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73B1 -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 Google Patents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73B1
KR101053673B1 KR1020090085036A KR20090085036A KR101053673B1 KR 101053673 B1 KR101053673 B1 KR 101053673B1 KR 1020090085036 A KR1020090085036 A KR 1020090085036A KR 20090085036 A KR20090085036 A KR 20090085036A KR 101053673 B1 KR101053673 B1 KR 10105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lade
shaft
cylinder
pe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095A (ko
Inventor
김경무
Original Assignee
김경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무 filed Critical 김경무
Priority to KR102009008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세팅하면 T초 후 가장 바람직한 박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원점을 찾아 대기하고 있도록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50)와 구동장치(10)를 하측에 설치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공펌프(11)에 연결된 호스(19)가 관통하는 주축(43)의 전방에 과일(80)을 고정하는 과일 흡착구(44)를 설치한 과일 흡착장치(40)와, 상기 과일 흡착장치(40)의 상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날회전축(24)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20)와, 상기 회전 제어장치(20)의 하측으로 연결된 실린더 설치대(31)에 각도조절 실린더(32)의 실린더축(32a)으로 제어되며 하측으로 날 연결구(35)와 연결한 날 몸체(34)에 날(34a)을 설치하여 과일(80)을 박피하는 과일 박피장치(30)로 이루어진 과일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0)는, 진공펌프(11)에서 추축(43)을 관통하는 호스(19)에 진공쏠(12)과 찌꺼기 휠터(13) 및 압력 스위치(1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제어장치(20)는, 스텝핑 모터(21)로 연결횐 날 회전축(24)의 상측으로 원점에서 날(34a)이 멈추는 감지센서(29)와 대봉시에서 날(34a)이 멈추는 감지센서(28)를 설치하고,
상기 과일 박피장치(30)는, 각도 안내축(31b)의 하측으로 날 연결구(35)와 연결된 높이 조절축(33a)이 날조절 실린더(33)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과일, 박피기, 꼭지, 감, 원점, 대봉시

Description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Fruit thin skin machine of adjustable auto-origin style}
본 발명은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세팅하면 T초 후 가장 바람직한 박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원점을 찾아 대기하고 있도록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박피기는 감이나 사과, 배 등과 같은 껍질이 얇아 껍질을 제거한 후 먹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껍질을 깎아주는 장치로서, 상기판 과일 박피기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2372호, 제0357128호, 제0368275호, 발명특허 제0855050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공지의 과일 박피기는 구동장치와 회전장치, 과일 박피장치, 과일 흡착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진공펌프(11)에서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하여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하게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회전장치 를 적절하게 구동하고 과일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스탭핑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날 회전축을 회전시켜 과일을 박피하는 날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과일 박피장치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날을 연결한 고정대를 실린더에 의해 각도를 조절하여 과일의 형태를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이동하면서 과일의 껍질을 박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과일 흡착장치는 흡착구에 과일을 대면 공기를 흡입하여 과일을 흡착 고정시키도록 하고, 주축모터의 구동으로 흡착구를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흡착구에 고정되는 과일이 감이나 사과, 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열대과일 등의 껍질을 박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에 적용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과일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므로 과일의 형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전용기로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날이 360도 회전되므로 과일을 흡착구에 고정할 때 박피기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날로 인하여 상해를 입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과일을 박피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날의 위치인데, 날의 위치와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자유롭지 못하여 정확한 위치에 세팅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이러한 세팅을 수동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어서 