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900B1 -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900B1
KR101713900B1 KR1020140094975A KR20140094975A KR101713900B1 KR 101713900 B1 KR101713900 B1 KR 101713900B1 KR 1020140094975 A KR1020140094975 A KR 1020140094975A KR 20140094975 A KR20140094975 A KR 20140094975A KR 101713900 B1 KR101713900 B1 KR 10171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calcium pantothenate
group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132A (ko
Inventor
김태훈
이상호
송영숙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12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없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content of calcium pantothe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염증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끈적임이 없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여러 성분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판토텐산 또는 칼슘판토테네이트는 비타민 B 복합체의 구성원이며 비타민 B5로 알려져 있으며, 가축 및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필요한 영양소이다. 칼슘판토테네이트의 기능으로는 피부의 보습유지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재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성 피부는 부드럽고 탄력적으로 변하게 한다. 칼슘판토테네이트는 염증방지 및 가려움증 방지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머리결을 강하고 부드럽게 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머리카락을 복원하고 윤기있게 만들기 때문에 모발성장용에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화장료 조성물 내에 염 형태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다량 포함할 경우, 제형의 구조 형성을 방해할 수 있고, 예상하지 못한 끈적임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판토텐산 또는 칼슘판토테네이트의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고함량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특히 항염효과가 우수한 칼슘판토테네이트가 고함량 배합된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형의 끈적임을 해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성물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끈적임없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었는바, 본 발명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함유하는 함염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및/또는 사용감을 개선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첨가시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비타민 B5는 학술명으로 판토텐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타민 음료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 혹은 물에 잘 녹는 형태인 수용성 염 형태인 칼슘판토테네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칼슘판토테네이트는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화장품의 항염 원료로 판토텐산의 알코올유도체인 판테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판테놀에 비해서 칼슘판토테네이트가 더욱 우수한 항염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칼슘판토테네이트는 염(salt) 형태의 화합물로 5%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 경도가 있는 제형의 구조형성을 방해하고 또한 예상치 못한 끈적임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항염효과가 우수한 칼슘판토테네이트가 고함량 배합된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형의 끈적임을 해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상기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 라는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구체적으로 5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히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5 내지 20 중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제형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함량이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칼슘판토테네이트의 용해도로 인하여 수상의 함량이 증가 되어야 하는 반면 오일함량이 줄어들어 수상과 유상비율이 깨지게 되며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은 적절한 보관, 운반, 사용 조건에서 화장품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안정성 등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안정성 시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등의 가혹 조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변화, 분리도, 성상 변화 등 조성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 변화를 평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는 개선되었다는 의미는 조성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의 변화가 육안으로 거의 관찰되지 않거나, 육안으로 관찰되는 성질 변화도가 크게 감소된다는 의미로 넓게 사용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안정도가 개선되었다는 의미는 기존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 변화도에 비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물리, 화학적으로 성질 변화도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점증제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머, 아크릴레이크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크/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카보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칼슘판토테네이트의 영향으로 인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형성에 어려움이 있고 유화과정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머, 아크릴레이크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크/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카보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결과 제형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칼슘판토테네이트 전체 중량 대비 0.02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오일 성분을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 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젤 크림 제형에서 제형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실리콘 오일, 동식물 오일 등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메치콘,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트리에톡시실릴에칠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헥실디메치콘, 및 퍼플루오로노닐에칠그테아릴디메티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실리콘오일;
트리에칠헥사노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호호바에스터, 에칠헥실팔미테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디트식물성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세레신, 고형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유동파라핀, 및 바셀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아보카드오일, 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해바라기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및 동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지;
카르나바랍, 캔데리라랍, 밀랍,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납;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고급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라우릭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베헤닉애씨드, 및 미리스틱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지방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a)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면서, b) 오일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내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를 사용하면서, 오일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더욱 개선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즉, 화장료 조성물내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를 사용하면서, 오일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경우,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제형의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당류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해당 성분이 사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나,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량 첨가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미만으로, 더욱 바람직하게 약 0.01% 미만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당류폴리머는 잔탄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바이오사카라이드검, 