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128B1 -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128B1
KR101057128B1 KR1020070059245A KR20070059245A KR101057128B1 KR 101057128 B1 KR101057128 B1 KR 101057128B1 KR 1020070059245 A KR1020070059245 A KR 1020070059245A KR 20070059245 A KR20070059245 A KR 20070059245A KR 101057128 B1 KR101057128 B1 KR 10105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analysis
ugt1a
artificial sequence
ugt1a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191A (ko
Inventor
신재국
김우영
예성수
이상섭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5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128B1/ko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110239136.4A priority patent/CN102277437B/zh
Priority to US12/440,634 priority patent/US20100159454A1/en
Priority to CN2007800336773A priority patent/CN101522911B/zh
Priority to PCT/KR2007/003102 priority patent/WO2008032921A1/en
Priority to JP2009527287A priority patent/JP2010502212A/ja
Priority to CN201110240425.6A priority patent/CN102304572B/zh
Publication of KR2008011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128B1/ko
Priority to US13/549,873 priority patent/US20130096010A1/en
Priority to US13/549,981 priority patent/US20130095478A1/en
Priority to JP2013017993A priority patent/JP5687720B2/ja
Priority to JP2013017994A priority patent/JP56877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및 약물 감수성과 관련된 다형성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분석하는 경우,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는 한국인의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을 근거로 얻어진 최적의 탐색 세트를 이용하여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한국인 뿐 아니라 한국인과 유전적 특성이 유사한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권 인종의 UGT1A 족 유전형 분석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POLYMORPHISMS AND FUNCTIONAL MUTATIONS OF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S}
도 1 내지 4는 한국인 50명을 대상으로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한 결과로서 (이때, X축은 단일염기다형성 (SNP)의 위치, Y축은 SNP의 피크 높이를 의미하고, 빨강색: T, 검은색: C, 파랑색: G 및 초록색: A를 의미한다),
도 1은 UGT1A1 (a) 및 UGT1A3 (b)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한 결과이고,
도 2는 UGT1A4 (a) 및 UGT1A6 (b)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한 결과이고,
도 3은 UGT1A7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한 결과이고,
도 4는 UGT1A9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한 결과이며,
도 5는 한국인 50명을 대상으로 UGT1A1, UGT1A6 및 UGT1A9 족 유전자의 이리노테칸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로서,
(a)는 UGT1A1에서 211G>A, 233C>T 및 686C>A; UGT1A6에서 19T>G, 541A>G 및 552A>C; 및 UGT1A9에서 726T>G 및 766G>A가 모두 야생형일 경우이고,
(b)는 UGT1A1에서 211G>A 및 233C>T가 야생형, 686C>A가 이형 (hetero); UGT1A6에서 19T>G 및 552A>C가 이형, 541A>G가 야생형; 및 UGT1A9에서 726T>G 및 766G>A가 야생형일 경우이고,
(c)는 UGT1A1에서 211G>A, 233C>T 및 686C>A가 야생형; UGT1A6에서 19T>G, 541A>G 및 552A>C가 이형; 및 UGT1A9에서 726T>G가 이형, 766G>A가 야생형일 경우이며,
(d)는 UGT1A1에서 211G>A 및 233C>T가 이형, 686C>A가 야생형; UGT1A6에서 19T>G, 541A>G 및 552A>C가 이형; 및 UGT1A9에서 726T>G 및 766G>A가 야생형일 경우이다.
본 발명은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과 관련된 다형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UDP-glucuronosyltransferase; UGT)는 생체 내에서 내인성 및 외인성 물질에 글루쿠론산이 접합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페놀, 알코올, 아민 및 지방산 화합물 등과 같이 생체독성을 갖는 여러 물질들의 글루쿠론산 접합체를 생성시킴으로써 수용성 물질로 전환시켜 담즙이나 소변으 로 배출되도록 한다 (Parkinson A, Toxicol Pathol., 24:48-57, 1996).
