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745B1 -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745B1
KR101058745B1 KR1020110013178A KR20110013178A KR101058745B1 KR 101058745 B1 KR101058745 B1 KR 101058745B1 KR 1020110013178 A KR1020110013178 A KR 1020110013178A KR 20110013178 A KR20110013178 A KR 20110013178A KR 101058745 B1 KR101058745 B1 KR 10105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ar
water level
top flo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to KR102011001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 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 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형성되는 피트 바닥에 일정한 높이에 수위감지센서 복수개를 설치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행확인부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키는 운행제어부와;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키면서 자동운전 사유와 탑승객 안전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와;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서 정지중이면,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서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정지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강 또는 하천이 홍수 또는 누수 등에 의해 범람되어 교량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경우, 이를 복수개의 센서로 중복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운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명과 장비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OPERATING SYSTEM AND METHOD OF OUTDOOR BRIDG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계실이 없는 옥외 교량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가 홍수 또는 누수 등으로 침수되거나 침수가 예상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이동시켜 침수로 인한 재해로부터 인명과 엘리베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 최상부 또는 하부에 축조한 기계실 내부에 설치했던 권상기, 제어반, 조속기 등의 기계를 승강로 내부에 시공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이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는 고효율의 모터를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기계실을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어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건물의 하중 부담이 줄어들며, 건축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교량에 설치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홍수 또는 누수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면, 승객이 피해를 입거나 엘리베이터의 고장 발생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홍수나 누수로 인해 침수되는 경우 또는 침수가 예상되는 경우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개시된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공개번호 제-2010-0008668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발명은 제방도로와 둔치 사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를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로 구성하고, 유수 범람시 엘리베이터 카와 하부몸체(3)를 피트 바닥(4)으로부터 상승시켜 하부도어 부품 등이 침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하천의 일정지점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수위 상승이 감지되면 승강로(1)에 형성되는 하부몸체(3)와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위감지센서의 미동작 또는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 수위 상승 상태에서도 하부몸체(3)와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되도록 제어되지 않거나, 수위가 상승하지 않더라도 하부몸체(3)와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위 상승 시에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평상시 운행에 안전상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 또는 하천이 홍수 또는 누수 등에 의해 범람되어 교량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경우, 이를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중복 감지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운행되도록 운전함으로써 인명과 장비의 피해를 방지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수 또는 누수 시 정전이 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 시스템을 마련하여 제어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형성되는 피트 바닥에 일정한 높이 이내에 수위감지센서 복수개를 상하로 설치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행확인부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키는 운행제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자동 이송시키면서 자동이송 사유와 탑승객 안전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지중이면, 최상층에서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 시스템은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정지제어부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이 3초 이상 유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에 비상전원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수위감지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수위감지센서는 플로우트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형성되는 피트 바닥에서 200mm 이내의 높이에 설치하되, 피트 바닥측에 하부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수위감지센서의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부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가 상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운행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되, 엘리베이터 카의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하고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차중이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여 운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이 아닌 층에 정차되어 있으면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키고 최상층에 도착 후 도어를 오픈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정지제어부 또는 운행제어부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수동조작에 의해서 운행정지 상태를 해제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재개되는 운행재개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수위를 중복하여 감지하는 수위감지 단계와; 상기 수위감지부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키는 운행제어 단계와;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면서 자동 이동 사유와 탑승객의 안전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음성안내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지중이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에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비상전원은 상기 정지제어부에서 주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상기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이 3초 이상 유지되면 자동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운행제어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하고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지제어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최상층이 아닌 다른 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최상층으로 이송시켜 최상층 도착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지제어 단계 또는 운행제어 단계 이후에 수동 조작에 의해서 정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은 강 또는 하천이 홍수 또는 누수 등에 의해 범람되어 교량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경우, 이를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중복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운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도착하면 도어를 열고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장비가 침수되거나 누전 등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전원 시스템을 마련하여 침수 또는 누수 시 정전이 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운행함으로써 필요한 때 신속하게 인명과 장비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형 엘리베이터 카가 현재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위급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시스템도 보호할 수 있는 획기적인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개시된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3은 수위감지센서 설치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제어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인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 운전시스템은 수위감지부(10)와, 비교판단부(15)와, 전원공급부(20)와, 운행확인부(30)와, 엘리베이터 카(40)와, 운행제어부(50)와, 정지제어부(60)와, 음성안내부(70)와, 운행재개부(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동기, 조속기, 플랫벨트, 균형추 등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감지부(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위감지센서를 일정한 피트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 이내에 상하로 설치하고 수위를 중복하여 감지하고, 상기 운행확인부(30)는 수위감지부에서 감지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중인지 확인하며, 상기 운행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키고, 상기 음성안내부(70)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송되는 동안 이송 이유에 대한 안내방송이 이루어지는 하며, 상기 정지제어부(60)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중이면 최상층에서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0)는 엘리베이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며,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 공급부(21)와,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 공급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주전원 공급부(21)는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엘리베이터 카(40)를 움직이기 위한 전동기, 엘리베이터 카(40)의 내부 조명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비상 전원 공급부(23)는 정지제어부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주전원 공급부(21)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정전상태가 3초 이상 지속하면, 엘리베이터(100)를 비상 구동하기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비상 전원 공급부(23)가 공급하는 비상 전원의 용량은 정격 하중의 엘리베이터 카(40)를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비상 전원 공급부(23)는 비상 전원이 공급되는 비상운전 상황에서도 모든 안전시스템의 기능은 정상 작동 되도록 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4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다수의 버튼들, 엘리베이터 카(40)를 운행하기 위한 안전라인, 카 도어의 소프트웨어 등이 정상 작동되도록 하고, 비상운전 속도는 0.25m/s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비상 전원 공급부(23)는 비상 전원의 충전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하며, 엘리베이터(100)의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비상 전원 공급부(23)의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기록을 보존하도록 하여 비상 전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인다. 제어반 내에는 비상운전에 대한 설명서를 비치하도록 한다.