알진, 낫토검, 스클레로튬검, 젤란검, 캐럽콩검, 구아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셀룰로오스검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목적상 잔탄검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아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베타인, 트레할로스, 슈크로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 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2 내지 5 중량%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 내지 30 중량%의 오일 성분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칼슘판토테네이트는 물과 오일 성분으로 유화를 시킨 후에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 5 내지 20 중량% 함유하고,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2 내지 5 중량%의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 내지 30 중량%의 오일 성분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칼슘판토테네이트는 물과 오일 성분으로 유화를 시킨 후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염증성 피부 트러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던 중,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좋지 못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칼슘판토테네이트 함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끈적이는 사용감 등을 해소하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당류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아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베타인, 트레할로스, 슈크로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a) 다당류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b) 우레아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베타인, 트레할로스, 슈크로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c)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끈적임을 억제하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우레아 및 이의 유도체는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끈적임없이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 또는 글리코세라마이드는 피부 성분과 비슷한 지질성분의 일 예로 사용된 것이며, 예를 들어 N-리놀레오일디히드로스핑고신, N-올레오일디히드로스핑고신, N-팔미토일디히드로스핑고신, N-스테아로일디히드로스핑고신, N-베헤노일디히드로스핑고신, N-2-히드록시팔미토일디히드로스핑고신,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 N-팔미트아미도헥사데칸디올, 2-올레아미도-1,3-옥타데칸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a) 다당류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b) 우레아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베타인, 트레할로스, 슈크로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그리고
c)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 질환 개선에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천연추출물 등은 물론 본 발명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화학적 및/또는 천연 성분을 적당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로션류, 크림류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점도를 가지거나, 점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에멀젼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성물의 끈적임이 증가되어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끈적임없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나타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상 문제로 인해 업계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을 다량 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으로 통해서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밝혀내었는바, 본 발명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고함량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트러블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항염효과 분석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항염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O(Nitric Oxide) assay를 실시하였다.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Nitric Oxide)는 혈관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cyclooxygenase를 활성화하여 prostaglandins과 같은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판토테네이트의 농도에 따라 NO(Nitric Oxide) 의 생성을 저해하는 정도로 항염효과를 알아보았다.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5×105 cells/ml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와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을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 상등액 100μl와 Griess 시약[1%(w/v) sulfanilamide, 0.1%(w/v) napht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NaNO2)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얻었다. 또한, 현재 알려진 NO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L-arginine의 구조 유사체인 N-monomethyl-L-arginine(L-NMMA)와 비교하여 i-NOS 유도 후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저해율(%) = [1 - (시료 처리 후 의 NO 농도 / 시료 처리 전의 NO농도)] * 100
시료 구분 시료 농도(중량%) 저해율(%)
N-NMMA(양성대조군) 0.001 22.169
무처리(음성대조군) - 0
칼슘판토테네이트 0.01 9.46
0.10 17.96
1.00 48.46
판테놀 0.01 6.68
0.10 9.59
1.00 17.8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칼슘판토테네이트의 농도가 0.1% 이상일 때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NO 억제력을 보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항염증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인 판테놀에 비해서 더욱 우수한 저해율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칼슘판토테네이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염효과가 우수하다는 결과로 판단된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하여 판테놀에 비해 더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화장료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개발하게 되었다.
실험예 2.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6 함유
하기 표의 처방과 같이,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원료기능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칼슘판토테네이트 -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7 7 7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5 5.5 5.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용감조절 4 4 4
부틸렌글라이콜 용제, 피부컨디셔닝제 3 3 3
스쿠알란 유연제 2 2 2
트리에칠헥사노인 피부유연제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유연제.유화보호제 1.2 1.2 1.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완화제 1 1 1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1
세테아릴알코올 유화안정제 1 1 1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유화제 0.6 0.6 0.6
트로메타민 중화 및 점도 유지 0.5 0.5 0.5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 계면활성제, 에몰리언트 0.4 0.4 0.4
잔탄검 다당류 폴리머 0.1 0.1 0.1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점증제 - - 0.2
카보머 점증제 0.2 0.2 -
결과
제형 안정성 제형 안정 유화 안됨/ 경도 형성이 안됨 제형 안정
상기 표 2의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일반적인 크림 제형의 처방으로 제형이 안정되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유화가 되지않아 크림 제형이 형성되지 않은 반면, 실시예 1의 경우처럼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실험예 3. 오일함량을 10-30%를 사용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
하기 표 3의 처방과 같이,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8
글리세린 5 5
변성알코올 4 4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3
디메치콘 3 3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1 1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 0.5
트로메타민 0.36 -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1 -
카보머 0.35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5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4
칼슘판토테네이트 10 10
결과
제형 안정성 불안정 불안정
칼슘판토테네이트가 고함량으로 배합된 제형은 오일조성에 따라 안정성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의 표 2의 실시예 1을 통해 오일 성분을 10-30% 배합한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표 3의 비교예 3 및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일 성분의 함량이 10% 미만인 크림 제형(젤크림 제형)에서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 폴리머를 배합하여도 제형이 형성이 되지 않았다.
