変換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0043979A1 (en) * 1999-01-22 2000-07-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gray scale display with subframes
JP3357666B2 (ja) * 2000-07-07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TW473645B (en) * 2000-11-22 2002-01-21 Elecvision Inc Method of displacement detection for digital camera
KR100420789B1 (ko) * 2001-07-11 2004-03-02 학교법인 인하학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에서의 계조 표현을 위한디더링 방법 및 그 시스템
JP3652352B2 (ja) * 2001-12-27 2005-05-25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4064268B2 (ja) * 2002-04-10 2008-03-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サブフィールド法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7499062B2 (en) * 2002-10-11 2009-03-03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gradation by a subfield method
KR100524313B1 (ko) * 2003-12-16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100A (ja) * 1999-01-22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3069922A (ja) * 1999-04-12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21479 B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01273A (ja) 2005-10-27
EP1585091A2 (en) 2005-10-12
US7956874B2 (en) 2011-06-07
CN100385913C (zh) 2008-04-30
CN1681294A (zh) 2005-10-12
US20050225565A1 (en) 2005-10-13
JP4245582B2 (ja) 2009-03-25
EP1585091A3 (en) 2010-06-02
KR20050099303A (ko)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19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4455B1 (ko) 영상 표시장치
JP2005321775A (ja) ディスプレー装置
KR1007022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577868A2 (en) Display Apparatus
EP1603103A2 (en) Display apparatus
EP1557812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4138783A (ja) 画像表示装置
KR100825355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7279745A (ja) 動きに依存した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4100122B2 (ja) 画像表示装置
EP158306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475920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3195801A (ja)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KR100633065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3449083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JP355778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誤差拡散処理装置
JP200704147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227413A (ja) 表示装置
JP2005308949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H11288240A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回路
JP2001042819A (ja) 階調表示方法、及び階調表示装置
KR100590013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JP2003015589A (ja)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KR100638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