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381B1 -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81B1
KR101372381B1 KR1020120154909A KR20120154909A KR101372381B1 KR 101372381 B1 KR101372381 B1 KR 101372381B1 KR 1020120154909 A KR1020120154909 A KR 1020120154909A KR 20120154909 A KR20120154909 A KR 20120154909A KR 101372381 B1 KR101372381 B1 KR 10137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plate
guide
adsorption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12015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89Driv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감 따위의 과일을 제피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2)의 상부 양측 지지프레임(6)에 갖는 안내레일(8)에 선형이송 안내대(20)를 안착시켜 일측 구동모터(12)로부터 회전하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로 왕복작동되게 구성하되, 상기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 전방에 회전축(26)에 축 결합하는 작동체(28)를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축(26)에 결합된 회전판(24)을 90°선회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24)의 전방에는 안내봉(34a)에 의해 안내되며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하는 이동판(34)에 진공흡입으로 감을 흡착하도록 흡착패드(48)가 형성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갖는 감 이송장치(A)를 구성하여, 상기 감 이송장치(A)을 통해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흡입방식으로 감(P)을 흡착한 후 이를 감 제피장치(200)를 통해 흡착된 감(P)의 꽃받침 및 껍질이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제피작업이 보다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PERSIMMON TRANSFER APPRATUS FOR AUTOMATIC FRUIT PARING}
본 발명은 감 따위의 과일 껍질을 제거하는 과일 제피장치에 감 이송을 자동화 함으로서 제피작업이 보다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제피기는 감이나 사과, 배 등과 같은 각종 과일의 껍질을 깎는데 이용되는 기계로서 최상의 조건에서 원활하고 신속하게 그러면서도 제대로 깎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일 제피기를 구현하기 위해 감을 제피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강구되고 있으며, 일 예로 본원 출원인 김용만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54732호, 동 제376382호, 동 제429961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과일 제피기들은 작업자가 깎여질 감을 흡착패드에 흡착고정되는 것으로도 자동으로 감의 제피가 이루어질 수가 있어 보다 작업자 입장에서 간편한 제피작업을 가능케 해주었다.
하지만 여전히 작업자는 과일제피기의 흡착패드에 깎을 감을 일일이 흡착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하루에 수백 개의 감을 수작업으로 공급하여 제피작업을 하기에는 상당히 힘이 들어 생산성이 다소 떨어지고, 간혹 감을 흡착패드에 붙이는 과정에서의 커터날에 손을 다칠 수가 있어 항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감 따위의 과일 껍질을 제거하는데 있어 감의 자동공급 및 이송시켜 감꽃받침 제거작업, 껍질 제피작업, 제피후 배출과정 등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여 가능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제피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면 많은 사람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 따위의 과일의 껍질을 제거하는 감 제피장치에 감을 자동으로 이송시켜 감꽃받침 및 껍질의 제거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2)의 상부 양측 지지프레임(6)에 갖는 안내레일(8)에 선형이송 안내대(20)를 안착시켜 일측 구동모터(12)로부터 회전하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로 왕복작동되게 구성하되, 상기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 전방에 회전축(26)에 축 결합하는 작동체(28)를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축(26)에 결합된 회전판(24)을 90°선회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24)의 전방에는 안내봉(34a)에 의해 안내되며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하는 이동판(34)에 진공흡입으로 감을 흡착하도록 흡착패드(48)가 형성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갖는 감 이송장치(A)를 구성하여, 상기 감 이송장치(A)을 통해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흡입방식으로 감(P)을 흡착한 후 이를 감 제피장치(200)를 통해 흡착된 감(P)의 꽃받침 및 껍질이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제피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 따위의 과일 껍질을 제거하는데 있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공급되는 감을 흡입방식에 의해 간단히 흡착 고정하며 흡착된 감을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감 꽃받침과 껍질의 제피작업이 무인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과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를 통해 감의 흡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를 통해 감꽃받침의 제거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를 통해 감껍질의 제거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를 이용해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전체평면구성도,
