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92B1 -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92B1
KR101058392B1 KR1020090113194A KR20090113194A KR101058392B1 KR 101058392 B1 KR101058392 B1 KR 101058392B1 KR 1020090113194 A KR1020090113194 A KR 1020090113194A KR 20090113194 A KR20090113194 A KR 20090113194A KR 101058392 B1 KR101058392 B1 KR 101058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water
jig
insert wa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741A (ko
Inventor
서정선
Original Assignee
서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선 filed Critical 서정선
Priority to KR102009011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체결플레이트를 갖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통로가 형성된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부에 상기 작동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인서트 물을 파지하는 지그부가 형성된 지지관부와 상기 작동통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바디에 설치되며, 완충패널을 갖는 이송축이 구비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인서트 물을 사출기에 전달하는 인서트 전달부와 상기 지지관부를 감싸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에 배치된 인서트 물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락부와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락부를 승강시키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져, 너트와 같이 중앙이 비어있는 인서트 물을 쉽게 장착하여 옮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인서트 사출기, 인서트 핀, 너트, 탄성스프링

Description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 FEEDING DXVICE FOR INSERT OF INJECTION MOULDING }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너트와 같이 중앙이 비어있는 인서트 물을 쉽게 장착하여 옮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는 금형에 수지를 사출하여 휴대폰 케이스, 전화기 케이스, 모니터 케이스와 같은 사출 성형품을 만드는 기기이며, 특히 인서트물이라 불리는 구조물을 사출 금형에 미리 삽입하고 사출 성형하여 사출성형품 내에 인서트물이 일체로 성형되게 하는 것을 인서트 사출이라 한다.
이러한 인서트 사출은 부피가 큰 경우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인서트 물을 사출 금형에 직접 집어넣으면 되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인서트물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그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워 사출성형을 미리 수행한 후, 필요한 인서트 물을 가열하고 이를 후압기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품에 박아 사출성형품 이 인서트물의 온도에 따라 용융되면서 자연스럽게 인서트물이 사출성형품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적인 방법은 사출성형품의 용융점, 인서트물의 온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인서트물의 위치가 매번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고 달라지므로 불량 발생률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일이 인서트 물을 사출 성형품에 삽입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형 너트와 같이 작은 크기의 인서트 물을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지(把持)하고, 파지한 인서트 물을 사출금형에 투입하여 인서트 사출할 수 있게 하는 인서트 유닛(Insert unit)이 출시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인서트 유닛은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인서트 물을 흡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부분이 막혀있거나 평평한 형태의 인서트 물은 쉽게 흡착이 가능하였지만, 너트와 같이 중앙이 비어있는 형태의 인서트 물은 진공흡입력으로 쉽게 흡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서트 유닛이 인서트 물을 사출기의 금형 틀에 접근시켜 인서트 물을 금형 틀에 장착할 때에 인서트 물이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와 같이 중앙이 비어있는 인서트 물을 쉽게 장착하여 옮기도록 하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서트 핀이 지지되게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구비시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인서트 사출기 및 인서트 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서트 물인 너트를 인서트 사출기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로서, 하부에 체결플레이트를 갖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통로가 형성된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부에 상기 작동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인서트 물을 파지하는 지그부가 형성된 지지관부와 상기 작동통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바디에 설치되며, 완충패널을 갖는 이송축이 구비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인서트 물을 사출기에 전달하는 인서트 전달부와 상기 지지관부를 감싸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에 배치된 인서트 물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락부와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락부를 승강시키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전달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이송되며, 내부에 작동 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완충패널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인서트 물이 끼움되는 인서트 핀을 포함하는 인서트 물 이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태로 배치된 3개의 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는 탄성을 가지며 외면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부에는 상기 작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들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인서트 물을 구속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는 너트와 같이 중앙이 비어있는 인서트 물을 쉽게 장착하여 옮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서트 핀이 지지되게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구비시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인서트 사출기 및 인서트 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 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1)(이하 인서트 물 공급장치)는 인서트 물(200)인 너트를 인서트 사출기(100)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로서, 이에 이와 같은 인서트 물 공급장치는 하부바디(2)와 상부바디(3)와 지지관부(4)와 구동실린더(5)와 인서트 전달부(6)와 락(lock)부(7)와 