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930B1 -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30B1
KR101060930B1 KR1020057007414A KR20057007414A KR101060930B1 KR 101060930 B1 KR101060930 B1 KR 101060930B1 KR 1020057007414 A KR1020057007414 A KR 1020057007414A KR 20057007414 A KR20057007414 A KR 20057007414A KR 101060930 B1 KR101060930 B1 KR 10106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glutamic acid
mass
gamma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320A (ko
Inventor
테츠오 미야야마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7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49467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함유하는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는,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는 동시에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보습 효과가 있고 촉촉한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이 향상된 화장료이다. 또한, 식물유, 고급 알코올 또는 그의 에스터, 고급 지방산 에스터 및 유동 파라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화제, 및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는,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는 동시에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거나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더라도 유성화제가 양호하게 분산된 화장료이다.

Description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COSMETICS EXCELLENT IN TEXTURE AND OIL-DISPERSIBILITY}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 두발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화장품 분야 및 입욕제 등의 목욕용품 분야에 사용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습성을 유지하면서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이 향상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 두발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화장품 분야 및 입욕제 등의 목욕용품 분야에 사용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거나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더라도 유성화제(oiliness agnet)가 양호하게 분산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 유액, 크림 및 팩 등의 피부 화장료, 샴푸, 린스, 헤어 크림 및 헤어 셋팅 등의 두발 화장료, 파운데이션, 루즈 및 아이 쉐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및 입욕제 등에는 보습 효과가 필요하다. 화장수, 화장 크림, 헤어 크림, 헤어 린스 및 입욕제 등에는 피부 및 모발에 대한 보습제를 배합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또한, 피부용 로션, 크림, 두발용 샴푸, 린스 등의 피부 및 모발용 화장료에는 수분을 유지한 채 마른 느낌 또는 젖은 느낌을 억제하여 촉촉한 느낌을 주기 위해 각종 보습제가 사용되고 있다.
흡습력이 높은 물질에는 유기물이나 무기물을 합하면 많은 종류가 있지만, 안전성이나 제품의 형태 안정성에의 영향이 낮은 것 등의 필요성 때문에 실제 이용되고 있는 보습제의 종류는 한정되고 있다. 또한, 보습제가 구비해야 할 성질로는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과 동시에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보습제는 이들 여러 특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 복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락트산 나트륨 등의 흡습성이 큰 물질은 전해질이기 때문에 유화 저지 작용 등의 제품 배합상 바람직하지 못한 성질이 있어, 사용량 및 용도가 제한된다. 한편,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등의 폴리올은 보습성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제품에 끈적거림이 생기기 쉬워, 화장료 등에 이용한 경우에는 사용감에 난점이 있다.
화장료에 폴리아스파르트산 또는 아미노산 에스터류를 배합하는 방법(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1986-331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1998-251402호 공보 참조)은 보습 효과를 갖지만, 촉촉한 느낌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끈적거리는 느낌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화장료로서는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이 향상된 화장료가 요구되었다.
한편, 화장수, 유액, 크림 및 팩 등의 피부 화장료, 샴푸, 린스, 헤어 크림, 헤어 세팅 등의 두발 화장료, 파운데이션, 루즈 및 아이 쉐도우 등의 메이크업 화 장료 및 입욕제 등에는 유성 및 비유성이 있고, 유성의 것에는 유성화제가 유화 또는 분산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8314호 공보 참조).
화장료에 유성화제를 분산시키는 경우, 유성화제의 분산 효과의 향상을 위해 종래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의 합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분산제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대해 자극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유성화제로서 천연계 유지가 사용되어 왔지만,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고자 하면, 천연계 유지를 고농도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느낌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부터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는 동시에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보습 효과가 있고 촉촉한 느낌이 양호함과 함께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이 향상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부터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는 동시에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거나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더라도 유성화제가 양호하게 분산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또한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보습제로서 첨가함으로써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고 보습 효과가 양호하며, 또한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이 향상된 화장료가 수득됨을 발견했다. 즉, 보통, 화장료에 있어서, 보습제의 입경이 크면 촉촉한 느낌(보습성)은 양호하지만 거친 느낌이 있고, 보습제의 입경이 작으면 거친 느낌이 없고 보송보송한 느낌은 양호하지만 보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특성인 산 영역에서의 안정성과 보습성을 유지하면서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첨가함으로써 사용시 끈적거림이 없고 유성화제의 분산 효과가 양호한 화장료가 얻어져 특히 모발용 화장료에 있어서는 플레이킹(flaking)이 없는(모발에 펴발랐을 때 희게 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2〕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함유량이 0.001 내지 20질량%인 상기 〔1〕의 화장료.