이러한 UGT는 간세포의 소포체 및 핵막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신장 및 피부와 같은 다른 조직에서도 그 발현이 보고 된 바 있다. UGT 효소는 일차 아미노산 서열간의 유사성을 토대로 크게 UGT1 및 UGT2의 아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중 인간 UGT1A 족의 경우에는 9종류 (UGT1A1, 및 UGT1A3 내지 UGT1A10)의 이성질체가 보고되었으며, 그 중 5종류 (UGT1A1, UGT1A3, UGT1A4, UGT1A6, 및 UGT1A9)가 간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UGT1A 족 유전자는 사람마다 유전적 다형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까지 UGT1A 족의 유전적 다형성은 UGT1A1, 및 UGT1A3 내지 UGT1A10 각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galien.pha.ulaval.ca/alleles/alleles.html).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은 특히 종족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다형성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약물치료 등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UGT1A1*6와 UGT1A1*28은 길버트 (Gilbert) 증후군과 관련이 있으며 (Monaghan G, Lancet, 347:578-81, 1996). 이외에도 여러 질병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적인 변이형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인을 포함하여 서양인 및 동양인에서 최소한의 주요 기능적인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조차 연구가 미흡하여 UGT1A 족 유전자군의 변이 진단에 드는 분석시간 및 비용 등의 효율성을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UGT1A 족 유전자군 변이 진단에서의 분석시간 및 비용 등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한국인에서 주로 발견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선별하여 구성한 최소한의 표지 세트를 통해 UGT1A 족 유전형을 결정하는 방법이 시간 및 비용 등의 효율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인에서의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장암 치료용 항암제인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을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1) 인간으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채취된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핵산을 이용하여 인간 UGT1A 족 개별 유전자들을 증폭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증폭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UGT1A1에서의 -39(TA)6>(TA)7, 211G>A, 233C>T 및 686C>A; UGT1A3에서의 31T>C, 133C>T 및 140T>C; UGT1A4에서의 31C>T, 142T>G 및 292C>T; UGT1A6에서의 19T>G, 541A>G 및 552A>C; UGT1A7에서의 387T>G, 391C>A, 392G<A, 622T>C 및 701T>C; 및 UGT1A9에서의 -118T9>T10, 726T>G 및 766G>A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1) 인간으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채취된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핵산을 이용하여 인간 UGT1A 족 유전자들을 증폭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증폭된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UGT1A1에서의 211G>A, 233C>T 및 686C>A; UGT1A6에서의 19T>G, 541A>G 및 552A>C; 및 UGT1A9에서의 -118T9>T10, 726T>G 및 766G>A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UGT1A 족 유전자 변이형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된 UGT1A 족 유전자의 다형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aN>M" 또는 "NaM" (이때, a는 정수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A, C, T 또는 G이다)은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a번째 N 염기가 M 염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aNn>Nn+1" 또는 "ainsN" (이때, a는 정수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며, N은 A, C, T 또는 G이다)은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a번째에 N 염기가 하나 더 삽입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18T9>T10" 또는 "-118insT"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118번째 T 염기가 하나 더 삽입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한국인에서 주로 발견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을 근거로 하여 선별된, 최적의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을 결정하는 다형성 표지 세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계 1에서는, 인간, 바람직하게는 한국인, 중국인 및 일본인 등의 아시아인, 더 바람직하게는 한국인으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데,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피부 세포, 점막 세포 또는 모발 등, 바람직하게는 혈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한다. 상기 핵산은 DNA 또는 RNA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NA, 보다 바람직하게는 게놈 (genomic) DNA일 수 있다. 또한, 채취된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수행하거 나, 시판되고 있는 추출용 키트, 예를 들면, 퀴아젠 (Quiagen, 미국) 사 또는 스트라타젠 (Stratagene, 미국) 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DNA 또는 RNA 추출용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핵산을 주형으로 인간 UGT1A 족의 각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UGT1A 족 유전자들을 증폭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핵산이 RNA인 경우에는 역전사를 이용하여 cDNA로 전환시켜 이를 주형으로 사용하며, 상기 각 프라이머는 인간 UGT1A족 유전자 또는 이의 단편의 염기서열을 근거로 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적절히 설계하고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3에서,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UGT1A1, UGT1A3, UGT1A4, UGT1A6, UGT1A7 및 UGT1A9 족의 각 유전자를 증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리노테칸 (Irinotecan)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다형성을 결정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UGT1A1, UGT1A6 및 UGT1A9 족의 각 유전자를 증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계 4에서는, 상기 단계 3에서 증폭된 각 UGT1A 족 유전자들을 사용하여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과 관련된 다형성을 분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석에서는 당분야에 공지된 다형성 분석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냅샷 (SNaPshot) 분석, 전기영동 분석, 파이로시퀀싱 (pyrosequencing)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할 UGT1A 유전자의 변이형이 단일염기다형성인 경우에 는 스냅샷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스냅샷 분석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단일염기다형성 (SNP) 위치의 인접부위에 어닐링 (annealing)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ddNTP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이다. 이때, 스냅샷 분석에서 사용되는 상기 프라이머는 UGT1A 족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토대로 하여 공지에 방법에 따라 설계 및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공지에 방법에 따라, 단일염기다형성 위치의 바로 옆 염기가 3′ 말단이 되고, 인접부위에 어닐링되는 서열을 포함하며, 5′ 말단에는 T 염기가 부가되도록 설계 및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어닐링되는 서열은 약 20 bp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번에 여러 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을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 각 단일염기다형성에 대한 스냅샷 프라이머들의 5′ 말단 T 염기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설계하여 PCR 산물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한 번에 여러 개의 SNP 식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확인하는 스냅샷 분석에서는 서열번호: 48 내지 67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UGT1A 족 유전자군의 이리노테칸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확인하는 스냅샷 분석에는 서열번호: 68 내지 75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냅샷 분석으로 증폭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공지된 서열분석법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할 UGT1A 유전자의 변이형이 단일염기다형성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UGT1A1에서의 -39(TA)6>(TA)7 형)에는 스냅샷 분석 대신 공지의 파이로시퀀싱 (pyrosequencing)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파이로시퀀싱은, 공지된 바와 같이, DNA가 중합되는 동안 방출되는 PPi (무기 파이로인산염)의 발광정도를 측정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UGT1A1 족 유전자의-39(TA)6>(TA)7 형을 확인하는 파이로시퀀싱 분석에는 서열번호: 45 내지 47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국인 유래의 UGT1A족 유전자군의 변이 유전자 선별
단계 1) 유전체 DNA의 분리
50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혈액을 각각 채취한 후, 유전체 DNA 분리 키트 (Qiagen 사)를 이용하여 채취된 각 혈액 시료로부터 유전체 DNA를 분리하였다.