도 8은 도 7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P)을 정렬상태로 공급하는 감 정렬공급장치(100)와, 감(P)의 꽃받침과 껍질을 제거하는 감 제피장치(200)를 두고, 상기 감 정렬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감(P)을 집어서 선회 이송하여 이를 감 제피장치(200)에 탑재된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에 감(P)을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제피작업이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는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감(P)을 공급받아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에 좌우로 왕복하여 이송하도록 감 제피장치(200)의 본체에 각 장치의 구성품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판넬(미도시)이 일면에 설치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감 제피작업의 자동화를 위해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를 구현함에 있어, 감 정렬공급장치(100)와 감 제피장치(200)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감 정렬공급장치(100)는 회전하는 컨베이어(102)에 동일 이격간격을 갖는 감 받침판(104) 다수가 일렬로 배열 형성되고, 컨베이어(102)의 일측에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정위치 조정홀더(106)들이 양측에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하여 감받침판(104)에 얹혀 공급되는 감(P)이 감 이송장치(A)의 하류에 위치하여 정지시에 감(P)을 흡착시켜 픽업(pick up)을 할 수 있게 잡아주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흡착된 감(P)이 감 이송장치(A)에 의해 꽃받침과 껍질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전방에 감 제피장치(200)를 구비함에, 감 제피장치(200)의 일측에 감꼭지는 그대로 두고 꽃받침만을 절삭하는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타측에는 꽃받침이 절삭된 감(P)이 이송되어 껍질을 제피하는 감껍질 제피부(204)가 각각 설치되어 감(P)의 제피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감 제피장치(200)에 설치되는 감꽃받침 절삭부(202)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일 예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63738호 “곶감용 감꽃받침부 절삭장치”에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고, 감껍질 제피부(204)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일 예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4732호 “과일 제피기”에서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 감 제피장치(200)에 장착 사용되는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는 본체에 동수로 좌우방 일렬 배치하여 제피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되, 다수 감꽃받침 절삭부(202) 사이의 이격간격과 감껍질 제피부(204) 사이의 이격간격은 감 정렬공급장치(100)의 감받침판(104) 사이의 이격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하며, 아울러 본 발명 감 이송장치(A)에 감(P)을 흡착 이송하는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의 이격간격도 같게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 제피장치(200)의 감껍질 제피부(204) 하부에는 제피완료된 감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좌우 이동가능한 배출대(206)가 설치되어 안내하도록 한다.
따라서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해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는 감 정렬공급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며 하류에 머물고 있는 감(P)을 진공 흡입방식에 의해 흡착 상승시켜 이를 감 제피장치(200)에 갖는 다수 감꽃받침 절삭부(202)나 감껍질 제피부(204)에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제피작업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 이송장치(A)는 본체(2)의 상부에 선형이송 안내대(20)를 설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에 흡착된 감(P)들을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 사이를 왕복시키면서 제피 작동하되, 이때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 앞에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위치한 상태에서 하류에 갖는 감 정렬공급장치(100)의 정위치 조정홀더(106)와 서로 수직으로 마주하여 감(P)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감 이송장치(A)는 일정높이를 갖는 본체(2)를 두고, 본체(2)의 하부에 나사봉이 형성된 다리(4)를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본체(2)의 상부 양측 지지프레임(6) 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선형이송 안내대(20)를 안내레일(8)에 안착시켜 LM가이드의 결합에 의해 안내되게 구성하고, 이때 선형이송 안내대(20)는 양 지지프레임(6)의 사이에 갖는 컨베이어(10)와 결합시켜 컨베이어(10)가 일측 구동풀리(10a)와 타측 피동풀리(10b)에 감겨져 구동풀리(10a) 축에 결합된 구동모터(12)의 정역회전에 따라 컨베이어(10)를 따라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 이동되게 구성한다.
이때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안내레일(8)에 안착되어 좌우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는 벨트형 또는 체인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컨베이어(1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0) 대신에 선형이송 안내대(20)의 하부에 에어실린더를 결합하거나 볼스크류에 의한 이송장치를 구현하여 안내레일(8)을 따라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균등물로 구현하여 사용할 수가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의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컨베이어(10)에 의해 좌우로 이동 작동하는 이외에도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감(P)을 흡착시켜 이를 감꽃받침 절삭부(202)나 감껍질 제피부(204)로 이송시켜 제피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선형이송 안내대(20)에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로 옮길 때의 방향전환을 위해 베이스(22)에 힌지연결된 회전판(24)을 90°선회작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24)의 전방에 감(P)을 흡착하는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의 전후방 위치이동을 위해 구동실린더 등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1,2 흡착부(40A)(40B)는 진공 흡입펌프와 연결하여 구현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좌우 이동하는 선형이송 안내대(20)를 두고,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로부터 90°선회작동하도록 회전판(24)을 결합 구성하되, 회전판(24)의 하부 양측에 결합하는 고정브라켓(24a) 통해 회전축(26)에 고정 설치하고, 이때 회전축(26)의 양측 단부는 베이스(22)의 전방 양측에 베어링이 설치된 지지브라켓(22a)에 축 결합하여 회전축(26)을 따라 회전판(24)이 같이 회전되게 구성한다.