〔3〕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가, 폴리 -γ-글루탐산 함유량이 2 내지 30질량%인 폴리-γ-글루탐산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의 수용액, 메틸알코올 용액 및 에틸알코올 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액을 방사선 가교함으로써 제조된 것인 상기 〔1〕 또는 〔2〕의 화장료.
〔4〕 방사선이 γ 선 또는 전자선인 상기 〔3〕의 화장료.
〔5〕 화장료가 모발용, 피부용 또는 손톱용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6〕 식물유, 고급 알코올 또는 그의 에스터, 고급 지방산 에스터 및 유동 파라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화제, 및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가, 그의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상기 〔6〕의 화장료.
〔8〕 유성화제의 함유량이 0.01 내지 80질량%이고,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함유량이 0.1 내지 30질량%인 상기 〔6〕 또는 〔7〕의 화장료.
〔9〕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가, 폴리-γ-글루탐산 함유량이 1 내지 30질량%인 폴리-γ-글루탐산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의 수용액, 메틸알코올 용액 및 에틸알코올 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액을 방사선 가교함으로써 제조된 것인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10〕 방사선이 γ선 또는 전자선인 상기 〔9〕의 화장료.
〔11〕 화장료가 모발용, 피부용 또는 손톱용인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보습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여러 제조 방법에 의한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 즉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의한 배양법, 유전자조합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 바실루스 나토(Bacillus natto)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 및 화학 합성법 등이 있다.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에 의해 폴리-γ-글루탐산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폴리-γ-글루탐산을 균체 밖에 생성하는 균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바실루스 속 균종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바실루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및 바실루스 나토 등이 있다. 특히,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고 수백만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일본 특허 공개 제1989-174397호 공보).
미생물의 배양법에 있어서, 균주나 배지 등은 폴리-γ-글루탐산이 생산된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배지로서는, 탄소원, 질소원, 무기물 그 밖의 영양물을 적당히 함유하는 배지이면, 합성 배지, 천연 배지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첨가 아미노산으로서는, L-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루신,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등 또는 이들의 염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L-글루탐산이며, 2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탄소원으로서는, 글루코스, 수크로스, 시트르산 및 크실로스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또는 글루코스이다. 질소원으로서는 펩톤 또는 효모 추출물 등의 유기 영양원,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 영양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양은, 진탕 배양 또는 교반 배양 등의 호기적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배양 온도는 2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이다. 배양시의 pH는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며, 배양시의 pH 조정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이용해 실시한다.
배양 시간은 보통 48 내지 72시간으로 폴리-γ-글루탐산이 균체 밖에 축적된다. 배양 종료 후의 배양액 중의 폴리-γ-글루탐산은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즉, 원심분리, 여과조제 또는 미세구멍을 갖는 필터 여과에 의해 균체를 제거하고, 한외여과함으로써 폴리-γ-글루탐산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3 내지 4배량의 에탄올 등을 첨가하여 폴리-γ-글루탐산을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물에 용해시켜 불용물을 제거하고, 투석 또는 한외여과 등에 의해 저분자량 물질을 제거하고, 에탄올 등에 의해 재침전을 반복하여 폴리-γ-글루탐산을 회수할 수 있다.
