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707B1 -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707B1
KR101054707B1 KR1020110014967A KR20110014967A KR101054707B1 KR 101054707 B1 KR101054707 B1 KR 101054707B1 KR 1020110014967 A KR1020110014967 A KR 1020110014967A KR 20110014967 A KR20110014967 A KR 20110014967A KR 101054707 B1 KR101054707 B1 KR 10105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lasting
blast
control device
block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금원
김경숙
조종은
조은정
김광염
김창용
함건철
이종수
김준영
김성태
최재희
정양현
Original Assignee
조금원
김경숙
조종은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조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금원, 김경숙, 조종은,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조은정 filed Critical 조금원
Priority to KR102011001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707B1/ko
Priority to JP2011284717A priority patent/JP5079915B2/ja
Priority to US14/000,503 priority patent/US20130319277A1/en
Priority to PCT/KR2012/001218 priority patent/WO2012115397A2/ko
Priority to JP2012144952A priority patent/JP533512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2Methods for holding or positioning for blasting cartridges or tamp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최 외곽공이나 도심지 인접구조물이 위치한 장소의 도로면·벽면 등의 발파작업시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폭압이 발파 예정선을 초과하지 않고 발파영역으로만 제한적으로 전달되도록 폭압의 전달경로를 제어하여 더욱 매끈하고 미려한 발파면을 확보함은 물론 여굴방지 및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저가의 폭약을 폭압 차단커버에 장전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고가의 정밀폭약을 대체할 수 있어 발파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발파효율은 증대되어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Blasting method which uses control device for inducing blast pressure, and control device for inducing blast pressure to apply the same}
본 발명은 터널의 최 외곽공이나 도심지 인접구조물이 위치한 장소의 도로면·벽면 등의 발파작업시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폭압이 발파 예정선을 초과하지 않고 발파영역으로만 제한적으로 전달되도록 폭압의 전달경로를 제어하여 더욱 매끈하고 미려한 발파면을 확보함은 물론 여굴방지 및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발파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토목 공사는 국가의 기간 산업으로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공사의 규모나 횟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 및 토목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공사로서 발파 작업은 각종 공사현장(도로건설, 터널, 도심지 인접구조물이 위치한 장소 등)에서 가장 빈번히 행해지는 작업중의 하나이다.
상기 발파작업은 암반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가장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보편적으로 폭약을 이용하며, 상기 폭약은 구입이 수월하고 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파공법은 원형의 발파공을 천공하여 중앙에 폭약을 장전하여 발파를 하는 방식으로 발파공의 공벽 전체에 균일한 폭압을 가하게 됨으로써 특히, 터널의 시공시 터널 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고,고, 발파진동 및 소음이 심하여 폭압이 터널의 발파 예정선을 초과하여 더 굴착되면서 여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폭압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건이며, 현재까지 이러한 폭압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자유면의 위치와 공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 디커플링 장약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은 비용이 많이 들며 제어효과가 그다지 크지 못한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디커플링 장약방법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정밀폭약을 이용한 발파방법으로서, 발파공의 중앙에 설치된 폭약과 상기 발파공의 공벽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발파공의 공벽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하는 폭약의 충격효과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면서 파괴의 범위가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하여 발파 예정선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폭약의 전체적인 충격효과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파 예정선의 내측 방향(발파영역)에는 오히려 폭압이 부족하여 미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기존의 발파방법에 비해 단지 여굴의 발생영역이 다소 줄어드는 정도의 미미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파공법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폭약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만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폭압 차단커버에 폭약을 장전한 후 상기 폭압 차단커버가 발파 예정선을 향하도록 발파공에 삽입 설치하여 발파작업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에 의해 발파 예정선 방향으로는 폭압이 전달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발파 예정선의 타측 방향인 발파영역으로만 폭압이 전달되도록 폭압의 