이때 회전판(24)을 90°선회작동하도록 회전축(26) 상의 양측에 작동체(28)를 끼워 고정 결합하며 각 작동체(28)의 후미에 로드엔드를 통해 에어실린더(29)를 각각 작동체(28)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줌으로 상기 에어실린더(29) 로드의 전후진 작동에 의하여 작동체(28)가 일정각도로 회전함에 따른 회전축(26)과 결합된 회전판(24)을 90°로 회전되게 하여 회전판(24)의 전방에 갖는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선회시켜 하류에 위치하는 감 정렬공급장치(100)와 수직으로 마주하여 공급되는 감(P)을 흡착시켜 파지할 수 있도록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6)이 작동체(28)와 연결된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회전판(24)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회전축(26)의 일측에 에어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바로 축 설치하여 에어모터를 이용한 정역회전 제어에 따라 회전축(26)으로부터 회전판(24)을 선회시키는 등의 다양한 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베이스(22)의 전방에는 회전판(24)으로부터 제1 흡착부(40A),제2 흡착부(40B)가 90°로 선회 작동하여 위치하도록 베이스(22)의 하부 양측에 받침대(30)을 두고, 베이스(22) 상부 중앙에는 스토퍼 브라켓(32)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완충구(32a)를 결합되게 구성하여 회전판(24)이 회전축(26)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선회시에 받침판(30)과 완충구(32a)에 각각 맞닿아 회전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30)의 상부에는 고무재 등의 완충패드(30a)을 결합하여 회전판(24)이 수평으로 맞닿을 시에 소음과 충격을 완화하고, 회전판(24)이 수직으로 회전시에는 스토퍼 브라켓(32)에 결합된 완충구(30a)에 맞닿아 이 역시 소음과 충격을 완화되게 한다.
그리고 완충구(32a)가 스토퍼 브라켓(32)에 결합되어 회전판(24)이 수직으로 회전시 이를 잡아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완충구(32a) 대신에 쇼크 업소버를 베이스(22)와 회전판(24)에 사이에 결합 구비하여 베이스(22)로 회전판(24)이 수직 회전될 때에 쇼크 업소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판(24)을 완충 제어하여 잡아주도록 구현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한 선회하는 회전판(24)을 두고 전방에는 감(P)을 진공 흡입방식으로 흡착하도록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구성하되, 상기 제1,2 흡착부(40A)(40B) 간의 이격간격은 감꽃받침 절삭부(202)나 감껍질 제피부(204)들의 이격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제1,2 흡착부(40A)(40B)가 회전판(24)으로부터 전후진 작동되게 회전판(24)의 전방에 이동판(34)이 더 구비되게 한다.
즉 이동판(34)은 회전판(24)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판(24)의 후미에 결합된 에어실린더(36)의 로드와 연결되게 구성하며, 회전판(24)으로부터 이동판(34)은 다수의 안내봉(34a)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구비하여 상기 에어실린더(36) 작동에 이동판(34)이 전후 이동에 따른 전방에 설치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가 감(P)을 흡착시에 이동거리를 조절 제어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동판(3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는 진공흡입에 의한 감(P)을 흡착하여 파지하도록 제1,2 흡착부(40A)(40B)를 형성하는 각 지지판(42)이 이동판(34)과 서로 자유로이 슬라이딩 되게 이동판(34)에 장착된 베어링에 압지봉(44)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압지봉(44) 상에 스프링(46)을 끼움 장착하여 지지판(42)이 스프링(46)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이동판(34)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지지판(42)의 중앙에는 흡착패드(48)를 갖는 흡입관(49)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흡입관(49)이 외부 흡입펌프와 연결하여 흡입력을 갖도록 구비하여 흡착패드(48)을 통해 감(P)을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감(P)을 흡착패드(48)에 흡착시 지지판(42)이 이동판(34)으로부터 스프링(4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있어 공급되는 감(P)의 크기 및 형태에 맞추어 흡착패드(48)가 탄력적으로 잡아주어 진공흡입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되게 한다.