날의 위치조절이 매 우 불편하여 불량율을 향상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과일을 흡착구에 공급하지 전에 꼭지가 있는 과일의 경우에는 꼭지를 제거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설치되어 있고, 원형의 칼날을 사용하여 수평상태의 회전 구동으로 꼭지를 제거하게 되므로 칼날이 돌출되어 잘못 제어하는 경우 신체에 손상을 입게 되거나, 내부로 절단된 꼭지가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관통시키게 되므로 배출구가 자주 막혀 사용이 어렵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과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세팅(박피기를 구동)하면 T초 후 가장 바람직한 박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원점을 찾아 대기하고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날의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날의 위치(높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서 사전에 구동순서와 정확한 가공방법 등을 세팅하여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와 구동장치를 하측에 설치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공펌프에 연결된 호스가 관통하는 주축의 전방에 과일을 고정하는 과일 흡착구를 설치한 과일 흡착장치와, 상기 과일 흡착장치의 상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날회전축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와, 상기 회전 제어장치의 하측으로 연결된 실린더 설치대에 각도조절 실린더의 실린더축으로 제어되며 하측으로 날 연결구와 연결한 날 몸체에 날을 설치하여 과일을 박피하는 과일 박피장치로 이루어진 과일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진공펌프에서 추축을 관통하는 호스에 진공쏠과 찌꺼기 휠터 및 압력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제어장치는, 스텝핑 모터로 연결횐 날 회전축의 상측으로 원점에서 날이 멈추는 감지센서와 대봉시에서 날이 멈추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과일 박피장치는, 각도 안내축의 하측으로 날 연결구와 연결된 높이 조절축이 날조절 실린더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서 세팅(박피기를 구동)하면 T초 후 가장 바람직한 박피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원점을 찾아 대기하고 있도록 하여 과일의 크기와 형태를 사전에 결정한 대로 박피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세팅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과일의 크기와 형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날의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날의 위치(높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서 사전에 구동순서와 정확한 가공방법 등을 세팅하여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1에 대한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퀴(10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01)의 상측 전면에 다양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과일 박피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52)와, 상기 제어부(52)에 의해 선택된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부(51)를 갖는 제어장치(50)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101)의 제어장치(50) 상측에는 에어콤프레셔가 연결되어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콤프레셔 연결자(16)가 설치되며, 에어건(17)을 연결하여 외부를 청소하거나 에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01)의 내부 하측에는 에어를 진공상태에서 공급 및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1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장치(10)의 상측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주축(43)과 과일을 흡착 고정하는 과일 흡착구(44)로 이루어진 과일 흡착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과일 흡착장치(40)의 상측에는 날(34a)이 설치되어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과일을 박피하는 과일 박피장치(30)와, 상기 과일 박피장치(30)의 상측으로 날(34a)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20)를 설치한다.
상기 본체(101)의 과일 흡착장치(40) 하측에는 과일(80)의 꼭지를 제거하는 꼭지 제거장치(60)와, 박피한 과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일 배출장치(7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50)의 상측에는 에어 조절기(18)가 설치되어 있어서 과일 박 피기(100)에 사용하는 다양한 에어의 공급속도를 조절하여 구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과일 흡착장치(40)에 설치한 과일 흡착구(44)에는 호스(19)가 연결되어 진공펌프(11)에 의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호스(19)의 한 부분에는 진공쏠(12)과 소형 호스(19a)가 연결되어 있어서 과일(80)의 껍질을 박피하여 배출시키거나 과일 흡착구(44)를 청소할 때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절단몸체에 대한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꼭지 제거장치(60)는 본체(101)의 한 부분에서 돌출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61)의 외측으로 보호대(66)를 설치하며, 상기 보호대(66)의 내부에는 중앙으로 받침부(65)을 설치하고, 받침부(65)의 외측에는 양쪽으로 절단홈(68)을 형성하고 양쪽의 절단홈(68)에서 한 방향으로 절단날(69)을 고정하는 절단몸체(67)를 설치한다.