실험예 4.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 투입공정에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
성분명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2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7 7 7
부틸렌글라이콜 3 3 3
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2 0.2 0.2
유상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5 5.5 5.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 4 4
스쿠알란 2 2 2
트리에칠헥사노인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2 1.2 1.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1 1 1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1 1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25 1.25 1.25
세테아릴알코올 0.65 0.65 0.6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트로메타민 0.5 0.5 0.5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 0.4 0.4 0.4
스테아릭애씨드 0.3 0.3 0.3
유효성분 칼슘판토테네이트 수상에 함께 배합하여 폴리머 교반 수상에 폴리머 교반후 배합 유화 후 배합
결과 유화 안정성 유화 안됨 유화 안됨 제형 안정
상기 비교예 5, 6 및 실시예 2의 칼슘판토테네이트 투입공정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5 및 6 의 경우 폴리머가 응축되어 폴리머가 난용성 덩어리로 석출되어 제형이 형성되지 않았던 반면, 실시예 2의 경우 수상과 유상의 유화 후에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투입하는 공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안정하게 유지시켰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5, 6 및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5에서는 폴리머를 칼슘판토테네이트가 용해되어 있는 수상에 풀어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수상에 칼슘판토테네이트를 충분하게 용해시킨다.
2. 수상에 폴리머를 첨가한다.
이때 폴리머가 덩어리형태로 응집되어 다음단계로 진행을 할 수 없다
비교예 6에서는 먼저 폴리머를 수상에 풀고 칼슘판토테네이트를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수상에 폴리머를 푼다.
2. 칼슘판토테네이트를 정제수에 충분히 용해 시킨다.
3. 1과 2를 70-75도 온도 조건에서 서로 교반한다
이때도 역시 폴리머가 덩어리형태로 응집되어 다음단계로 진행을 할수 없다.
실시예 2에서는 수상과 유상을 유화시킨 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첨가하였다.
1. 수상에 폴리머를 푼다.
2. 수상과 유상을 70-75도 온도조건에서 서로 유화를 시킨다.
3. 50-55도 온도조건에서 칼슘판토테네이트가 충분히 용해되어있는 정제수를 천천히 투입하면서 유화를 시킨다.
이때 처음에는 크림형태가 아닌 액체성상을 가지고 있지만 온도가 내려갈수록 경도가 형성이 되고 크림 제형이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서, 칼슘판토테네이트 투입시기는 수상과 유상이 유화 된 후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끈적이는 사용감 개선을 위한 다당류 형태의 화합물을 함께 배합 금지
성분명 원료기능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실시예 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칼슘판토테네이트 - 5 8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7 7 7 7 7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5 5.5 5.5 5.5 5.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용감조절 4 4 4 4 4
부틸렌글라이콜 용제, 피부컨디셔닝제 3 3 3 3 3
스쿠알란 유연제 2 2 2 2 2
트리에칠헥사노인 피부유연제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유연제.유화보호제 1.2 1.2 1.2 1.2 1.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완화제 1 1 1 1 1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1 1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1 1 1
세테아릴알코올 유화안정제 1 1 1 1 1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유화제 0.6 0.6 0.6 0.6 0.6
트로메타민 중화 및 점도 유지 0.5 0.5 0.5 0.5 0.5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 계면활성제, 에몰리언트 0.4 0.4 0.4 0.4 0.4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점증제 0.2 0.2 0.2 0.2 0.2
잔탄검 다당류 폴리머 0.1 0.1 0.1 0.1 -
끈적이는 정도(1 - 5 ) 끈적임이 많아질수록 5
끈적임이 없을수록 1
1 2 3 5 4
상기 표 5의 비교예 7 내지 10은 칼슘판토테네이트의 함량변화에 따른 끈적임 정도를 비교하였다. 칼슘판토테네이트의 배합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끈적임이 발생된다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예 3과 같이 Hydroxyl group이 많은 잔탄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과 같은 천연 다당류 폴리머를 함께 배합하지 않음으로써 제형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였다.