단계 2) UGT1A 족 유전자군의 증폭 및 전장 염기서열 분석
상기 단계 1에서 분리된 총 50개의 유전체 DNA 시료를 각각 주형으로 사용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각 인간 UGT1A족 유전자들을 증폭하였다. 이때, 증폭된 UGT1A족의 유전자명, 위치, 사용된 프라이머명, 이의 서열번호, 크기, 및 PCR 반응조건은 하기 표 1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다.
유전자 위치 프라이머명 서열번호 크기 (bp) 어닐링 온도 (℃)
UGT1A1 프로모터 (promoter) UGT1A1 P-For 1 588 63
UGT1A1 P-Rev 2
엑손
(exon)
UGT1A1-For 3 1042 61
UGT1A1-Rev 4
UGT1A3 프로모터 UGT1A3 P-For 5 740 60
UGT1A3 P-Rev 6
엑손 UGT1A3-For 7 1203 61
UGT1A3-Rev 8
UGT1A4 프로모터 UGT1A4 P-For 9 789 60
UGT1A4 P-Rev 10
엑손 UGT1A4-For 11 1183 61
UGT1A4-Rev 12
UGT1A5 프로모터 UGT1A5 P-For 13 780 63
UGT1A5 P-Rev 14
엑손 UGT1A5-For 15 1171 61
UGT1A5-Rev 16
UGT1A6 프로모터 UGT1A6 P-For 17 610 57
UGT1A6 P-Rev 18
엑손 UGT1A6-For 19 1164 61
UGT1A6-Rev 20
UGT1A7 프로모터 UGT1A7 P-For 21 590 67
UGT1A7 P-Rev 22
엑손 UGT1A7-For 23 1278 61
UGT1A7-Rev 24
UGT1A8 프로모터 UGT1A8 P-For 25 616 63
UGT1A8 P-Rev 26
엑손 UGT1A8-For 27 1330 61
UGT1A8-Rev 28
UGT1A9 프로모터 UGT1A9 P-For 29 1249 58
UGT1A9 P-Rev 30
엑손 UGT1A9-For 31 1082 59
UGT1A9-Rev 32
UGT1A10 프로모터 UGT1A10 P-For 33 620 65.2
UGT1A10 P-Rev 34
엑손 UGT1A10-For 35 1254 61
UGT1A10-Rev 36
UGT1A 엑손 Exon2-For 37 329 58
Exon2-Rev 38
UGT1A 엑손 Exon3-For 39 366 57
Exon3-Rev 40
UGT1A 엑손 Exon4-For 41 479 61
Exon4-Rev 42
UGT1A 엑손 Exon5-For 43 424 58
Exon5-Rev 44
단계 3) 각 UGT1A 족 유전자의 변이형 분석
상기 단계 2에서 증폭시킨 각 UGT1A 족 유전자의 전장 서열을 대상으로 공지된 3100 유전자 분석기 (3130x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서열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야생형 UGT1A 족 유전자의 염기서열 (GenBank accession No.: NT_005120)과 비교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위치 핵산 변이 아미노산 변이 개체수 빈도수
야생형 이형 동형
UGT1A8 엑손 1 A711C T237T 47 1 2 0.05
A765G T255T 46 2 2 0.06
UGT1A10 엑손 1 C605T T202I 49 1 0 0.01
C693T A231A 45 4 1 0.06
UGT1A9 프로모터 T-440C 1 1 48 0.97
C-331T 1 1 48 0.97
-118insT 6 27 17 0.61
엑손 1 G588T G196G 97 3 0 0.015
T726G Y242X 99 1 0 0.005
UGT1A7 프로모터 T-382C 44 6 0 0.06
C-341T 45 5 0 0.05
T-57G 36 13 1 0.15
엑손 1 C33A P11P 33 14 3 0.2
T387G N129K 18 25 7 0.39
C391A R131K 18 25 7 0.39
G392A 18 25 7 0.39
T622C W208R 32 15 3 0.21
T701C I234T 49 1 0 0.01
G756A L252L 37 12 1 0.14
유전자 위치 핵산변이 아미노산 변이 개체수 빈도수
야생형 이형 동형
UGT1A6 프로모터 G-427C 39 10 1 0.12
엑손 1 T19G S7A 34 15 1 0.17
C105T D35D 46 4 0 0.04
A315G L105L 43 7 0 0.07
T480C A160A 49 1 0 0.01
A541G T181A 36 14 0 0.14
A552C R184S 33 16 1 0.18
G627T V209V 46 4 0 0.04
UGT1A5 프로모터 C-369T 42 8 0 0.08
-246insC 42 8 0 0.08