전달경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발파공법 및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에 각각 폭약을 장전하는 단계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가 발파 예정선을 향하도록 발파공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발파공에 전색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뇌관각선을 발파모선과 일체로 연결한 후 폭약을 발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파공법의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폭압 차단커버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폭압 유도로의 내측에는 폭약 장전부를 형성하며, 상기 폭압 차단커버의 내면에 이중벽 및 삼중벽을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이중벽은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를 형성하되 타측에는 결합홈을 함몰 형성시킨 커버 조립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폭압 차단커버를 폭약의 개수에 맞추어 맞춤으로 조립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폭압유도 제어장치의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약의 한쪽만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폭압 차단커버가 발파 예정선을 향하도록 발파공에 배치됨으로써 발파작업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는 폭압이 발파 예정선으로 전달됨을 차단하여 폭압은 상기 발파 예정선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발파 예정선의 내측 방향인 발파영역으로만 제한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발파 예정선을 따라 발파면이 정확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발파면은 더욱 매끈하고 미려할 뿐만 아니라 여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여 공사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적인 저가의 폭약을 상기 폭압 차단커버에 장전하여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고가의 정밀폭약을 대체할 수 있어 발파비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발파효율은 증대되어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폭압 유도장치가 터널의 발파작업시 발파공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폭압 차단커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폭압 차단커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폭압 차단커버에 폭약이 장전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폭약이 장전된 폭약 차단커버가 발파공에 설치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폭압 차단커버가 상호 연결조립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 폭압유도 제어장치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 폭압유도 제어장치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에 각각 폭약(1)을 장전한 후 연결밴드(115)로 폭약(1)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폭약 장전단계(S10)와; 상기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커버 조립단계(S20)와;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가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발파공(2)에 삽입 설치하는 커버 설치단계(S30)와; 상기 발파공(2)에 전색물(7)을 충진하는 전색물 충진단계(S40)와; 상기 뇌관각선(5)을 발파모선과 일체로 연결한 후 폭약(1)을 발파하는 뇌관각선 연결 및 발파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각각의 단계별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폭약 장전단계( S10 )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에 각각 폭약(1)을 장전한다.
즉 상기 폭약(1)을 도 5와 같이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 형성된 폭약 장전부(112)에 밀어 넣으면서 장전한 후 연결밴드(115)로 상기 폭약(1)을 감싸면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일측에 폭압 유도로(111)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상기 폭압 유도로(111)를 기점으로 도 5와 같이 양단부가 도면상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텐션을 확보함에 따라 폭약(1)의 크기나 형태 및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폭약(1)을 더욱 원활하게 장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폭약(1)과 같은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1개의 폭압 차단커버(110)에는 1개의 폭약(1)을 장전할 수 있으며, 상기 폭약(1)의 사용량에 맞추어 해당 개수만큼 폭압 차단커버(110)를 사용하면 된다.
2) 커버 조립단계( S20 )
상기 폭약(1)이 1:1의 비율로 장전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41)를 도 7과 같이 다른 폭압 차단커버(110)에 형성된 결합홈(142)에 끼우는 방법으로 상기 폭약(1)이 장전된 폭압 차단커버(110)를 연속적으로 일체화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폭약(1)의 경우에도 길이방향으로 일체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폭약(1)에 뇌관을 연결하여 발파를 하더라도 폭약(1)이 전체적으로 함께 폭파될 수 있다.
3) 커버 설치단계( S30 )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연결조립이 완료되면 어느 하나의 폭약(1)과 연결된 뇌관각선(5)을 발파공(2)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발파공(2)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특히, 도 1과 같이 터널(3)의 발파작업시 폭압이 발파 예정선(4)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발파 예정선(4)의 내측으로만 제한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가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발파공(2)에 삽입 설치하여야만 한다.