한편 제1 흡착부(40)와 제2 흡착부(50)가 장착되어 감(P)을 흡착한 후 좌우로 이동시키는 선형이송 안내대(20)가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에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제피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의 양측에 센서(6a)(6b)를 설치하여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 왕복작동시에 위치를 잡아 제어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를 이용하여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자가 감 제피장치(200)에 구비된 조작판넬(미도시)에 자동작동 스위치를 키게 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 이송장치(A)의 하류에 위치하는 감 정렬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102)가 서서히 회전함과 동시에 감 이송장치(A) 전방에 위치하는 감 제피장치(200)의 다수 감꽃받침 절삭부(202)는 구동되게 함과 아울러 감껍질 제피부(204)의 흡착패드는 비회전상태에서 진공흡입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작업자는 제피대상 감(P)을 감 정렬공급장치(100)의 감받침판(104) 위에 감꼭지가 밑으로 향하도록 올려놓는 행위만 반복적으로 하면 자동으로 감(P)이 공급된다(도 8 참조).
감받침판(104)에 얹힌 감(P)이 일측에 설치된 정위치 조정홀더(106)에 다다르며 컨베이어(102)가 멈춰서게 되고, 이때 양측 정위치 조정홀더(106)의 작동에 의해서 감(P)의 양측면이 탄력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정위치 조정홀더(106)의 상측에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의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초기 위치하게 되고,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6)과 결합된 작동체(28)가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전진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축(26)을 따라 회전판(24)이 90°축선회하도록 해주면 이동판(34)의 전방에 갖는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가 수직으로 세워져 하류의 정위치 조정홀더(106)에 잡힌 감(P)과 수직으로 나란히 향하도록 하면서 회전판(24)은 베이스(22)의 전방 하부에 돌출된 받침대(30)에 안착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제1,2 흡착부(40A)(40B)가 감(P)과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판(24)의 후미에 장착된 에어실린더(36)가 작동하여 이동판(34)을 전진시키면 제1,2 흡착부(40A)(40B) 역시 전진 이동한다. 그러므로 제1,2 흡착부(40A)(40B)의 각 지지판(42)에 갖는 흡착패드(48)가 정위치 조정홀더(106)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있는 감(P)에 접근하자마자 진공 흡입력으로 인해 감받침판(104)에 얹힌 감(P)을 흡착패드(48)가 흡착 고정시킨다.
상기 각 흡착패드(48)에 감(P)의 흡착이 완료되면 흡착된 감(P)을 이송시켜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로 옮기기 위한 중간 조치를 취하는데 이때 감(P)을 흡착한 흡팍패드(48)는 진공흡입 상태를 유지한 채로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이동판(34)과 연결된 제1,2 흡착부(40A)(40B)가 후진 이동되고, 그 다음에는 작동체(28)가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회전판(24)을 다시 회전축(26)에 의해 선회시켜 일어서게 하면 이때 회전판(24)은 베이스(22)의 중앙에 갖는 스토퍼 브라켓(32)에 있는 완충구(32a)에 맞닿아 90°의 수직상태로 일어서게 된다.
상기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에 감(P)이 흡착되어 회전판(24)에 의해 일어서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바로 정렬되게 위치하도록 되고, 이때 이동판(34)이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의한 전진 이동으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의 흡착패드(48)에 고정된 감(P)이 감꽃받침 절삭부(202)에 제공되며 감꽃받침 절삭부(202)에 의해서 감꼭지를 남기고 감꽃받침의 절삭이 이루어진다.
이때 감꽃받침을 감꽃받침 절삭부(202)에 의해 절삭시에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의 각 지지판(42)이 이동판(34)으로부터 스프링(4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감꽃받침 부분이 감꽃받침 절삭부(202)에 맞닿아 절삭시에 감의 크기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절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감꽃받침 절삭이 완료되면 다시 에어실린더(36)를 이용해 감꽃받침 절삭부(202)로부터 감꽃받침이 절삭된 감(P)이 흡착패드(48)에 흡착된 상태로 그대로 후진 이동시킨 후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컨베이어(1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6)에 설치된 센서(6b) 위치까지 안내레일(8)을 타고 감껍질 제피부(204)와 마주하도록 감(P)을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이송되게 해준다.