엑손 1 T143C L48S 35 14 1 0.16
C150G D50E 35 14 1 0.16
T188C L62P 35 14 1 0.16
C424A H142N 35 14 1 0.16
C473G A158G 35 14 1 0.16
C645T L215L 35 14 1 0.16
C657T A219A 35 14 1 0.16
C673T H225Y 35 14 1 0.16
C742A L248I 35 14 1 0.16
G745C V249L 35 14 1 0.16
G775C G259R 35 14 1 0.16
T783C F261F 35 14 1 0.16
T792C D264D 25 19 6 0.31
UGT1A4 프로모터 C-457T 37 12 1 0.14
G-419A 37 12 1 0.14
C-219T 37 12 1 0.14
G-163A 37 12 1 0.14
엑손 1 C31T R11W 49 1 0 0.01
T142G L48V 39 10 1 0.12
C292T Q98X 49 1 0 0.01
G804A P268P 35 14 1 0.16
인트론 1 C910T 38 11 1 0.13
UGT1A3 프로모터 A-486G 48 2 0 0.02
A-204G 25 19 6 0.31
T-66C 25 19 6 0.31
엑손 1 T31C W11R 36 13 1 0.15
G81A E27E 36 13 1 0.15
C133T R45W 46 4 0 0.04
T140C V47A 46 3 1 0.05
A477G A159A 46 4 0 0.04
인트론 1 A918T 32 18 0 0.18
UGT1A1 프로모터 C-364T 39 7 4 0.15
G-64C 48 2 0 0.02
-39insTA 39 8 3 0.14
엑손 1 G211A G71R 43 7 0 0.07
C233T T78M 49 1 0 0.01
C686A P229Q 48 2 0 0.02
인트론 2 T6893C 48 2 0 0.02
엑손 5 T1456G Y486D 49 1 0 0.01
단계 4-1) UGT1A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 선별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한국인 50 인에서 발견된 UGT1A 족 유전자의 다형성을 근거로 하여, 효소 활성의 증가 또는 감소와 같이 기능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변이형들을 선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UGT1A9에서의 G766A 변이형은 단계 3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일본인에서 보고된 기능적 변이형이므로 하기 표 3에 추가하였으며, 'truncated protein'은 단백질이 번역과정 중간에 돌연변이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번역 종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자 대립
형질명
핵산
변이형
보고된 관련 효소 활성 빈도
생체내 시험관내
UGT1A1 1A1*28 -39insTA 감소 감소 0.13
1A1*6 G211A 감소 감소 0.06
C233T 감소 0.01
1A1*27 C686A 감소 감소 0.02
UGT1A6 1A6*3a T19G 0.18
1A6*5 A541G 0.14
1A6*9 A552C 0.18
UGT1A9 1A9*22 -118insT 증가 0.61
1A9*4 T726G truncated protein 0.003
(n=150)
1A9*5 G766A 감소 N.D
UGT1A7 T387G 0.39
C391A 0.39
G392A 0.39
1A7*4 T622C 감소 0.21
T701C 감소 0.01
UGT1A4 1A4*4 C31T 0.01
1A4*3b T142G 감소 0.12
C292T 소실 0.01
UGT1A3 A17G
T31C 0.15
1A3*4 C133T 감소 0.04
T140C 0.05
단계 4-2) UGT1A 족 유전자의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 선별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한국인 50 인에서 발견된 UGT1A 족 유전자의 다형성을 근거로 하여, 대장암 치료용 항암제인 이리노테칸 (Irinotecan)의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UGT1A1, UGT1A6 및 UGT1A9의 다형성을 선별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UGT1A9에서의 G766A 변이형은 단계 3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일본인에서 보고된 기능적 변이형이므로 하기 표 4에 추가하였다.