즉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도 6과 같이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만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를 사이에 두고 발파 예정선(4)과 폭약(1)은 상호 격리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발파작업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폭압이 발파 예정선(4)을 초과하지 않도록 막아주어 정확하게 발파 예정선(4)을 따라 더욱 매끈하면서도 미려한 발파면을 형성하고, 여굴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진동과 소음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폭압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에 형성된 폭압 유도로(111)를 통해 소망하는 발파영역으로 원활하게 집중 유도됨에 따라 미굴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완충돌기(113)는 발파시 발파공(2)의 공벽에 부딪칠 때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폭압이 발파 예정선(4)으로 전달됨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뇌관각선(5)의 선단에 연결되는 통상의 뇌관은,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 가운데 중앙에 위치하는 폭압 차단커버(110)에 장전된 폭약(1)과 일체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뇌관각선(5)을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면과 폭약(1)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6)를 따라가면서 외부로 길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폭압 차단커버(110)의 설치작업시 상기 뇌관각선(5)을 발파공(2)의 외부로 편리하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4) 전색물 충진단계( S40 )
상기 폭약(1)이 장전된 폭압 차단커버(11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폭약(1)이 밀폐효과에 의해 충분한 위력을 발휘하는 동시에 소음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파공(2)에 모래나 점토 등의 전색물(7)을 충진한다.
5) 뇌관각선 결속 및 발파단계( S50 )
상기 전색물(7)의 충진이 완료되면, 발파공(2)에서 외부로 노출된 뇌관각선(5)을 발파모선과 전기적으로 일체화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발파모선과 연결된 발파조작기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뇌관에 전기를 공급하여 폭약(1)을 발파한다.
한편,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발파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100)의 기술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폭압유도 제어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일측에 형성된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 연속하여 곡면상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과; 상기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길이방향으로 일체화 연결조립 가능하게 하는 커버 조립수단(1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폭압 차단커버(110)는 폭약(1)을 1:1의 비율로 장전할 수 있도록 통상의 폭약(1)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폭약(1)을 일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단면형상으로 제작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되며, 상기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는 폭약(1)을 장전할 수 있는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113)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발파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가 발파공(2)의 공벽에 부딪칠 때 완충 작용을 함에 따라 폭압이 발파 예정선(4) 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킨다.
또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내측에 연속하여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이 곡면상으로 일체화 형성됨으로써 폭압이 발파 예정선(4) 방향으로 전달됨을 이중, 삼중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폭압 유도로(111) 방향으로 더욱 집중하여 전달되도록 폭압의 전달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의 외주면에는 도 6과 같이 다수의 완충돌기(123)(133)가 등간격으로 형성됨으로 발파시 완충작용을 하고, 상기 완충돌기(123)(133)의 사이사이에는 에어층(125)(135)이 조성됨에 따라 발파작업시 에어백의 역할을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폭압이 원하지 않는 방향, 즉 발파 예정선(4) 쪽으로 전달됨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길이방향으로 일체화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조립수단(140)은 상기 이중벽(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도 7과 같이 결합돌기(141)가 외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중벽(120)의 타측에는 결합홈(14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결합돌기(141)를 다른 폭압 차단커버(110)의 결합홈(142)에 끼우는 방법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폭압 차단커버(110)를 폭약(1)의 사용량에 따라 다 수개를 선택적으로 연결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돌기(141)의 내측면 선단에는 경사면(143)을 갖는 락(144)이 추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락(144)은 결합홈(142)과 연결된 상태로 삼중벽(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락킹홀(145)에 끼움 결합되면서 락킹을 설정하여 더욱 일체화된 견고한 연결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폭약(1)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연결밴드(115)의 일측이 일체화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밴드(115)의 타측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이 접착제의 도포면에 이형지(116)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폭약(1)을 폭압 차단커버(110)에 1:1의 비율로 장전한 후 상기 연결밴드(115)를 이용하여 폭약(1)을 감싼 상태로 이형지(116)를 떼어내어 폭약 차단커버(110)의 외주면에 부착하면 상기 폭약(1)이 폭압 차단커버(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된 견고한 장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에 각각 폭약(1)을 장전한 이후에는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하되, 반드시 폭약(1)의 장전작업을 먼저 실시하고 폭압 차단커버(110)의 조립작업을 후순으로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작업의 순서를 달리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므로 이들 순서를 달리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발파공(2)에 삽입 설치함에 있어 폭압 차단커버(110)가 도 6과 같이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삽입 설치하여야만 한다.