상기 절단몸체(67)의 외측은 받침부(65)이 형성된 중심부는 높고 외측으로 갈수록 위치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호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61)의 하측에는 절단몸체(67)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자(63)가 연결되어 있고, 고정자(63)의 하측에는 주축모터(62)가 설치되어 하측에서 모터 설치대(62a)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몸체(67)를 관통하는 받침부(65)의 하측에는 받침 스프링(65a)을 지지하여 받침부(65)이 하측으로 진입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65)에는 안내축(64)이 연결되어 모터(62)를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절단몸체(67)의 절단홈(68)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하며, 절단홈(68)의 한쪽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다른 방향은 경사지게 절개되어 경사지게 절개된 부분에 절단날(69)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61)은 본체(101)에서 30∼60°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과일의 꼭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과일 흡착장치와 회전 제어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과일 흡착장치(40)는 도 3에서도 설명하였지만, BL 모터(41)와 벨트(42)로 추축(43)을 연결하여 고속(3,000rpm)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추축(43)의 내경에는 호스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추축(43)의 끝부분에는 콘형태로 과일 흡착구(44)를 형성하여 과일을 대면 에어를 흡착하여 과일이 과일 흡착구(4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 제어장치(20)는 스텝핑 모터(21)와 벨트(23)로 풀리(22)를 회전 가능하 게 연결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T"초 후 날(34a)이 과일(80)을 박피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원점에 세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와 과일 박피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와 과일 박피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 제어장치(20)는 중앙에서 직립되게 설치되는 날 회전축(25)의 외측으로 봉 설치대(26)를 설치하여 봉 설치대(26)의 외경 한 부분에 감지봉(26a)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봉 설치대(26)와 날 회전축(25)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센서 설치대(27)에는 센서 고정대(27a)에 감지센서(28, 29)를 각각 설치하여 날 회전축(25)이 과일의 크기에 따라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후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날 회전축(25)의 하측에는 풀리(22)가 설치되어 벨트(23)를 연결하며, 하측으로 돌출된 날 회전축(25)에는 축 관통홀(25)를 형성하여 실린더축(32a)이 관통되도록 하고 실린더 설치대(31)에 연결되어 회전 되도록 한다.
과일 박피장치(30)는 실린더 설치대(31)의 상측에 각도조절 실린더(32)가 설치되어 전방으로 실린더축(32a)이 돌출되며, 상기 실린더축(32a)에는 장공(32b)이 형성되어 각도 안내축(33b)이 관통되어 날(34a)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각도 안내축(33b)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날조절 실린더(33)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 설치대(31)의 하측에서 회전핀(31a)으로 날조절 실린더(33)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날조절 실린더(33)에는 외부에서 에어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측으로 높이 조절축(33a)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축(33a)에는 날 연결구(35)가 연결되어 있고, 하측으로 각도조절 스크류(35a)로 날 몸체(34)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날 몸체(34)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 스크류(35a)로 경사각도를 조절하며, 내부에는 날(34a)이 고정되어 과일의 외피를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날조절 실린더(33)의 하측에는 탄성 스프링(38)이 연결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8)의 다른 방향은 실린더 설치대(31)에서 돌출된 스프링 연결축(36)의 하측에 고정볼트(36a)로 위치가 설정되는 스프링 조절축(37)의 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과일 배출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과일 배출장치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과일 배출장치(70)는 본체(101)에 설치한 'ㄷ'형의 레일몸체(75) 안쪽에서 상측과 하측에 레일(75a)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75a)에 이동 가능하게 이동 로울러(76)를 설치하며, 이동 로울러(76)에는 이송대(73)가 연결된다.
상기 이송대(73)에는 이송 연결축(72)이 연결되어 호퍼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과일 안내대(71)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대(73)에는 실린더축(74a)이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축(74a)은 실린더(74)에 연결되어 과일 안내대(71)의 위치를 가변시켜 박피된 과일(80)이 공급되면 배출한 후 원상태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10)는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한 진공펌프(11)를 통하여 에어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에어콤프레셔 연결자(16)와 진공펌프(11)의 사이에 휠터(15)가 설치되어 에어를 휠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진공펌프(11)에서 다양한 위치에 에어를 공급하는 과정에 진공쏠(12)과 찌꺼기 휠터(13) 및 압력 스위치(14)를 통하여 호스(19)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 스위치(14)는 과일(80)을 자동으로 박피하기 위하여 과일 흡착구(44)에 과일(80)이 공급되어 소정의 압력이 설정되면 BL 모터(41)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입력부(52)와 컨트롤부(5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52)에는 전원 램프(53), 시작 버튼(54), 자동/수동 버튼(55), 진공펌프 버튼(56), 원점/대봉시 버튼(57), 둥시/뾰쪽 버튼(58), 꼭지 모터 버튼(5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부(51)에는 과일(80)의 배출과 청소용 진공쏠(12)과 날조절 실린더(33)를 구동하는 칼대(33a), 스탭핑 모터(21)를 구동시키는 회전(21a), 실린더(32)를 하강시키는 하강(32a), 추축모터(62)와 BL 모터(41)를 구동하는 BL 제어부(91)와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면 입력부(52)와 제어장치(50)의 콘트롤부(51)에 전원이 인가되고, 외부의 콤프레셔를 콤프레셔 연결자(16)에 연결하여 압축시킨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램프(53)에 전원이 공급되었음을 알리며, 시작버튼(54)을 눌러 과일 박피기(10)가 전체적으로 세팅이 된 후 자동/수동 버튼(55)을 눌러 과일(80)의 박피를 자동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스탭핑 모터(21)가 구동되어 벨트(23)를 통해 풀리(22)를 구동시켜 날 회전축(24)을 회전시켜 날(34a)이 자동으로 원점을 찾아 정지하게 된다.