이후 진공흡입 작동중인 감껍질 제피부(204)의 흡착패드에 감(P)의 꼭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도 7에서와 같이 이동판(34)이 다시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의해 전진 이동시켜 감껍질 제피부(204)의 흡착패드에 감(P)을 흡착 고정시키면,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의 각 흡착패드(48)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력이 해제되어 감(P)을 놓아주고 그후 이동판(34)의 후진에 의해 제1,2 흡착부(40A)(40B)가 후진이동 함과 동시에 선형이송 안내대(20)를 감 정렬공급장치(100)의 정위치 조정홀더(106)에 대기해 있는 다음 차례의 감(P)을 가져오기 위해 초기위치인 지지프레임(6)에 설치된 센서(6a)까지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컨베이어(10)에 의해 이동하는 등 반복작동을 통해 감(P)을 이송토록 해준다.
한편 감 제피장치(200)의 감껍질 제피부(204)의 흡착패드에 감(P)이 흡착고정되면 감압센서 등을 통해 이를 인식한 컷팅날이 회전하여 감껍질을 제피하게 되고, 감껍질 제피가 완료되면 흡착패드에 연통된 관을 통해 공기압축력이 가해지므로 흡착패드로부터 제피 감(P)이 탈리되어 하부에 갖는 배출대(206)를 통해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 이송장치(A)를 통해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감(P)을 공급받아 이를 감 제피장치(200)의 감꽃받침 절삭부(202)와 감껍질 제피부(204)에 순차적으로 이송 작동하에 제피작업이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해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감 따위의 과일제피 자동화에 각종 과일을 제피하기 위한 이송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A)-- 감 이송장치 (P)-- 감
(100)-- 감 정렬공급장치 (102)-- 컨베이어
(104)-- 감받침판 (106)-- 정위치 조정홀더
(200)-- 감 제피장치 (202)-- 감꽃받침 절삭부
(204)-- 감껍질 제피부 (206)-- 배출대
(2)-- 본체 (4)-- 다리
(6)-- 지지프레임 (6a)(6b)-- 센서
(8)-- 안내레일 (10)-- 컨베이어
(10a)-- 구동풀리 (10b)-- 피동풀리
(12)-- 구동모터 (20)-- 선형이송 안내대
(22)-- 베이스 (22a)-- 지지브라켓
(24)-- 회전판 (24a)-- 고정브라켓
(26)-- 회전축 (28)-- 작동체
(29)-- 에어실린더 (30)-- 받침대
(30a)-- 완충패드 (32)-- 스토퍼 브라켓
(32a)-- 완충구 (34)-- 이동판
(34a)-- 안내봉 (36)-- 에어실린더
(40A)-- 제1 흡착부 (40B)-- 제2 흡착부
(42)-- 지지판 (44)-- 압지봉
(46)-- 스프링 (48)-- 흡착패드
(49)-- 흡입관

Claims (6)

  1.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본체(2)의 상부 양측 지지프레임(6)에 갖는 안내레일(8)에 선형이송 안내대(20)를 안착시켜 일측 구동모터(12)로부터 회전하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로 왕복작동되게 구성하되, 상기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 전방에 회전축(26)에 축 결합하는 작동체(28)를 에어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축(26)에 결합된 회전판(24)을 90°선회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판(24)의 전방에는 안내봉(34a)에 의해 안내되며 에어실린더(36)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하는 이동판(34)에 진공흡입으로 감을 흡착하도록 흡착패드(48)가 형성된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갖는 감 이송장치(A)를 구성하여, 상기 감 이송장치(A)을 통해 감 정렬공급장치(100)로부터 흡입방식으로 감(P)을 흡착한 후 이를 감 제피장치(200)를 통해 흡착된 감(P)의 꽃받침 및 껍질이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제피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판(34)의 전방에 제1 흡착부(40A)와 제2 흡착부(40B)를 구성하되, 제1,2 흡착부(40A)(40B)의 각 지지판(42)에 흡착패드(48)를 흡입관(49)과 연결하여 흡입펌프로부터 흡입력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42)은 이동판(34)과 압지봉(44)을 통해 슬라이딩되게 결합하되 압지봉(44) 상에 스프링(46)을 장착하여 흡착패드(48)에 감(P)을 흡착시 이동판(34)으로부터 지지판(42)이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에 결합된 회전축(26)에 의해 90°로 선회작동하는 회전판(24)을 두고, 상기 베이스(22)의 전방 양측에 완충패드(30a)가 형성된 받침대(30)를 구성하며 베이스(22)의 상부에는 스토퍼 브라켓(32)으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한 완충구(32a)를 결합하여 회전판(24)이 선회작동시에 받침대(30)와 완충구(32a)에 각각 맞닿아 회전을 제어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26)에 회전판(24)이 결합하여 선회하도록 구성하되, 회전축(26)의 일측에 에어모터의 구동장치를 축 설치하여 에어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판(2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24)이 회전축(26)에 의해 선회작동함에 선형이송 안내대(20)의 베이스(22)에 쇼크 업소버를 회전판(24)에 결합 구비하여 회전판(24)이 선회시에 쇼크 업소버가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10)는 