작동실린더(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바디(2)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원형 또는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 물 공급장치(1)를 상기 인서트 사출기(100)에 전달하는 이송용 로봇(4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바디(2)의 하부에는 체결플레이트(21)가 용접 또는 볼트체결 되어 상기한 이송용 로봇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3)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바디(2)의 상부 에 볼트체결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긴 원통의 작동통로(31)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바디(31)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관부(4)와 상기 작동통로(31)가 연통되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부(4)는 원통의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3)의 상면부에 상기 작동통로(31)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인서트 물(200)을 파지하는 지그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관부(4)는 상기 상부바디(3)에서 연장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시켜 지지관부(4)의 상부에 용접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관부(4)의 내경은 상기 관통공(3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그부(41)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태로 배치된 탄성을 갖는 3개의 지그(4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411)는 탄성을 가지며 외면에는 테이퍼부(411a)가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상기 인서트 물이 파지하도록 홈부(411b)가 형성된다.
상기한 지그(411)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관부(4)에서 일체로 상측으로 연장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구동실린더(5)는 상기 작동통로(31)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바디(2)의 상부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5)의 이송축(51)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널(52)이 접착 또는 핀고정된다.
상기 인서트 전달부(6)는 상기 구동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지그부(41)에 파지된 상기 인서트 물(200)을 인서트 사출기(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인서트 전달부(6)는 작동부재(61)와 탄성스프링(62)과 작동플레이트(63)와 인서트 핀(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재(61)는 일측이 폐쇄된 원통의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실린더(5)에 의해 이송되며, 내부에는 작동공간(611)이 마련되고 폐쇄된 면에는 상기 작동통로(31)와 연통되게 작동공(612)이 형성되고, 개방된 단부는 상기 완충패널(52)의 테두리 부분에 접착 고정된다. 상기 탄성스프링(62)은 상기 구동실린더(5)의 완충패널(52)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부재(61)의 작동공간(611)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플레이트(63)는 상기 탄성스프링(62)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공간(611)에 배치되며, 상기 인서트 핀(64)은 상기 작동공(61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작동플레이트(63)에 용접 또는 나사식으로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지그부(41)에 파지된 인서트 물(200)이 끼움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 핀(64)의 단부에는 끼움된 인서트 물(200)이 걸림되도록 턱부(641)가 마련되어, 상기 지그부(41)에서 파지해지된 인서트 물(200)을 상기 인서트 사출기(100)에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락부(7)는 상기 지지관부(4)를 감싸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41)에 배치된 인서트 물(200)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킨다.
이때, 상기 락부(7)에는 상기 작동실린더(8)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411)들의 테이퍼부(411a)를 내측으로 가압가여 인서트 물(200)을 구속하는 원추형태의 지지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실린더(8)는 상기 상부바디(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락부(7)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서트 물 공급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이송용 로봇이 구동하여 상기 인서트 물 공급장치(1)를 인서트 물(200)이 배치된 중간지그(3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과정중 인서트 물 공급장치(1)의 구동실린더(5)와 작동실린더(8)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후방)으로 이동하여, 지그부(41)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후, 이송용 로봇이 인서트 물 공급장치(1)를 이동시켜, 중간지그(300)의 인서트 물(200)이 지그부(41)에 내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서트 핀(64)에 끼움되게 한 후 작동실린더(8)를 도 2b에 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전방)으로 이동시켜, 지그부(41)를 조여 인서트 물(200)을 파지하게 된다.
다음, 이송용 로봇을 작동시켜 인서트 물(200)을 중간지그(300)에서 분리시킨 후 인서트 물 공급장치(1)를 인서트 사출기(100)의 인서트 투입부와 근접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작동실린더(8)를 도 도 2f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후방)으로 이동시켜 인서트 물(200)을 지그부(41)에서 파지해지 시키게 된다.
이후, 구동실린더(5)를 작동시켜 도 2g에서와 같이 인서트 물(200)을 인서트 투입구 내부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인서트 핀(64)이 탄성스프링(62)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인서트 물(200)을 탄성적으로 상기 인서트 투입구에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탄성스프링(62)이 없이 인서트 물(200)을 인서트 투입부에 인입시킬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5)의 정교한 제어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구동실런더(5)의 오작동발생시 인서트 핀(6)이 인서트 투입구 내측의 내벽을 가압하여 인서트 핀(6)이 부러지거나 내벽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인 인서트 물 공급장치(1)는 구동실린더(5)가 상기 작동플레이트(63)를 일정길이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스프링(62)의 탄성으로 인서트 물(200)을 인서트 투입구에 가압하여 인입시키게 되므로, 인서트 핀(64)이 부러지거나 내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며, 인서트 물을 인서트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인서트 물 공급장치 2 : 하부바디
3 : 상부바디 4 : 지지관부
5 : 구동실린더 6 : 인서트 전달부
7 : 락부 8 : 작동실린더
21 : 체결플레이트 31 : 작동통로
32 : 관통공 41 : 지그부
411 : 지그 411a : 테이퍼부
411b : 홈부 51 : 이송축
52 : 완충패널 61 : 작동부재
611 : 작동공간 612 : 작동공
62 : 탄성스프링 63 : 작동플레이트
64 : 인서트 핀 641 : 턱부
100 : 인서트 사출기 200 : 인서트 물
300 : 중간지그 400 : 이송용 로봇