폴리-γ-글루탐산 염류는 폴리-γ-글루탐산을 이용한 공지된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폴리-γ-글루탐산 염류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에탄올 아민염, 다이에탄올 아민염, 트라이에탄올 아민염, 염기성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는, 상기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이나 화학 합성법 등에 의해 수득된 폴리-γ-글루탐산을 용매 중에 폴리-γ-글루탐산이 2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질량%가 되도록 용해하고, 그 용액을 방사선 조사한 후, 생성된 가교체를 분리 정제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용매로서는 물, 알코올 외에 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이 사용되지만, 물, 메틸알코올 및 에틸알코올이 바람직하며, 특히 물이 바람직하다.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도 동일하게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폴리-γ-글루탐산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를 용해시킨 용액은 방사선 투과성 용기, 예컨대 유리제 바이알 병 등에 넣는다. 방사선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α선, β선, γ선, 전자선, 중성자선, X선 등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γ선 또는 전자선이다. 조사하는 전자선의 조사량은 얻고자 하는 흡수율 등의 조건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보통 조사량은 20 kGy 이상이 바람직하다. 조사 시간은 1초 미만이면 가교체를 충분히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어도 1초 이상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선 조사에 의한 방법에 의해 원하는 겔화율의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겔화율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겔화율이 20%보다 낮으면 보습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생산성도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겔화율이란,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로 이루어진 보습제의 건조 질량을 전자선 조사에 사용한 폴리-γ-글루탐산의 양으로 나눈 수치, 즉 투입 폴리-γ-글루탐산량에 대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로 이루어진 보습제의 건조 질량의 백분률을 의미한다.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경우도 동일하다.
이 후, 동결 건조 등에 의해 물을 제거함으로써 고형물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얻을 수 있다. 이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무색 투명하며 흡수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도 갖고 있다.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입경 조정은, 수분을 제거한 후, 예컨대 제트 밀, 롤 프레스, 볼 밀 등을 이용하여 미분쇄 처리함으로써 할 수 있다. 이 미분쇄 처리는 건조 공기를 순환시킨 환경에서 실시하면 입자의 응집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초음파체 등에 의해 입경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 있어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것을 요한다.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다. 입경이 0.1㎛ 미만이면 화장료가 보습성이 떨어지게 되고, 입경이 100㎛를 초과하면 보송보송한 느낌이 손상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화장수, 유액, 콜드 크림, 핸드 크림, 루즈, 아이 쉐도우, 헤어 스프레이, 헤어 토닉, 헤어 드레싱, 샴푸, 린스, 파마액, 취한제(取汗劑), 입욕제 등에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 있어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함유량은 보통 0.001 내지 20질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질량%이다. 첨가량이 0.001질량%보다 적으면 보습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20질량%보다 많으면 끈적거리는 느낌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다른 보습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라이콜, 소르비톨, 아민산, 락트산 나트륨 등과 병용하더라도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성화제는, 식물유, 고급 알코올 또는 그의 에스터, 고급 지방산 에스터 및 유동 파라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식물유로서는,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포도씨유, 로즈 힙 오일, 아보카도 오일, 참기름, 맥아 오일, 달맞이유, 동백유 및 사산쿠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옥틸 도데칸올, 헥실 도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의 에스터로서는 올레산 올레일, 스테아르산 옥틸, 아디프산 뷰틸, 옥탄산 아이소세틸,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아이소노난산 아이소노닐,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프로필,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스테아릴, 아이소노난산 아이소트라이데실, 에루크산 올레일, (카프릴산/카프르산)야자유 알킬,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옥틸 에터,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이소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톨, 헥실데칸올/라우르산 헥실데실, 시아 지방(shea fat), 다이옥틸 사이클로헥세인, 스쿠아란, 2-에틸헥사센산 세틸, 아이소노난산 세토스테아릴, 트라이옥탄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스테아르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스테아르산 아이소세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트라이아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라이(카프릴산 또는 카프르산)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의 모노·다이·트라이 에스터, 락트산 아이소스테아릴, 라우르산 헥실, 올레산 데실,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성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여러 제조 방법에 의한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 즉 바실루스 서브틸리스에 의한 배양법, 유전자조합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 바실루스 나토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 및 화학 합성법 등이 있다.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에 의해 폴리-γ-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는, 상기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배양법이나 화학 합성법 등에 의해 수득된 폴리-γ-글루탐산을 용매 중에 폴리-γ-글루탐산이 1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질량%가 되도록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방사선 조사한 후, 생성된 가교체를 분리 정제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의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겔화율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겔화율이 20%보다 낮으면 보습성이 충분하지 않고 생산성도 저하된다. 또한, 겔화율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입경 조정은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있어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보습성과 매끄러운 느낌, 보송보송한 느낌 등의 감촉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다. 입경이 0.1㎛ 미만이면, 화장료가 보습성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고, 또한 입경이 100㎛를 초과하면, 보송보송한 느낌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화장수, 유액, 콜드 크림, 핸드 크림, 루즈, 아이 쉐도우, 헤어 스프레이, 헤어 토닉, 에프터 트리트먼트제(after-treatment agent), 헤어 드레싱, 샴푸, 린스, 파마액, 취한제, 입욕제 등에 널리 사용되며, 또한 루즈, 아이 쉐도우, 볼 연지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제거제에도 사용된다.