즉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가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만 폭약(1)의 발파시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는 폭압이 발파 예정선(4)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매우 매끈한 발파면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공사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하고,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폭압은 부분적으로 개방 형성된 폭압 유도로(11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실제 발파하고자 하는 발파영역인 발파 예정선(4)의 내측방향으로 대부분의 폭압이 전달되어 발파영역에는 미굴이 발생하지 않고 완벽한 발파가 이루어지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폭압유도 제어장치(100a)는 도 8과 같은 다른 실시 예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폭압 차단커버(110)의 구성은 동일하되 다만, 폭약(1)이 1:1의 비율로 장전되지 않고 한꺼번에 다 수개의 폭약(1)이 장전될 수 있는 긴 길이로 제작됨으로써 전자의 커버 조립수단(140)이 생략됨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전자와 같은 삼중벽(130)은 생략되며,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는 곡면상으로 이중벽(120)만 단독으로 일체화 형성되고 상기 이중벽(1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123)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완충돌기(123)의 사이사이에는 에어층(125)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폭압유도 제어장치(100b)는 도 9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의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전자의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은 물론 커버 조립수단(140)이 생략된 매우 간소화된 구조이다.
이는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구성은 전자와 동일하되 다만, 폭약(1)이 1:1의 비율로 장전되지 않고 한꺼번에 다 수개의 폭약(1)이 장전될 수 있는 긴 길이로 제작됨을 기술적인 구성으로 한다.
1: 폭약 2: 발파공
4: 발파 예정선 5: 뇌관각선
6: 틈새 100, 100a, 100b: 폭압유도 제어장치
110: 폭압 차단커버 111: 폭압 유도로
112: 폭약 장전부 113, 123, 133: 완충돌기
115: 연결밴드 120: 이중벽
125, 135: 에어층 130: 삼중벽
140: 커버 조립수단 141: 결합돌기
142: 결합홈 143: 경사면
144: 락 145: 락킹홀

Claims (10)

  1.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 원형 단면형상의 폭압 차단커버(110)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 연속하여 곡면상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과; 상기 이중벽(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결합돌기(14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중벽(120)의 타측에는 결합홈(14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커버 조립수단(140)으로 이루어진 폭압유도 제어장치(10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에 각각 폭약(1)을 장전한 후 연결밴드(115)로 폭약(1)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폭약 장전단계(S10)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41)를 다른 폭압 차단커버(110)의 결합홈(142)에 끼우면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하는 커버 조립단계(S20)와;
    상기 어느 하나의 폭약(1)과 연결된 뇌관각선(5)을 발파공(2)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가 발파 예정선(4)을 향하도록 발파공(2)에 삽입 설치하는 커버 설치단계(S30)와;
    상기 발파공(2)에 전색물(7)을 충진하는 전색물 충진단계(S40)와;
    상기 뇌관각선(5)을 발파모선과 일체로 연결한 후 폭약(1)을 발파하는 뇌관각선 연결 및 발파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뇌관각선(5)의 선단에 연결된 뇌관은, 연결조립된 다수의 폭압 차단커버(110) 가운데 중앙에 위치하는 폭압 차단커버(110)의 폭약(1)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뇌관각선(5)은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면과 폭약(1)의 사이 틈새(6)를 따라가면서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3.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 원형 단면형상의 폭압 차단커버(110)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 연속하여 곡면상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과;
    상기 이중벽(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으로 연장하여 결합돌기(14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이중벽(120)의 타측에는 결합홈(14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커버 조립수단(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4.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 원형 단면형상의 폭압 차단커버(110)와;
    상기 폭압 차단커버(110)의 내측에 곡면상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이중벽(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5.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폭압 유도로(111)가 형성되고, 상기 폭압 유도로(111)의 내측에 폭약 장전부(112)가 형성된 원형 단면형상의 폭압 차단커버(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압 차단커버(1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113)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이중벽(120) 및 삼중벽(1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123)(133)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완충돌기(123)(133)의 사이사이에는 에어층(125)(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이중벽(1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완충돌기(123)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완충돌기(123)의 사이사이에는 에어층(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결합돌기(141)의 내측면 선단에는 경사면(143)을 갖는 락(14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락(144)은 결합홈(142)과 연결된 상태로 삼중벽(130)을 관통하여 형성된 락킹홀(145)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10.