유전자 대립형질명 핵산 변이 아미노산 변이
UGT1A1 1A1*6 G211A G71R
C233T T78M
1A1*27 C686A P229Q
UGT1A6 1A6*3a T19G S7A
1A6*5 A541G T181A
1A6*9 A552C R184S
UGT1A9 1A9*4 T726G Y242X
1A9*5 G766A D256N
실시예 2: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및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 분석
2-1) UGT1A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피험자 중 각 UGT1A 족 유전자의 야생형, 이형의 대립형질을 갖는 변이형, 동형의 대립형질을 갖는 변이형을 갖는 사람들로부터의 혈액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간 UGT1A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UGT1A1, UGT1A3, UGT1A4, UGT1A6, UGT1A7 및 UGT1A9 족 유전자들의 서열을 각각 증폭하였다. 그 후, 얻어진 각 UGT1A 족 유전자들의 PCR 산물 5 ㎕ 당 엑소SAP-IT (ExoSAP-ITTM, USB Corporation) 2 ㎕ 씩을 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잔여 프라이머 등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반응물을 8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남아있는 엑소SAP-IT를 비활성화시킨 후, 이를 2 ㎕씩 취하여 스냅샷 멀티플렉스 레디 리액션 믹스 (SNaPshot Multiplex Ready Reaction Mix, ABI) 1㎕, 할프 텀 용액 (Half term buffer, 조성: 200 mM Tris-HCl, 5 mM MgCl2, pH 9) 4㎕ 및 하기 표 5에 제시된 각 스냅샷 프라이머와 혼합하여 스냅샷 반응 용액을 얻었으며, 이때 전체 반응 용액의 양은 10 ㎕이 되도록 하였다.
유전자 핵산변이형 프라이머명 서열번호 농도 (pmol)
UGT1A1 G211A 1A1_G211A_F 48 2
C233T 1A1_C233T_R 49 2
C686A 1A1_C686A_R 50 2
UGT1A6 T19G 1A6_T19G_F 51 2
A541G 1A6_A541G_R 52 2
A552C 1A6_A552C_R 53 2
UGT1A9 -118insT 1A9_-118insT_R 54 2
T726G 1A9_T726G_R 55 2
G766A 1A9_G766A_F 56 2
UGT1A7 T387G 1A7_T387G_F 57 2
C391A 1A7_C391A_F 58 2
G392A 1A7_G392A_R 59 2
T622C 1A7_T622C_R 60 2
T701C 1A7_T701C_F 61 2
UGT1A4 C31T 1A4_C31T_R 62 2
T142G 1A4_T142G_R 63 2
C292T 1A4_C292T_F 64 2
UGT1A3 T31C 1A3_T31C_R 65 2
C133T 1A3_C133T_R 66 2
T140C 1A3_T140C_F 67 2
상기 각 반응용액을 [96℃에서 10초, 50℃에서 5초, 60℃에서 30초]의 40 사이클 반복 조건하에 PCR 반응시켰으며, 반응이 끝난 반응용액 10 ㎕ 에 SAP (shrimp alkaline phosphatase) (USB 사) 1 ㎕씩을 가하여 37℃에서 1시간, 6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를 각각 0.5 ㎕씩 취한 후, LIZ120 (ABI) 0.2 ㎕ 와 Hi-Di 폼아마이드 (ABI) 9.3 ㎕와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분주된 반응 시료들을 95℃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3130x 유전자 분석기 (3130x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UGT1A 족 유전자들의 기능적 변이형에 따라 피크 색과 위치가 다르게 표시되어 야생형, 이형의 대립형질을 갖는 변이형 (이형), 동형의 대립형질을 갖는 변이형 (동형)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얻어진 피크의 크기와 종류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서열분석으로 얻어진 표 1의 결과와 100%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 방법을 통해 시간 및 비용 효율적이면서 용이하게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분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UGT1A1 족 유전자의 -39insTA 유전형은 단일염기 변이에 해당하지 않아 상기 같은 스냅샷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PCR-파이로시퀀싱법을 수행하여 변이형을 확인하였다. 이때, 분석에 사용한 프라이머의 서열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프라이머 UGT1A1*28 F의 경우 5' 말단에 바이오틴이 부착되어 있고 (서열번호: 45 참조), 파이로시퀀싱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문헌 [Clin Chem., Jul;49(7):1182-5, 2003]을 참고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45와 46을 이용하여 수득한 PCR 산물을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47의 염기서열 분석용 프라이머를 반응시킨 후 파이로시퀀서 (Pyrosequencing사)를 이용하여 변이유무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득한 PCR산물에 바인딩 버퍼 37 ㎕ (Binding buffer pH 7.6, 조성: 10 mM Tris-HCI, 2 M NaCI, 1 mM EDTA, 0.1% Tween20)에 세파로스 비드 (Streptavidin SepharoseTM High performance : Amersham Bioscience) 3 ㎕ 넣어 섞은 후,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1,4000 rpm으로 5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하기의 서열번호 47의 프라이머 (100 pmol) 0.3 ㎕당 100 ㎕ 어닐링 버퍼 (1X annealing buffer pH 7.6, 조성: 20 mM Tris acetate, 2 mM MgAc2)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반응시킨 샘플을 진공 프랩 툴 (vacuum Prep Tool)을 이용하여 시료를 준비한 후, 90℃에서 3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냉각 플레이트에 Pyro Gold Reagent kit (Biotage)에서 제공하는 효소 혼합물 (enzyme mixture), 기질 혼합물 (substrate mixture), dATP, dCTP, dGTP 및 dTTP를 넣은 다음 파이로시퀀서를 이용하여 변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유전형 프라이머명 서열번호
UGT1A1의 -39insTA UGT1A1*28 F 45
UGT1A1*28 R 46
UGT1A1*28 pyrosequencing primer 47
2-2) UGT1A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 분석
상기 표 5에 제시된 프라이머 대신, 하기 표 7에 제시된 프라이머를 동시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2-1)에서의 스냅샷 분석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이리노테칸 감수성과 관련된 UGT1A 족 다형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7에 제시된 프라이머들을 5′ 말단에 서로 다른 길이의 T 반복 서열을 부착하여 각각의 길이를 다르게 하였다.