여기서, 메이크업 화장료 제거제의 조성물로서는, 상기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 외에, 보통의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성분, 예컨대 계면활성제, 유제, 용제, 겔화제, 약효제, 수팽윤성 점토 광물, 고분자류, 안료, 방부제, 점도조정제, 산화방지제, 향료, 물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설페이트계, 설포네이트계로서는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염, 설포석신산계, 타우레이트계, 이세싸이오네이트계, α-올레핀설폰산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카복실레이트계로서는 지방산비누, 에터카복실산계 계면활성제, 아실화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포스페이트계로서는 알킬인산에스터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카보베타인계, 포스포베타인계, 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움베타인계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 부가형,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아민옥사이드계, 모노에탄올아마이드계, 다이에탄올아마이드계, 기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그의 지방산 에스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터, 알킬 사카라이드계, N-폴리하이드록시알킬 지방산 아마이드계 당의 다가 알코올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 분산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유성화제 및 상기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보통 상기 유성화제 0.01 내지 80질량% 및 상기 가교체 0.1 내지 3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화제 0.05 내지 30질량% 및 상기 가교체 0.1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성화제 0.1 내지 10질량% 및 상기 가교체 0.1 내지 5질량%이다. 가교체의 첨가량이 0.1질량%보다 적으면 유분산성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30질량%보다 많으면 끈적거리는 느낌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예컨대 프로필렌 글라이콜, 소르비톨, 아민산, 락트산 나트륨 등의 보습제와 병용하더라도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보통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메틸파라벤, 1,3-뷰틸렌 글라이콜 등의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메이지(Meiji) γ-PGA(메이지제과(주)제품 폴리-γ-글루탐산)의 10질량%의 수용액을 유리제 트레이에 넣고, 콕크로프트-왈톤형 전자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 거리 10cm, 2.5 kGy/s에서 조사량 30kGY가 되도록 총 12초간 조사하고, 수득된 처리물을 일주일 동안 4℃의 물에 침지하여 미가교의 폴리-γ-글루탐산을 제거했다. 물을 흡수하여 팽윤시킨 폴리-γ-글루탐산 겔을 80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겔화율이 91%이고 평균 입경이 20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를 수득했다. 이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를 볼 밀 및 제트 밀을 이용하여 미분쇄 처리함으로써 평균 입경이 1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입자를 얻고, 추가로 미분쇄 처리하여 평균 입경이 0.1㎛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입자를 수득했다.
또한, 겔화율은 투입 폴리-γ-글루탐산의 질량에 대한 수득된 폴리-γ-글루탐산 겔의 건조 질량의 비율이다. 또한, 상기 평균 입경은 프라운호퍼의 회절 원리를 응용한 세이신 기업(주) 제품의 레이저식 입도 분포 측정기(LMS-3)에 의해 측정했다.
실시예 1 및 2, 참고예 1 및 2 및 비교예 1 내지 3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와, 물, 에틸알코올 및 향료를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소정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피부용 화장제를 제조했다. 한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로서, 실시예 1 및 2에서는 평균 입경이 10㎛인 것, 참고예 1, 2 및 비교예 1에서는 평균 입경이 200㎛인 것(미분쇄 처리를 하지 않은 것), 비교예 3에서는 평균 입경이 0.1㎛인 것을 이용했다.