Claims (3)

  1. 인서트 물인 너트를 인서트 사출기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로서,
    하부에 체결플레이트를 갖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동통로가 형성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부에 상기 작동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인서트 물을 파지하는 지그부가 형성된 지지관부;
    상기 작동통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바디에 설치되며, 완충패널을 갖는 이송축이 구비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인서트 물을 사출기에 전달하는 인서트 전달부;
    상기 지지관부를 감싸며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부에 배치된 인서트 물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는 락부; 및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락부를 승강시키는 작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전달부는 상기 구동실린더에 의해 이송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 작동공이 형성된 작동부재;
    상기 완충패널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인서트 물이 끼움되는 인서트 핀을 포함하는 인서트 물 이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태로 배치된 3개의 지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그는 탄성을 가지며 외면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부에는 상기 작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그들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인서트 물을 구속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KR1020090113194A 2009-11-23 2009-11-23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KR101058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4A KR101058392B1 (ko) 2009-11-23 2009-11-23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4A KR101058392B1 (ko) 2009-11-23 2009-11-23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41A KR20110056741A (ko) 2011-05-31
KR101058392B1 true KR101058392B1 (ko) 2011-08-22

Family

ID=4436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94A KR101058392B1 (ko) 2009-11-23 2009-11-23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46B1 (ko) * 2016-05-24 2016-10-27 강종원 취출로봇
KR20190000228U (ko) * 2017-07-18 2019-01-28 (주)휴먼텍 인서트 삽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1227A (zh) * 2020-05-09 2020-07-10 东莞市富井自动化设备有限公司 注塑机的自动上下料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37B1 (ko) 2001-10-23 2004-05-2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22425Y1 (ko) 2006-04-27 2006-07-26 주식회사 피앤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지그 유닛
KR100847548B1 (ko) 2007-04-05 2008-07-21 (주)참테크글로벌 휴대폰 케이스류 금형 인서트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37B1 (ko) 2001-10-23 2004-05-2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22425Y1 (ko) 2006-04-27 2006-07-26 주식회사 피앤텔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지그 유닛
KR100847548B1 (ko) 2007-04-05 2008-07-21 (주)참테크글로벌 휴대폰 케이스류 금형 인서트 투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46B1 (ko) * 2016-05-24 2016-10-27 강종원 취출로봇
KR20190000228U (ko) * 2017-07-18 2019-01-28 (주)휴먼텍 인서트 삽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기
KR200490477Y1 (ko) 2017-07-18 2019-11-18 (주)휴먼텍 인서트 삽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41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2116A1 (zh) 一种电子烟雾化套装配设备
KR101058392B1 (ko)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KR20120108643A (ko) 오리피스 내장형 에이비에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필터조립체 조립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582506B1 (ko) 인서트 사출기용 너트 자동공급장치
KR20110139516A (ko) 패킹 조립장치
CN107160703B (zh) 功能元件
TW200704567A (en) Method and appuratus for supplying label to pseudo-core in in-mold labeling system
KR101123205B1 (ko) 인서트 물 고정용 이동식 지그장치
JP2009125826A (ja) 自動組み立て装置
KR100942177B1 (ko)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KR101113298B1 (ko)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KR101900645B1 (ko) 용기뚜껑 제조장치
JP6535847B2 (ja) 吸着ハンド
KR100758129B1 (ko) 인서트부재의 전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7123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JP5469657B2 (ja) 部品移送組付装置
JP5362202B2 (ja) 成形品取出機
KR200363044Y1 (ko) 사출품 인출기의 인서트 지그
KR20200078939A (ko) 인서트 사출 성형기용 인서트물 자동 공급 시스템
CN112622153B (zh) 模具半部和用于制造带有至少一个嵌入件的注塑件的方法
KR101034529B1 (ko) 인서트 자동 삽입장치
KR102427198B1 (ko) 다이캐스팅 용해로의 잉곳 투입장치
KR200293982Y1 (ko) 취출기의 인서트장치
KR101109108B1 (ko) 핫 픽스 정렬장치
KR20110098365A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