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압 차단커버(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폭약(1)을 감싸 고정하는 다수의 연결밴드(115) 일측이 일체화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밴드(115)의 타측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의 도포면에 이형지(116)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KR1020110014967A 2011-02-21 2011-02-21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KR10105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67A KR101054707B1 (ko) 2011-02-21 2011-02-21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JP2011284717A JP5079915B2 (ja) 2011-02-21 2011-12-27 爆圧誘導制御装置を利用した発破工法及びこの工法に適用される爆圧誘導装置
US14/000,503 US20130319277A1 (en) 2011-02-21 2012-02-17 Blasting Method Using a Control Device for Inducing a Blast Pressure, and Control Device for Inducing the Blast Pressure to Apply the Method
PCT/KR2012/001218 WO2012115397A2 (ko) 2011-02-21 2012-02-17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JP2012144952A JP5335120B2 (ja) 2011-02-21 2012-06-28 爆圧誘導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67A KR101054707B1 (ko) 2011-02-21 2011-02-21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707B1 true KR101054707B1 (ko) 2011-08-05

Family

ID=4493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967A KR101054707B1 (ko) 2011-02-21 2011-02-21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19277A1 (ko)
JP (2) JP5079915B2 (ko)
KR (1) KR101054707B1 (ko)
WO (1) WO2012115397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25B1 (ko) 2011-07-26 2012-06-18 조금원 폭압유도 및 제어를 위한 조립식 장약홀더
KR101174762B1 (ko) 2012-06-05 2012-08-17 조금원 폭압 전달 방향 제어를 위한 고효율 조립식 장약홀더
KR101307374B1 (ko) * 2013-04-26 2013-10-16 대한민국 폭발물용 방폭 튜브
KR101358398B1 (ko) 2012-12-24 201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폭약튜브용 측벽가이더 및 조절발파를 위한 이의 시공방법
CN110207557A (zh) * 2019-06-20 2019-09-06 保利民爆哈密有限公司 一种矿岩控制爆破飞石的防护网罩
CN110360905A (zh) * 2019-07-23 2019-10-22 贵州久远爆破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露天深孔爆破降尘装置
KR102119864B1 (ko) * 2019-10-08 2020-06-09 최찬규 방진 주름캡을 이용한 폭약 발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교란 발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924B (zh) * 2018-05-03 2019-09-13 安徽理工大学 一种高应力围岩巷道的卸压方法
CN110953944B (zh) * 2019-11-21 2022-04-12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一种特长隧道平导直眼掏槽逐孔起爆快速掘进的方法
CN112302661B (zh) * 2020-09-17 2022-09-27 浙江钱塘江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长距离小断面隧道施工工艺
WO2023002421A1 (en) * 2021-07-21 2023-01-26 Koekemoer Louis Christiaan Blast hole device
CN114322686A (zh) * 2021-12-31 2022-04-12 北京住总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暗挖隧道安全爆破的起爆网路架构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500A (ja) 1997-04-10 1998-10-27 Taisei Corp 多段発破装置
KR200293963Y1 (ko) * 2002-07-31 2002-11-04 최찬규 폭약 발파장치
US20040090447A1 (en) * 2002-11-13 2004-05-13 Etron Technology, Inc. Wide-range and balanced display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LCD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6182U (ko) * 1973-06-12 1975-02-20
JPS5212798Y2 (ko) * 1973-11-13 1977-03-22
US4090447A (en) * 1975-02-26 1978-05-23 Johnsen Oscar A Directional blasting tubes and method of use
US4297946A (en) * 1978-12-05 1981-11-03 Paton Boris E Extended shaped charg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760200A (en) * 1980-09-30 1982-04-10 Tokyo Giken Kogyo Kk Direction controlling explosion
JPS5849900A (ja) * 1981-09-18 1983-03-24 日本国有鉄道 トンネルの発破工法および発破筒
US4418622A (en) * 1982-07-02 1983-1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unroe effect breaching device
JPS608700A (ja) * 1983-06-27 1985-01-17 重光 啓助 同孔内小割発破方法
DE3469801D1 (en) * 1983-11-17 1988-04-14 Manfred Meul Blasting device for precision blasting
US4649824A (en) * 1985-06-27 1987-03-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for aerospace vehicle separation events using a linear shaped charge
DE3883998T2 (de) * 1987-01-14 1994-05-05 Cube Overseas Trading Ltd Verfahren und Gerät zum Dämpfen von Sprengladungsdetonationen.