상기 피부용 화장제를 피부에 도포 건조한 후, 하기 평가 기준으로 촉촉한 느낌, 산뜻한 느낌 및 보송보송한 느낌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촉촉한 느낌: 있음; ○, 없음; ×
산뜻한 느낌: 끈적거림 없음; ○, 끈적거림 있음; ×
보송보송한 느낌: 있음; ○, 없음; ×
비교예 4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대신 폴리-γ-글루탐산 미가교물인 메이지 γ-PGA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59290748-pct00004
실시예 3 내지 7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와, 유성화제, 물 및 방부제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소정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모발용 화장제(에프터 트리트먼트제)를 제조했다. 한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로서, 실시예 3 내지 5에서는 평균 입경이 10㎛인 것, 실시예 6 및 7에서는 평균 입경이 1㎜인 것(미분쇄 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이용했다.
상기 모발용 화장제를 모발에 도포 건조한 후, 하기 평가 기준으로 유분산성, 보송보송한 느낌, 플레이킹(모발에 펴발랐을 때 희게 되는 것) 및 피부 자극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유분산성은 육안으로 평가했다.
유분산성: 양호; ○, 약간 양호; △, 없음; ×
보송보송한 느낌: 있음; ○, 약간 있음; △, 없음; ×
플레이킹: 없음; ○, 있음; ×
피부 자극성: 없음; ○, 있음;×
비교예 5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대신 폴리-γ-글루탐산 미가교물인 메이지 γ-PGA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이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대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40) 경화피마자유를 사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이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대신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을 사용하여 실시예 3과 같이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3에 있어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59290748-pct00005
실시예 8
물 96.0질량%,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평균 입경 30㎛) 2.0질량%, 메틸파라벤 0.2질량% 및 1,3-뷰테인다이올 1.8질량%를 균일하게 용해 분산시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또한, 상기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평균 입경 30㎛)는 제조예 1의 제조 공정에서 수득된 평균 입경 200㎛의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를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평균 입경 30㎛로 미분쇄한 것이다.
수득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조성으로 보통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루즈에 대해 하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루즈의 조성〉
트라이(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15.0질량%
피마자유 32.6질량%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트리틸 5.0질량%
미세결정질 왁스 5.0질량%
다이카프르산 네오펜틸 글라이콜 5.0질량%
칸델릴라 왁스 11.0질량%
세레신 5.0질량%
스테아르산 수크로스 3.0질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2.0질량%
스쿠아란 2.0질량%
토코페롤 2.0질량%
BHT 1.0질량%
뷰틸 파라벤 0.1질량%
프로필 파라벤 0.1질량%
시트르산 1.0질량%
황산바륨 1.0질량%
산화타이타늄 2.0질량%
마이카 1.0질량%
적색 202호 2.0질량%
적색 204호 1.0질량%
적색 218호 0.5질량%
청색 204호 1.5질량%
황색 205호 1.2질량%
<평가 방법>
(1) 세정성
여성 패널리스트 5명이 상기 루즈를 입술에 바르고, 2시간 경과 후 상기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면솜에 적정량 포함시켜 닦고,화장료 제거의 효과를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육안으로 평가했다.