실험예 6. 끈적이는 사용감 개선을 위한 피부연화제를 첨가
성분명 원료기능 비교예 10 실시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칼슘판토테네이트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7 7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5 5.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용감조절 4 4
부틸렌글라이콜 용제, 피부컨디셔닝제 3 3
스쿠알란 유연제 2 2
트리에칠헥사노인 피부유연제 1.5 1.5
스테아릴알코올 유연제.유화보호제 1.2 1.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완화제 1 1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세테아릴알코올 유화안정제 1 1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유화제 0.6 0.6
트로메타민 중화 및 점도 유지 0.5 0.5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 계면활성제, 에몰리언트 0.4 0.4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점증제 0.2 0.2
우레아 - 2
끈적이는 정도(1 - 5 ) 끈적임이 많아질수록 5
끈적임이 없을수록 1
4 3
피부연화제로 사용되는 UREA의 배합에 따른 끈적임 정도를 상기 표 6의 비교예 10과 실시예 4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4에서 우레아를 2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끈적임이 덜 느껴지고, 사용감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끈적이는 사용감 개선을 위한 피부성분과 비슷한 지질성분을 함께 배합
성분명 원료기능 비교예 11 실시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칼슘판토테네이트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보습제 7 7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5 5.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용감조절 4 4
부틸렌글라이콜 용제, 피부컨디셔닝제 3 3
스쿠알란 유연제 2 2
트리에칠헥사노인 피부유연제 1.5 1.5
스테아릴알코올 유연제.유화보호제 1.2 1.2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완화제 1 1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유화제 1 1
세테아릴알코올 유화안정제 1 1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유화제 0.6 0.6
트로메타민 중화 및 점도 유지 0.5 0.5
세테아레스-6올리베이트 계면활성제, 에몰리언트 0.4 0.4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점증제 0.2 0.2
우레아 2 2
세라마이드 - 1
끈적이는 정도(1 - 5 ) 끈적임이 많아질수록 5
끈적임이 없을수록 1
3 2
상기 표 7의 실시예 5는 피부성분과 비슷한 지질성분인 세라마이드를 2 중량% 배합한 것으로, 우레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칼슘판토테네이트를 5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고,
    다당류폴리머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 포함하며,
    오일 성분을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고,
    상기 칼슘판토테네이트는 수상과 유상의 유화 후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디메치콘,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트리에톡시실릴에칠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헥실디메치콘, 및 퍼플루오로노닐에칠그테아릴디메티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실리콘오일;
    트리에칠헥사노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C5-9애씨드에스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호호바에스터, 에칠헥실팔미테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디트식물성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세레신, 고형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유동파라핀, 및 바셀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아보카드오일, 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해바라기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및 동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지;
    카르나바랍, 캔데리라랍, 밀랍,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납;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헥사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고급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올레익애씨드, 라우릭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베헤닉애씨드, 및 미리스틱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지방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베타인, 트레할로스, 슈크로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2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폴리머는 잔탄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바이오사카라이드검, 알진, 낫토검, 스클레로튬검, 젤란검, 캐럽콩검, 구아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셀룰로오스검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 또는 이의 유도체는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4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글리코세라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칼슘판토테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삭제
KR1020140094975A 2014-04-24 2014-07-25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1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21 2014-04-24
KR20140049521 2014-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132A KR20150123132A (ko) 2015-11-03
KR101713900B1 true KR101713900B1 (ko) 2017-03-09

Family

ID=5459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75A KR101713900B1 (ko) 2014-04-24 2014-07-25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0532A (zh) * 2022-08-19 2022-09-30 厦门海马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护肤膏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81B1 (ko) * 1998-10-23 2004-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보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31B1 (ko) * 2011-04-20 2013-09-25 (주)코웰 견운모를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81B1 (ko) * 1998-10-23 2004-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피부 보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132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6179B1 (de) Fett(öl)haltiges Mittel, enthaltend Zwiebelextrakt, seine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CN108969446B (zh) 一种增强皮肤屏障功能的婴幼儿防皴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S59108716A (ja) 抗「ざ」瘡組成物
KR101987903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U2005200381A1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long lasting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CN109498478B (zh) 油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EP2029089B1 (de) O/w emulsion zur pflege der hand
CN108186679B (zh) 一种祛痘组合物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DE102004037505A1 (de) Präbiotische Intimpflege
CN108498450B (zh) 一种高渗透性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3900B1 (ko)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05026061A1 (de) Depolymerisiertes Scleroglucan zur Regulierung und Verbesserung des Feuchtigkeitsgehaltes der Haut
KR20170019305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4045160B2 (ja) 皮膚外用剤
EP1847243A1 (en) O/w emulsion composition
JP2004339078A (ja) 外用剤組成物
JP3441387B2 (ja) 保湿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入浴剤
EP1566170A1 (de) Hautpflegeprodukt enthaltend Ursolsäure und Ginkgo-Extrakt
US20230112943A1 (en) Topically administrable lyzate of dedifferentiated cells of the plant helichrysum stoechas for moisturizing the skin
JP2013133303A (ja) アドバンスド・グリケーション・エンド・プロダクツ産生抑制剤
TW202112351A (zh) 局部組成物及其相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