유전자 핵산변이형 프라이머명 서열번호 농도 (M)
UGT1A1 G211A 1A1_G211A_F 68 0.1
C233T 1A1_C233T_R(T8) 69 0.1
C686A 1A1_C686A_R(T40) 70 0.1
UGT1A6 T19G 1A6_T19G_F(T12) 71 0.1
A541G 1A6_A541G_R(T16) 72 0.5
A552C 1A6_A552C_R(T24) 73 0.1
UGT1A9 T726G 1A9_T726G_R(T28) 74 0.1
G766A 1A9_G766A_F(T32) 75 0.1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GT1A 족의 이리노테칸 감수성 관련 여러 다형성을 한 번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얻어진 피크의 크기와 종류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서열분석으로 얻어진 표 1의 결과와 100%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분석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는 한국인의 UGT1A 족 유전자들의 다형성을 근거로 얻어진 최적의 탐색 세트를 이용하여 시간 및 비용 효율적으로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 또는 약물 감수성 관련 다형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한국인 뿐 아니라 한국인과 유전적 특성이 유사한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권 인종의 UGT1A 족 유전자들의 유전형 분석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10>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METHOD FOR DETERMINING POLYMORPHISMS AND FUNCTIONAL MUTATIONS OF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S <130> DPP070103KR <160> 7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 P-For <400> 1 catgatacaa gtgagcagg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 P-Rev <400> 2 tatcttccca gcatgggac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For <400> 3 gtcacgtgac acagtcaaa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Rev <400> 4 ggggctagtt aatcgatcc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3 P-For <400> 5 ctggtgcgaa aaacgacca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3 P-Rev <400> 6 atattcacct ctggggtgag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3-For <400> 7 gggcactctg tcttccaatt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3-Rev <400> 8 ctcttcctct cagtgacca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4 P-For <400> 9 agatagccag cctgaacac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4 P-Rev <400> 10 atggaacagc ataggctgt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4-For <400> 11 gagggcactt tgtcttccaa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4-Rev <400> 12 ttcttcctct cagtgaccac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5 P-For <400> 13 ggatgtgctg tgttacccat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5 P-Rev <400> 14 gaacgattga gtgtgaccca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5-For <400> 15 gagggcactc tgtcttcaat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5-Rev <400> 16 ctgcactacc attgaccctt 20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6 P-For <400> 17 tgtaggactg agcccttaac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6 P-Rev <400> 18 cagcagcttg tcacctacaa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6-For <400> 19 aagctcaggt gaaagctgac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6-Rev <400> 20 caaggagcca aatgagtgag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7 P-For <400> 21 cctgtaatcc cagctactga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7 P-Rev <400> 22 acaggtcagc agtagacaca 20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7-For <400> 23 agcaggtatc tcagcaaagg 20 <210> 2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7-Rev <400> 24 gcagcctaga tatgatctac a 21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8 P-For <400> 25 gcagaagaca accagcaatg 20 <210> 2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8 P-Rev <400> 26 gtcagcagca gagaaacaca 20 <210> 2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8-For <400> 27 gcagaagaca accagcaatg 20 <210> 2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8-Rev <400> 28 caccttcaag aagggcagtt 20 <210> 2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9 P-For <400> 29 gcaggcaagt agaccacttt 20 <210> 3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9 P-Rev <400> 30 gacacacaca tagaggaagg 20 <210> 3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9-For <400> 31 gctggtattt ctcccaccta 20 <210> 3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9-Rev <400> 32 acgagtacac gcattggcac 20 <210> 3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0 P-For <400> 33 gcctctcagg gtttggatat 20 <210> 3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0 P-Rev <400> 34 tgtgtgtgtc tactgctgac 20 <210> 3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0-For <400> 35 ctccaaggcg aagaccataa 20 <210> 3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0-Rev <400> 36 gatgagtaca tgaattcgca c 21 <210> 3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2-For <400> 37 ctatctcaaa cacgcatgcc 20 <210> 3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2-Rev <400> 38 ctggaagctg gaagtctggg 20 <210> 3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3-For <400> 39 actgatcctc ccactctgtt 20 <210> 