스탭핑 모터(21)가 구동되어 날(34a)이 원점을 찾아 정지한 위치는 감지봉(26a)이 회전하여 감지센서(29)에 감지된 위치로, 과일 흡착구(44)의 안쪽에서 주축(43)의 상측 중앙이 되므로 날 회전축(24)이 실린더 설치대(31)를 회전시켜 날조절 실린더(33)의 하측에 연결된 날(34a)이 원점에 정지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실린더(32)가 구동한다.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32)는 실린더축(32a)을 구동하여 장공(32b)에 연결된 각도 안내축(33b)을 구동시킴에 따라서 각도 안내축(31b)과 회전핀(31a)을 기준으로 연결된 날조절 실린더(33)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면서 날(34a)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날조절 실린더(33)는 날(34a)을 연결하는 높이 조절축(33a)의 돌출을 제어함으로써 날(34a)의 경사각도와 높이(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탄성스프링(38)이 연결된 스프링 조절축(37)은 스프링 연결축(36)에서 고정볼트(36a)를 통하여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탄성스프링(38)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공펌프 버튼(56)을 작동하여 진공펌프(11)가 구동되도록 하고, 과일(80)이 감일 경우, 일반적인 크기의 감으로 이루어진 과일(80)인 경우에는 원점/대봉시 버튼(57)을 구동하여 원점으로 선택하고, 둥시/뾰쪽 버튼(58)을 구동하여 둥시를 선택한다.
BL 제어부(91)에서 주축모터(62)를 구동하면 꼭지 제거장치(60)에서 구동하게 되므로 주축모터(62)와 연결된 고정자(63)와 절단몸체(67)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크기의 감인 과일(80)의 꼭지 부분이 돌출된 받침부(65)에 결합하여 누르면 받침부(65)가 안으로 눌리면서 꼭지의 주변이 회전하는 절단몸체(67)의 절단홈(68)에서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날(69)에 의하여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몸체(67)는 받침부(65)가 돌출된 중앙부분이 높고 선단으로 갈수록 낮은 경사 또는 호상 경사형이므로 과일(80)의 꼭지 주변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65)는 받침 스프링(65a)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과일(80)의 꼭지 주변이 곧바로 절단날(69)에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서히 부드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과일(80)의 꼭지 주변을 제거한 후 받침부(65)는 받침 스프링(65a)의 탄성력으로 원상태가 되도록 돌출하는 것이다.
상기 꼭지 제거장치(60)의 절단몸체(67) 외측에는 보호대(66)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판(61)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과일(80)의 꼭지 주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과일(80)의 꼭지 주변이 제거된 것은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홈(68)의 절단날(69)에 의해 하측으로 배출하면서 고정자(63)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이므로 하측으로 자연낙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과일(80)의 꼭지 주변을 제거한 후에는 제어된 부분을 과일 흡착장치(40)의 과일 흡착구(44)에 접촉하는 경우 진공펌프(11)를 통하여 호스(19)에서 진공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과일(80)을 과일 흡착구(44)에 흡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과일(80)이 과일 흡착구(44)에 고정되면 호스(19) 내부에서 서서히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압력 스위치(14)에 세팅(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BL 제어 부(91)를 통하여 BL 모터(41)를 구동하게 되므로 벨트(42)를 통하여 주축(43)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주축(43)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과일 흡착구(44)에 연결한 과일(8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날(34a)이 설정된 궤적을 이동하면서 과일(80)의 껍질을 박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날(34a)은 스탭핑 모터(21)를 통하여 실린더 설치대(31)를 회전이동시키고 각도조절 실린더(32)를 구동시켜 날(34a)의 위치와 경사각도를 제어하게 되고, 날조절 실린더(33)는 높이 조절축(33a)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날(34a)의 위치(높이)를 조절하면서 날(34a)이 과일(80)의 외피 형상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박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과일(80)의 