매우 잘 닦였다; ◎
잘 닦였다; ○
대부분 닦였다; △
거의 닦이지 않았다; ×
(2) 피부에 대한 자극성
여성 패널리스트 5명이 상기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포함시킨 면솜으로 입술 및 입술 주변을 닦았을 때 피부에 대한 자극성의 유무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5명 전원이 자극감이 없다; ◎
자극감은 거의 없지만 위화감이 있다; △
1명 이상 자극감이 있다; ×
(3) 사용감
상기 세정성을 평가했을 때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감촉(끈적거림)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보송보송한 느낌이 있고, 감촉이 양호하다; ◎
끈적거림이 없다; ○
약간 끈적거림이 있다; △
끈적거림; ×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 수득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 99질량부 및 유동 파라핀 1질량부를 혼합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8과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8에서 수득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 95질량부 및 유동 파라핀 5질량부를 혼합한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8과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실시예 8의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 대신 유동 파라핀을 이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하기 조성의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보통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실시예 8의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 대신 이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화장료 제거제 조성물의 조성>
유동 파라핀 52.0질량%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2.0질량%
테트라올레산 소르베스-30 5.0질량%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2.0질량%
올리브유 2.0질량%
토코페롤 2.0질량%
대두유 4.0질량%
향료 0.5질량%
물 30.5질량%
Figure 112005022359673-pc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보습제로 이용함에 따라 촉촉한 느낌이 있고 끈적거림이 없으며 보송보송한 느낌을 갖 는 우수한 감촉의 화장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촉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보습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화장료에의 소량 첨가에 의해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고,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생분해성임에 따라, 화장수, 유액, 콜드 크림, 핸드 크림, 루즈, 아이 쉐도우, 헤어 스프레이, 헤어 토닉, 헤어 드레싱, 샴푸, 린스, 파마액, 취한제, 입욕제 등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를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이용하는 것에 따라 유분산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이나 피부 자극성이 없고, 보송보송한 느낌을 갖는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분해성이 우수한 화장료에서 유분산성 향상제로 사용되는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는 화장료에의 소량 첨가에 의해 우수한 유분산성 효과를 갖고, 피부나 모발에의 친밀감이 좋고, 생분해성이며, 세정력이 우수하고, 사용 후의 감촉이 양호하며, 더구나 눈에 대한 자극이 적음에 따라, 화장수, 유액, 콜드 크림, 핸드 크림, 루즈, 아이 쉐도우, 헤어 스프레이, 헤어 토닉, 에프터 트리트먼트제, 헤어 드레싱, 샴푸, 린스, 파마액, 취한제, 입욕제 등에 널리 사용되며, 또한 루즈, 아이 쉐도우, 볼 연지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제거제에도 사용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식물유, 고급 알코올 또는 그의 에스터, 고급 지방산 에스터 및 유동 파라핀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화제, 및 유분산성 향상제로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성화제의 함유량이 0.05 내지 30질량%이고,
    상기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및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가, 그 입경이 0.1 내지 100㎛의 범위에 있고 그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이며, 그 함유량이 0.1~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γ-글루탐산 가교체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 가교체가, 폴리-γ-글루탐산 함유량이 1 내지 30질량%인 폴리-γ-글루탐산 또는 폴리-γ-글루탐산 염류의 수용액, 메틸알코올 용액 및 에틸알코올 용액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액을 방사선 가교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방사선이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발용, 피부용 또는 손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7007414A 2002-10-31 2003-10-30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 KR101060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7556A JP2004149467A (ja) 2002-10-31 2002-10-31 風合いに優れた化粧料
JPJP-P-2002-00317556 2002-10-31
JPJP-P-2002-00340359 2002-11-25
JP2002340359 2002-11-25
PCT/JP2003/013938 WO2004039339A1 (ja) 2002-10-31 2003-10-30 風合い・油分散性に優れた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320A KR20050059320A (ko) 2005-06-17
KR101060930B1 true KR101060930B1 (ko) 2011-08-30

Family

ID=3223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414A KR101060930B1 (ko) 2002-10-31 2003-10-30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40992A1 (ko)
EP (1) EP1557152B1 (ko)
KR (1) KR101060930B1 (ko)
AU (1) AU2003280648A1 (ko)