4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3-Rev <400> 40 gtgggttgag ataccccact 20 <210> 4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4-For <400> 41 acctagatgt gtccagctgt 20 <210> 4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4-Rev <400> 42 taggtgacag agcaagactg 20 <210> 4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5-For <400> 43 gcagccatga gcataaagag 20 <210> 4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on5-Rev <400> 44 ggaaatgact agggaatggt 20 <210> 4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28 F <220> <221> misc_feature <222> (1) <223> biotinylation <400> 45 tccctgctac ctttgtggac 20 <210> 4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28 R <400> 46 gaggttcgcc ctctcctac 19 <210> 4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GT1A1*28 pyrosequencing primer <400> 47 tcgccctctc ctacttata 19 <210> 4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G211A_F <400> 48 cctcgttgta catcagagac 20 <210> 4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C233T_R <400> 49 tttggaatgg cacagggtac 20 <210> 5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C686A_R <400> 50 ctgaggcaag ggttgcatac 20 <210> 5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T19G_F <400> 51 ggatggcctg cctccttcgc 20 <210> 5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A541G_R <400> 52 gtctgggctt ctgctgaatg 20 <210> 5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A552C_R <400> 53 taggacacag ggtctgggct 20 <210> 5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9_-118insT_R <400> 54 tatcctttca taaaaaaaaa 20 <210> 5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9_T726G_R <400> 55 gatgtgtggc tgtagagatc 20 <210> 5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9_G766A_F <400> 56 caatttggtt gttgcgaacg 20 <210> 5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7_T387G_F <400> 57 aattgcagga gtttgtttaa 20 <210> 5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7_C391A_F <400> 58 gcaggagttt gtttaatgac 20 <210> 5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7_G392A_R <400> 59 ttaagtattc tactaatttt 20 <210> 6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7_T622C_R <400> 60 caagtgcatg atgtggttcc 20 <210> 6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7_T701C_F <400> 61 cttagaaata gcctctgaaa 20 <210> 6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4_C31T_R <400> 62 cagcagtcct gtggccagcc 20 <210> 6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4_T142G_R <400> 63 tctggcatgg agctcccgca 20 <210> 6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4_C292T_F <400> 64 gcgttacgct gggctacact 20 <210> 6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3_T31C_R <400> 65 cagcagtcct gtggccagcc 20 <210> 6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3_C133T_R <400> 66 gagctcccgc aagacctccc 20 <210> 6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3_T140C_F <400> 67 ctggctcagc atgcgggagg 20 <210> 6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G211A_F <400> 68 cctcgttgta catcagagac 20 <210> 6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C233T_R(T8) <400> 69 tttttttttt tggaatggca cagggtac 28 <210> 70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1_C686A_R(T40) <400> 70 tttttttttt tttttttttt tttttttttt tttttttttc tgaggcaagg gttgcatac 59 <210> 71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T19G_F(T12) <400> 71 tttttttttt ttggatggcc tgcctccttc gc 32 <210> 72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A541G_R(T16) <400> 72 tttttttttt ttttttgtct gggcttctgc tgaatg 36 <210> 73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6_A552C_R(T24) <400> 73 tttttttttt tttttttttt tttttaggac acagggtctg ggct 44 <210> 74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9_T726G_R(T28) <400> 74 tttttttttt tttttttttt ttttttttga tgtgtggctg tagagatc 48 <210> 75 <211> 5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A9_G766A_F(T32) <400> 75 tttttttttt tttttttttt tttttttttt ttcaatttgg ttgttgcgaa cg 52

Claims (11)

1) 한국인 또는 이와 유사한 유전학적 특성을 갖는 아시아인으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추출된 핵산을 이용하여 한국인 또는 이와 유사한 유전학적 특성을 갖는 아시아인 UGT1A(UDP-glucuronosyl1-transferase 1A) 족 유전자들을 증폭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증폭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UGT1A1에서의 -39(TA)6>(TA)7, 211G>A, 233C>T 및 686C>A; UGT1A3에서의 31T>C, 133C>T 및 140T>C; UGT1A4에서의 31C>T, 142T>G 및 292C>T; UGT1A6에서의 19T>G, 541A>G 및 552A>C; UGT1A7에서의 387T>G, 391C>A, 392G<A, 622T>C 및 701T>C; 및 UGT1A9에서의 -118T9>T10, 726T>G 및 766G>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UGT1A 족 유전자의 기능적 변이형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GT1A 족 유전자군의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삭제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 피부 세포, 점막 세포 또는 모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핵산이 DNA 