박피를 종료하게 되면 진공펌프(11)를 통하여 호스(19)에서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해제하게 되므로 과일 흡착구(44)에서 진공이 해제되면서 과일(80)을 잡아주는 힘이 제거되어 과일(80)은 자유낙하되어 과일 배출장치(7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진공썰(12)에서는 소형호스(19a)를 통하여 에어를 순간적으로 공급하여 과일 흡착구(44)에서 "칙"소리가 발생하면서 에어가 배출되도록 하므로 배출되는 에어를 통하여 과일(80)의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과일 흡착구(44)의 내부를 청소하여 이물질이 묻어있는 경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과일(80)이 박피되어 공급되는 경우 작업수량 카운터(90)에서는 작업 된 수량이 카운터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박피된 과일(80)이 과일 배출장치(70)에 배출되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 안내대(71)의 상측으로 공급되고, 동시에 실린더(74)가 구동되어 실린더축(74a)이 돌출되면서 이송대(7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동대(73)에 연결된 이동 로울러(76)가 레일 몸체(75)의 레일(75a)을 통하여 이송대(73)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 후 선단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과일 안내대(71)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과일(80)을 우측으로 배출하게 되며, 우측에는 과일(80)을 받는 상자를 설치하여 과일(80)을 한곳에 모아 처리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10)의 진공펌프(11)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진공쏠(12)을 통과한 에어가 찌꺼기 휠터(13)를 통과하면서 휠터링 되고, 휠터(15)에 의해서도 휠터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원점/대봉시 버튼(57) 중 원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원점에 날(34a)이 이동한 후 정지하여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지만, 원점/대봉시 버튼(57) 중 대봉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과일(80)의 크기가 더 큰 경우이므로 날 회전축(24)이 회전하면서 봉 설치대(26)에 설치한 감지봉(26a)이 회전하다가 감지센서(28)에서 감지되어 스탭핑 모터(21)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원점의 위치만큼 180°정도 이동하지 않고 더 조금 회전하여 160°정도 회전한 후 정지하여 큰 과일(80)로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둥시/뾰쪽 버튼(58) 중 둥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크기의 과일(80)을 박피하게 되지만, 감의 경우 뾰쪽하게 형성된 것을 박피하게 되는 경우 둥시/뾰쪽 버튼(58)을 구동하여 뾰쪽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날(34a)의 박피 반경이 둥시에 비하여 최초의 시작점은 같지만, 끝나는 부분에서 둥시보다 더 조금만 회전되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뾰쪽한 부분의 끝을 박피하지 않고 그대로 두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과일(80)의 정확한 형태를 따라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과일(80)을 수동으로 박피하는 경우에는 본체(101)의 한 부분에 설치한 수동 스위치(52a)를 구동하여 수동으로 과일(80)을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일의 꼭지를 제거한 후 과일 흡착구에 공급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과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서 원점 또는 대봉시의 위치에서 과일을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날의 위치와 각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과일을 최대한 얇게 그리고 빠르게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도1에 대한 우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5a 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절단몸체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꼭지 제거장치에 대한 주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과일 흡착장치와 회전 제어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와 과일 박피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와 과일 박피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회전 제어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과일 배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과일 배출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장치 11 : 진공펌프