US5225622A (en) * 1990-06-19 1993-07-06 Guy L. Gettle Acoustic/shock wave attenuating assembly
JP2537281Y2 (ja) * 1991-06-05 1997-05-28 日本油脂株式会社 スムースブラスティング用爆薬薬筒及び連結ジョイント
AU2002952984A0 (en) * 2002-11-28 2002-12-12 Scott Allman Forced entry system
KR100534148B1 (ko) * 2003-06-05 2005-12-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스플릿튜브와 공기층을 이용한 균열제어 발파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500A (ja) 1997-04-10 1998-10-27 Taisei Corp 多段発破装置
KR200293963Y1 (ko) * 2002-07-31 2002-11-04 최찬규 폭약 발파장치
US20040090447A1 (en) * 2002-11-13 2004-05-13 Etron Technology, Inc. Wide-range and balanced display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LCD controll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25B1 (ko) 2011-07-26 2012-06-18 조금원 폭압유도 및 제어를 위한 조립식 장약홀더
KR101174762B1 (ko) 2012-06-05 2012-08-17 조금원 폭압 전달 방향 제어를 위한 고효율 조립식 장약홀더
KR101358398B1 (ko) 2012-12-24 201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폭약튜브용 측벽가이더 및 조절발파를 위한 이의 시공방법
KR101307374B1 (ko) * 2013-04-26 2013-10-16 대한민국 폭발물용 방폭 튜브
CN110207557A (zh) * 2019-06-20 2019-09-06 保利民爆哈密有限公司 一种矿岩控制爆破飞石的防护网罩
CN110207557B (zh) * 2019-06-20 2024-02-27 保利民爆哈密有限公司 一种矿岩控制爆破飞石的防护网罩
CN110360905A (zh) * 2019-07-23 2019-10-22 贵州久远爆破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露天深孔爆破降尘装置
KR102119864B1 (ko) * 2019-10-08 2020-06-09 최찬규 방진 주름캡을 이용한 폭약 발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교란 발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5120B2 (ja) 2013-11-06
US20130319277A1 (en) 2013-12-05
JP2012172967A (ja) 2012-09-10
WO2012115397A3 (ko) 2012-12-20
WO2012115397A2 (ko) 2012-08-30
JP5079915B2 (ja) 2012-11-21
JP2012211760A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707B1 (ko) 폭압유도 제어장치를 이용한 발파공법 및 이 공법에 적용되는 폭압유도 제어장치
US20190063062A1 (en) Prestressed Tube S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8150752A (ja) トンネル躯体の構築方法
JP6770783B2 (ja) 中間定着具及び中間定着具の装着方法
JP6147083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6603126B2 (ja) シールド掘進機
WO2020217481A1 (ja) トンネル支保工の構築方法
JP4956251B2 (ja) シールド工法用セグメント
KR101174762B1 (ko) 폭압 전달 방향 제어를 위한 고효율 조립식 장약홀더
KR101217703B1 (ko) 케이블 포설용 관통구와 이를 사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JP5327011B2 (ja) ソイルセメント中詰めセグメント
JP5101050B2 (ja) セグメントユニット
JP6229400B2 (ja) トンネル接続構造およびトンネル接続方法
KR101153825B1 (ko) 폭압유도 및 제어를 위한 조립식 장약홀더
KR100784491B1 (ko) 락볼트용 암반 고정구
KR101677050B1 (ko) 조립식 케이블 보호블록
JP2014231694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S6319439Y2 (ko)
GB2132249A (en) Tunnel linings
KR200283410Y1 (ko) 공기 배출호스 고정용 록볼트
JP2008240292A (ja) シールド工法用セグメント
AU2024900698A0 (en) Underground Mine Development Verification
JP2003056293A (ja) トンネル耐火パネル取付構造
JP2021075931A (ja) 地下躯体の補強構造
JP2021161794A (ja) アンカーテンド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