또는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이 유전체 (genomic) D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UGT1A 족 유전자가 UGT1A1, UGT1A3, UGT1A4, UGT1A6, UGT1A7 및 UGT1A9 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상기 분석이 스냅샷 (SNaPshot) 분석, 전기영동 분석, 파이로시퀀싱 (pyrosequencing) 분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상기 분석이 서열번호: 48 내지 67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하는 스냅샷 분석 또는 서열번호: 45 내지 47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하는 파이로시퀀싱 분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상기 분석이 서열번호: 68 내지 75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하는 스냅샷 분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59245A 2006-09-11 2007-06-18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KR10105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45A KR101057128B1 (ko) 2007-06-18 2007-06-18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US12/440,634 US20100159454A1 (en) 2006-09-11 2007-06-26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CN2007800336773A CN101522911B (zh) 2006-09-11 2007-06-26 用于确定细胞色素p450 1a2、2a6和2d6、pxr以及udp-葡萄糖醛酸基转移酶1a基因的基因型的单倍型标签单核苷酸多态性及其用于多重基因分型的方法
PCT/KR2007/003102 WO2008032921A1 (en) 2006-09-11 2007-06-26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CN201110239136.4A CN102277437B (zh) 2006-09-11 2007-06-26 用于确定UGT1A基因的基因型的htSNP及其用于多重基因分型的方法
JP2009527287A JP2010502212A (ja) 2006-09-11 2007-06-26 シトクロムp4501a2、2a6及び2d6、pxr及びudp−グルクロノ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1a族遺伝子の遺伝型分析のためのhtsnps、及びそれを用いた遺伝子多重分析法
CN201110240425.6A CN102304572B (zh) 2006-09-11 2007-06-26 用于确定CYP2D6基因的基因型的htSNP及其用于多重基因分型的方法
US13/549,873 US20130096010A1 (en) 2006-09-11 2012-07-16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US13/549,981 US20130095478A1 (en) 2006-09-11 2012-07-16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JP2013017993A JP5687720B2 (ja) 2006-09-11 2013-02-01 シトクロムP2A6遺伝子の遺伝型分析のためのhtSNPs、及びそれを用いた遺伝子多重分析法
JP2013017994A JP5687721B2 (ja) 2006-09-11 2013-02-01 シトクロムP2D6遺伝子の遺伝型分析のためのhtSNPs、及びそれを用いた遺伝子多重分析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45A KR101057128B1 (ko) 2007-06-18 2007-06-18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191A KR20080111191A (ko) 2008-12-23
KR101057128B1 true KR101057128B1 (ko) 2011-08-16

Family

ID=4036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245A KR101057128B1 (ko) 2006-09-11 2007-06-18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93B1 (ko) * 2010-09-24 2013-06-25 대한민국 한국인의 ugt1a1 유전자의 일배체형을 이용한 ugt1a1 유전자의 발현 예측 방법
KR102069950B1 (ko) * 2017-10-31 2020-01-23 (주)에스피메드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24:15, 2237-2244 (2006)
Oncology Reports, Vol.16, 971-974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191A (ko) 200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9008B (zh) 一种与小麦白粉病抗病基因Pm5e共分离的SNP及其应用
CN109371146B (zh) 绵羊多胸椎数性状的snp分子标记、引物对、检测试剂盒及其应用
US20130096010A1 (en)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CN110923333B (zh) 山羊zbp1基因第一内含子内与产羔数关联的单倍型标记及其应用
KR101057128B1 (ko)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 족 유전자군의다형성 및 기능적 변이형을 결정하는 방법
WO2008032921A1 (en) Htsnps for determining a genotype of cytochrome p450 1a2, 2a6 and 2d6, pxr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 gene and multiplex genotyping methods using thereof
KR101359782B1 (ko) 간세포암종의 재발 진단용 단일 염기 다형성
KR101838394B1 (ko) 뇌실하 영역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이용한 교모세포종 조직 기원의 예측 방법 및 동물 모델
WO2019160136A1 (ja) ブリ類の性識別方法
EP4092136A1 (en) Capture probes and uses thereof
KR100673071B1 (ko) 파이로시퀀싱법을 이용한 녹용의 종간 유전자 감별 키트
KR101508689B1 (ko) 중국젓새우의 원산지 판별 마커
KR102069950B1 (ko) Udp-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925974B1 (ko) 게놈 dna 기반의 장 pcr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신경섬유종증 진단용 조성물
KR101309887B1 (ko) 위암 감수성 진단용 lox 유전자 snp 및 이를 이용한 위암 감수성 진단방법
KR100849166B1 (ko) 유디피-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1에이4 유전자의단일염기 다형성 및 그 용도
KR20140134869A (ko) 한국산 황기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 및 이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KR101341943B1 (ko) Str 검출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str 검출 방법
Sruoga et al.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perch (Perca fluviatilis) and pikeperch (Sander lucioperca) populations from Curonian lagoon and inshore waters of the Baltic Sea
KR100528627B1 (ko) 시토크롬 p450 3a7 단백질의 기능이상과 관련된 표지인자로서의 유전자
KR101072903B1 (ko) 사이토크롬 피450 2에이6 유전자의 유전형 분석을 위한해플로타입 마커 단일염기변이 및 이의 용도
KR101716108B1 (ko) Str 유전좌위의 분별 선행 증폭을 통한 유전자 감식 방법
Yokozaki et al. Allele frequency of D17S855 microsatellite locus in Japanese people
KR101522836B1 (ko) 신규한 프라이머 및 지노믹 pcr 기반의 직접염기서열분석을 이용한 sla-dqa 유전자형 분석방법
KR20160053670A (ko) 돼지의 근육 내 근섬유타입 ⅰ의 수준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