벨트형 또는 체인형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하여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안내레일(8)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컨베이어(10) 대신에 에어실린더 또는 볼스크류에 의한 이송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형이송 안내대(20)가 좌우 이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KR1020120154909A 2012-12-27 2012-12-27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KR10137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09A KR101372381B1 (ko) 2012-12-27 2012-12-27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09A KR101372381B1 (ko) 2012-12-27 2012-12-27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381B1 true KR101372381B1 (ko) 2014-03-12

Family

ID=5064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09A KR101372381B1 (ko) 2012-12-27 2012-12-27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3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708B1 (ko) * 2015-05-26 2015-12-22 권성혁 과일 꼭지 제거가 가능한 과일 자동절단장치
KR20160071181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성일이엔지산업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회전식 감 제피장치
CN112091880A (zh) * 2020-09-15 2020-12-18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站点墙面装修用快捷装配设备
KR20220102173A (ko) 2021-01-11 2022-07-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일류 파지를 위한 그리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421A (ja) 1999-03-01 2000-09-12 Sumiichi Takimoto 柿の皮剥き機
KR200376382Y1 (ko) 2004-11-27 2005-03-10 김용만 과일제피기
JP2008161128A (ja) 2006-12-28 2008-07-17 Mitsuwa:Kk 果実の不要部分を除去する除去装置並びに果実の表皮除去機
KR101032363B1 (ko) 2009-04-20 2011-05-03 남인기 과일 껍질 탈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421A (ja) 1999-03-01 2000-09-12 Sumiichi Takimoto 柿の皮剥き機
KR200376382Y1 (ko) 2004-11-27 2005-03-10 김용만 과일제피기
JP2008161128A (ja) 2006-12-28 2008-07-17 Mitsuwa:Kk 果実の不要部分を除去する除去装置並びに果実の表皮除去機
KR101032363B1 (ko) 2009-04-20 2011-05-03 남인기 과일 껍질 탈피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181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성일이엔지산업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회전식 감 제피장치
KR101579708B1 (ko) * 2015-05-26 2015-12-22 권성혁 과일 꼭지 제거가 가능한 과일 자동절단장치
CN112091880A (zh) * 2020-09-15 2020-12-18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站点墙面装修用快捷装配设备
KR20220102173A (ko) 2021-01-11 2022-07-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일류 파지를 위한 그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117B1 (ko) 가공용 감의 자동박피장치
KR101372381B1 (ko)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이송장치
KR101274459B1 (ko) 과일제피 자동화를 위한 감 정렬공급장치
KR101260964B1 (ko) 과일제피 자동화장치 및 방법
WO2015194983A1 (en) Machine with an endless band-knife for cutting sponge panels into pieces
WO2015129252A1 (ja) ガラス板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CN109159362B (zh) 一种上下料装置
CN109159363B (zh) 一种具有裁切功能的上下料装置
CN209796813U (zh) 玻璃上片机
EP1498368B1 (en) A board processing unit
KR20150072664A (ko) 판재 절단장치
KR101769139B1 (ko) 필름 박리 시스템
JP2010163310A5 (ko)
CN109159361B (zh) 一种上料裁切装置
JP2020120115A (ja) ウェーハ剥離洗浄装置
CN113001667B (zh) 一种圆形材料打孔装置及方法
CN208019907U (zh) 一种用于无心磨床的气动送料机构
CN108338374B (zh) 一种自动削皮机使用方法
CN110695852B (zh) 一种异形玻璃水刀切割生产线的操作方法
CN110884158A (zh) 一种覆膜机
CN214490910U (zh) 一种木板打孔装置
CN208814887U (zh) 玻璃切割裂片加工线
CN207724457U (zh) 一种多层真空皮革裁切机
KR101776053B1 (ko) 톱날 가공용 절삭장치
CN216464967U (zh) 一种用于塑料编织袋的裁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