엘리베이터 카(40)는 승객 또는 화물을 태우는 공간이며, 일반인들의 접근이 허용되는 곳으로 승객이 가장 많이 접하는 카바닥, 카틀, 카벽, 천장 및 도어 등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감지부(10)는 물의 유입을 감지하는 것으로, 플로우트(float) 방식의 수위감지센서로 구현되는데,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100)에 형성되는 승강로 피트의 바닥에서 200mm 이내의 위치에 복수개를 설치하되, 피트의 바닥 측에는 하부 수위감지센서(11)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수위감지센서(11)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상부 수위감지센서(11’)를 설치하여, 상기 하부 수위감지센서(11)와 상부 수위감지센서(11’)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위감지센서를 상하 로 배치함에 따라, 하부 수위감지센서(11)에서 낮은 수위를 감지하고, 계속해서 수위가 상승하면 상승된 수위를 상부 수위감지센서(11’)에서 다시 중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는 하부 수위감지센서(11)에서 수위를 감지하더라도 수위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부 수위감지센서(11’)에서 또 수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에 설치된 하부 수위감지센서(11)가 1차적으로 낮은 수위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위감지센서(11’)에서 더 상승된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침수시 더욱 확실하게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부(10)는 감지된 수위를 비교판단부(15)에 전송한다.
비교판단부(15)는 수위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비교한다. 만약, 복수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라도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수위상승신호를 운행확인부(30)에 제공한다. 상기 운행확인부(30)는 비교판단부(15)로부터 수위상승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중이면 운행제어부(50)에 운행정지신호를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중이 아니면, 즉 정차중이면 정지제어부(60)에 운행정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운행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 카(40)의 속도제어, 운행관리 제어 등을 수행한다. 운행제어부(50)는 운행확인부(30)로부터 운행정지신호가 인가되면, 엘리베이터 카(40)의 목적층이 최상층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운행제어부(50)는 엘리베이터 카(40)의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킨다.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하고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상층에 도착하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킨다.
상기 음성안내부(70)는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 시, 자동운전 사유와 탑승객 안전 행동요령을 안내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지제어부(60)는 운행확인부(30)로부터 운행정지신호가 인가되면,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에 정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에 있으면,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이 아닌 기타 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하고 도착 시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킨다.
상기 운행재개부(80)는 운전제어부(50) 또는 정지제어부(60)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40)의 운행이 정지된 경우, 승인된 관리자에 의해 운전정지상태가 수동조작으로 해제되면 엘리베이터(100)가 운행을 재개하도록 제어한다.
삭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 운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에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공급된다(S1).
그리고 수위감지부(10)가 수위를 감지하고(S3), 수위감지부(10)에 포함된 복수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 S5의 판단 결과,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
단계 S7의 판단결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중이면, 운행제어부(50)에 운행정지신호를 전송한다(S9).
운행제어부(50)는 운행정지신호가 전송되면, 엘리베이터 카(40)의 목적층이 최상층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1).
단계 S11의 확인 결과,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다(S13). 그리고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킨다(S15).
단계 S11에서의 확인 결과, 승객의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한다(S17).
그리고 도어를 오픈하지 않고,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 시키고(S19), 자동운전 사유 및 탑승객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한다(S21).
그리고 최상층에 도착하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킨다(S15).