12 : 진공쏠 13 : 찌꺼기 휠터
14 : 압력 스위치 15 : 휠터
19 : 호스 19a : 소형 호스
20 : 회전 제어장치 21 : 스탭핑 모터
23, 42 : 벨트 24 : 날회전축
25 : 축 관통홀 26 : 봉 설치대
26a : 감지봉 27 : 센서 설치대
28, 29 : 감지센서 30 : 과일 박피장치
31 : 실린더 설치대 31a : 회전핀
32 : 각도조절 실린더 32a, 74a : 실린더축
32b : 장공 33 : 날조절 실린더
33a : 높이 조절축 33b : 각도 안내축
34 : 날 몸체 34a : 날
35 : 날 연결구 36 : 스프링 연결축
36a : 고정볼트 37 : 스프링 조절축
38 : 탄성 스프링 40 : 과일 흡착장치
41 : BL 모터 43 : 주축
44 : 과일 흡착구 50 : 제어장치
51 : 컨트롤부 52 : 입력부
53 : 전원램프 54 : 시작 버튼
55 : 자동/수동 버튼 56 : 진공펌프 버튼
57 : 원점/대봉시 버튼 58 : 둥시/뾰쪽 버튼
60 : 꼭지 제거장치 61 : 경사판
62 : 주축모터 63 : 고정자
64 : 안내축 65 : 받침부
65a : 받침 스프링 66 : 보호대
67 : 절단몸체 68 : 절단홈
69 : 절단날 70 : 과일 배출장치
71 : 과일 안내대 72 : 이송 연결축
73 : 이송대 74 : 실린더
75 : 레일몸체 75a : 레일
76 : 이동 로울러 80 : 과일
90 : 작업수량 카운터 91 : BL 제어부

Claims (9)

  1. 제어장치(50)와 구동장치(10)를 하측에 설치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공펌프(11)에 연결된 호스(19)가 관통하는 주축(43)의 전방에 과일(80)을 고정하는 과일 흡착구(44)를 설치한 과일 흡착장치(40)와, 상기 과일 흡착장치(40)의 상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날회전축(24)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장치(20)와, 상기 회전 제어장치(20)의 하측으로 연결된 실린더 설치대(31)에 각도조절 실린더(32)의 실린더축(32a)으로 제어되며 하측으로 날 연결구(35)와 연결한 날 몸체(34)에 날(34a)을 설치하여 과일(80)을 박피하는 과일 박피장치(30)로 이루어진 과일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0)는, 진공펌프(11)에서 추축(43)을 관통하는 호스(19)에 진공쏠(12)과 찌꺼기 휠터(13) 및 압력 스위치(1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제어장치(20)는, 스텝핑 모터(21)로 연결횐 날 회전축(24)의 상측으로 원점에서 날(34a)이 멈추는 감지센서(29)와 대봉시에서 날(34a)이 멈추는 감지센서(28)를 설치하고,
    상기 과일 박피장치(30)는, 각도 안내축(31b)의 하측으로 날 연결구(35)와 연결된 높이 조절축(33a)이 날조절 실린더(33)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일측에는 과일 꼭지를 제거하기 위한 꼭지 제거장치(60)를 설치하되, 꼭지 제거장치(60)는 본체(101)에서 경사지게 설치한 경사판(61)의 외측으로 보호대(66)를 설치하고, 상기 보호대(66)의 내부에 설치하는 절단몸체(67)는 주축모터(62)와 연결된 고정자(63)와 일체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절단몸체(67)의 중앙에 설치한 받침부(65)는 주축모터(62)를 관통하는 안내축(64)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3. 제 2항에 있어서,
    절단몸체(67)는 받침부(65)가 있는 중앙이 돌출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과일(80)의 꼭지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4. 제 2항에 있어서,
    절단몸체(67)는 절단홈(68)이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홈(68)의 한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절단날(69)을 설치하여 과일(80)의 꼭지가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일측에는 박피된 과일(80)을 배출하기 위한 과일 배출장치(70)를 설치하되, 과일 배출장치(70)는 과일 흡착장치(40)의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한 과일 안내대(71)와 이송 연결축(72)을 이송대(73)에 연결하고, 상기 이송대(73)에 실린더(74)의 실린더축(74a)을 연결하여 왕복이동시키며, 상기 이송대(73)에 이동 로울러(76)를 연결하여 레일 몸체(75)의 레일(75a)에 연결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6. 제 1항에 있어서,
    진공쏠(12)에는 호스(19)의 한 부분에 소형 호스(19a)를 연결하여 과일 흡착구(44)를 청소하고 박피된 과일(80)을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7. 제 1항에 있어서,
    회전 제어장치(20)의 감지센서(28, 29)는 180°와 160°가 회전되도록 선택하여 정지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8. 제 1항에 있어서,