DE (1) DE60335893D1 (ko)
WO (1) WO2004039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430A (ja) * 2003-03-10 2004-09-30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及び損傷毛用毛髪化粧料
CN101048133B (zh) * 2004-10-26 2010-10-13 株式会社资生堂 皮肤外用剂
EP1690525B1 (en) * 2005-01-12 2016-11-02 Tung Hai Biotechnology Corporation Gamma-polyglutamate hydrogels for use as super moisturizers in cosmetic and personal care products
CA2652432A1 (en) 2006-05-23 2007-11-2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gamma.-l-pga producing microorganism, method of producing .gamma.-l-pga using the microorganism, crosslinked substance produced using the microorganism, and external dermal agentproduced using the microorganism
JP2013103910A (ja) * 2011-11-14 2013-05-30 Hatsuratsu Co Ltd 増粘性組成物および皮膚外用剤
JP2016121187A (ja) * 2016-03-31 2016-07-07 株式会社はつらつ 増粘性組成物および皮膚外用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764A (ja) 1999-09-02 2001-03-21 Mitsui Chemicals Inc 基 材
JP2001354542A (ja) 2000-06-09 2001-12-25 Yamada Bee Farm 保湿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3A (ja) * 1982-04-13 1984-01-06 Pola Chem Ind Inc ポリグリセロール化合物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S621728A (ja) * 1985-06-27 1987-01-07 Chuichi Hirayama ポリアミノ酸の球状粒子とその製造方法
US4847078A (en) * 1987-01-14 1989-07-11 Arseco, Inc. Storage stable topical composition having moisture control agent
AU639069B2 (en) * 1989-10-31 1993-07-15 Columbia Laboratories, Inc. Tissue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JPH0772267B2 (ja) * 1993-05-11 1995-08-02 工業技術院長 新規な生分解性高吸水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547602A (en) * 1995-05-12 1996-08-20 The Broxon Marketing Group, Inc. Moisturizing soap bar
EP0758641B1 (en) * 1995-08-11 2000-08-3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ighly-purified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 highly-purified fatty acid esters composition of a polyglycerine, an additive for food-stuffs, a resin composition, and a composition for cosmetics or detergents
US5986042A (en) * 1997-01-30 1999-11-16 Mitsui Chemicals, Inc. Cross-linked polymer
US6165454A (en) * 1997-09-18 2000-12-26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ilized hair care products
CN1332767A (zh) * 1998-11-05 2002-01-23 三井化学株式会社 含交联聚氨基酸的颗粒
JP2003012442A (ja) * 2001-07-04 2003-01-15 Idemitsu Technofine Co Ltd 保湿性を有する化粧料
JP2003146830A (ja) * 2001-11-08 2003-05-21 Sakata Kyoko 化粧料
JP3843020B2 (ja) * 2002-01-21 2006-11-0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2764A (ja) 1999-09-02 2001-03-21 Mitsui Chemicals Inc 基 材
JP2001354542A (ja) 2000-06-09 2001-12-25 Yamada Bee Farm 保湿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9339A1 (ja) 2004-05-13
EP1557152A4 (en) 2007-08-22
DE60335893D1 (de) 2011-03-10
US20060140992A1 (en) 2006-06-29
AU2003280648A1 (en) 2004-05-25
KR20050059320A (ko) 2005-06-17
EP1557152A1 (en) 2005-07-27
EP1557152B1 (en)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9920B1 (en) Emulsion cosmetic
JP4608584B1 (ja) 皮膚外用剤
KR101096868B1 (ko) 피부 외용제
JP2008231010A (ja) 皮膚外用剤
EP2213336A2 (en) Personal care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reduced eye irritation
EP3479815A1 (en) Conditioning agent and conditioning composition
EP2404591A1 (en) Cosmetic prepara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composition for cosmetic preparations,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for cosmetic prepara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leanser for industrial use
KR101060930B1 (ko) 감촉 및 유분산성이 우수한 화장료
JP2005139139A (ja) 化粧料組成物
JP2005281133A (ja) 皮膚外用剤
JP2010090113A (ja) 皮膚化粧料
JP2011006372A (ja) 美容方法
JP2005281135A (ja) 皮膚外用剤
EP1591473B1 (en) Porous particles and cosmetics
EP3915642A1 (en) Novel composite body and emulsion composition
CN100358490C (zh) 在质地和油分散性方面优异的化妆品
CN11513529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2008266275A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04189726A (ja) 油分散性に優れた化粧料
CN112004518A (zh) 气凝胶及其在化妆品应用中的用途
KR101713900B1 (ko)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80048A1 (ja) ピーリ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ピーリング方法
JP2010150148A (ja) 酸性増粘剤
JP2006008630A (ja) 皮膚外用剤
JP2005281134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