단계 S7에서의 확인 결과,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40)가 운행 중이 아니고 정차중이라면, 정지제어부(60)에 운행정지신호를 전송한다.(S23)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에 정차되어 있으면(S25),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킨다(S27).
단계 S25에서의 확인 결과, 엘리베이터 카(40)가 최상층이 아닌 기타 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최상층으로 이동한 후(S29)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킨다(S27).
그리고 단계 S15 또는 단계 S27 이후에 수동조작에 의해 운행정지 상태가 해제되면(S31),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한다(S33).
이를 통해 강 또는 하천이 홍수 또는 누수 등에 의해 범람되어 교량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침수되는 경우,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중복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40)를 최상층으로 운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명과 장비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수의 발생 시, 다양한 상황에 따른 대처법을 마련하고 침수 발생을 승객에게 알려줌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비상 전원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위감지부 11: 하부 수위감지센서
15 : 비교판단부 20 : 전원 공급부
21 : 주전원 공급부 23 : 비상 전원 공급부
30 : 운행확인부 40 : 엘리베이터 카
50 : 운행제어부 60 : 정지제어부
70 : 음성안내부 80 : 운행재개부
100 : 엘리베이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에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피트 바닥부에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를 상하 일렬로 설치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감지된 수위와 기준수위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교판단부와; 감지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운행여부를 판단하는 운행확인부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키는 운행제어부와; 침수 위험 및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상태를 제어하는 정지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정지제어부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이 3초 이상 유지되면, 엘리베이터에 비상전원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운행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키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한 후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지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차중이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이 아닌 층에 정차되어 있으면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하며, 최상층 도착 시 도어를 오픈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지제어부 또는 운전제어부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수동조작에 의해서 운행정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하는 운행재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엘리베이터에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로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의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 중이면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시킨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시키는 운행제어 단계와; 엘리베이터 카를 최상층으로 자동 이동시키면서 자동 이동 사유와 탑승객의 안전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음성안내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지중이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정지제어 단계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이 3초 이상 유지되면 비상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며,
    상기 운행제어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목적층이 최상층이면 최상층까지 정상운행 한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목적층이 최상층이 아니면 목적층까지 운행한 후 도어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로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 후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지제어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운행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이 아닌 다른 층에 정지되어 있으면 최상층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하고 도착 시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전원을 차단하고 운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지제어 단계 또는 운전제어 단계 이후에, 수동 조작에 의해서 정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운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8. 삭제
KR1020110013178A 2011-02-15 2011-02-15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KR10105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78A KR101058745B1 (ko) 2011-02-15 2011-02-15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78A KR101058745B1 (ko) 2011-02-15 2011-02-15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745B1 true KR101058745B1 (ko) 2011-08-24

Family

ID=4493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78A KR101058745B1 (ko) 2011-02-15 2011-02-15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5887A (ja) * 2020-11-19 2021-03-0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被水管制運転方法
CN114620573A (zh) * 2022-03-11 2022-06-14 常州通奥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进水预警保护系统
JP2022112853A (ja) * 2021-01-22 2022-08-0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946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0265053A (ja) 2009-05-13 2010-11-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946A (ja) * 1998-12-14 2000-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0265053A (ja) 2009-05-13 2010-11-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5887A (ja) * 2020-11-19 2021-03-0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被水管制運転方法
JP7004052B2 (ja) 2020-11-19 2022-01-2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被水管制運転方法
JP2022112853A (ja) * 2021-01-22 2022-08-0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JP7156418B2 (ja) 2021-01-22 2022-10-1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CN114620573A (zh) * 2022-03-11 2022-06-14 常州通奥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进水预警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035B2 (en)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KR101452668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KR100775947B1 (ko) 엘레베이터
JP2013216411A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KR101058745B1 (ko) 옥외 교량형 엘리베이터의 운전 시스템과 방법
JP2014506864A (ja) 乗場領域におけるエレベータかごの移動制御
KR100376922B1 (ko)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장치의 관수관제 운전방법
JP20110633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80041175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4828661B (zh) 基于下强迫开关位置识别的电梯控制方法和系统
JP5195766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着床位置検出装置
JP200916128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278469B1 (ko) 엘리베이터 비상 운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843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127483A (zh) 一种电梯故障救援系统
KR20130126021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누수 관제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181582B1 (ko) 엘리베이터 2차 정지 시스템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5285640B2 (ja) エレベータ
JP2019099325A (ja) エレベーター
US20120043165A1 (en) Elevator installation door operation
JP7023827B2 (ja) 非常用エレベーター
KR101447399B1 (ko)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
JPH0761729A (ja) エレベーターの冠水防止装置
JP626807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