    날조절 실린더(33)는 하측으로 높이 조절축(33a)이 연결되고, 상측으로 실린더 설치대(31)에 회전핀(31a)으로 연결하며, 상측으로 각도 안내축(31b)이 돌출되어 실린더축(32a)의 장공(32b)을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9. 과일(80)을 과일 흡착장치(40)에 결합하면 구동장치(10)로 고정하여 회전 제어장치(20)로 날(34a)의 위치를 제어한 후 과일 박피장치(40)로 박피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박피기에 있어서,
    과일(80)을 박피하기 위한 입력부(52)에는 전원램프(53)와 시작버튼(54), 자동/수동 버튼(55), 진공펌프 버튼(56)과, 원점 대봉시 버튼(57), 둥시/뾰쪽 버튼(58)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상기 입력부(52)와 연결한 컨트롤부(51)에는 진공쏠(12), 날조절 실린더(33), 스탭핑 모터(21), 각도조절 실린더(32), 작업수량 카운터(90), BL 제어부(91)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KR1020090085036A 2009-09-09 2009-09-09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KR10105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36A KR101053673B1 (ko) 2009-09-09 2009-09-09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36A KR101053673B1 (ko) 2009-09-09 2009-09-09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95A KR20110027095A (ko) 2011-03-16
KR101053673B1 true KR101053673B1 (ko) 2011-08-03

Family

ID=4393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36A KR101053673B1 (ko) 2009-09-09 2009-09-09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72B1 (ko) 2012-10-26 2013-02-13 (주)성우정밀 과일 박피장치
KR200477493Y1 (ko) * 2014-09-19 2015-06-17 송낙호 감 탈피장치
KR20180103449A (ko) 2017-03-10 2018-09-19 김승리 곡선날이 있는 과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2522B (zh) * 2019-11-06 2020-10-23 三门罗荣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果蔬沙拉自动制作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6Y1 (ko) 2005-06-21 2005-09-14 홍윤호 과일제피기
KR200429961Y1 (ko) 2006-07-27 2006-10-31 김용만 과일 제피기
KR100757419B1 (ko) 2006-09-11 2007-09-13 김경식 자동제피장치
KR100855050B1 (ko) 2007-03-08 2008-08-29 김경식 과일 박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6Y1 (ko) 2005-06-21 2005-09-14 홍윤호 과일제피기
KR200429961Y1 (ko) 2006-07-27 2006-10-31 김용만 과일 제피기
KR100757419B1 (ko) 2006-09-11 2007-09-13 김경식 자동제피장치
KR100855050B1 (ko) 2007-03-08 2008-08-29 김경식 과일 박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772B1 (ko) 2012-10-26 2013-02-13 (주)성우정밀 과일 박피장치
KR200477493Y1 (ko) * 2014-09-19 2015-06-17 송낙호 감 탈피장치
KR20180103449A (ko) 2017-03-10 2018-09-19 김승리 곡선날이 있는 과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95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672B1 (ko) 과일 종류에 따라 회전각도를 달리하는 자동 박피기
KR101053673B1 (ko) 자동 원점 조절형 과일 박피기
KR101232772B1 (ko) 과일 박피장치
KR100855050B1 (ko) 과일 박피기
KR101132242B1 (ko) 과일 꼭지 간편 제거장치
JP6910644B2 (ja) 果菜の皮剥装置
KR101269117B1 (ko) 가공용 감의 자동박피장치
JP3197951U (ja) リンゴ芯取装置
US20190351525A1 (en) Processing apparatus
KR200429961Y1 (ko) 과일 제피기
KR102038083B1 (ko) 양송이버섯의 자동 절단장치
KR100757419B1 (ko) 자동제피장치
US6125744A (en) Fruit peeler
KR200484069Y1 (ko) 과일 박피기
KR101139752B1 (ko) 과일 박피장치
CN208925786U (zh) 水果自动削皮机械手
KR102093762B1 (ko) 파인애플 자동 절단장치
KR100987806B1 (ko) 과일의 꼭지 제거장치
KR101372381B1 (ko)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CN110176415B (zh) 一种具有吸嘴拆装便捷功能的清洁型芯片分拣设备
CN205415090U (zh) 一种金属工件下料装置
KR101268456B1 (ko) 비접촉식 광센서를 이용하는 과일박피기
KR101388606B1 (ko) 과일 박피기
CN208318198U (zh) 一种新型无损伤洋葱自动剥皮机
CN108838820B (zh) 一种注射针头生产设备的切割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